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動物이 삼킨 쓰레기, 人間에게 돌아와요 > | 에듀東亞
初等敎育
  • 動物이 삼킨 쓰레기, 人間에게 돌아와요
  • 정민아 記者

  • 入力:2015.09.09 09:30

?

2050年에는 바닷새 99% 플라스틱 먹어

?

바다제비, 갈매기와 같은 바닷새 열 마리 中 여덟 마리는 바다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이로 알고 삼키고 있다는 硏究 結果가 나왔다.

 

濠洲 ABC放送은 濠洲聯邦科學院과 英國 임페리얼칼리지런던 共同硏究팀의 硏究結果를 引用해 現在 바닷새의 約 80%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고 있으며, 이들 中 90%는 內臟에 플라스틱이 남아있다고 報道했다. 이런 바닷새는 빠른 速度로 늘어나 2050年에는 99%의 바닷새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삼킬 것이라고 警告했다.

 

1960年代 初盤에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삼키는 바닷새가 5%를 넘지 않았지만 最近 數十 年間 그 數가 놀라울 程度로 늘어났다. 1950年代부터 플라스틱을 많이 生産하면서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量도 그만큼 늘었기 때문이다.


새의 배 안에서 發見된 플라스틱에는 라이터나 甁뚜껑과 같은 日常用品 뿐만 아니라 夜光팔찌, 風船, 模型自動車 彫刻도 있었다. 바다 近處를 날아다니며 먹이를 採集하는 바닷새들에게는 반짝이는 生鮮 알처럼 보일 수 있는 것들이다.

 

 

우리가 버리는 쓰레기 中 많은 量이 바다로 흘러들어갑니다. 바다에 사는 動物들은 이런 쓰레기를 먹이로 錯覺합니다. 바닷새들은 플라스틱 甁뚜껑 조각을 生鮮 알로 錯覺해 삼키고, 해파리를 좋아하는 바다거북은 비닐封紙나 風船을 먹이로 생각하고 먹는다고 합니다.

 

이렇게 바다 動物들이 플라스틱을 삼키면 어떻게 될까요? 바다 動物들만 苦痛 받을까요?

 

地球의 生態系는 한 몸입니다. 地球에 사는 모든 生物은 커다란 먹이사슬 構造로 連結되어 있답니다. 작은 물고기는 큰 물고기에게 잡아먹히고, 사람은 큰 물고기를 먹지요. 잘게 부서진 플라스틱 쓰레기를 삼킨 물고기가 우리의 食卓에 올라올 수 있어요. 우리가 버린 플라스틱 쓰레기가 우리에게로 돌아오게 되는 것입니다.

 

 

※ 재미 팡팡 새싹 퀴즈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가 정에서 實踐할 수 있는 方法에 對해 생각해보아요

?

?

?

위 記事의 法的인 責任과 權限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




#바다제비

#갈매기

#바닷새

#플라스틱

#쓰레기

#濠洲

#ABC放送

#바다動物

#生態系

#물고기

  • 入力:2015.09.09 09:30
  • 著作權者 無斷複製-再配布 禁止
  • 目錄

  • 慰勞

作成者 必須
內容
/500글字

登錄된 댓글이 없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