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MBC C&I - 나무위키

MBC C&I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MBC프로덕션 에서 넘어옴
MBC C&I 로고
주식회사(株式會社) 엠비씨씨(氏)앤아이
MBC C&I Co.,Ltd.
모기업(某企業)
MBC 로고
국가(國家)
설립(設立)
출범(出帆)
업종명(業種名)
방송(放送) 프로그램 제작업(製作業)
상장여부(上場與否)
비상장기업(非上場企業)
법인형태(法人形態)
외부감사법인(外部監査法人)
전신(前身)
MBC 프로덕션
(1991년(年) 1월(月) 10일(日)~2011년(年) 7월(月) 31일(日))
MBC 미디어텍
(1991년(年) 1월(月) 10일(日)~2011년(年) 7월(月) 31일(日))
대표이사(代表理事)
소재지(所在地)
홈페이지
홈페이지 아이콘

1 . 개요(槪要) 2 . 역사(歷史)
2.1 . 통합(統合) 이전(以前) 2.2 . 통합(統合) 이후(以後)
3 . 주요(主要) 사업(事業) 4 . 역대(歷代) 임원(任員)
4.1 . 통합(統合) 이전(以前) 4.2 . 통합(統合) 이후(以後)
5 . 주요(主要) 인물(人物)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문화방송(文化放送) 의 방송(放送)콘텐츠 제작(製作)/판매(販賣)와 제작기술(製作技術) 인프라 구축(構築)을 위한 자회사(子會社)로, C ontents와 I nfra를 따서 C&I가 되었다.

2. 역사(歷史) [편집(編輯)]

2.1. 통합(統合) 이전(以前) [편집(編輯)]

MBC프로덕션

1991년(年) 1월(月) 설립(設立) 후(後) 2월(月)에는 서울 송파구 잠실동 198번지(番地) 소재(所在) 사옥(社屋)에서 현판식(懸板式)을 열어 첫 출발(出發)을 알렸다. 창립(創立) 얼마 후(後) 모기업(某企業)의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 <땅>을 시초(始初)로 드라마 외주제작(外注製作)을 맡았으며, 4월(月) 모기업(某企業)의 프로그램 판매(販賣) 업무(業務)를 넘겨받고 <토요문화(土曜文化) 마당>을 시초(始初)로 모기업(母企業)의 프로그램을 외주제작(外注製作)하기 시작(始作)했다. 5월(月) 일본(日本) NHK 엔터프라이즈 21과 <조선왕조(朝鮮王朝) 오백년(五百年): 임진왜란(壬辰倭亂)> 판매계약(販賣契約)을 맺고 7월(月)에는 CATV 프로그램 공급협정(供給協定)을 맺었으며, 1993 대전(大田) 엑스포 홍보(弘報)비디오 제작(製作) 낙찰(落札)까지 받았다. 11월(月)에는 미국(美國) 사반 엔터프라이즈와 애니메이션 합작(合作) 계약(契約)을 맺어 12월(月) 문화부(文化部)에 비디오 제작업자(製作業者)로 등록(登錄)했고, 사반 측(側)과 함께 <걸리버 여행기(旅行記)> 합작계약(合作契約)을 맺었다. 1992년(年) 4월(月) 모기업(母企業)으로부터 광고제작(廣告製作) 업무(業務)까지 넘겨받고 첫 독자(獨自) 애니 <꿈돌이>를 만들고 <나디아>를 시초(始初)로 외화(外貨) 더빙까지 맡기 시작(始作)했다.

1994년(年) 케이블TV 방송사(放送社)로부터 프로그램 제작(製作)을 수주(受注)받고 삼구통상(通商)이 주도(主導)한 '쇼핑 코리아 네트워크(현(現) CJ ENM 커머스부문(部門))' 컨소시엄에도 참여(參與)했고, 모기업(母企業)으로부터 애니메이션 구입(購入)/선정(選定)/제작업무(製作業務)를 넘겨받았다. 1996년(年) 여의도(汝矣島) 율촌(栗村)빌딩으로 본사(本社)를 옮기고 1997년(年) <꽃을 든 남자(男子)>를 시초(始初)로 영화(映畫)를 자체(自體) 제작(製作)했으며, 1999년(年) 부천(富川)카툰네트워크 [3] 설립(設立)에 출자(出資)한 후(後) 한솔CSN과 동영상(動映像) 텔레쇼핑사업(事業) 제휴(提携)를, 드림라인과 동영상(動映像) 판매사업(販賣事業) 제휴(提携)를 각각(各各) 맺고 2000년(年) MBC예술단(藝術團)을 합병(合倂)하여 관현악단(管絃樂團) 등(等) 산하(傘下) 예술단(藝術團) 운영(運營)과 탤런트 공채(公採)/프로모션 업무(業務)까지 끌어안았다.

2001년(年) 삼성(三星)에버랜드, 나래디지털엔터테인먼트와 함께 '3D 애니메이션 사업(事業) 컨소시엄'을 짜서 <꾸러기 더키>를 만들었고, 무한기술투자(無限技術投資)와 함께 'MBC무한영상(無限映像)벤처투자조합(投資組合)1~2호(號)'를 결성(結成)해 영화(映畫) 사업(事業)에도 발을 담그기 시작(始作)했고, 2002년(年)에는 MBC 프로그램 온라인 시청자(視聽者) 비디오 판매(販賣)를 개시(開始)했다. 2004년(年) DVD 판매(販賣)를 개시(開始)했고, 아울러 외국어판도(外國語版圖) 팔기 시작(始作)했다. 동년도(桐年度)에 해외수출(海外輸出) 업무(業務)를 모기업(母企業)에 넘기고 탤런트 공채업무(公採業務)를 폐지(廢止)했다. 2007년(年) 출판사업(出版事業)에도 손을 뻗었으며, 2008년(年) 경영(經營)센터 건물(建物)로 이전(移轉)하고 2009년(年) 산하(傘下) 관현악단(管絃樂團), 무용단(舞踊團), 합창단(合唱團)을 해체(解體)했다.

MBC미디어텍

1991년(年) 1월(月) 설립(設立) 후(後) 2월(月) MBC프로덕션과 같은 서울 잠실(蠶室) 사옥(社屋)에서 업무(業務)를 개시(開始)했고, 3월(月) 15일(日)에는 스웨덴 프론트라인 AB 사와 15만(萬)톤급(級) 화물(貨物) 및 유조선(油槽船) 명명식(命名式) 위성중계(衛星中繼)를 성사시켰는데, 당시(當時) 한국통신(韓國通信) 보은지구국(報恩地區局)-인도양(印度洋) 위성(衛星)-스웨덴 TATUM 지국(支局) 3원 중계(中繼) 방식(方式)으로 진행(進行)했다. 1992년(年) 1월(月) 영상편집실(映像編輯室)을, 9월(月) 더빙실(室)을 각각(各各) 열고 1993년(年) 이벤트사업(事業), 1994년(年) 방송(放送)SI사업(事業)을 각각(各各) 개시(開始)했다. 1997년(年) 정보통신부(情報通信部)로부터 정보통신공사업(情報通信工事業) 1등급(等級) 면허(免許)를 받고 1998년(年) 8월(月) ARS 및 음성사서함(音聲私書函) 기반(基盤) 연예정보(演藝情報)서비스 'MBC 엠비넷'을 실시(實施)한 후(後), 9월(月) 목동(牧童) 방송회관(放送會館)으로 본사(本社)를 옮겼다. 2002년(年) 영상편집실(映像編輯室)을 여의도(汝矣島) 경영(經營)센터로 옮기고 2003년(年) 서울 양평동에 스튜디오를 세웠으며, 2005년(年) 기술연구(技術硏究)팀을 신설(新設)한 후(後) 한국(韓國)DMB와 방송(放送)센터 시설공사(施設工事) 계약(契約)을 맺었다. 같은 해 종합편집실(綜合編輯室)을 디지털 체제(體制)로 전환시키고 2009년(年) 마포구 상암동 DMC첨단산업(尖端産業)센터 2층(層)으로 본사(本社)를 옮겼다. 2010년(年) 모기업(母企業)의 시설관리(施設管理) 업무(業務)도 넘겨받았다. [4]

2.2. 통합(統合) 이후(以後) [편집(編輯)]

2011년(年) 8월(月) 위 두 회사(會社)가 합쳐져 'MBC C&I'로 출범(出帆)한 후(後), 본사(本社)를 누리꿈스퀘어로 옮기고 11월(月) 스마트폰 전용(專用) 방송(放送)채널 ' 손바닥TV '를 개국(個國)했으나 2012년(年) 12월(月) 폐국(弊國)되었다. 2014년(年) 일산(一山) 드림센터로 또 이전(移轉)하고 2015년(年) MBC경인(京仁)으로부터 MBC 상품협찬(商品協贊) 대행(代行) 사업(事業)을 넘겨받았다. 2018년(年) DMC주차복합(駐車複合)빌딩 '파크엠'을 세우고 경기도(京畿道)로부터 성실납세자(誠實納稅者)로 선정(選定)받았다. 2021년(年) MBC 아카데미를 합병(合倂)했다.

3. 주요(主要) 사업(事業) [편집(編輯)]

  • 콘텐츠: 방송(放送) 프로그램 제작(製作), 방송(放送) 콘텐츠 유통(流通), 방송(放送) 프로그램 마케팅, 문화(文化)콘텐츠, 콘텐츠 기획(企劃)/출판(出版)
  • 인프라: 방송중계(放送中繼), 영상제작(映像製作), 종합편집(綜合編輯), 방송제작(放送製作) 기술(技術), 방송(放送)SI, 기술연구(技術硏究)
  • 아카데미: 교육사업(敎育事業)(MBC 아카데미)
  • 기타: DMC주차복합(駐車複合)빌딩 'Park M' 관리(管理)/운영(運營).

4. 역대(歷代) 임원(任員) [편집(編輯)]

4.1. 통합(統合) 이전(以前) [편집(編輯)]

MBC프로덕션

  • 대표이사(代表理事) 사장(社長)
    • 편일평 [5] (1991~1992)
    • 민용기 [6] (1992~1993)
    • 김성희 [7] (1993)
    • 최양묵 [8] (1994~1995)
    • 유흥렬 [9] (1995~1996)
    • 이긍희 (1996~1997 / 1999~2001)
    • 심상수 [10] (1997~1998)
    • 유수열 [11] (1998~1999)
    • 최종수 [12] (2001~2004)
    • 김지일 [13] (2004~2005)
    • 박종(鎛鐘) [14] (2005~2008)
    • 정수열 직무대행(職務代行) [15] (2008)
    • 장덕수 [16] (2008~2010)
    • 윤혁 [17] (2010~2011)
    • 황희만 [18] (2011)
  • 부사장(副社長)
    • 정길용 [19] (1997~1999)
  • 대표이사(代表理事) 상무(常務)
    • 박준하 [20] (1993~1994)
  • 상무이사(常務理事)
    • 김동성(金東聖) [21] (1991~1992)
    • 박준하 (1992~1993 / 1994~1995)
    • 김건영 [22] (1995~1999)
  • 이사(理事)(상임(常任))
    • 김건영 (1999~2001)
    • 이규용 [23] (2001~2004)
    • 정계춘 (2004~2005)
    • 정수열 (2005~2008)
    • 문진호 [24] (2008~2010)
    • 정수채 [25] (2010~2011)

MBC미디어텍

  • 대표이사(代表理事) 사장(社長)
    • 김종환(金鍾煥) [26] (1991~1992)
    • 황선영 [27] (1992~1994)
    • 최오규 [28] (1994~1995)
    • 최호룡 [29] (1995~1998)
    • 조정구 [30] (1998~1999)
    • 김광곤 [A] (1999~2000)
    • 박종규 [A] (2000~2003)
    • 문정철 [33] (2003~2005)
    • 박진석 [A] (2005~2009)
    • 최천 [A] (2009~2011)
    • 황희만 (2011)
  • 부사장(副社長)
    • 이원호 [36] (1997~1999)
  • 상무이사(常務理事)
    • 윤재덕 [37] (1991~1995)
    • 남궁옥인(人) [38] (1995~1998)
  • 이사(理事)(상임(常任))
    • 윤상도 [39] (1999~2005)
    • 정태식 [40] (2005~2008)
    • 김명철 [41] (2008~2011)

4.2. 통합(統合) 이후(以後) [편집(編輯)]

  • 대표이사(代表理事) 사장(社長)
  • 부사장(副社長)
    • 성보영 [45] (2017~2018)
    • 최창욱 [46] (2021~2024)
    • 정영(呈營)하 [47] (2024~)

5. 주요(主要) 인물(人物) [편집(編輯)]


[1] 존속법인인(存續法人人) (구(舊))MBC프로덕션 설립일(設立日). [2] 2012년(年) 파업(罷業) 당시(當時) 신천교육대(莘川敎育隊) 로 불렸던 그곳이다. [3] 부천시(富川市) 가 설립(設立)을 주도(主導)한 만화(漫畫) 기획업체(企劃業體)로, <두두리> 등(等)을 만들었으나 2005년(年) 해산(解散). [4] 해당(該當) 업무(業務)는 MBC C&I 합병(合倂) 후(後)에도 계속(繼續) 하다가 2011년(年) 12월(月) 31일부(日附)로 종료(終了).(출처(出處): <MBC연감(年鑑) 2012(CD롬)> p1356.) [5] 전(前) MBC 교양제작국장(敎養製作局長), 올림픽특집국장(特輯國葬), 기획실장(企劃室長). [6] 전(前) MBC 편성이사(編成理事). [7] 전(前) MBC 제작이사(製作理事). 퇴임(退任) 후(後) 현대방송 부사장(副社長)으로 영전(榮轉). [8] 전(前) MBC 문화사업국장(文化事業國葬), 심의위원(審議委員). [9] 전(前) MBC 통일문제연구소장(統一問題硏究所長). [10] 전(前) MBC 제작이사(製作理事). 퇴임(退任) 후(後) 춘천(春川)MBC 사장(社長)으로 이동(移動). [11] 전(前) MBC TV제작국장(製作局長), 춘천(春川)MBC 사장(社長). [12] 전(前) MBC 드라마국(局) 제작위원(製作委員). [13] 전(前) MBC 편성실장(編成室長), TV제작본부장(製作本部長). [14] 전(前) MBC TV제작본부장(製作本部長). [15] 전(前) MBC 라디오국(局) 부국장(副局長), 라디오본부(本部) 위원(委員). [16] 전(前) MBC 시사교양국장(時事敎養國葬). [17] 전(前) MBC 시사교양국(時事敎養國) 위원(委員). [18] 전(前) MBC 보도국(報道局) 정치부장(政治部長), 논설위원실(論說委員室) 논설위원(論說委員), 울산(蔚山)MBC 사장(社長), MBC 부사장(副社長). [19] 전(前) MBC 심의실장(審議室長), 해설주간(解說週間), 홍보국장(弘報局長), 보도이사(報道理事), 특임이사(特任理事). [20] 전(前) MBC 문화사업국(文化事業局) 부국장(副局長). [21] MBC, KBS, TBC PD 출신(出身). 1980년(年) 언론통폐합(言論統廢合) 후(後) KBS에 배치(配置)되었다가 1981년(年) 한국방송광고공사(韓國放送廣告公社) 창립(創立) 후(後) 비서실장(祕書室長), 사업부장(社業部長)을 거쳐 1984년(年) MBC 교양제작국(敎養製作局) 제작위원(製作委員)으로 이직해(移職海) 기획제작부장(企劃製作部長), 올림픽특집국(特輯國) 특집(特輯)2부장(部長), 심의실(審議室) TV심의부장(審議部長) 등(等)을 맡았다. 1993년(年) SBS프로덕션 전무(專務)로 영전(榮轉)되었다가 1994년(年) 이후(以後) YTN 상무(常務), 에스미디컴 대표이사(代表理事), 한국(韓國)TV프로그램제작사협회(製作社協會) 이사장(理事長) 등지(等地) 역임(歷任). [22] 전(前) MBC 라디오국(局) 부국장(副局長). [23] 1946~2015. 이인용(人用) 전(前) 앵커의 형(刑)으로 전(前) MBC 홍보(弘報)심의국 부국장(副局長). [24] 전(前) MBC 스포츠국장(局長), MBC꿈나무축구재단(蹴球財團) 사무처장(事務處長). [25] 전(前) MBC 시사교양국(時事敎養國) 부국장(副局長), MBC공정방송노조(公正放送勞組) 초대(初代) 위원장(委員長). [26] 전(前) MBC 기술관리국장(技術管理國葬). 퇴임(退任) 후(後) 모기업(某企業) 기술이사(技術理事)로 이동(移動). [27] 전(前) MBC TV기술국장(技術局長), 기술관리국장(技術管理國葬). [28] 전(前) MBC 관재국장(棺材國葬), 재무관리국장(財務管理國葬). 1997년(年) 2월(月) 16일(日) 작고. [29] 전(前) MBC 라디오국장(局長). [30] 전(前) MBC 기술운용국장(技術運用國葬). 퇴임(退任) 후(後) 모기업(某企業) 기술본부장(技術本部長)으로 이동(移動). [A] 31.1 31.2 31.3 31.4 전(前) MBC 제작기술국장(製作技術局長). [33] 전(前) MBC 기술본부장(技術本部長). [36] 전(前) MBC 경영이사(經營理事). [37] 전(前) MBC 제작기술국(製作技術國) 조명기술부(照明技術部) 부국장대우(副局長待遇). [38] 전(前) MBC 라디오기술국(技術局) 부국장(副局長). [39] 전(前) MBC 송출기술국(送出技術局) 부국장(副局長), 제작기술국(製作技術國) 부국장(副局長). 퇴임(退任) 이후(以後) 문화음향(文化音響) 대표이사(代表理事) 역임(歷任). [40] 전(前) MBC 방송기술국(放送技術國) TV송출부장(送出部長). [41] 전(前) MBC 방송(放送)인프라국(國) 기술기획부장(技術企劃部長), 디지털전환팀장(轉換팀長). [42] 전(前) MBC 보도국장(報道局長), 기획조정실장(企劃調整室長), 보도본부장(報道本部長), 특임이사(特任理事). [43] 전(前) MBC 선임기자(先任記者), 보도제작국(報道製作局) 부국장(副局長), 논설위원(論說委員). [44] 전(前) MBC 논설위원실장(論說委員室長). [45] 전(前) MBC 뉴미디어글로벌사업국장(事業局長), 관계회사국장(關係會社國葬). [46] 전(前) MBC 드라마본부장(本部長). [47] 전(前) MBC 방송(放送)인프라본부장(本部長). [48] <로봇수사대(搜査隊) K캅스>, <요술천사(妖術天使) 피(避)치>, <빨간망토 챠챠> 등지(等地) 더빙연출(演出) 담당(擔當).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