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그때 오늘

‘흐느끼며 떨어지는 마지막 잎새’ 腰絶 豫告한 ‘陪扈 死亡說’ 騷動

中央日報

入力

업데이트

紙綿보기

綜合 41面

1968年 7月. 한 TV의 ‘歌謠一番地’ 프로그램 PD의 作業室에 電話가 빗발치기 始作했다. “陪扈氏가 正말 죽었나요?” 비슷한 質問이 50餘 通이나 이어졌다. 이미 한 次例 大聲痛哭을 한 듯 목이 잔뜩 쉰 女性들도 있었다. 自初至終은 이랬다. 人氣歌手 陪扈가 地方 公演을 펑크내자 觀客들이 興奮했다. 엉겁결에 나선 司會者가 “어제 病이 도져서 入院했는데, 그만…”이라고 둘러댔다. 座中이 울음바다가 됐다. 所聞이 번지자 放送局에도 確認電話가 몰린 것이었다. 勿論 死亡說은 事實이 아니었다. 적어도 그때까지는. 42年 4月 24日 中國 산둥省에서 태어난 陪扈(本名 배만금·寫眞)는 光復軍 杯國民氏의 長男이었다. 많은 獨立鬪士의 子女들처럼 그도 가난에 시달리며 자랐다. 12人組 陪扈 밴드를 結成해 서울 낙원동 프린스 카바레 等에서 名聲을 떨쳤다. ‘도라지’란 말을 外國語처럼 살짝 굴리는 데뷔曲 ‘두메山골’은 獨特했다. 그 自身도 “第 唱法이 ‘참 건방지게 멋있다’는 말을 들었어요”라고 말했다.

66年 腎臟炎이 發病했다. 하지만 노래를 멈추지 않았다. 67年 3月 장충동 錄音室에서 吹入할 때는 한 小節 부르고는 털썩 주저앉을 程度였다. 그날의 新曲이 바로 ‘돌아가는 三角紙’였다. 그가 노래한 용산의 立體交叉路는 94年 撤去되고 陪扈 노래碑만 남는다.

71年 病勢가 惡化되자 病床에서 ‘0時의 離別’과 ‘마지막 잎새’를 錄音했다. 헐떡이는 숨결과 끓는 가래가 그대로 느껴지는 最後의 노래다. 公演 出演도 했다. “죽어도 노래하다 죽겠다”면서. 音樂만 틀어놓고 舞臺에 그대로 서 있던 때도 있었다. 그해 11月 7日 배호는 殞命했다. 病床 곁에는 1年 동안 떠나지 않고 看護해 주던 일곱 살 年下의 女性이 있었다. 죽기 하루 前 陪扈는 自身의 손목時計와 半指를 건네주면서 “안 가겠다”고 울부짖는 그女를 說得해 故鄕으로 돌려보냈다. 11日 예총회관에서 치러진 葬禮式에는 素服 입은 젊은 女人들이 數百 미터나 늘어섰다.

그가 떠난 지 38年. 노래房에선 如前히 陪扈 노래가 흘러나오고 인터넷에는 數百 個의 팬클럽이 活動하고 있다. ‘안개낀 奬忠壇 公園’을 기리는 奬忠壇 陪扈歌謠祭도 每年 열린다. 陪扈 노래 中에 歌詞에서 비가 내리는 것은 31曲, 안개가 낀 것은 13曲이라고 한다. 歌手 生活 5年에 300餘 曲을 남긴 熱情과 鬪魂의 삶. 노래는 멈췄는데 저 혼자 돌고 있는 LP 音盤처럼, 지직거리며 靈魂을 긁는 陪扈의 追憶은 멈추지 않는다.

이상국(文化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