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仲燮 誕生 100年 特別企劃展|新東亞

갤러리 散策

李仲燮 誕生 100年 特別企劃展

‘내가 사랑하는 이름’

  • 글 · 이혜민 記者 | behappy@donga.com , 寫眞提供 · 李仲燮美術館

    入力 2016-09-30 10:04:43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場所 濟州 西歸浦市 李仲燮로 27-3 李仲燮美術館 常設展示室, 企劃展示室 ● 一時 2016年 7月 12日~2017年 1月 29日 ● 觀覽料 成人 1000원,
    靑少年 500원,
    어린이 300원(國家有功者, 障礙人 4~6級 等 無料) ● 問議 064-760-3567



    “잠들기 前에는 반드시 그대들을 생각하고 (…) 태현(長男), 태성(次男), 남덕(李南德, 李仲燮이 아내 야마모토 마사코에게 지어준 韓國 이름), 對向(大鄕, 李仲燮의 號), 네 家族의 生活 (…) 融和된 기쁨의 場面을 그린다오. 이제부터는 반드시 便紙를 낼 때마다 그림을 그려 함께 보내겠소. 分明히 約束하겠소. 이 便紙와 함께 그림도 보낼 테니 셋이서 사이좋게 보아주오.”

    ‘李仲燮 便紙와 그림들’(다빈치) 58쪽에 나오는 便紙의 한 句節이다. 李仲燮(1916~1956) 畫伯은 家族愛가 남달랐다. 1916年 平安南道 平原에서 태어나 1945年 日本 文化學院 在學 時節 만난 마사코와 結婚式을 올린 李仲燮은 이듬해 낳은 아들을 잃고, 1947年과 1949年에 거푸 아들을 낳았다. 하지만 1952年 家族이 日本으로 가는 바람에 離散家族이 됐다.

    “어떠한 夫婦가 서로 사랑한다고 해도, 어떠한 젊은 사람들이 서로 사랑한다고 하더라도, 現在 내가 當身을 사랑하고 所重하게 여기고 있는 熱烈한 愛情만한 愛情이 또 없을 것이오. 일찍이 歷史上에 나타나 있는 愛情 全部를 합치더라도 對向과 남덕이 서로 熱烈하게 사랑하는 참된 愛情과는 比較가 되지 않을 게요.”(‘이중섭 便紙와 그림들’ 56쪽)  





    李仲燮에게 追憶의 震源地는 西歸浦다. 1951年 1月頃 戰爭을 避해 西歸浦에 到着해 이 마을 班長이 내준 ‘1.4坪’ 房에서 1年 넘게 머물렀다. 窮乏한 時節인데도 아이들과 바닷가에서 게를 잡아 함께 놀다 가져와 飯饌으로 삼으며 幸福을 누렸다. 이날의 經驗은 作品의 背景이 됐고, 西歸浦는 그의 作品을 理解하는 準據가 됐다.

    追慕 活動이 濟州를 中心으로 이어지는 것도 그래서다. 1995年 李仲燮 居住地 記念標石 建立, 1996年 李仲燮거리 指定, 1997年 李仲燮 居住地 復元, 2002年 李仲燮展示館 開館이 이어졌다. 地上 2層 建物인 李仲燮美術館은 寄贈받은 李仲燮의 作品 40餘 點으로 채워졌고, 展示館 옆 李仲燮 居住地는 그대로 살아 있는 作品이 됐다.   

    李仲燮美術館의 李仲燮 誕生 100周年 記念 特別企劃展 ‘내가 사랑하는 이름’에서는 美術館이 새로 所藏한 李仲燮 은지화 ‘家族’ ‘家族과 自畫像’ 等이 公開된다. 夫婦의 젊은 時節, 作家의 死亡, 홀로 두 아이를 키운 婦人과 關聯된 資料도 展示된다. 그토록 그리워한 家族이 한자리에 모여 多幸이다. 李仲燮은 1956年 營養 不足과 肝炎, 拒食症이 나타나 청량리 腦病院, 赤十字病院 無料 病棟에 보내졌고, 9月 6日 지켜보는 이 없이 홀로 숨을 거뒀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