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뮤지컬 ‘프로듀서스’ 外|新東亞

뮤지컬 ‘프로듀서스’ 外

  • 擔當·구미화 記者

    入力 2005-12-30 16:35: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뮤지컬 ‘프로듀서스’ 외
    現在 브로드웨이에서 한창 人氣몰이 中인 最新 뮤지컬. 한때 이름을 날렸지만 只今은 沒落한 브로드웨이 製作者 맥스와 프로듀서를 꿈꾸는 小心한 會計士 레오가 일부러 亡하는 公演을 舞臺에 올린 後 投資金을 챙겨 줄行廊을 치려 한다는 奇想天外한 줄거리. 華麗한 브로드웨이 傳統 뮤지컬 形式에 諷刺性 짙은 코미디가 더해져 재미있는 볼거리를 提供한다. 中堅 俳優 송용태와 ‘헤드윅’으로 注目받은 김다현이 各各 主人公 맥스와 레오를 맡고, 그 밖에 최정원, 진수현 等 錚錚한 俳優들이 出演한다.

    ●一時/2006年 1月13日∼2月14日 平日 午後 8時, 水曜日 午後 3時, 8時, 週末 午後 3時, 7時, 月曜日 公演 없음 ●場所/國立劇場 해오름극장 ●問議/02)501-7888

    빈 少年 合唱團 來韓公演

    500年 以上의 歷史를 자랑하는 오스트리아의 빈 少年 合唱團이 來韓公演을 한다. 빈 少年 合唱團은 열 살에서 열네 살 사이의 100名이 넘는 團員들이 모차르트, 슈베르트, 하이든, 부르크너 4個의 팀으로 나뉘어 活動하고 있다. 이番에는 ‘모차르트 誕生 250周年’을 記念해 모차르트팀이 來韓한다. 2000年 以後 두 番째 來韓하는 모차르트팀은 世界 各國의 民謠와 요한 슈트라우스의 왈츠, 폴카, 비틀스와 셀린 디온의 히트曲, 映畫音樂 等을 들려준다.

    ●一時/2006年 1月17日 午後 8時 ●場所/藝術의 殿堂 콘서트홀 ●問議/02)751-9606∼10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2004年 ‘조승우 烈風’을 일으켰던 ‘지킬 앤 하이드’가 또 한 番 觀客몰이에 나선다. L. R. 스티븐슨의 同名의 原作을 바탕으로 한 이 作品은 人間 本性의 二重性을 다룬 眞摯한 主題에 魅惑的인 로맨스가 더해져 ‘브로드웨이 史上 가장 아름다운 스릴러’라는 讚辭를 받아왔다. 2004年의 興行 神話를 創造한 조승우와 류정한이 다시 한 番 舞臺에 서며, ‘오페라의 幽靈’ 피르猛 驛의 김봉환이 덴버스 頃으로, ‘돈키호테’ 알돈子 役의 이혜경이 엠마로 出演한다. 20人組 오케스트라의 라이브 演奏와 한層 向上된 衣裳과 舞臺 演出도 돋보인다.

    ●一時/2006年 1月25日∼2月4日 禍~土 午後 3時, 7時30分, 日·公休日 午後 2時, 6時30分 ●場所/藝術의 殿堂 오페라劇場 ●問議/02)556-8556

    케니 지 콘서트 ‘I wish 4 your DREAMS’

    國內에서 400萬張의 音盤 販賣高를 올린 色素포니스트 케니 誌의 네 番째 來韓 公演. 케니 誌의 데뷔 30周年을 自祝하는 公演이기도 하다. 이番 ‘I wish 4 your DREAMS’ 公演을 위해 美國 現地 스태프와 50名의 韓國 스태프가 오랜 期間을 두고 다양한 볼거리를 準備했다. 또한 멜로디와 演奏技法이 훨씬 華麗해져 그間 앨범에서 듣던 것과는 사뭇 다른 演奏를 鑑賞하게 될 듯하다.

    ●一時/2006年 1月24日 午後 8時 ●場所/올림픽公園 體操競技場 ●問議 02)548-4480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