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라딘書齋]보부아르 - 레 망다랭 ft. 둘도 없는 사이

Still Life, 1934 - Yiannis Moralis - WikiArt.org


  '옮긴이의 말'에 올해 白手린 作家가 飜譯한 新刊 '둘도 없는 사이'가 言及된다.





이 小說은 2次 大戰 獨逸 占領下에서 레지스탕스 運動을 했으며, 大部分 左派였던 當時 프랑스 知識人들이 激變하는 前後의 狀況에서 겪는 葛藤과 幻滅을 具體的으로 잘 보여준다.

『레 網多렝』이 出版되었을 때, 프랑스 讀者들은 當時 演藝人과 같은 人氣를 누리고 있던 哲學가, 作家들의 모습을 小說에서 發見하고 더욱 興味를 느꼈다고 한다.

한便, 小說의 題目인 ‘레 網多렝’은 元來 中國의 官僚들을 가리키는 單語인데, 特權層 知識人들을 貶下하여 稱하는 表現으로도 使用되고 있다. 이 冊은 題目이 의미하는 것처럼 平和를 위하며 階級 없는 世上을 꿈꾸는 主人公들은 大義에 反하는 行動을 하기도 하며 自身도 의식하지 못하는 特權意識에 사로잡힌 모습도 있다. 이런 特徵은 이 小說이 參與 文學 系列의 小說이 보여주는 單純한 善惡構圖에서 벗어나 參與를 더욱 現代的인 觀點에서 眺望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내내 男子들에게 侮辱을 當하면서도 그저 참고 견디고 있는 『레 網多렝』의 女子 主人公들은 페미니스트 作家들의 堂堂한 女主人公들의 모습에 익숙해진 讀者들을 當惑하게 만들기에 充分한 것으로 보인다. 出版되었던 當時에도 女主人公들의 描寫에 對해 不滿이 提起되었는데, 이에 對해 보부아르는 自身의 周圍에 있는 女性들을 그대로 描寫한 것이라고 말했다. 어쩌면 보부아르는 프랑스의 家父長的 社會에 依해 ‘만들어진’ 女性들을 小說에서 提示함으로써, 1944年에야 처음으로 女性이 投票權을 갖게 된 프랑스 社會의 問題點을 暴露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

『레 網多렝』은 出版되자마자 好評과 惡評을 同時에 받은 小說로 有名하다. 貶下的인 意味에서 ‘典型的인 女性 小說’이라는 惡評을 받기도 했으며, ‘다음 世代가 이 小說을 통해 人類가 過去에 했던 일과 할 수도 있었던 일을 배우게 될 것’이라는 好評을 받기도 했다.

〈뉴욕 타임스〉는 66年間 간직되어 왔던 보부아르의 美出刊 作品인 『Les Inseparables(‘永遠한 同伴者들’ 程度로 解釋)』李 2020年 10月에 出版될 豫定이라고 報道했다. 보부아르와 21살에 死亡한 單짝 親舊 자자Zaza와의 友情 이야기인데, 너무 私的인 이야기라서 作家가 生前에는 出版을 꺼렸던 作品이 이제야 빛을 보게 되었다고 한다. - 옮긴이의 말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