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淸貧의 成人 숨결 어린 아시시(Assisi)|新東亞

淸貧의 成人 숨결 어린 아시시(Assisi)

르네상스 到來 알린 이탈리아 美術 聖地

  • 글: 권삼윤 文明批評家 tumida@hanmail.net

    入力 2004-03-30 14:53: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聖者 프란체스코는 말보다 行動으로 眞正한 사랑을 實踐하고자 했다. 그래서 그의 故鄕이자 主 活動地였고 遺骸가 묻힌 아시시는 800年이 지난 只今도 宗敎의 境界를 超越한 聖地로 巡禮者들의 발길을 끈다. 民衆에게 다가서려 한 聖者의 땅답게 이곳의 聖火(聖畵)들은 살아 있는 人間들의 力動的인 모습을 담아내 人文主義 復活의 激浪을 豫告했다.
    청빈의 성인 숨결 어린 아시시(Assisi)

    聖 프란체스코 聖堂 下院(下院)의 除隊. 壁面의 프레스코畫는 치마부에가 그린 것이다.

    많은 이가 ‘한탕’과 ‘大박’에 목숨을 걸다시피 하는 요즘 世上에 淸貧(淸貧)을 입에 올린다면 世上 物情 모르는 者의 허튼 소리로 置簿될 公算이 크다. 하지만 大舶이라는 게 마음먹는다고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것도 아니고, 設令 運 좋게 大舶을 잡았다고 반드시 幸福해진다는 保障도 없다. 그런데 가진 것 모두를 自己보다 못 가진 사람에게 나눠주고 빈털터리가 되어도 幸福해질 수 있는 길이 있다면 한番쯤 귀를 쫑긋 세워봄직하지 않은가.

    筆者는 지난해 유럽 旅行길에 그렇게 幸福해하는 사람들을 두 눈으로 直接 보고 그들의 歡喜에 찬 노래를 두 귀로 直接 들었다. 800餘年 前 淸貧을 몸소 實踐한 成人 프란체스코(St. Francesco·1182∼1226)의 故鄕이자 주된 活動地였고 또 그의 遺骸가 묻힌 이탈리아의 아시시(Assisi)란 곳에서였다.

    午前 8時30分, 로마의 테르미니驛을 出發한 페루恣行 列車가 로마 市內를 벗어나기가 무섭게 움브리아 地方 特有의 丘陵과 草地가 펼쳐졌다. 大都市 로마나 原色의 南部에서는 못 보던 牧歌的 風景이라 눈길이 자주 窓 밖으로 向했다. 乘客들도 늘常 재잘대는 南部人들과는 달리 말數가 적고 모션度 작아 窓 밖 風景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雰圍氣를 演出했다.

    로마를 떠난 지 꼭 2時間 만에 아시시驛에 닿았다. 함께 내린 乘客들 中에는 韓國의 大學生 背囊族度 섞여 있었다. 男子 셋, 女子 셋 모두 여섯 名으로 한 팀이었다. 그들은 “서울을 떠날 때는 初面이라 語塞했지만 旅行을 繼續하다 보니 彼此 先入見도 없고 뒷걱정할 必要도 없어 오히려 便安해졌다”고 했다.

    性(聖) 프란체스코 聖堂(Basilica di Santa Francesco)은 驛 앞의 마을에서 4km 떨어진 곳에 있다고 해서 歷史(驛舍) 가게에 짐을 맡겨놓고(짐 保管所가 따로 없다) 驛 앞에서 出發하는 버스를 탔다. 버스는 列車 時間과 連繫되어 있는지 우리가 타자 곧바로 떠났다. 車는 옥수수와 해바라기가 자라는 밭 사잇길로 달렸고, 聖堂이 있는 마을은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어 멀리서도 잘 보였다. 사이프러스와 올리브나무가 푸른色을 發하고 聖堂과 鐘塔, 家屋들은 옅은 핑크빛을 띠고 있어 마치 우리를 반기는 듯했다. 뒤에야 알게 된 事實이지만 이곳에 쓰인 핑크빛 大理石은 隣近 수바시烏山(山)에서 캐낸 것이었다. 大理石의 나라 이탈리아에선 다양한 色相의 大理石이 生産된다는 것을 그때 처음 알았다.



    아시시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의 高度(古都)는 大部分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어 찾아가기가 쉽지 않다. 中世에 굳이 이렇게 높은 곳을 擇해 마을을 造成한 것은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를 흉내내서가 아니라 말라리아에 對備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濕氣가 많은 低地帶에는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가 많아 高地帶로 삶터를 옮겼다는 것이다.

    750歲 聖堂의 健康한 姿態

    버스가 멈춘 곳은 聖堂 入口의 性 피에트로 廣場. 크고 작은 車輛이 그 넓은 廣場을 다 차지하고 있었다. 一旦 거기에서 샌드위치로 療飢를 하고 목을 축인 다음 上昇램프를 따라 聖堂으로 다가갔다. 雄壯한 聖堂 앞은 이미 사람들로 滿員이었다. 아무래도 유럽人이 가장 많았으나 韓國과 日本에서 온 巡禮者와 觀光客도 더러 눈에 띄었다.

    出入口에서는 服裝檢査를 했다. 半바지나 露出이 甚한 服裝을 한 사람은 出入을 禁했다. 우리 一行 中에도 그런 사람이 있어 어쩔 수 없이 혼자 밖에서 기다려야 했다. 聖堂이 많은 이탈리아를 旅行할 때에는 半바지 차림을 삼가는 것이 좋은데, 그 親舊는 그걸 깜박해 貴한 時間을 虛費해야 했다.

    聖 프란체스코 聖堂은 聖人이 世上을 떠난 2年 뒤인 1228年 修道士 엘리아(Elia)의 設計에 따라 工事가 始作되어 1253年 完工됐고, 基礎工事가 끝난 다음에는 性 지오르지오 聖堂에 臨時로 安置돼 있던 聖人의 遺骸도 이곳에 安葬됐다. 그러니 聖堂의 나이도 750歲가 된 것이다.

    그런데도 時間의 무게를 힘겨워하는 것 같지는 않다. 그때라면 우리 歷史에서 高麗 中期에 該當되는데, 當時의 建築物 가운데 現存하는 것은 修德寺 大雄殿 等 손에 꼽을 程度다. 하지만 이탈리아에는 그 程度 建物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이 남아 있다. 그것도 아주 健康한 姿態로. 나무(木)의 文化는 持久力에서 돌의 文化를 이길 수 없는 模樣이다.

    청빈의 성인 숨결 어린 아시시(Assisi)

    프란체스코 修道會의 總本山인 聖 프란체스코 聖堂 上院(上院). 1253年 獻堂됐다.

    프란체스코는 布木商으로 큰돈을 번 아버지 피에트로 베르나르도와 프랑스 프로방스 出身의 어머니 피카 사이에서 태어나 不足한 것 없이 자랐다. 프랑스까지 販路를 開拓해 장사를 해서인지, 아니면 프랑스人 夫人을 至極히 사랑해서였는지(‘마누라가 예쁘면 妻家집 말뚝에도 절을 한다’고 하지 않는가)는 몰라도 피에트로는 이 아들을 프란체스코라 불렀다. 프란체스코는 이탈리아語는 勿論 프랑스語, 라틴語까지 배웠고, 音樂과 時도 工夫했으며, 아버지를 이어 장사에 從事할 것에 對備, 計算法도 익혔다.

    그는 이렇듯 배우는 데 熱心이었지만 親舊들과 어울려 노는 데도 빠지지 않았다. 어울린다기보다는 보스 흉내를 내고 싶었다고 해야 할 程度로 그는 親舊들에게 한턱 ‘쏘기’를 즐겨했다. 用돈의 規模가 自然 늘어날 수밖에 없었는데 그래도 아버지는 그런 아들을 자랑스러워했다. 더구나 이 點에선 어머니가 아버지를 앞섰다. 正말 그는 幸運兒였다.

    “가서 너의 집을 고쳐라”

    그러던 그에게 삶의 電氣가 찾아왔다. 18歲 되던 해 아시시와 이웃 都市 페루자 사이에 戰爭이 터지자 參戰했다가 아시시가 敗하는 바람에 捕虜收容所에 갇히게 되었던 것. 그러다 重病에 걸려 1年 만에 풀려나 故鄕에 돌아왔는데, 그 어려웠던 時間이 그를 변화시켰다. 肉體的으로 괴롭힌 病苦와 收容所 生活이 그에게 精神的 個案(開眼)의 契機로 作用한 셈이다. 그때껏 自身이 매달리고 耽溺해온 것들이 갑자기 意味를 잃고 그는 ‘나는 무엇을 위해 사는가’라는 깊은 懷疑에 빠져들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그는 다시 敎皇의 軍隊에 들어가 南部로 遠征의 길을 떠났다가 또다시 病 때문에 집으로 돌아오고 말았다.

    그런 그를 故鄕에서 기다리고 있는 것은 “네가 完全한 사람이 되려거든 가서 너의 財産을 다 팔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라”(마태복음 19:21)는 그리스도의 말씀이었다. 그 말을 따라 길에서 만난 癩病 患者에게 입고 있던 옷을 벗어주는 等 積善을 베풀며 살던 어느 날 그는 아시시 郊外의 다 허물어진 작은 城(聖) 다미아盧 聖堂을 지나다가 문득 어떤 衝動에 이끌려 안으로 들어갔다. 그리고는 十字架에 못박힌 예수 그리스도의 聖像 앞에 무릎을 꿇고 祈禱를 올렸다. 그때 그의 귓가에 이런 말씀이 들려왔다. “프란체스코野, 가서 너의 집을 고쳐라. 이렇게 쓰러져가는 것이 눈에 보이지 않느냐?”

    그는 가진 것 모두를 바쳐 聖堂을 손보았다. 하지만 아버지는 그런 프란체스코를 理解하지 못했다. 그냥 뒀다간 家産을 蕩盡할 것 같아 아들을 찾아 敎會로 달려갔다. 이 消息을 들은 프란체스코는 于先 아버지와의 衝突을 避하기 위해 祕密洞窟에 몸을 숨기고는 하느님께 박해자로부터 自身을 求해달라며 祈禱했다.

    그러나 곧 自身이 卑怯者라는 것을 깨닫고 洞窟에서 나와 마을로 向했다. 아버지와 談判을 짓기 위해서였다. 마을 사람들은 그의 야위고 憔悴한 모습을 보고 미쳤다며 侮辱的인 言辭를 퍼부었으나 그는 대꾸도 하지 않았다. 그의 決心은 確固했다.

    아버지는 집으로 돌아온 아들의 말을 들으려 하지도 않고 쇠사슬로 묶어 가둬버렸다. 하지만 소용없는 일이었다. 오히려 “옳은 일을 하다가 迫害받는 사람은 幸福하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라는 聖經 말씀에 鼓舞되는 契機만 만들어줬다. 게다가 아버지가 집을 비운 사이 어머니가 그를 풀어줘 自由의 몸이 됐다.

    집으로 돌아와 이 事實을 안 피에트로는 아들을 마지막으로 한番 더 달래볼 생각으로 敎會로 갔으나, 프란체스코는 自身의 身邊을 責任진 管區(管區) 主敎가 보는 앞에서 아버지를 向해 “이제까지 나는 當身을 아버지라 불렀습니다. 그러나 只今부터 나는 거리낌없이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를 부를 것입니다”라며 肉身의 아버지와 訣別 宣言을 했다.

    그리고는 ‘아버지’의 要求대로 그가 가진 物質的 財産을 ‘아버지’에게 모두 되돌려줬다. 스물네 살 때(1206年)의 이 ‘出家’로 그는 眞正한 하느님의 아들이 되면서 修道士의 길을 걷게 됐다. 그는 性 다미아盧 聖堂에 이어 聖 베드로 聖堂, 天使들의 性 마리아 聖堂, 포르値韻콜라 聖堂 等을 次例로 受理했다. 特히 포르値韻콜라 聖堂은 後日 프란체스코가 修道會 運動을 始作한 곳으로 각별한 因緣을 갖고 있다.

    청빈의 성인 숨결 어린 아시시(Assisi)

    聖 프란체스코 聖堂의 上院 內部. 지오토 디 本島네의 프레스코 壁畫로 裝飾되어 있다.

    聖堂 안으로 들어서자 正面 祭壇에서 祈禱가 進行되고 있었다. 一行 中 가톨릭 信者라는 두 學生이 곧 그 隊列에 合勢했다. 規模도 크지 않고 사람도 많지 않았으나 熱氣만은 대단했다. 아치형 壁과 穹窿形 天障에 그려진 프레스코 그림이 뜨거운 熱氣를 얼마間 식혀줬다.

    프레스코畫(畵)로 裝飾된 祭壇은 그곳에만 있는 게 아니었다. 그 왼쪽으로 90度 方向을 틀자 거기에서 프레스코畫가 나타났다. 多幸히 그곳은 禮拜 空間으로 쓰이고 있지 않아 建築의 構造와 壁面을 裝飾한 프레스코畫를 가까이서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스도의 一生과 프란체스코의 活動相을 그려놓은 壁畫는 한눈에 봐도 그 솜씨가 예사롭지 않았다. 알고 보니 當時 로마, 피렌체, 시에나, 피사 等地에서 活動하던 조반니 치마부에(Giovanni Cimabue·1240∼1302)와 지오토 디 本도네(Giotto di Bondone·1267∼1337) 等 大家들의 作品이었다.

    치마부에는 過去의 抽象的이고 象徵的인 要素들은 “이제 그만”이라며 “살아 있는 모든 것을 注視하라”고 외쳤다. 그것은 그가 이미 神의 權威와 勁健性을 强調하던 비잔틴 美術에서 벗어나 人間의 자유스러운 삶에 關心을 갖기 始作했음을 보여주는 物證이다.

    프레스코畫는 元來 빛이 잘 들지 않는 墓室 內部에 主로 쓰였는데 이를 本格的으로 聖堂 內部 裝飾에 끌어들인 것이 치마부에다. 프레스코는 ‘濕하다’는 元來의 뜻대로 壁面에 젖은 膾를 바르고 그 위에 水彩물감으로 그림을 그려 물감이 壁面에 徐徐히 스며들게 하는 形式으로, 運筆(運筆)의 速度와 힘이 그림의 成功 與否를 左右한다.

    치마부에가 프레스코畫를 聖堂 裝飾에 끌어들인 데에는 크게 두 가지 理由가 있었다. 從前의 로마네스크化는 작은 밑그림을 먼저 그리고 그것을 擴大해서 壁에 옮기는 것이라 틀에 박힌 느낌을 주는 데 비해 프레스코畫는 壁에다 直接 그리므로 作品의 生動感을 높일 수 있다는 點이 그 하나였다. 그런데다 修正이 不可能했다. 두 番째 理由는 製作費가 싸고 短期間에 많은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經濟性이었다.

    프레스코畫가 登場하게 된 데는 創造의 偉大함, 그리고 人間을 비롯한 살아있는 모든 것들에 對한 사랑을 强調한 프란체스코의 影響이 무엇보다도 컸다. 生動感 넘치는 그림을 그리는 데 프레스코畫보다 더 나은 形式이 달리 없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이탈리아 全域으로 普及된 프레스코畫는 14∼15世紀 들어 最高의 全盛期를 맞았고 이는 마침내 르네상스를 불러왔다. 그러므로 아시시는 르네상스의 到來를 알린 이탈리아 美術의 城址라 할 수 있다.

    祭壇 正面 한가운데에 그려진, 天使와 聖徒들에 둘러싸인 프란체스코의 머리 위엔 ‘프란체스코의 靈光(Glorios Francesco)’이란 글字가 보인다. 알고 보니 이건 지오토 디 本島네의 作品이다. 치마부에가 그린 ‘聖母를 敬拜하는 性 프란체스코와 天使들’에 나오는 프란체스코 肖像畫와는 사뭇 다른 雰圍氣를 풍긴다.

    치마부에의 作品에선 등이 굽고 體軀가 작으며 검은色 망토를 걸치고 있어 淸貧을 實踐한 成人의 모습이라면, 지오토의 作品에선 天國의 프란체스코를 그렸는지 곤궁스럽다기보다는 모든 것을 가진 것처럼 여유롭고 영광스런 모습이다. 치마부에보다 後代에 그린 것이라 그런지는 몰라도.

    눈부신 壁畫를 報告는 地下로 내려가 聖人의 遺骸를 모신, 돌무덤 앞에 섰다. 누군가가 놓고 간 붉은 薔薇 다발이 눈길을 끌었다. 修道士의 길로 들어선 以來 누더기 한 벌로 살았던 成人에게 돌집을 마련해준 것도 그렇지만, 그 돌집 위에 크고 華麗한 聖堂을 세운 것이 어쩌면 그의 뜻에 反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成人 스스로도 生前에 ‘작은 兄弟會’ 家族들에게 돌과 甓돌로 짓지 말고 나무와 진흙으로만 지으라고 일렀다. 그런데도 그를 따르던 사람들은 이런 聖堂을 지어 그에게 바쳤다.

    聖堂이 完成되자 치마부에와 지오토 等은 로마나 피렌체 等 잘나가는 都市들을 제쳐두고 이 聖堂을 찾아와 渾身의 힘을 다해 壁畫를 그렸으니 性 프란체스코 聖堂은 聖堂이 많은 이탈리아에서도 寶物 中의 寶物이 됐고, 2000年에는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으로 指定되기에 이르렀다.

    청빈의 성인 숨결 어린 아시시(Assisi)

    누더기 옷 한 벌로 修道生活을 마감한 聖者 프란체스코. 치마부에가 1280年頃에 그렸다.

    除隊 옆에는 또 하나의 작은 房이 있었다. 그곳에는 聖人이 입던 옷 한 벌과 몇 가지 遺物을 展示하고 있었다. 우리네 두루마기같이 생긴 그 옷은 조각을 오려 곳곳에 붙여놓은 것이라 말 그대로 누더기였다. 그것을 보는 瞬間 몇해 前 聖哲 스님이 涅槃했을 때 TV를 통해 一般에게 公開됐던 누더기 長衫이 떠올랐다.

    成人은 “全代에 金, 銀이나 銅錢을 넣어가지고 다니지 말 것이며 食糧 자루나 餘벌의 옷, 지팡이도 가지고 다녀서는 안 된다”는 聖經(마태복음 10:9∼10) 말씀을 좇아 어떤 種類의 돈이나 財物도 가까이하지 않았으며 但只 겉옷 하나만 입었고, 가죽 革帶는 띠로 바꾸어 맸다.

    프란체스코 修道會의 母胎가 된 ‘작은 兄弟會(Ordo Fratum Minoram)’는 托鉢(托鉢) 修道士들의 自發的인 共同體다. 베네딕트회 等 旣存의 修道會에서도 淸貧과 勞動, 冥想 等을 徹底히 지켰으나 免稅 惠澤을 받았고 自給自足의 形態로 살림을 꾸려갔다. 다시 말해 一般 市民들과는 絶緣된 生活을 했던 것이다.

    그러나 작은 兄弟會는 免稅 惠澤을 받으려 하지도 않았고 무엇을 所有하려고도 하지 않았다. 먹는 問題는 托鉢로 解決하고 나머지 時間은 가난한 사람들을 돕거나 動物을 사랑하는 데 바쳤다. 聖 프란체스코 修道會는 淸貧, 服從, 純潔을 모토로 삼았으나 市民들에게 보다 가까이 가려고 했다. 그러므로 프란체스코 修道會의 誕生을 理解하려면 都市化의 進陟이라는 當時의 社會·經濟的 條件을 빼놓을 수 없다.

    유럽 社會에 本格的으로 都市가 들어선 것이 바로 그 時期였고, 프란체스코 修道會는 그런 都市民들을 相對로 福音을 傳했다. 또한 市民들에겐 托鉢 修道士들을 도울 수 있는 經濟的 餘裕가 있었으니 프란체스코 修道會는 이처럼 餘裕로운 市民의 存在를 前提로 成立됐다고 할 수밖에 없다.

    資本主義 社會로 履行되면서 基督敎는 勿論 佛敎에서도 托鉢이 사라졌으나 代身 ‘十一租’나 施主 等으로 支撐되고 있으니 亦是 都市化와 宗敎活動은 不可分의 關係에 있음을 보여준다.

    托鉢 修道士에게는 특별한 能力이 要求된다. 聖徒들을 感化시킬 수 있는 能力 같은 것 말이다. 이런 點에서 聖 프란체스코는 天才였다. 그렇다고 해서 그에게 대단한 말재주가 있었거나 說得의 技巧가 뛰어났던 것은 아니다. 다만 그는 自身의 말, 나아가 聖經의 말씀을 말에 그치지 않고 몸소 行動으로 實踐했다. ‘믿을 新(信)’이란 漢字의 字形에서 알 수 있듯이 行動은 말보다 더 큰 感化를 주지 않는가. 그런 信賴를 바탕으로 宗敎가 서 있으니 더 무슨 말이 必要하겠는가.

    成人은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눈도 가졌다. 말하지 않아도 相對가 무엇을 懇切히 願하는지를 알고 그걸 이룰 수 있도록 도와줬다. 그는 說敎 中에 노래를 집어넣는 等 듣는 이들이 지루해하지 않도록 했는데 그때에는 簡單한 樂器도 動員했다. 마치 映畫 ‘시스터 액트’에 나오는 修女들의 合唱처럼.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사람이 極히 적었던 그 時節 노래나 그림만큼 效果的인 커뮤니케이션 方法은 없었던 것이다.

    歡喜의 頌歌

    聖堂은 特異하게 2層 構造로 되어 있다. 2層 構造의 聖堂은 極히 드문 例에 屬한다. 2層이지만 아래層(下院)에서 위層(上院)으로 곧장 올라갈 수는 없다. 밖으로 나와 門밖의 階段을 따라 올라갔다가 한番 方向을 틀어야 위層으로 갈 수 있다.

    上院의 正面은 3段 構成이다. 門은 아치형이며, 下端은 옆으로 길다랗고, 中央壇에는 둥근 薔薇창이 나 있다. 薔薇窓은 聖母 마리아를 象徵한다. 上段은 三角形이다. 거기에도 둥근 창이 그려져 있다. 그 뒤엔 높다란 鐘塔이 마치 步哨처럼 서 있다. 修道院은 鐘塔이 있는 聖堂 뒤쪽에 자리하고 있는데, 그곳엔 首都空間, 生活空間, 墓地 等이 모여 있다. 외진 山속에 자리한 여느 修道院과는 分明 다른 모습이다.

    청빈의 성인 숨결 어린 아시시(Assisi)

    聖 프란체스코 聖堂의 下院 入口. 訪問客들로 혼잡스럽다.

    聖堂은 마을의 西쪽 끝을 차지하고 있어 周圍에는 별다른 建物이 없다. 德分에 밝은 핑크빛 聖堂은 푸른 하늘을 背景으로 서 있어 무척 성스럽다. 안으로 들어서자 키가 매우 큰 기둥들이 눈에 들어왔다. 마치 꺽다리 樹木들이 하늘을 向해 가지를 뻗친 것만 같다. 기둥의 上段 部分은 팔을 쭉 뻗은 사람처럼 天障에 아치 形象을 만들어냈다.

    여기서도 미사가 한창이었다. 사람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어 祭壇 가까이로 다가갈 수가 없었다. 禮拜가 끝나기만 기다려야 했다. 어느새 說敎가 끝나고 누군가를 呼名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그 中에는 韓國人의 이름도 있었다. 무슨 理由로 呼名하는지는 알 수 없었지만 入口의 通譯부스에 사람이 앉아 있고 그 앞에 英語, 獨逸語, 프랑스語, 스페인語, 포르투갈語, 폴란드語, 러시아語 等의 牌말이 붙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예사로운 說敎가 아닌 듯했다. 周圍를 살펴보니 東洋人이 한 둘이 아니다.

    呼名이 끝나자 參席者들은 오르간 旋律에 맞춰 讚頌歌를 소리 높여 불렀다. 손뼉을 치며 장단까지 맞췄다. 歡喜에 넘쳐 부르는 송가, 바로 그것이었다. 가진 것 없이, 그리 길지도 않은 삶을 산 性 프란체스코를 떠올리게 한다.

    世界 各地에서 이토록 많은 사람이 찾아와 기쁜 마음으로 祈禱하고 노래 부르게 하니 그는 世上에 決코 작지 않은 것을 남기고 간 셈이다. 淸貧이 돈을 이긴 것 같아 氣分이 좋았다(물론 여기에서 돈이란 社會를 제대로 움직이게 하는 돈이 아니라 惡의 根源이 되곤 하는 그런 돈을 말한다). 그 瞬間 ‘돈에 換腸한 듯 處身하는 오늘의 우리가 떠난 다음에는 果然 무엇이 남겨질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聖畵 속으로 들어간 사람들

    讚頌이 끝나자 미사도 끝났다. 사람들도 하나 둘 그곳을 빠져나갔다. 閑暇해진 上院을 한바퀴 돌면서 壁面과 天障에 그려진 프레스코 그림을 살펴봤다. 色相과 運筆이 무척 부드러운 壁畫에는 남루한 차림의 白馬 탄 記事에게 自身의 옷을 벗어주는 成人의 모습, 十字架像 앞에서 무릎 꿇고 祈禱하는 光景, 聖堂으로 찾아온 아버지에게 입고 있던 옷을 벗어 건네주며 血緣을 끊는 場面, 敎皇 人奴젠티우스 3世로부터 修道會 會則을 認可받는 場面, 라 베르나 山으로 들어가 그리스도의 苦難을 默想하고 있을 때 그리스道가 親히 兩손과 발, 옆구리에 五常(五傷)을 박아주는 모습, 작은 새들에게 說敎하는 場面, 脫魂(脫魂) 中의 프란체스코, 天使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잠들어 있는 臨終 場面 等 聖子의 一生이 28個의 場面으로 나누어 그려져 있다.

    그리하여 이 聯作 그림에는 ‘性 프란체스코 前(傳)’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作家는 지오토 디 本島네와 그의 弟子들. 16世紀의 畫家이자 美術史家의 元祖인 바사리는 ‘美術家 列傳’에서 지오토를 일컬어 “비잔틴 樣式의 틀에서 完全히 벗어나 近代 繪畫의 길을 열었다”며 最大의 讚辭를 바쳤다. 지오토는 치마부에로부터 그림을 배웠으나 단테가 ‘신곡’에서 “치마부에는 美術界에서 名聲을 떨쳤으나 지오토가 登場하자 그의 名聲은 곧 稀微해지고 말았다”고 했듯이, 靑出於藍(靑出於藍)의 標本的인 人物이었다.

    지오토는 現實을 外面한 모든 現象은 無意味하다며 살아 있는 人間, 그것도 온갖 逆境을 헤쳐나가다 마지막에 가서 榮光의 자리를 차지하는 力動的인 人間을 主로 그렸다.

    그때까지 聖火라고 하면 하느님이나 그리스도, 成人들의 謹嚴한 모습을 그렸으나 치마부에와 지오토는 그 자리에 力動的인 人間, 살아 있는 人物들을 配置했던 것이다. 르네상스가 追求했던 人文主義란 바로 이런 것이 아니던가. 聖 프란체스코야말로 그들이 찾는 適格人物이었으니, 로마나 피렌체 等 큰 都市를 마다하고 아시視에 한동안 틀어박혀 그림을 그리게 된 것이다.

    認識의 새로운 地平을 연 르네상스가 淸貧을 모토로 삼은 프란체스코를 기리는 聖堂 建築에서 出發했다고 하면 異常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宗敎改革이 繪畫의 革新을 가져왔다고 한다면 理解하기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높고 긴 壁에 아래 위로 길다란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 神祕한 빛이 물밀듯이 쏟아져 들어오는데, 그 빛은 世上을 創造한 하느님의 빛(聖經 創世記에 보면 하느님이 ‘빛이 생겨라!’ 하자 빛이 생겨나 낮과 밤으로 나누어졌다고 한다)이요, 그리스도의 빛을 象徵한다. 聖堂은 分明 성스러운 空間이다.

    청빈의 성인 숨결 어린 아시시(Assisi)

    聖女 클라라를 위해 지은 산타 키아라 聖堂. 1265年 完工됐다.

    프란체스코의 存在가 알려지면서 그의 곁으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예수에게 열두 弟子가 있었던 것처럼 그에게도 열두 名의 兄弟가 생겼다. 本格的인 修道會 活動은 그때(1209年)부터 始作됐다. 兄弟들이 많이 모여들어 共同生活의 必要性이 생겨나자 簡單한 會則을 만들어 敎皇 人奴젠티우스 3世로부터 認可를 얻었다. 後日 프란체스코 修道會란 이름을 갖게 된 작은 兄弟會議 出發은 이러했다. 場所는 聖人이 修道했던 포르値韻콜라 聖堂. 後日 聖女 클라라도 洞窟같이 생긴 이곳에서 클라라 修女會를 樹立했다.

    ‘兄弟會’란 名稱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그들은 自發性을 基礎로 한 水平的 共同體였다. 그러므로 位階組織을 갖춘 여느 修道會와는 달랐다. 單 한 벌의 옷만 許諾하는 會則에 따라 작은 兄弟會 修道士들은 嚴格한 苦行으로 自身을 지켰으며, 特히 精神과 肉體의 完全한 純潔을 지키는 데 最善을 다했다. 이런 首都方式은 未婚 女性들에게도 깊은 感化를 주어 따르는 이들이 생겨났다. 그 가운데는 貴族 家門 出身의 클라라(Clara·1194∼1253)도 끼여 있었다. 名門家 閨秀라 처음에는 名聲 있는 베네딕트 修女會에 入門했다가 작은 兄弟會로 옮겼으나 宗敎的 熱情만은 어느 누구 못지않았다. 聖 프란체스코度 그女를 높이 評價했다고 傳한다. 프란체스코의 傳記를 쓴 보나벤투라 修道士는 클라라에 對해 이렇게 적고 있다.

    청빈의 성인 숨결 어린 아시시(Assisi)

    아시시 巡禮者 中에는 搜査도 있다.

    “그女는 프란체스코의 庭園에 핀 첫 꽃송이였으며 마치 빛나는 별처럼 반짝였고 봄철에 희고 純粹하게 핀 꽃과 같이 향기로웠다. 그女는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딸이었으며 가난한 클라라회의 創設者였다. 이제 그女는 하늘에서 榮光을 입고 있으며 땅에서는 敎會가 그女에게 合當한 尊敬을 표하고 있다.”

    아시시를 떠나기 前에 聖女 클라라를 위해 지은 산타 키아라 聖堂(Basilica di Santa Chiara)을 찾아보고 싶었다. 地圖를 보니 마을의 東쪽 끝에 자리잡고 있어 꽤 멀어 보였으나 多幸히 마을에서 第一 크고 긴 聖 프란체스코 가로(街路)가 直線으로 이어져 있어 찾아가기는 쉬울 듯했다.

    프란체스코 가로는 灰色과 黃色이 뒤섞인 돌로 지은 鈍重한 建物, 꽃과 하얀 레이스로 裝飾한 窓, 그리고 巡禮者들의 차분한 발걸음으로 인해 中世 雰圍氣가 宛然했다. 그 길을 혼자 걸었다. 一行이 聖堂을 觀覽하다 各自 趣向에 따라 뿔뿔이 흩어졌기 때문이다. 곳곳에 들어선 記念品 가게들에 눈길을 주다 코뮤네 廣場(세차게 물을 뿜어대는 分數가 있다)에 이르러선 洗手도 하고, 그에 이웃한 로마時代의 미네르바 神殿(只今은 聖堂)까지 둘러보고는 산타 키아라 聖堂에 닿았다.

    正面의 外觀은 星 프란체스코 聖堂의 上院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左右에 날개(實際로는 고딕聖堂을 支撐하는 플라잉 버트리스)가 있다는 것을 除外하고는. 元來 이곳에는 프란체스코가 어린 時節 工夫를 했고 大聖堂이 建築되는 동안 그의 遺骸가 臨時로 安置됐던 性 지오르지오 聖堂이 있었다. 그 위에 聖女 클라라를 위해 只今의 聖堂을 세운 것이다.

    아치와 薔薇창이 印象的인 聖堂 안으로 들어서자 性 다미아盧 聖堂에서 옮겨놓은 커다란 十字架像이 먼저 눈길을 끌었다. 그것만으로도 聖堂은 성스러웠다. 聖女의 遺骸는 地下 石室에 安置돼 있다고 해서 내려가 보니 聖女 클라라는 修女服을 입은 채 永眠하고 있었다. 그女의 누더기 옷 한 벌도 모셔져 있었다. 그女 앞에서 오랫동안 默想하는 한 女性도의 모습을 보고 클라라가 남긴 香氣가 아직도 津하다는 것을 느꼈다.

    聖 프란체스코와 클라라가 하늘나라로 떠난 뒤 몇 百年의 歲月이 흘렀지만 아시시는 아직도 그들을 記憶하고 있었다. 그곳을 찾는 사람들은 成人들의 이야기를 後世에 傳하고 傳할 테니 그들은 죽은 것이 아니라 永遠히 살아 있는 것이다. 이런 것을 두고 ‘삶의 辨證法’이라고 하는 걸까.

    산타 키아라 聖堂을 나와 마당의 境界를 이루는 담壁에 기대 그 아래로 펼쳐진 마을과 푸른 들녘을 眺望하고는 피에트로 廣場으로 발길을 옮겼다. 決코 짧지 않은 距離를 지나 그곳에 이르렀을 때에는 背囊族 大學生들도 到着해 버스를 기다리고 있었다. 서로 구경한 것들을 이야기하다 버스가 到着하자 그걸 타고 다시 驛으로 向했다. 나는 그 속에서 보나벤투라가 쓴 聖人의 電氣에 記錄된 聖 프란체스코의 臨終(1226年 10月3日 저녁) 光景을 떠올렸다.



    “性 프란체스코의 臨終 때는 이미 땅거미가 내린 뒤였는데 종달새떼가 建物 위로 날아들었다. 그들은 普通 낮의 빛을 더 좋아하고 밤의 어둠을 避하는 데도 그렇게 모여든 것이다. 그들은 이리저리 날아다니면서 알 수 없는 기쁨에 차 노래하며 그 감미로운 노래로 그들에게 그렇게 자주 하느님께 讚美하라고 일렀던 그 聖人의 榮光을 分明히 證據하면서 거기에 남아 있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