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라딘書齋]셰익스피어 4大 悲劇 - 햄릿 / 오셀로 / 리어 王 / 맥베스
셰익스피어 4大 悲劇 세트 : 햄릿.오셀로.맥베스.리어 王 - 前4卷 민음사 世界文學全集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최종철 옮김 / 민음사 / 2012年 11月
評點 :
장바구니담기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問題로다"라는 句節로 有名한 셰익스피어 (1564~1616)는 英國이 낳은 最高 詩人 兼 劇作家로서,

그가 남긴 뛰어난 詩들과 喜劇作品은  오늘날까지도 世界 文學史에 널리 影響을 끼치고 있는데

그當時 그가 썼던 演劇臺本은 只今까지도 保存 또는 脚色되어 演劇舞臺에 오르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셰익스피어는 호머, 단테, 괴테와 함께 世界4代 文豪로 손꼽히는 人物로,

英國 사람들은 "셰익스피어는 式門址 印度와도 바꿀 수 없는 寶物"이라고 일컫을 程度이니

그가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지는 굳이 說明하지 않아도 되리라 본다.

 

有名한 認知度만큼 比例하여 그가 지은 作品들 또한 너무나 有名하기에

그 中 4大悲劇이라 일컫는 冊들의 題目과 줄거리에 對해서 모르는 사람은 아마도 거의 없을 것이다.

나 亦是도 그 冊들의 內容을 너무나 잘 알기에 그저 알고있다고만 생각했을 뿐 한番도 제대로 읽어보아야겠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었는데, 偶然히 放送에서 셰익스피어라는 사람에 對해 紹介하는 대목을 보고서 冊을 注文하게 되었다.

 

只今껏 내가 읽었던 4大悲劇에 對한 內容이 모두 小說形式이었다면,

민음사 世界文學全集에서 나온 이 冊들은 모두 戱曲形式으로 쓰여져 있어서

登場人物들을 외우느라 처음에는 集中하기 어려웠는데

자꾸 읽다보니 速度感도 생기고, 무척 재미있었다.

 

神奇한 건 내가 일부러 세익스피어가 4大悲劇을 지은 順序대로 읽었는데,

햄릿 < 오셀로 < 리어 王 < 맥베스

의 順序대로 갈수록 더 흥미롭고 재미가 있었다는 事實이다.

大部分 시리즈로 읽다보면 뒤에 가서는 비슷비슷해지는 形式과 內容에 지루해지기 일쑤일텐데 말이다.

아마도 셰익스피어의 글짓기 實力이 나이가 들수록 더 老鍊해진 탓에 읽는 讀者 亦是 그렇게 느낄 수 있었나보다.

 

요즘은 하도 막장 드라마가 大勢이다 보니 復讐, 嫉妬, 誤解, 欲望이 부른 悲劇이 흔한 素材이지만,

셰익스피어가 살았던 1600年代는 이 內容들이 宏壯히 破格的이었을 것이다.

現代의 막장 드라마와 差異點이라면 現代劇은 復讐, 嫉妬, 誤解, 欲望 等으로 인해

惡한자는 破滅에 이르고 主人公은 해피엔딩이 되지만,

셰익스피어의 4大悲劇에서는 모두가 悲劇으로 끝나기 때문에 主人公조차 모두 죽는다는 點이다.

죽지 않았으면 하는 者들도 모두 죽어버리기 때문에 우리는 悲劇이라 부르고,

悲劇이기 때문에 우리는 悲劇을 맞이한 그들을 안타깝게 여긴다.

特히, 悲劇을 맞이하는 過程에서 表現하고 있는 인간 本然의 屬性을 드러내는 比喩와 諷刺는 셰익스피어만의 氣質이고,

그것이 오늘날의 讀者까지도 마음을 울리게 하기에 셰익스피어의 作品들이  많은 사람들에게 오래도록 記憶되는 건 아닐까 생각한다.

 

 

1. 햄릿 - 複數의 悲劇

 

2. 오셀로 - 嫉妬의 悲劇

 

3. 리어 王 - 誤解의 悲劇

 

4. 맥베스 - 欲望의 悲劇

 

*** 浪漫다람쥐의♥책이야기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