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곧 人口 5%가 外國人”… 우리도 ‘多人種·多文化 國家’ 進入 > | 에듀東亞
初等敎育
  • “곧 人口 5%가 外國人”… 우리도 ‘多人種·多文化 國家’ 進入
  • 이선행 記者

  • 入力:2023.10.31 11:12

올해 初 京畿道의 한 大學에서는 外國人 學生들을 對象으로 한 造船業 就業說明會가 열렸다. 많은 사람들로 붐비는 모습. 동아일보 資料寫眞

 

지난달 末 우리나라에 사는 사람들 中 外國人이 차지하는 程度가 經濟協力開發機構(OECD)의 ‘多人種·多文化 國家’ 基準인 5%에 바짝 다가섰어요. 最近 外國人 勤勞者 入國(나라 안으로 들어감)이 빠르게 늘고 있어 來年엔 名實相符(이름과 꼭 들어맞음)한 多人種 國家에 進入할 展望입니다. 일찍부터 移民을 받아들인 北美·유럽 等 先進國을 除外하고 人口에서 外國人이 5%를 넘는 나라는 드물어요. 하지만 우리 社會는 아직 外國人과 共存(서로 도와서 함께 存在함)할 準備가 덜 돼 있다는 指摘이 나옵니다.

 

9月 末을 基準으로 韓國에서 길게 或은 짧게 머무르고 있는 外國人은 251萬 4000名. 全體 人口 5137萬 名의 4.89%를 차지해요. 코로나19로 再昨年 3.8%까지 떨어졌지만 以後 每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일할 사람이 없어 큰 어려움을 겪는 造船業(배를 設計하고 만드는 工業)은 勿論이고 建設現場, 中小企業 또한 外國人 없인 事業을 繼續할 수 없을 程度로 依支하는 程度가 커졌어요. 大都市의 飮食店, 地方 農家도 事情은 비슷합니다. 不法的으로 우리나라에 머무르고 있는, 約 43萬 名의 外國人을 包含하면 이들이 우리 人口에서 차지하는 比率은 5.7%. 이미 多人種·多文化 國家에 進入한 셈이에요.

 

産業現場만의 問題가 아닙니다. 外國人 留學生이 없으면 庭園(一定한 規定에 依하여 定한 人員)을 못 채우는 地方大學이 많아요. 首都圈 大學의 大學院들도 留學生을 빼면 硏究室을 꾸리기 어려운 것이 現實. 韓國에 앞서 靑年人材 不足을 겪어온 日本은 이런 理由 때문에 情報技術(IT) 從事者, 高學歷者(學歷이 높은 사람)를 對象으로 加算點(어떤 것에 對한 代價로 더 주는 點數)을 줘 비자(外國人이 들어오는 것을 許可하는 證明) 取得을 북돋는 等 ‘外國人에게 選擇받는 나라’가 되겠다고 합니다.

 

企業의 急한 要請에 우리 政府도 外國人 勤勞者 流入(사람이 어떤 곳으로 모여듦)을 늘리고 있어요. 하지만 增加 速度는 더디고, 外國人 關聯 業務를 統合 管理할 이민청 設立 論議도 遲遲不進(매우 더디어서 일 等이 나아가지 아니함)합니다. 反面 昨年 OECD 38個 會員國에 流入된 海外 移民者는 610萬 名으로 前年 對比 26% 增加했어요. 低出産·高齡化로 沈滯(나아가지 못하고 제자리에 머무름)되는 經濟를 살리기 위해 大多數 先進國이 비자 發給 基準을 느슨하게 하며 外國 人力 流入 競爭을 벌이고 있어서입니다.

 

國內 中小企業의 93%는 外國人 勤勞者를 雇用하는 理由를 ‘內國人을 求하기 어려워서’라고 해요. 올해와 來年 韓國 潛在成長率이 1%臺로 떨어질 것이라고 OECD가 警告한 理由 中 하나가 勞動力 不足입니다. 周邊 사람 20名 中 1名이 外國人인 多文化 社會의 門턱에 들어선 만큼 社會·文化的 統合까지 考慮한 中長期 移民政策 樹立(計劃 等을 세움)을 더 미뤄선 안 돼요.
 

東亞日報 10月 30日 字 社說 整理



 

 

 



▶에듀東亞 이선행 記者 opusno1@donga.com


위 記事의 法的인 責任과 權限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入力:2023.10.31 11:12
  • 著作權者 無斷複製-再配布 禁止
  • 目錄

  • 慰勞

作成者 必須
內容
/500글字

登錄된 댓글이 없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