•  


南仁順 議員이 본 映畫 ‘허스토리’|新東亞

아주 私的인 他人의 리뷰

南仁順 議員이 본 映畫 ‘허스토리’

‘우리’가 함께 始作하는 새로운 歷史

  • 入力 2018-08-01 17: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最近 日本軍慰安婦 問題를 다룬 映畫가 잇따라 開封하고 있다. ‘허스토리’는 그 延長線에 있으면서 多少 다른 映畫다. 日本軍慰安婦 할머니들 이야기를 前面에 내세웠지만 보는 이의 憤怒나 슬픔을 刺戟하는 데 集中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被害者들이 그동안 만들어온 變化와 來日의 希望을 보여주는 쪽에 무게를 뒀다. 南仁順 議員은 그것을 ‘허스토리’의 美德으로 꼽았다.
    [박해윤 기자]

    [박해윤 記者]

    “宏壯히 뭉클하고 좋았다. ‘이 映畫를 더 많은 사람이 보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只今 繼續 그 생각을 하고 있다.” 

    映畫 ‘허스토리’에 對한 感想을 물었을 때 南仁順 議員(더불어民主黨)이 한 말이다. 韓國女性團體聯合 共同代表를 지낸 南 議員은 日本軍慰安婦 問題 解決에 積極的으로 나서온 政治人이다. 市民運動家 時節부터 日本軍慰安婦 問題 眞相 糾明과 日本의 公式 謝過 等을 要求했고, 國會議員이 된 뒤에도 關聯 活動을 繼續했다. 南 議員이 지난해 代表 發議한 ‘日帝下 日本軍慰安婦 被害者에 對한 生活安定支援 및 記念事業 等에 關한 法律 一部改正法律案’은 眞相 糾明과 被害者 名譽回復 等을 위한 日本軍慰安婦 專門 硏究所 設立 內容을 담고 있다. 南 議員은 “映畫 ‘허스토리’를 통해 더 많은 이가 日本軍慰安婦 問題에 關心을 갖게 되면 좋겠다”며 “特히 우리 未來 世代, 靑少年이 이 映畫를 많이 보게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 記事에는 스포일러가 包含돼 있습니다.)

    淡淡해서 더 感動的인 이야기

    이 映畫의 어떤 點이 마음에 들었나. 

    “스토리 構成이 탄탄하고, 俳優들 演技도 훌륭하다. 映畫를 보며 여러 番 感歎했다. 日本軍慰安婦 問題를 다룬 映畫는 前에도 많았다. 우리가 直面하기 어려운 歷史的 眞實을 다루다 보니 觀客을 感情的으로 힘들게 만드는 映畫도 多少 있었다. ‘허스토리’는 그렇지 않다. 憤怒나 슬픔 같은 情緖를 지나치게 刺戟하지 않는데도 마음을 움직인다.” 

    特히 印象的인 場面을 꼽는다면. 



    “主人公 ‘배정길 할머니(김해숙 分)’가 登場하는 場面이 많이 떠오른다. 只今 생각나는 건 日本軍慰安婦 被害 申告센터를 찾아가 平生 감춰온 얘기를 털어놓으려 하던 部分이다. 어떤 劇的인 裝置도 없는데 김해숙 氏 演技를 통해 할머니의 傷處와 葛藤이 고스란히 傳해졌다. 그동안 내가 만나온 日本軍慰安婦 할머니들도 떠올라 마음이 아팠다. 映畫 속 배정길 할머니는 假想의 人物이지만, 그의 이야기에는 實際 日本軍慰安婦 被害者들 삶이 相當 部分 녹아 있다. 至毒한 가난, 家族과의 葛藤, 마음속 깊은 곳에 남아 있는 트라우마 等 배정길 할머니를 고통스럽게 하는 要素들이 하나둘 드러날 때마다 내가 아는 할머니들 생각이 났다. 映畫를 보며 여러 番 울었다.”
     
    ‘허스토리’의 背景은 1990年代 初盤, 釜山이다. 第2次 世界大戰이 끝나고 40年도 더 지난 이 무렵, 오랫동안 감춰져 있던 日本軍慰安婦의 實體가 우리나라에서 조금씩 모습을 드러냈다. 윤정옥 이화여대 名譽敎授 等 學者들이 關聯 資料를 發掘, 公開한 게 出發點이다. 이어 1991年 8月 故 김학순 할머니를 始作으로 被害者들度 하나둘 證言에 나섰다. 이들을 통해 日帝强占期 朝鮮에서 많은 少女가 戰場에 끌려가 性的 虐待를 當한 事實이 드러났다. 

    日帝가 少女들을 ‘勤勞挺身隊’라는 이름으로 强制 動員해 勞動力을 搾取한 事例도 確認됐다. 1992年 12月, 釜山에 사는 할머니 4名은 日本 政府에 이 問題에 對한 責任을 묻고 謝罪와 賠償을 받겠다고 나섰다. ‘日本 政府’를 被告로 한 이 裁判 原稿 中 2名은 日本軍慰安婦, 2名은 勤勞挺身隊 被害者였다. 以後 日本軍慰安婦 1名, 勤勞挺身隊 5名이 追加로 訴訟에 參與하면서 原稿團 數는 10名으로 늘었다. 映畫 ‘허스토리’는 바로 이들의 法廷 싸움을 다룬다.

    映畫로 되살아난 歷史

    1992년부터 2003년까지 이어진 ‘관부재판’을 다룬 영화 ‘허스토리’. 정의로운 사람들의 연대가 가진 힘을 보여준다.

    1992年부터 2003年까지 이어진 ‘官府裁判’을 다룬 映畫 ‘허스토리’. 정의로운 사람들의 連帶가 가진 힘을 보여준다.

    ‘釜山(釜山)’에 사는 이들이 日本 ‘시모노세키(下關·下官)’ 法院에 소를 냄으로써 始作된 이 事件은 當時 ‘官府裁判(?釜裁判)’이라는 別名으로 불렸다. 2003年 日本 最高裁判所 判決이 나올 때까지 10年 넘게 이어진 裁判 期間에 10名의 할머니는 隨時로 玄海灘을 건너 日本 法廷에 섰고, 때로는 호통으로, 때로는 絶叫로 自身들의 苦痛을 世上에 알렸다. 그러나 最終的으로 日本 法院이 ‘原告 敗訴’ 判決을 내리면서 이 裁判은 많은 이의 記憶에서 잊히고 말았다. 

    映畫 ‘허스토리’에서는 김해숙을 비롯해 예수정, 문숙, 이용녀 等의 俳優가 바로 이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되살려낸다. 이들이 各各 演技한 배정길, 박순녀, 서귀순, 이옥주는 映畫的으로 脚色된 人物이다. 劇中 이름도 實際 原稿 할머니들의 이름과 다르다. 그러나 이들의 被害 事例 相當 部分은 裁判 記錄에서 가져온 것이다. 

    例를 들어 映畫 속 法廷 場面에서 서귀순이 學校 擔任敎師의 말에 속아 勤勞挺身隊에 가게 된 事緣이 公開된다. 이는 ‘官府裁判’ 當時 實際로 있었던 일이다. 日本人 前職 敎師가 證言臺에 올라 ‘敎師 時節 朝鮮人 女學生들을 勤勞挺身隊에 보냈다’고 告白했다. 日本軍慰安婦 被害者는 아니지만 當時 할머니들의 後援者를 自處하며 10年의 訟事를 함께 進行한 김문숙(91) 氏는 2001年 펴낸 自傳 에세이 ‘쓰러진 者의 祈禱’에서 當時 狀況을 이렇게 描寫했다. 

    ‘그女(日本人 前職 敎師)는 눈물로 懺悔했다. 50年 歲月이 흐르는 동안 罪責感에 韓國 쪽 하늘을 쳐다볼 수가 없었다는 이케다 先生의 告白은 또 한 番 우리를 日帝 蠻行에 몸서리치게 했다. 그女는 48年 前(1944年) 自己가 擔任敎師로 있던 서울의 方相初等學校에서 自身이 6學年 4班 女學生 弟子 6名을 自身의 손으로 挺身隊로 보냈음을 밝혔다. (中略) 그들에게 謝過하고 싶다고 눈물을 흘렸다.’ 

    映畫 ‘허스토리’에는 이 에세이를 쓴 김문숙 氏를 모델로 한 人物도 登場한다. ‘문정숙 社長’(김희애 分)이다. 문정숙은 ‘허스토리’에서 旅行社 代表이자 釜山女性經濟人聯合會長으로 描寫되는데 이는 實際 金氏의 삶과 一致한다. 釜山에 ‘挺身隊 申告 電話’를 開設하고, 被害 할머니들을 物心兩面 後援해 ‘官府裁判’에 參與하도록 이끈 것, 그리고 流暢한 日本語 實力으로 裁判 當時 通譯을 도맡은 것 等도 모두 ‘팩트’다. 

    事業家로 乘勝長驅하던 金氏는 1990年 偶然히 日本軍慰安婦 問題를 알게 된 뒤 私財를 털어 할머니들을 돕기 始作했다. 只今은 釜山에서 ‘民族과 女性 歷史觀’을 運營하며 日本軍慰安婦 問題를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다. 그의 남다른 삶은 김희애의 演技를 통해 스크린에 생생히 되살아났다. 南 議員은 “이番 映畫로 김희애 氏를 다시 봤다”며 “그前에도 演技 잘하는 俳優인 걸 알았지만 이 程度일 줄은 몰랐다”고 讚辭를 보냈다. 

    김희애 氏가 ‘門 社長’ 役을 맡은 뒤 釜山 사투리와 日本語를 工夫하느라 苦生을 많이 했다고 들었다. 

    “사투리와 日本語 實力도 놀랍지만 내가 더욱 感歎한 건 다른 部分이다. 이 映畫에서 門 社長은 日本軍慰安婦 問題와 아무 關係없는 삶을 살았다. TV 뉴스를 통해 關聯 消息을 처음 接했을 때 옆에 있는 딸한테 ‘저렇게 안 되려면 學校 熱心히 다니라’고 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런데 우연한 契機로 自己 가까이에 日本軍慰安婦 出身 할머니가 있다는 걸 알게 된다. 以後 그를 통해 이 問題의 實體를 把握하면서 完全히 다른 사람으로 變해간다. 被害 當事者가 아닌데도 世上 누구보다 熱心히 싸움에 뛰어든다. ‘官府裁判’이 처음 始作되고, 그 긴 時間 동안 이어질 수 있었던 건 映畫 속 門 社長, 現實에서는 김문숙 氏 功이 크다. 나는 女性運動을 하며 그런 분을 참 많이 만났다. 自己 利害關係보다 歷史와 正義를 먼저 생각하는 사람들 말이다. 그 典型을 김희애 氏가 演技를 통해 보여준 것 같아 感動的이었다.” 

    ‘허스토리’에는 ‘門 社長’ 外에도 正義로운 助力者가 多數 登場한다. 受任料 한 푼 받지 않고 할머니들의 訴訟을 돕는 在日僑胞 ‘以上일 辯護士’(김준한 分)는 ‘官府裁判’ 當時 實際로 無料 辯論에 나섰던 在日僑胞 李剝姓 辯護士를 모델로 한 人物이다. 關聯 記錄에 따르면 當時 日本에서는 이剝姓 辯護士 外에도 10名 以上의 辯護士가 日本軍慰安婦 할머니 原稿團 訴訟을 도왔다.

    우리 안에 있는 정의로움

    日本 內 良心的 市民들도 後援者로 나섰다. 이들은 自發的으로 모임을 꾸려 할머니들이 法院에 오갈 때 日本 右翼 勢力 等의 攻擊을 받지 않도록 警護했고, 裁判을 꾸준히 參觀하며 應援했다. 官府裁判이 進行되는 동안 日本 시모노세키法院 擔當 裁判部에는 日本軍慰安婦 被害 할머니 側 主張을 支持하고 日本 政府의 責任 認定을 促求하는 日本 市民의 歎願書가 多數 接受됐다. 이러한 歷史的 事實 또한 映畫 ‘허스토리’에 생생히 담겨 있다. 

    南 議員은 “이 映畫는 觀客의 反日感情을 부추기지 않는다는 點에서도 높이 評價받을 만하다. ‘허스토리’에서 韓國과 日本의 良心的 市民들이 反對하는 건 戰爭과 暴力이다. 日本軍慰安婦 할머니들 또한 ‘反日’보다는 ‘反轉’ 메시지를 던진다. 이것은 實際로 오랫동안 이어져온 日本軍慰安婦 運動의 本質이다. 우리가 日本 政府에 反省과 謝罪를 要求하는 것도 다시는 不幸한 歷史가 反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그 內容이 잘 그려져 있어 만족스러웠다”고 밝혔다. 

    映畫에서 아쉬운 部分은 없나. 


    “日本 內에서 이뤄진 連帶 行動이 集中 照明된 反面 國內 狀況이 잘 다뤄지지 않은 듯하다. 事實 그 時節 國內 市民社會의 連帶 運動도 매우 强力했다. 30餘 個 女性團體가 함께 만든 韓國挺身隊問題對策協議會(挺對協)를 中心으로 다양한 活動이 進行됐고, 1992年 1月 始作된 水曜示威는 26年이 흐른 只今까지 이어지고 있다. 市民社會가 單一 主題를 갖고 이 긴 時間 동안 運動을 이어오는 건 世界的으로 類例를 찾을 수 없는 일이다. 그 意義가 相對的으로 덜 照明된 것 같아 아쉽다. 또 映畫 末尾에 ‘官府裁判’ 原稿團 할머니가 모두 死亡했다는 字幕이 登場하는데, 이 內容은 事實과 다르다. 日本軍慰安婦 被害 할머니 세 분은 모두 돌아가셨지만 勤勞挺身隊 原稿團 할머니 中에는 只今까지 法廷鬪爭을 벌이고 계신 분이 있다. 資料 調査에 若干 失手가 있었던 듯한데, 그 部分이 안타까웠다.”

    “할머니 예뻐요”

    [박해윤 기자]

    [박해윤 記者]

    映畫를 보면 當時 우리나라 사람들이 日本軍慰安婦에 對해 갖고 있던 생각을 보여주는 場面도 많이 登場한다. 한 택시 技士는 避해 事實을 證言한 할머니를 向해 ‘부끄러운 줄도 모른다’고 非難하고, ‘挺身隊 申告 電話’를 받는 事務室에 돌을 던지기도 한다. 釜山地域 女性들이 日本軍慰安婦 할머니들을 기리는 慰靈碑 建設을 推進하자 釜山市長이 面駁도 준다. 

    “거의 다 實際로 있었던 일이다. 우리나라 市民團體들은 當時 이런 偏見을 改善해 日本軍慰安婦 할머니들이 떳떳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도우려 애썼다. 여러 努力 德分에 實際로 認識이 많이 改善됐다고 본다.” 

    南 議員은 이 이야기를 하며 ‘허스토리’에서 배정길 할머니가 高等學校를 찾아가는 場面을 이야기했다. 어린 學生들에게 日本軍慰安婦 問題에 對해 講演하려던 할머니가 아무 말도 꺼내지 못하고 망설이자 學生들이 여기저기서 ‘할머니 예뻐요’라고 말하며 激勵하는 部分이다. 한 番이 아니라 여러 番, 繼續 ‘예뻐요’라는 말이 들려오자 어쩔 줄 몰라 하던 배정길 할머니는 마침내 表情을 풀고 슬쩍 微笑를 짓는다. 南 議員은 “그 場面이 참 좋았다”고 했다. 

    “가슴이 뭉클하고 눈물이 났다. ‘우리 할머니들이 저러셨겠구나. 저렇게 사람들을 만나고 慰勞를 받으며 當身들의 傷處를 治癒해가셨겠구나’ 싶었다. ‘허스토리’에는 이렇게 具體的으로 說明하지 않는데도 마음으로 理解하게 하는 場面이 많이 나왔다. 그런 部分이 記憶에 남는다.” 

    ‘허스토리’에서도, 그리고 實際 現實에서도 사람들의 應援과 連帶는 日本軍慰安婦 被害 할머니들의 삶을 변화시켰다. 할머니들은 그 過程에서 얻은 勇氣와 自信感을 바탕으로 ‘내가 只今 받고 있는 苦痛은 내 잘못으로 인한 게 아니다. 戰爭 때문에 發生한 것이다. 그러니 戰爭을 일으키고 그 過程에서 힘없는 사람들에게 組織的으로 暴力을 저지른 日本 政府가 責任지고 謝罪하라’고 主張한다. 南 議員은 이런 變化의 過程에 對해 說明하다 또 한 番 映畫 속 배정길 할머니의 모습을 떠올렸다. 

    “이 映畫에서는 裁判 途中 배정길 할머니가 ‘거짓 證言’을 한 事實이 드러나면서 큰 葛藤이 불거진다. 日本 政府를 代理하는 檢査는 快哉를 부르고, 그前까지 서로 믿고 依支하던 原稿 할머니들끼리는 反目한다. 그런데 다음 公判에서 배정길 할머니가 自身이 긴 歲月 거짓말을 할 수밖에 없던 理由를 밝히며 또 한 番 反轉이 찾아오지 않나. 그때 할머니가 한 이야기가 繼續 생각난다. 親舊 代身 自身이 살아남았다는 罪責感을 떨쳐내려 애쓰면서 이렇게 告白하는 部分이다. ‘나는 그동안 내가 罪를 지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제와 생각하면 살아남기 위해 어쩔 수 없었던 일이다. 나는 잘못하지 않았다. 살아남으려 努力했을 뿐이다.’ 戰爭이 人間을 얼마나 끔찍한 狀況에 몰아넣는지 느끼게 하는 發言이다. 그 裁判을 지켜보는 사람 모두 眞짜 罪人은 배정길 할머니가 아니라 그를 그런 狀況에 내몰리게 한 戰爭이라는 걸 깨닫게 만든다.” 

    日本軍慰安婦 被害 할머니들과 그들의 支持그룹은 ‘官府裁判’ 내내 이 部分을 强調했다. 그리고 그 主張은 日本 判事들의 良心까지 흔들었다. 1審을 擔當한 시모노세키法院이 日本軍慰安婦 할머니들의 一部 勝訴를 宣告한 것이다.

    繼續 이어갈 歷史

    ‘官府裁判’ 當時 日本人 判事는 判決文을 통해 ‘慰安婦 制度는 重大한 人權侵害였다. 慰安婦가 된 女性의 被害를 放置한 것 또한 새로운 人權侵害다. 日本은 慰安婦 存在를 알게 된 뒤에라도 原告들의 苦痛을 덜어주기 위한 立法을 해야 했다. 그러나 이를 하지 않았다’는 理由로 賠償 義務를 認定했다. 日本軍慰安婦의 被害를 賠償하도록 할 國內法이 없자 아예 ‘國內法을 만들지 않은 게 잘못’이라며 責任을 물은 것이다. 損害賠償額이 日本軍慰安婦 原稿 1人當 30萬 엔에 不過하다는 點에서 判決 直後 批判을 받기도 했지만, 이 判決은 1990年代 以後 日本에서 數次例 進行된 慰安婦 關聯 判決 中 첫 勝訴判決이라는 意味를 지녔다. 

    그러나 日本 政府는 그해 5月 ‘이番 判決은 國會議員의 立法行爲와 關聯해 極히 例外的인 境遇를 除外하고는 國家賠償法上 責任을 묻지 않은 最高裁判所 判例에 어긋난다’며 抗訴했고, 2001年 3月 29日 히로시마 高等法院, 2003年 3月 25日 日本 最高裁判所는 모두 이 主張을 받아들였다. 結局 ‘官府裁判’ 原稿團 大部分은 當初 願했던 日本의 謝罪와 補償을 받지 못한 채 世上을 뜨고 말았다. 이 內容은 ‘허스토리’ 末尾에 字幕으로 紹介된다. 

    南 議員은 “結果만 놓고 보면 官府裁判은 失敗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 映畫는 그것을 敗北와 挫折의 歷史로 그리지 않는다. 할머니들이 變하고, 世上이 變하고, 우리 모두가 變하는 過程을 통해 새로운 希望을 꿈꾸게 한다”고 評했다. 映畫에서 裁判을 始作하며 ‘무슨 일이 있어도 이겨야 한다’고 强調하던 門 社長도 어느 瞬間 ‘(李 裁判을 통해) 世上은 안 바뀌어도 우리는 바뀌겠지’라고 마음을 고쳐먹는다. 

    “運動을 하다 보면 다들 알게 된다. 일이 안 풀리면 기다려야 하고, 사람들 뜻이 잘 모이지 않으면 說得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때로는 豫想치 못한 問題가 發生하기도 한다. 그래도 日本軍慰安婦 運動은 繼續 조금씩 進展해왔다. 特히 戰爭 中 發生하는 反人倫的 犯罪를 斷罪해야 한다는 國際社會의 普遍的 목소리를 만들어낸 게 큰 成果다. ‘허스토리’에서 우리가 希望을 볼 수 있는 건 그 때문이다.” 

    南 議員의 말이다.

    ‘釜山 從軍慰安婦·女子 勤勞挺身隊
    公式謝罪 等 請求事件’(官府裁判) 年表

    1991.8.14. 김학순 할머니 日本軍慰安婦 被害 事實 最初 證言 記者會見
    1991.9.18. ‘挺身隊 申告 電話’(當時 名稱) 開設
    1991.10.19. ‘釜山女性經濟人聯合會’ 挺身隊 申告 電話 開設
    *그해 10~12月 釜山 電話로 8名 신고, 그中 4名이 ‘官府裁判’ 參與
    1992.5.29. 日本 辯護人團 韓國 訪問해 日本軍慰安婦 被害 聽取
    *그해 2回 더 訪問해 證據 調査 
    1992.11.14. 日本 辯護士에게 訴訟 委任狀 傳達
    1992.12.23. 官府裁判 原稿團 日本으로 出國
    1992.12.25. 日本 야마구치 地方裁判所 시모노세키法院에 告訴狀 提出
    1993.9.6.~1997.9.29. 구두辯論 進行
    1998.4.27. 1審 判決(原稿團 一部 勝訴)
    *原稿 가운데 日本軍慰安婦 被害者 3名에 各各 30萬 엔씩 모두 90萬 엔 慰藉料 支給을 日本 政府에 命令
    *日本 政府 公式謝罪 請求 要請은 否認. 勤勞挺身隊 原告인 7名의 請求는 棄却
    1998.5.8. 日本 政府 抗訴
    2001.3.29.  히로시마 高等法院 日本慰安婦 原稿 逆轉 敗訴
    2003.3.25. 日本 最高裁判所 原告 敗訴 確定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