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탉, 고양이, 오리새끼까지 祝福해준 아래채 上樑式|新東亞

수탉, 고양이, 오리새끼까지 祝福해준 아래채 上樑式

  • 글: 김광화 農夫 flowingsky@naver.com

    入力 2005-07-11 16:55: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사람은 普通 平生 세 番 집을 산다고 한다. 結婚한 뒤 30代 初盤에 한 番, 40代 以後 아이들 때문에 더 큰 집으로 두 番, 子息들 내보내고 老後에 살 조그마한 집으로 세 番. 都市人에게 집은 買入의 對象일 뿐, 짓는 對象은 아니다. 김광화氏가 이番에 보내온 原稿는 손수 집을 짓는 얘기다. 딸 自然이와 아들 無爲는 새벽부터 일어나 망치를 두드리고, 夫婦는 돌을 져 나르고 톱질을 했다. 家族이 함께 살 집을 지으면서 그들은 서로 몰랐던 것을 發見했다. 都市人은 想像할 수 없는 집 짓기 노하우와 幸福 日記.
    수탉,  고양이,  오리새끼까지 축복해준 아래채 상량식

    지붕 막바지 作業.패널 강판만 씌우면 時間에서 自由다.

    겨울만되면 아내는 ‘아래채, 아래채…’ 노래를 불렀다. 아래채가 있으면 혼자 무얼 하기도 좋고 손님이 와도 좋다며 아래채를 짓자고 했다. 아무리 작은 집이지만 집 짓기가 어디 만만한 일인가. 그렇다고 집 짓기를 남에게 맡기자니 그것도 내키지 않았다. 돈도 돈이지만 한 달 假量 일꾼들과 함께 生活한다는 게 쉽지 않다. 그렇다고 내가 짓자니 아마추어가 그 일을 하려면 거기에 온통 매달려야 할 판이다. 餘裕 空間 가지려다 내 日常이 휘둘릴 게 뻔해 모르쇠 해왔다.

    그러다가 지난해 큰아이 自然(18)이가 여기저기 旅行을 다니더니 自己만의 空間을 갖고 싶다고 했다. 아내와 달리 自然이가 집을 願하니 내 마음이 瞬息間에 돌아섰다. 살림집을 작게 지으면서 ‘아이들이 크면 그때 가서 또 짓자’고 했는데 벌써 때가 온 것인가. 아래채 짓기가 갑자기 설렘으로 다가온다. 自然이가 어느 새 많이 크기는 컸나 보다. 父母로부터 조금씩 獨立을 準備하려나!

    그렇다고 그냥 지어줄 수는 없다. 이를 아이들 산교육의 機會로 삼기로 했다. 아이들이 스스로 집을 지을 힘이 생긴다면 많은 게 解決되지 않을까. 于先 내가 便하고 좋을 것이다. 이 다음에 아이들이 獨立하더라도 아이들 집 마련하느라 내 허리가 휠 일은 없을 테니까. 아이들 亦是 自身에게 必要한 部分을 스스로 充當할 수 있다면 自信感도 커지리라.

    집 짓는 技術을 가르쳐주마!

    게다가 시골집은 살다가 장마나 颱風으로 問題가 생기면 스스로 解決해야 한다. 집집마다 집 主人의 個性이 달라 다른 사람을 부르기가 쉽지 않다. 마음 苦生, 돈 苦生이 많다. 그러니 되도록 처음부터 끝까지 손수 하면서 집을 알아두면 살면서 집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



    自然이에게 條件을 달았다.

    “남들처럼 아파트는 못 사줘도 집 짓는 技術은 가르쳐줄 테니까 ‘집 짓기 工夫’로 한다면 좋겠다.”

    自然이는 期待로 눈을 반짝이며 고개를 끄덕인다. 그리고 食口會議를 했다. 함께 힘을 모으기로 했다. 나는 農事 틈틈이 하되 집 짓기의 큰 흐름을 잡아가기로, 自然이는 基礎부터 마무리까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해보기로 했다. 그리고 집 짓는 過程에서 겪는 일을 日記로 記錄하기로 合意했다. 自然이는 自然이대로, 나는 나대로 日記를 쓰기로 했다. 武威(11)는 아직 어리니 그때그때 놀이삼아 하고 싶은 일만 하기로 했다. 그리고 아내한테 내 품값으로 專門家用 디지털 카메라를 사달라고 付託했다.

    設計는 簡單했다. 한 칸은 自然이 房으로 구들房, 또 한 칸은 事務室 兼 손님맞이 마루房. 다 合해야 6坪 남짓이다. 하지만 工事 日程은 餘裕 있게 1年을 잡았다. 3月에 始作해 장마 前에 지붕을 씌우고, 壁體는 여름에 비올 때나 무더운 날, 구들은 가을에 놓아 겨울이 오기 前에 入住 豫定. 겨울에는 마루房 마루 놓기와 退마루 놓기.

    “食口가 함께 하는 집 짓기예요!”

    내가 집을 專門으로 짓는 木手는 아니지만 믿는 구석은 있다. 몇 해 前에 우리집을 여러 사람이랑 지어보았다. 뒷間과 光을 혼자 지으면서 집 짓기의 큰 줄기에 對해서 感은 잡고 있었다. 정농회 큰어른이신 김영원 先生은 “손수 집 짓기는 세 가지만 알면 누구나 할 수 있다”며 “水平과 垂直을 볼 줄 알고, 壁이 지붕 무게를 견딜 수 있는지만 考慮하면 된다”고 했다.

    그러나 막상 집을 짓기로 하니 마음이 바쁘다. 食口들은 期待에 부풀었지만 나는 決定하고 判斷할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집을 몇 番 지어본 木手들도 苦悶하는데 하물며 先목수니 말해 무엇하랴. 게다가 꿈도 야무지게 自然이에게 집 짓기를 가르치겠다고 큰소리를 쳤으니…. 제대로 알아도 남을 가르치는 게 쉽지 않은 일이거늘, 이래저래 工夫해야 했다.

    于先 冊부터 보았다. 前에 보던 冊들은 主로 心壁집(집의 뼈대인 기둥과 道理, 步를 나무로 짜 맞추고 壁을 흙으로 채우는 方式)에 對한 內容이었다. 只今 사는 살림집을 心壁집으로 지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래채까지 心壁집으로 짓고 싶지 않았다. 같은 方式을 되풀이하기 싫었다. 그러면서도 쉽게 지을 수 있고, 아이들 敎育에 도움이 되며, 내 自身에게도 工夫가 되는 집, 그게 뭘까.

    집 짓기 冊을 求해 읽어보니 귀틀집(나무를 우물政(井)字 模樣으로 쌓아가는 우리나라 傳統 통나무집)李 마음에 들었다. 언젠가 한番은 지어보고 싶은 집이었다. 귀틀집을 다룬 冊을 알아보니 ‘흙과 통나무로 짓는 生態建築’이 있었다. 公正 하나 잘못 判斷하면 몇十萬원은 瞬息間에 날아가는 게 집 짓기다. 當場 冊을 샀다. 그리고 圖書館에서 집과 關聯된 冊을 잔뜩 빌렸다. 인터넷 카페에도 두 군데 加入해 情報를 蒐集했다.

    나도 저렇게 자랐다면…

    수탉,  고양이,  오리새끼까지 축복해준 아래채 상량식

    自然이에게 물 水平 보는 法을 가르치는 모습. 보는 位置에 따라 差異가 많이 난다.

    귀틀집으로 짓자고 마음먹고 나니 그 다음에는 나무를 무엇으로 할 거냐와 거기 따르는 돈이 問題였다. 통나무는 돈이 많이 들고 나무가 마르면서 收縮되는 게 欠이었다. 게다가 귀틀 中心線을 잡아가는 데 時間이 많이 걸린다. 苦悶 끝에 中古 木材를 쓰기로 했다. 下方이나 보, 道理처럼 主要 木材는 굵은 것(4치 角材)으로 하되 귀틀로 올리는 건 ‘誤비끼’라는 3치 角材를 쓰기로 했다. 드디어 집 짓는 工事가 始作됐다.

    새벽에 잠이 깼다. 온갖 생각이 떠오른다. 中古 木材商부터 알아봐야 한다. 錢主나 大田, 어디쯤 있을까. 門은? 工具도 없는데. 뭐부터 하지? 아차, 耕耘機부터 고쳐야 한다. 그래야 基礎工事에 쓸 돌을 실어나를 수 있겠다. 날이 밝자 奔走해졌다. 오늘은 씨감자 받는 날이다. 먹고사는 게 집 짓기보다 먼저 아닌가. 집에서 씨감자를 기다리면서 ‘내가 너무 서두른다’고 중얼거리자 自然이가 “아빠, 食口가 함께 하는 집 짓기예요”하고 말했다.

    그렇다, 함께 해야지. 아이들에게 基礎工事에 쓸 돌을 주워오라고 했다. 自然이가 수레를 끌고 간다. 武威度 그 뒤를 따랐다. 아이들이 먼저 움직였다. 터에서 이것저것 생각하는 사이 아이들이 돌을 수레에 싣고 왔다. 自然이와 함께 터에 말뚝을 박아 規準틀을 設置했다. 그리고 물 호스로 水平을 잡고 줄을 치니, 始作이 半이라고 瞬息間에 工事가 始作된다.

    한 머리에선 터 波高, 한 머리에선 돌을 다져 넣었다. 無爲가 제법이다. 삽질, 괭이질을 熱心히 했다. 한참 하다가 집터 뒤 뽕나무에 매단 밧줄을 타면서 논다. 저녁에는 아내와 함께 設計에 따라 必要한 木材 物目을 뽑았다. 食口마다 형편껏 터를 波高 雜石을 다졌다. 그렇게 시키고 나는 감자밭에 갔다.

    저녁에 집터에 와보니 그 사이 ‘非理’가 생겼다. 自然이가 設計보다 제 구들房을 넓게 잡은 것이다. 구들房과 마루房 境界線을 따라 基礎를 파는데 구들房 바깥 線이 猝地에 房 안 線으로 바뀌었다. 그렇다고 다시 묻을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露骨的으로 意圖된 非理는 아니니까 웃고 넘어갈 수밖에. 저녁에 無爲는 무엇이 즐거운지 수다를 떨었다. 밥床머리에서 아내가 武威에게,

    “일하니 좋으냐?”

    “예, 일석삼조예요.”

    “그래?”

    “팔에 筋肉 생기지요. 아빠 일 돕지요. 밥맛도 좋으니까요. 그리고 하나 더 있네요. 글쓰기도 잘될 것 같아요.”

    基礎工事가 끝나갈 무렵, 中古 木材商에서 電話가 왔다. 木材가 準備됐으니 골라가란다. 다음날 아침 먹고 주먹밥 싸가지고 食口 모두 木材를 사러 갔다. 아이들과 함께 나무를 골랐다. 나무 값만 160萬원이다. 資材 값이 많이 올랐다.

    이제 工具를 챙겨야 한다. 아래채 하나 짓자고 工具를 다시 사기가 뭣해 이웃에게 빌리기로 했다. 이웃은 선뜻 가져다줬다. 일이 잘 풀려간다고 신이 나 일을 하려는데 工具가 말썽이다. 故障 난 工具를 들고 面에 나갔다. 技術者가 없는 탓에 닷새쯤 뒤에 오란다. 시골에서 빈틈없이 時間을 定해놓고 일을 하려고 하면 狼狽를 볼 때가 많다.

    그렇다고 마냥 기다릴 수 없어 그 다음날 무주읍까지 갔다. 이番에는 電氣톱 規格에 맞는 톱날이 없다. 代身에 톱에 맞춰 卽席에서 톱날을 製作했다. 인터넷을 뒤졌더니 競賣로 나온 電氣대패가 싸보였다. 注文하고 萬 하루 만에 우리집까지 配達됐다. 인터넷과 宅配, 正말 빠르다. 좋기는 좋구나.

    工具가 갖춰지자 自然이는 구들房의 門틀과 窓틀을, 나는 마루房을 짰다. 各自 自己 領域을 맡아서 일했다. 여러 사람이 꼭 함께 해야 하는 일 外에는 各自 自身의 리듬과 呼吸으로 했다. 그래야 自然이가 손수 일할 機會가 많아진다. 自然이에게 電氣드릴과 電氣대패 使用法을 알려줬다. 그러나 電氣톱은 自然이가 쓰기에는 너무 危險하다. 더디더라도 工夫하는 셈 치고 손톱을 쓰라고 했다.

    自然이가 먹줄을 튕기고 字로 치數를 재 나간다. 내 딸이지만 자랑스럽다. 드릴을 잡고 구멍을 뚫는다. 부럽기도 하다. 나도 저렇게 자랐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門틀 짜는 過程에서 自然이는 톱질, 끌질, 먹줄치기, 대패질 두루두루 해 나간다. 내게 묻는 것도 많지 않다. 大部分 어깨너머로 익히는 것 같다. 논에서 일하고 있으면 자연이의 망치 소리가 멀리서 들린다. 딱딱. 울림이 좋다. 깨어난다. 깨어 있다. 自然의 숨결이 느껴진다. 망치질 소리가 새소리랑 어울린다.

    5月 들어서면서 집의 輪廓이 漸次 드러났다. 下放 위에 門틀을 세우고 나자 速度가 난다. 통나무 代身 角이 진 ‘誤비끼’로 하니 水平과 垂直 잡는 게 한결 쉽다. 게다가 나무가 무겁지 않아 自然이도 혼자서 시나브로 쌓아간다. 壁이 漸漸 높아진다. 均衡 잡기가 어렵다. 못 박는 姿勢도 不安定하다. 두 손으로, 온몸으로 박아야 하는데 그게 잘 안 된다. 아내를 補助 일꾼으로 모셨다. 일이 한결 빠르고 쉽다. 아래에서 못을 올려주고 버팀木도 집어준다. 나중에는 武威까지 와서 거든다. 처음에는 사다리를 타고 오다가 나중에는 마당에서 버팀木을 던져준다.

    수탉,  고양이,  오리새끼까지 축복해준 아래채 상량식

    野球 選手처럼 흙을 던지는 武威. 누나가 잘 받으면 스트라이크, 지붕에 제대로 올라가지 않은 흙 덩이는 볼, 누나가 받지 못했지만 지붕에 잘 떨어진 흙은 안타란다.

    일하다 보니 덥다. 갑자기 신발이 거추장스럽다. ‘휙’ 하고 벗어던져버리고 맨발로 섰다. 맨발이 되니 느낌이 잘 산다. 바람이 불어도 더 시원하게 느껴진다. 그러다가 나무에 긁혀 발에 피가 조금 났다. 그래도 신을 신고 싶지는 않았다.

    한참 일하다가 참으로 미숫가루를 막걸리에 타서 마셨다. 別味다. 뽕나무 그늘에 둘러앉아 함께 먹었다.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來日이면 道理 洑 아래까지 올라갈 것 같다. 모레는 이웃 집 짓는 곳에 들러 도와줘야겠다. 사람 노릇 하고 살아야 하는데 벌여놓은 일 때문에 쉽지가 않다.

    5月15日 : 새벽 3時쯤 잠이 깼다. 이 생각 저 생각으로 머리가 漸漸 맑아지면서 잠이 달아나버렸다. 지붕을 올릴 때가 가까워질수록 苦悶도 많아진다. 귀틀집은 지붕 무게로 집이 全體的으로 조금 내려앉는다는데 門틀 위를 어떻게 處理해야 하나? 고미 반자는? 電氣工事度 주름 棺을 미리 빼놓아야 할 텐데. 大功을 어느 程度 높이로 줘야 지붕의 물매가 알맞을까? 쥐 防止 對策도 苦悶이다.

    귀틀집을 잘 아는 親舊 박찬교(48)에게 하루 걸러 電話했다. 對空 높이는 定해진 比率보다 지붕 材料를 무엇으로 하냐에 따라 다르다고 했다. 서까래로 물매를 잡아보고 便安하다 싶은 높이가 좋다고 한다. 電話를 한 김에 비가 올 境遇 어찌해야 하는지도 물어봤다.

    “마른 목재니까 비 맞히지 마라. 비 맞고 나면 더 뒤틀린다.”

    나보다 한 해 먼저 내려와 여러 가지로 도움을 주는 고마운 親舊다.

    5月16日 : 이웃 집 짓기에 온 食口가 몰려갔다. 이 집은 담틀집(담틀을 짠 다음, 흙을 모래와 잘 섞어 다져가며 壁體를 먼저 올리는 집)이라 또 神奇하다. 壁體 두께가 자그마치 40cm다. 傳統 建築이 現代化되어 安定感이 아주 좋다. 담틀 하나를 한참 다지는데 工程에 問題가 생겨 點心만 얻어먹고 그냥 돌아왔다.

    다시 아래채 日. ‘誤비끼’로 하니 道理 褓까지 今方 올라갈 듯한데 아니다. 先木手가 집을 짓다 보니 걸리는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미처 생각지 못한 일들이 자꾸 일어났다. 豫定보다 일이 늦어지니 그 瞬間을 즐기지 못하고 자꾸 앞으로만 나아가려 한다. 요 며칠 날이 어두워질 때까지 繼續 無理했더니 저녁에는 沐浴할 힘도 없다. 땀과 톱밥을 몸에 뒤집어쓰고도 며칠째 沐浴을 못하고 있다. 아침이면 일을 좀 적게 하고 沐浴할 힘을 남기자고 다짐하지만 저녁이면 남은 힘이 없다. 그래도 막걸리는 잘 들어간다. 한 盞만 하자고 했는데 두 盞을 마셨다. 取한다. 졸린다.

    木材 값이 어느덧 200萬원

    5月17日 : 밤부터 비가 왔다. 아래채 지붕에 비가림幕을 쳐야 한다. 아내랑 天幕을 치는데 바람이 엄청 분다. 天幕이 미친 듯 펄럭인다. 아이들을 불렀다. 自然이와 無爲가 매달리고 잡아줘서 無事히 天幕을 쳤다. 바람도 세지만 아이들도 세다. 검은콩 사이에 기장을 심었다. 오는 길에 고추 사이에 王겨를 덮어줬다. 이제 남은 힘이 거의 없다.

    5月18日 : 새벽에 잠이 깼다. 비가 부슬부슬. 얼른 아래채를 보니 天幕이 멀쩡하다. 휴, 多幸이다. 苦生한 보람이 있다. 바람이 을씨년스럽게 불며 天幕을 날리고 있다. 집을 한 바퀴 둘러봤다. 안으로 들어가니 나무가 말짱했다. 보송보송했다. 天幕이 찢어진 한 곳 外에는 비 한 방울 안 맞았다.

    다시 잠깐 잤다. 눈을 뜨니 午前 8時30分. 아침 먹고 서울 가는 아내를 터미널까지 바래다줬다. 11時, 다시 잤다. 푹 잤다. 두 時間을 내쳐 잤다. 疲勞가 풀렸다. 누워서 新聞과 雜誌를 봤다. 이틀値 新聞을 한꺼번에 봤다.

    壁體가 올라가면서 무엇이 더 必要한지 뚜렷이 드러났다. 처음에 종이에다 주먹九九式 設計할 때와 달리 必要한 나무가 여러 個다. 집이 올라갈수록 設計 變更도 잦다. 손수 짓는 집 짓기의 長點이라고 스스로 慰勞한다. 中古 木材商에 木材를 追加로 注文하니, 木材 값이 어느덧 200萬원에 達했다.

    어느새 모내기철이 돌아왔다. 집을 짓다 들판을 보면 우리 논을 빼고 모내기가 거의 끝나간다. 마음이 바쁘다. 모내기를 미룰 수 없다. 그런데도 자꾸 마음은 집 짓기로 간다. 큰비 오기 前에 지붕을 씌워야 한다는 負擔感. 대충 날짜를 잡아본다. 5月21日쯤 上樑, 23日은 지붕 씌우기, 25日 모내기 豫定.

    요즘은 날마다 새벽 3~4時면 잠이 깬다. 내 精神健康에 問題가 있는 건 아닐까. 아니면 집 짓기에 對한 생각으로 覺醒 狀態에 빠진 게 아닐까. 한밤中에 내가 부스럭대자 아내도 잠을 제대로 못 잔다. 나를 ‘새벽型’ 人間이 아니라 ‘꼭두(새벽)型’ 人間이라 놀린다.

    道理와 步를 治木하는데 中古 木材라 일이 더디다. 나무가 마른 데다가 많이 휘었다. 무엇보다 나무 안에 남아 있는 못이 가장 큰 問題였다. 못이 있나 없나 一一이 確認해야 한다. 대패가 못에 닿으면 몇萬원이 瞬息間에 날아간다.

    먹줄 튕겨가며 대패질로 휜 곳을 잡았다. 다시 먹줄 튕기고 끌 作業. 아침을 먹고 고미받이에 서까래 홈을 파는데 모내기가 떠오른다. 논에 가 耕耘機로 로터리치고 논두렁을 바르다 날이 어두워졌다. 于先 急한 대로 물이 새지 않게만 해뒀다.

    수탉,  고양이,  오리새끼까지 축복해준 아래채 상량식

    우리 아이들은 일을 많이 한다. 食口가 함께 모내기 하는 모습. 왼쪽부터 自然이, 아내, 筆者, 武威.

    먼 山 뻐꾸기는 農事일을 재촉하고

    서두르지 말자. 아이 婚需를 마련하는 마음으로 하자. 普通 10年 걸쳐 마련할 婚需를 몇 달 만에 하는 거다. 餘裕를 갖자. 오늘은 아내도 힘들었는지 저녁 準備를 제대로 못하고 食醯로 때우자 한다. 저녁으로 말린 밤 두 알, 食醯 한 盞, 生쌀을 조금 먹었다. 來日은 온 食口가 집 짓기에 매달리면 좋겠다고 말했다. 얼른 지붕을 씌우고 싶었다.

    지붕을 무엇으로 하나? 아래채니까 쉽게 생각해서 슬레이트面 되겠지 했는데, 이제 슬레이트는 環境問題로 더는 生産이 안 된단다. 親舊의 助言을 받아 鋼板으로 하기로 했다.

    그런데 지붕 씌우는 일은 業者에게 맡기고 싶었다. 지붕까지 손수 한다면 몸에 無理가 올 것 같았다. 우리가 去來하는 建材商에 付託했더니 지붕을 業者에게 맡기면 100萬원 程度 든다며 直接 하라고 했다. 그는 大田에 資材 사러 갈 때 直接 사다주겠다고 했다. 시골은 돈을 쓰고 싶어도 마음대로 안 된다. 돈은 節約되지만 내 일거리는 늘어났다. 일을 남한테 미루려다 도로 내게 넘어오니 일福이 터진 셈이다.

    自然이에게 뒤틀린 木材, 먹줄 튕기는 것을 가르쳤다. 구름이 끼어 일하기는 좋다. 無爲가 밭에서 딸기를 따와 먹여준다. 상큼하니 맛있다. 힘이 난다. 點心 먹고는 食口가 모두 달라붙어 일했다. 自然이는 고미받이랑 道理 治木을, 아내는 고미서까래를 길이에 맞춰 자르고 대패질을 했다. 나는 고미받이 홈을 끌로 팠다. 無爲는 이 사람 저 사람에게 뛰어다니며 일을 거든다. 아내가 서까래 대패질을 끝내면 無爲가 내게 날라다준다. 東에 번쩍 西에 번쩍. 正말 여러 사람 몫을 한다.

    午後에는 面에 나간 김에 電氣가게에 들렀다. 電氣工事를 直接 하겠다니 가게 主人은 電氣 配線에 對해 圖面을 그려가며 仔細히 가르쳐준다. 茶도 한盞 얻어 마셨다. 시골 人心이다. 고마운 분들이다.

    돌아오는 길, 마을 들머리에서 우리 아래채가 보였다. 어느새 많이 했구나. 갈 길은 멀지만 새삼스럽게 숨을 고른다. 차근차근 해야겠다. 처음 세운 原則이 자꾸 무너진다. 다시 되짚어본다. 즐겁게, 쉽게, 餘裕 있게 하자. 아이들 敎育으로 하자면 時間을 넉넉히 갖자. 또 寫眞을 많이 찍어 두어야 한다. 한 番 지나면 그 場面을 다시 볼 수 없으니까.

    하지만 모내기가 하루하루 다가온다. 밭일도 쌓여 있다. 이래저래 上樑式을 늦췄다. 아예 모내기하는 날로 겹쳐 잡을까. 그것도 나름대로 큰 뜻이 있으리라. 5月25日은 첫 모내기와 上樑의 날로 定했다. 아무래도 이웃들 힘을 빌려야겠다. 그동안 食口 힘만으로 짓겠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몸이 고단했다. 내가 가둔 내 울타리가 아닌가. 생각을 바꿔 울타리를 虛無니 罪 지은 사람이 告解聖事 하듯 마음이 가볍다.

    일을 마무리하고 손을 씻으니 왼손 엄지를 다쳐 피가 엉겨 있었다. 무슨 일을 하다가 언제 그랬는지 記憶조차 없다. 痛症도 못 느꼈다. 몸이 하는 말에 늘 귀를 기울이자고 했는데 피가 나도록 몰랐으니 몸 工夫는 아직 멀었다.

    ‘閑良 집을 짓다. 와, 아래채 幸福’

    수탉,  고양이,  오리새끼까지 축복해준 아래채 상량식

    食口 나름대로 木手가 되고 싶어….

    오랜만에 카메라를 들고 집 둘레를 찬찬히 살펴봤다. 봄에 깔아둔 電氣線이 쑥과 토끼풀에 가려 있다. 그 사이 풀이 많이 자랐구나. 基礎 甓돌을 쌓고 남겨 둔 甓돌 틈 사이에는 벌이 집을 짓고 있었다. 두 달 가까이 사람 손이 닿지 않았으니 새끼를 安全하게 키울 수 있다고 믿었나 보다. 논으로 가는 길에 찔레꽃 香氣가 온몸에 가득 傳해지고, 먼 山에서 뻐꾸기는 農事일을 재촉한다.

    5月25日 : 모내기 始作이면서 아래채 上樑이다. 그 일이 어디 普通 일이랴. 모내기가 農事의 꽃이라면 上樑은 집 짓기의 白眉다. 뜻 깊은 일이 겹친 셈이다. 이웃에게 도움을 要請했더니 생각보다 많이 와줬다. 선희氏, 愛用氏. 지연氏, 하빈 엄마, 우리 네 食口가 다랑이 논에 들어서니 논이 꽉 찬다. 모내기하기 前 하빈 엄마의 指導로 요가를 20餘 分 했다. 사람이 많아 논에 한줄로 서서 모를 심으니 着着 나아간다. 일손이 많으니 中間에 한 番 쉬면서 논두렁에서 몸 풀기를 또 했다. 하빈이 엄마가 허수아비 姿勢를 보여 준다. 논두렁에서 허수아비처럼 팔을 벌리고 허리를 굽힌 다음 한 다리를 뒤로 뻗는다. 그 狀態로 천천히 몸을 左右로 돌린다.

    午後 2時쯤 오늘 計劃한 모내기가 다 됐다. 남은 건 우리 食口끼리 사흘 더 하면 된다. 一旦 아래채 지붕을 씌우면 餘裕가 생기리라. 點心 먹고 좀 쉬다가 3時에 上樑式. 上樑 消息을 듣고 精髓 엄마가 아이들이랑 왔다. 하빈이 아빠도 下빈이를 데리고 왔다. 나중에는 나람氏도 왔다.

    아내가 시루떡을 찌고 막걸리를 내왔다. 아내가 빚은 막걸리인데 上樑이 늦어져 마지막 한 病이 남았단다. 簡單히 床을 차리고 上樑文을 쓰기 始作했다. 于先 나부터. 狂(光). 그 다음 이어서 自然이, 아내, 武威. ‘光(光). 閑良 집을 짓다. 와, 아래채 幸福, 名(明).’ 그 다음은 온 손님 가운데 願하는 분은 누구나 쓰고 싶은 글을 쓰라고 했다. 일곱 살 정수가 성큼 나선다. 큰 大(大). 劃이 멋지다. 정수가 뛰는 모습을 보는 것 같다. 精髓 글씨 뒤에 精髓 엄마가 길(吉). 다음, 愛用氏는 그림을 그린다. 알 듯 모를 듯 神祕한 그림. 마지막으로 선희氏의 太極 文樣. 떡이랑 막걸리를 나눠 먹고 마룻대를 올렸다.

    그날은 짐승도 유난했다. 아침부터 수탉이 닭欌을 뛰쳐나오지 않나, 오리張에 가니 門도 안 열었는데 이미 어미 오리가 새끼들을 데리고 나와 있다. 어째 이런 일이 겹치나. 우리집 고양이 둥이가 마당에서 짝짓기하는 걸 아내가 보았단다. 고양이 짝짓기는 보기가 쉽지 않은데 바로 눈앞에서 짝짓기를 했단다. 이래저래 모든 生命의 기운이 솟구치는 날인가 보다.

    上樑을 한 다음 이웃 품을 사기로 했다. 多幸히 나람氏가 이틀間 품을 내 주었다. 27日, 드디어 지붕을 씌웠다. 지붕을 다 하고 내려오는데 萬歲가 다 나온다. 내려와서 다시 올려다본다. 지난 3月부터 꼬박 석 달. 그 많은 木材를 裁斷해서 올리고, 門틀 세우고, 電氣 作業까지…. 꿈 같다. 그리고 뿌듯하다. 좀더 물러나서 다시 바라본다. 또 다른 내 몸뚱어리 하나가 곁에 서 있는 듯싶다.

    正말이지 한숨을 돌렸다. 비를 가릴 수 있는 지붕 德分에 넉넉한 時間이 내 앞에 주어졌다. 이제 천천히 마무리 工事를 해가면 된다. 비가 와도 室內에서 壁體 마감을 할 수 있고, 冊欌을 짜도 된다. 조금 어수선하지만 손님을 맞기에도 나쁘지 않다. 손님에 따라 구경거리가 되기도 하고 흙壁 치는 일을 함께 할 수도 있다. 여름에는 모기帳만 치고 잠을 자도 된다. 무엇보다 日常으로 돌아갈 수 있다.

    아래채를 지으면서 짧은 期間이지만 배우고 느낀 게 많다. 우리 自然이 敎育으로 始作을 했지만 나 自身을 위한 工夫가 많이 됐다. 가장 많이 배운 건 아무래도 집 짓기 技術이다. 木材를 다듬고 귀틀집 構造를 把握한 것도 좋은 工夫였지만 더 所重한 배움은 나무 自體에 있다. 制裁한 나무는 위아래를 區分하는 게 쉽지 않다. 理論으로는 옹이의 나이테가 넓은 쪽이 나무 아래라 한다. 옹이를 꼼꼼히 살피는 契機가 됐다.

    ‘쉽고, 즐겁게 하자’

    그리고 나무가 마르면서 뒤틀리는 模樣이 참 신비롭다. 나무 中間쯤을 基準面으로 잡고 먹줄을 튕기면 나무 위아래 뒤틀림이 反對가 된다. 아마, 해가 떠서 지는 方向으로 나무가 자라는 性質 때문이 아닌가 싶다. 電氣도 빼놓을 수 없다. 學校 다닐 때 電氣 配線에 對해 배웠을 것이다. 하지만 理論으로만 배워 實戰에서는 늘 두려움이 있었다. 이番에 自然이와 두 番에 걸쳐 實習하면서 제대로 알게 됐다. 그래도 電氣는 조심스럽다.

    그리고 專門家의 힘이 참 크고 所重하다는 걸 切實히 느꼈다. 집을 짓는다는 건 여러 分野가 結合돼야 한다. 그 大部分이 專門 分野다. 木手일, 電氣 工事, 구들 놓기, 마루 놓기. 배우겠다고 도움을 要請하니 ‘튕기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아무 代價 없이 모두 欣快히 가르쳐줬다.

    둘째는 이웃에 對한 생각이다. 그동안 自給自足을 외치며 웬만한 일은 스스로 할 수 있는 힘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큰 自慢이었다. 日記를 써보니 이웃의 도움을 正말 많이 받았다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집 짓는 데 보탬이 된 글을 쓴 사람들도 모두 이웃이라는 생각이 든다. 食口를 넘어 이웃의 숨결이 내 숨결을 고르게 한다. 以前에 세운 ‘몸 共同體’의 울타리가 조금 더 넓어지는 걸 느낀다.

    셋째는 우리 아이들이다. 自然이랑 바로 가까이서 석 달을 함께 일해보니 나와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餘裕 있고, 평화롭다. 天障에 드릴 作業하는 것 하나만 봐도 다르다. 얼굴 한番 찡그리지 않는다. 얼굴 筋肉이 나보다 부드러워서인가. 처음 計劃했던 ‘쉽고, 즐겁게 하자’는 슬로건을 아이들은 잘 해낸 便이다. 나는 내 目標를 세우고 거기에 얽매이다 보니 자주 종종거리고 人相을 찡그렸다. 無爲는 일을 놀이로 쉽게 連結한다. 지붕에 흙 올리는 일도 野球공을 던지는 놀이로 바꿔 재미있게 했다. 일이 갖는 文化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참을 먹는 것도 그렇다. 일을 힘들게 하거나 時間에 쫓기면 참이 당긴다. 배고픈 것 못지않게 精神的인 虛飢도 참을 먹게 하는 것 같다. 아래채 짓기는 내 일이 아니고 아이들 敎育이라는 또 다른 名分에 사로잡혀 自己 欺瞞과 自己 分離가 언뜻언뜻 드러난다. 事實 깊이 따져보면 이 일도 내가 願해서 하는 일이고, 나를 위한 일이다. 아이 敎育도 내 일이 아닌가. 그런데도 일이 힘들 때면 ‘精神的 虛氣’가 생겨 참을 먹는다. 잘 안 먹던 참을 먹으니 먹는 瞬間은 좋지만 먹고 나서는 뱃속이 더부룩했다.

    또 하나 깨달은 것은 아직도 내 몸을 내가 잘 모른다는 事實이다. 내 몸에 맞게 일하자고 다짐했지만 내 몸이 日常을 벗어나는 瞬間 固有한 리듬을 놓치기 일쑤였다. 망치질 한 番, 대패질 한 瞬間이라도 온몸을 실었어야 하는데 제대로 하지 못했다. 앞으로 남은 집 짓기 過程만이라도 ‘日常의 몸놀림’으로 돌아가야겠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