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府가 우릴 惡魔化” …洞네病院에 나붙은 休診 案內文

入力
記事原文
本文 要約봇
性別
말하기 速度

移動 通信網을 利用하여 音聲을 再生하면 別途의 데이터 通話料가 賦課될 수 있습니다.

洞네 議員 “政府가 國民-醫師 사이 離間질”
患者들 “醫師 무서워서 말도 함부로 못해”
18日 서울 鍾路區 한 泌尿器科 議員 門 앞에 休診 案內文이 써있다. 신재희 記者

대한의사협회(醫協) 主導로 大學病院과 洞네病院 一部가 休診에 突入한 18日 午前 11時쯤 서울 서초구의 한 內科 앞. 세 男妹를 키우는 40代 女性 孫某氏가 발을 동동 구르고 있었다.

孫氏의 막내는 아침부터 感氣 症勢를 보였다. 孫氏는 午前 내내 瑞草區 一帶를 돌며 門을 연 病院을 찾았다. 洞네 耳鼻咽喉科와 小兒科를 가봤지만 休診으로 門이 닫혀 있었다. 세 番째로 찾은 內科度 마찬가지였다. 孫氏는 “진료하는 病院을 찾으면 막내에게 病院으로 오라고 하려 했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세 살짜리 子女를 乳母車에 태우고 小兒科를 찾은 30代 女性 A氏도 비슷한 狀況이었다. 그는 서울 서대문구 한 아파트 商街 建物 內 小兒科 앞에 굳게 닫힌 鐵門을 보고 難堪한 表情을 지었다. A氏는 “아이가 微熱이 있어 隣近 小兒科 한 곳을 먼저 찾았는데 門을 닫았다”며 “이곳에서 조금 떨어진 地域에 診療를 보는 곳이 있다고 들었다”며 急하게 발길을 돌렸다.

義俠의 總罷業 宣言으로 이날 서울의 洞네 議員 多數가 休診에 들어갔다. 이에 1次 診療가 必要한 患者들이 極甚한 混亂을 겪었다. 國民日報 取材陣이 서울 西大門區·江南區·관악구·종로구·영등포구 一帶 洞네病院 21곳을 돌아본 結果 16곳이 門을 닫은 狀態였다.

복지부에 따르면 18日 休診을 申告한 醫療機關은 모두 1463곳이다. 全體 3萬6371곳의 4.02%에 그쳤다.

그러나 醫療 現場 곳곳에서 患者들 不滿이 커지고 있다. 이날 午前 10時 서울 서초구 한 小兒科 正門에 붙은 休診 案內文에는 ‘젊은 醫師들이 必須科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루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諒解를 付託드립니다’라는 文句가 적혀 있었다. 嬰幼兒 檢診을 위해 딸과 함께 이곳을 찾은 B氏는 門 닫은 病院을 보고 虛脫해 했다. B氏는 “아내가 18日 午前 診療를 豫約해서 訪問했는데 只今 무슨 狀況인지 모르겠다”며 “오늘 休診한다는 案內 文字도 全혀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대한의사협회가 醫大 增員 等 醫療改革을 糾彈하는 集團 休診에 나선 18日 午後 蔚山 東區 울산대病院 本館入口에 한 患者가 休診을 宣言하며 市民들에게 드리는 文句를 바라보고 있다. 뉴시스

40代 夫婦인 許某氏와 于某氏는 33個月 된 子女와 함께 서울 관악구 서울大入口驛 隣近 한 小兒靑少年科를 찾았다. 夫婦는 “아이가 콧물感氣 症勢를 보여 늘 다니던 耳鼻咽喉科를 가려고 했는데, 갑작스럽게 休診이라는 文句를 보고 唐慌했다”며 “이 病院은 診療를 본다고 해서 어쩔 수 없이 처음 이곳을 찾았다”고 말했다.

애플리케이션(앱) 豫約시스템과 文字메시지 案內에 익숙하지 않은 老人들이 病院을 찾았다가 발길을 돌리는 狀況도 곳곳에서 벌어졌다. 서울 鍾路區 한 再活醫學科가 入住한 建物 警備員은 “午前에만 어르신 3~4分이 病院에 왔다가 헛걸음을 했다. 豫約이 미뤄졌다는 文字를 確認 못 한 분들인데 너무 안타까웠다”며 “元來는 日曜日만 쉬는 病院인데 제가 勤務한 以來 休業한 것은 처음 본다”고 말했다.

18日 서울 관악구 休診을 한 議員 앞 鐵門이 내려가 있다. 한웅희 記者

鍾路區 한 泌尿醫學科 議員은 休診 理由를 說明하며 門 앞에 ‘歪曲된 統計와 情報로 國民과 醫師 사이를 離間질해 조용히 診療 中인 開院 醫師를 惡魔化한 政府에 小心하게 抗議하는 手段으로 하루 休診한다’는 案內文을 붙였다. 案內文에는 ‘앞으로는 어떤 團體行動도 하지 않을 것을 約束드리니 오늘 休診을 理解해 주십사 懇曲히 付託드린다’고 적혀 있었다.

이 病院을 찾은 朴某(35)氏는 “大型病院만 休診하는 줄 알았다”며 “抗議하는 意味에서 쉰다는 건데 아픈 患者들만 苦生”이라고 말했다. 會社에서 짬을 내 病院에 온 朴氏는 急히 다른 病院을 찾아 떠났다.

바로 옆 內科 醫院을 찾은 崔某(43)氏는 “저런 걸 붙여놓으면 患者들이 意思를 理解해 줄 거로 아는가 보다”며 “이런 狀況에서도 休診에 同參하지 않는 病院들이 그저 고마울 뿐”이라고 말했다.

18日 서울 서대문구 한 小兒科 議員 앞 굳게 닫힌 鐵門 앞에 休診 案內文이 써있다. 김용현 記者

近處 小兒科 醫院을 찾은 患者들도 休診을 뒤늦게 確認하고 발길을 돌렸다. 藥局에서 만난 조某(80)氏는 “醫師들도 苦生이지만, 우리도 모두 고생스럽게 산다. 醫師는 苦生을 더 하는 만큼 돈을 더 벌지 않나”라며 “醫師는 生命을 다루는 職業인데 本人들 밥그릇 챙기기보다는 奉仕한다는 職業精神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患者들은 醫師 무서워서 함부로 말도 못 한다. 患者들이 ‘데모’라도 하면 나라도 나가보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病院을 떠난 醫療陣의 無責任함을 批判하는 목소리도 컸다. 姜某(68)氏는 “로스쿨 導入 때 法曹人들 밥그릇 싸움도 이러지는 않았다. 모든 國民이 法律서비스가 必要하지 않지만, 醫療서비스는 누구에게나 必要하다”라며 “親舊 딸도 醫大生인데, 先輩들이 休學하니 어쩔 수 없이 따라갈 수밖에 없다고 하더라. 位階序列이 軍隊보다도 센 것”이라고 指摘했다.

姜氏는 “新參 專門醫 月給이 1200萬~1500萬원 水準이라고 하더라. 그러니까 地方에 意思를 求한다고 몇 億원을 줘도 안 가지 않나. 醫師를 늘려서 500萬원 月給 받는 醫師들이 생겨야 解決될 問題”라고 主張했다.

記者 프로필

이 記事는 言論社에서 社會 섹션으로 分類했습니다.
記事 섹션 分類 안내

記事의 섹션 情報는 該當 言論社의 分類를 따르고 있습니다. 言論社는 個別 記事를 2個 以上 섹션으로 重複 分類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記事를 推薦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