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효창운동장 - 나무위키

효창운동장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역대(歷代) AFC 아시안컵 결승전(決勝戰) 개최(開催) 경기장(競技場)
1회(回)
2회(回)
3회(回)
external/tbs.seo...
효창운동장
개장(開場)
1960년(年) 10월(月) 12일(日)
소재지(所在地)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용산구(龍山區) 효창원(孝昌園)로 177-15 (효창동)
경기장(競技場) 형태(形態)
표면(表面)
육상(陸上)트랙, 인조(人造)잔디
좌석(座席) 수(數)
15,000석(席)
홈 구단(球團)

1 . 개요(槪要) 2 . 역사(歷史) 3 . WK리그 홈구장 4 . 교통(交通) 5 . 리모델링(예정(豫定)) 6 . 여담(餘談)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대한민국(大韓民國)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용산구(龍山區) 에 위치(位置)한 종합(綜合) 운동장(運動場) . 효창공원(孝昌公園) 내(內)에 위치(位置)해 있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최초(最初)의 국제(國際) 규격(規格) 축구(蹴球) 경기장(競技場) 이다.

2. 역사(歷史) [편집(編輯)]

효창운동장 야간경기
2018년(年) 최초(最初)의 효창운동장(曉蒼運動場) 야간경기(夜間競技) (서울시청(市廳) 여자(女子)축구팀)
20170428 축구리그 한국...
7745 13439 5746
예전 전광판(電光板)
교체(交替)된 전광판(電光板)

1960년(年) AFC 아시안컵 개최(開催)를 위해 효창운동장(曉蒼運動場) 건립(建立) 계획(計劃)이 세워졌는데 위치(位置)가 위치(位置)다 보니 이런저런 갑론을박(甲論乙駁)이 많았다고 한다. 특히(特히) 당시(當時) 국회의원(國會議員)이던 김두한 이 격렬히(激烈히) 반대(反對)했다고 전(傳)해져 온다.

아무튼 건축(建築)은 그대로 강행(强行)되었고, 1960 아시안컵 역시(亦是) 무난(無難)하게 개최(開催)해 성공(成功)했다. 당시(當時) 관중석(觀衆席)들도 계속(繼續) 만원(滿員)을 이루어서 관중석(觀衆席) 밑 트랙 [1] 까지 사람들이 들어찼다는 것을 제외(除外)한다면 현재(現在) 효창운동장의 좌석(座席)은 15,000석(席) 남짓인데, 아시안컵 월남전(越南戰)의 경우(境遇)에는 무려(無慮) 3만명(萬名)이 운집(雲集)했다고 하는데, 허나 이건 정식(正式)으로 표(票)를 가지고 있었던 사람들의 숫자(數字)였고 실제로(實際로) 경기장(競技場) 주변(周邊)으로 몰린 인원(人員)은 족(足)히 10만여명(萬餘名) 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리고 표(票)를 가지고 있던 3만명(萬名) 조차도 많은 인원(人員)은 경기장(競技場)에 다 들어가지도 못해서, 대(大) 혼란(混亂)이 일어났을 정도(程度)였다고 한다. [2] 백범김구기념관(白凡金九記念館) 쪽 언덕에 올라가면 경기장(競技場) 전경(全景)이 한눈에 다 들어오는데, 경기장(競技場)에 못 들어가고 여기 언덕에 올라가 관람(觀覽)한 인원(人員)이 바글바글 했다니, 그야말로 엄청난 숫자(數字)가 몰렸었다.

결과적(結果的)으로 홈그라운드에서 개최(開催)된 1960년(年) AFC 아시안컵 에서 한국(韓國) 대표(代表)팀은 이스라엘 , 대만(臺灣) , 남베트남 을 따돌리고 우승컵(優勝컵)을 거머쥐어 2회(回) 연속(連續) 우승(優勝)의 금자탑(金字塔)을 쌓았다.

이후(以後)로도 월드컵 예선(豫選) [3] , 올림픽 예선(豫選) 등(等) 굵직한 경기(競技)를 치르다가 동대문운동장(東大門運動場) 이 국제경기(國際競技)를 치를 수 있도록 리모델링을 마치자 대표(代表)팀 경기(競技) 등(等) 빅매치들을 넘겨주게 되었고 이후(以後) 효창운동장은 국내(國內) 경기(競技)를 주로(主로) 개최(開催)하게 되었다. 1974년(年) 이후(以後)로는 잔디등(等)의 관리부실(管理不實)로 인한 운동장(運動場) 표면(表面)이 흙바닥과 같은 상태(狀態)가 되었고, 비만 왔다하면 수중전(水中戰)(水中戰)이(李) 되는 상황(狀況)이 되어, 거의 버려진 상태(狀態)로 있었고, 1978년(年) 9월(月)29일(日), 1981년(年) 9월(月)30일(日), 서울 시내(市內)의 서라벌중학교(徐羅伐中學校) , 서라벌고등학교(徐羅伐高等學校) 의 체육대회장(體育大會張)으로 대여(貸與)되기도 했다.

※ 1981년(年) 9월(月)30일(日)의 효창운동장 (서라벌(徐羅伐) 체육대회(體育大會) ( 서라벌중학교(徐羅伐中學校) , 서라벌고등학교(徐羅伐高等學校) 공동(共同) 개최(開催))). 사진(寫眞)에 보이는 전광판(電光板)은 1960년(年)부터 1982년(年)까지 사용(使用)된 것으로, 사진(寫眞) 자체(自體)가 희귀자료(稀貴資料)다.
181803
181804
181806

1983년(年) 4월(月) 1일(日)부터 1983년(年)10월(月) 3일(日)까지는 운동장(運動場) 자체(自體)가 폐쇄(閉鎖)되어, 그 기간(期間) 동안 낡은 시설(施設)을 정비(整備), 보수(保守), 일신(一新)하고, 리모델링하여 1983년(年)10월(月) 3일(日), 재(再) 오픈하였다.

2000년대(年代)까지도 실업축구(實業蹴球), 대학축구(大學蹴球) 등(等)의 경기(競技)는 효창(曉蒼)에서 주로(主로) 개최(開催)되어서 올드 축구(蹴球)팬들에게 효창(曉蒼) 하면 아마축구(蹴球)의 성지(聖地)로 이름이 높았다. 그래서인지 아직도 효창운동장에서 아마축구(蹴球) 경기(競技)가 개최(開催)되면 중장년(中壯年) 팬들이 고정적(固定的)으로 관중석(觀衆席)을 채우곤 한다. 사진(寫眞) 지금(只今)도 U리그 또는 초중고(初中高) 축구(蹴球)리그 가 열리는 날 효창운동장을 찾아가면 노인(老人) 축구(蹴球)팬들과 함께 경기(競技)를 관전(觀戰)할 수 있다.

1983년(年) 인조(人造)잔디 구장(球場)으로 변모(變貌)했으며 1991년(年),1998년(年), 2008년(年)에 인조(人造)잔디를 교체(交替)했다. 또한 과거(過去)에는 조도(照度)가 너무 낮고 변압기(變壓器)와 전구(電球) 등(等)의 노후화(老朽化)로 폭발(爆發) 위험(危險)이 있어 야간경기(夜間競技)를 하기도 어렵다는 문제(問題)가 있었다. 그러나 이 문제(問題)는 2017년(年) 10월(月)에 LED 조명(照明)이 설치(設置)되면서 해결(解決)되었다. 이때 전광판(電光板)도 같이 교체(交替)했다.

본부석(本部席)에 작은 지붕이 있고, 전광판(電光板)은 본부석(本部席)의 오른쪽에 위치(位置)하고 있다. 전광판(電光板)의 뒷편(뒤便)으로 백범(白凡) 김구(金九) 기념관(記念館)과 이봉창 의사(醫師)의 동상(銅像)이 보인다. [4] 위의 사진(寫眞)에서 경기장(競技場) 오른쪽 상편(上篇)에 보이는 흰색(흰色) 대리석(大理石) 건물(建物)이 백범김구(白凡金九) 기념관(記念館)이다.

경기장(競技場) 1층(層)에 설렁탕(설렁湯)집이 있다. 특이(特異)하게도 내부(內部)의 문(門)이 경기장(競技場)과 연결(連結)되어 있다.

인근(隣近)에 숙명여자대학교(淑明女子大學校) 가 있다.

조명(照明) 교체(交替)를 했더니 주변(周邊) 주민(住民)들이 밝아서 잠을 못잔다는 민원(民願)이 쏟아져 조도(照度)를 낮췄다고 하며 서울시청(市廳) 서포터즈에게는 소음민원(騷音民願)이 쏟아지니 응원(應援)을 하지말라는 민원(民願)이 쏟아졌다.

3. WK리그 홈구장 [편집(編輯)]

여자축구(女子蹴球)리그 WK리그 서울시청(市廳) 여자(女子) 축구단(蹴球團) 이 이곳에서 홈경기를 치르고 있다. 한때 월요일(月曜日) + 오후(午後) 4시(時) + 인조(人造)잔디라는 최악(最惡)의 3요소(要素)에 맞물려 경기(競技)를 치뤘지만 [5] 상술(商術)된 조명(照明) 교체(交替) 덕분(德分)에 2018시즌부터는 다른 WK리그 팀처럼 효창운동장에서 야간경기(夜間競技)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내부(內部)에 매점(賣店)이 있으나 경기(景氣)날 운영(運營)되지 않는다. 다행히(多幸히) 효창공원앞역 에서 올라오는 길에 GS25 세븐일레븐 이 있다. 또한 경기장(競技場) 입구(入口)에서 왼쪽에 국밥을 파는 식당(食堂)이 있는데, 식당(食堂) 안에서 경기장(競技場) 내부(內部)가 보인다.

결국(結局) 서울시청(市廳)은 2020 시즌부터는 목동운동장 주경기장(主競技場)으로 홈 경기장(競技場)을 옮겼다.

4. 교통(交通) [편집(編輯)]

서울 지하철(地下鐵) 6호선(號線) 경의중앙선(京義中央線) 효창공원앞역 에서 하차(下車)하면 찾아갈 수 있다. 생각보다 역(驛)에서 거리(距離)가 500m로 제법 된다. 오르막길이 있으니 400번(番) , 0411번(番) 으로 환승(換乘)해서 올라가도 된다.

5. 리모델링(예정(豫定)) [편집(編輯)]

2019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정부(臨時政府) 100주년(周年)을 기념(記念)하여 효창공원(孝昌公園)의 국립공원화(國立公園化)가 본격(本格) 추진(推進)되면서 효창운동장이 리모델링 될 예정(豫定)이다. 본래(本來) 철거(撤去)를 하려고 했으나 축구협회(蹴球協會) 등(等)의 반발(反撥)로 존치(存置)하는 방향(方向)으로 계획(計劃)이 수정(修正)됐다.

1999년(年) 서울시의회(서울市議會)가 철거(撤去)하려 했으나 무산(霧散)됐고 2005년(年) 참여정부(參與政府) 때 다시 철거론(撤去論)이 점화(點火)된다. 당시(當時) 국가보훈처(國家報勳處) 는 효창공원(孝昌公園)의 역사적(歷史的) 가치(價値)를 복원(復元)하고자 효창운동장을 철거(撤去)하고 그 자리에 넓은 광장(廣場)을 조성(造成)하여 국가적(國家的) 차원(次元)에서 공원(公園)을 조성(造成)하여 관리(管理)하려고 하였다. 구장(球場)을 없애는 대신(代身) 자그마한 소형(小型) 잔디구장(球場)을 조성(造成)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안은 축구계(蹴球界)에 반발(反撥)을 불러일으켰고 대체(代替) 구장(球場)을 설치(設置)하기 전(前)까지 철거(撤去)는 절대(絶對) 안된다고 맞섰다. 출처(出處) 대체(代替) 부지(敷地)를 찾지 못하자 결국(結局) 철거(撤去)안은 흐지부지됐다.

그런데 2018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臨時) 정부(政府) 수립(樹立) 100주년(周年)을 앞두고 다시 효창운동장의 철거(撤去)가 거론(擧論)되었다. 과거(過去) 무산(霧散)된 독립공원화(獨立公園火)를 다시 추진(推進)한다는 것이었다. 출처(出處)

서울시(서울市)에서는 효창운동장 철거(撤去)를 전제(前提)로 한 공원조성(公園造成) 방안(方案)을 검토(檢討) 중(中)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출처(出處) 2018년(年) 12월(月)에는 효창공원(孝昌公園)이 국가(國家) 관리(管理) 묘역(墓域)으로 지정(指定)될 수 있는 법적(法的) 방안(方案)이 개정(改正)되며 국립공원화(國立公園化)의 길이 더욱 가까워졌다. 기사(記事)

2019년(年) 발표(發表)된 안에서는 철거(撤去) 대신(代身) 리모델링 하는 쪽으로 방향(方向)이 바뀌었다. 철거(撤去)를 하려고 했으나 축구계(蹴球界)의 반발(反撥)이 너무 심(甚)해서 해당(該當) 노선(路線)을 철회(撤回)하기로 한 것이다. 서울시(서울市)의 계획(計劃)은 효창운동장의 스탠드와 트랙, 조명탑(照明塔) 등(等)을 일부(一部) 철거(撤去)하여 전반적(全般的)인 형태(形態)만 보존(保存)하는 것이었으나, 이 역시(亦是) 축구계(蹴球界)의 반대(反對)로 보류(保留)되고 2020년(年)까지 절충안(折衷案)을 만들어서 리모델링할 예정(豫定)이다. 현재(現在)까지 확정(確定)된 리모델링 계획(計劃)은 효창운동장의 역사적(歷史的) 가치(價値)를 인정(認定)하여 존치(存置)하고 운동장(運動場) 지하(地下)에 독립역사박물관(獨立歷史博物館)을 조성(造成)한다는 것이다.

6. 여담(餘談) [편집(編輯)]

  • 대한축구협회 에서 진행중(進行中)인 디비전리그 의 서울지역(地域) 중립구장(中立區長)으로 사용(使用)되고 있으며 K5리그 에 소속(所屬)되어 있는 서울 TNT 핏투게더 FC 가 훈련(訓鍊)과 리그 경기(競技)를 치루는 구장(球場)이다.
  • 네이버 웹툰 빌드업 에서 전국대회(全國大會) 결승(決勝)이 열리는 곳으로 묘사(描寫)된다. 다만 실제로(實際로)는 대부분(大部分)의 전국대회(全國大會)가 지방(地方)에서 개최(開催)되고, 결승전(決勝戰)은 해당(該當) 지자체(地自體)의 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에서 개최(開催)되기 때문에 효창운동장에서 전국대회(全國大會) 결승(決勝)이 치러질 일은 없다. 오히려 서울권(圈) 중고등부(中高等部), 대학부(大學部) 권역(圈域)리그 경기(競技)가 효창(曉蒼)에서 자주 개최(開催)된다.
  • JTBC의 2021년(年)부터 방영(放映) 중(中)인 뭉쳐야 찬다 2 어쩌다벤져스 가 홈구장으로 사용(使用)하고 있다. 사옥(社屋)인 상암동(上巖洞) 인근(隣近) [6] 인데다 이 시즌은 1기(期)와는 달리 8 대(代) 8 축구(蹴球)가 아닌 11 대(代) 11 경기(競技)를 치르기 때문이다. 뭉쳐야 찬다 3 에서도 첫 경기(競技)를 이곳에서 치렀는데 이번(이番) 시즌은 세계제패(世界制霸)를 목적(目的)으로 하여 해외(海外)에서 경기(競技)를 치르기 때문에 예전보다는 비중(比重)이 줄었다.

[1] 1960년(年) 당시(當時)엔 효창운동장에 트랙이 없었다. 일단(一旦) 아시안컵 개최(開催)를 위해 축구경기(蹴球競技)를 위한 필드만 조성(造成)했고, 육상(陸上)트랙은 그 이후(以後)에 깔렸다. 그래서 지금(只今) 있는 트랙의 크기를 봐도 정상적(正常的)인 육상경기(陸上競技) 규격(規格)의 트랙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실제로(實際로) 당시(當時) 신문기사(新聞記事)들을 봐도 효창운동장을 축구전용구장(蹴球專用球場)으로 보도(報道)하였고 이 때문에 일각(一角)에서는 효창운동장을 한국(韓國) 최초(最初)의 축구전용구장(蹴球專用球場)으로 칭(稱)하기도 한다. [2] 당시(當時)에는 전산발권(電算發券)이 없었기 때문에, 표(票)를 적당히(適當히) 팔다 보니 발생(發生)한 사태(事態)였다. [3] 1962년(年) FIFA 월드컵 예선(豫選) 2경기(競技)가 여기서 열렸다. 한 경기(競技)는 일본(日本)과의 아시아 지역(地域) 경기(景氣) (2:1 승리(勝利)), 나머지는 유고슬라비아와의 대륙별(大陸別) 플레이오프(1:3 패배(敗北)). [4] 이봉창(李奉昌) 의사(醫師)는 용산이 고향(故鄕)이며, 효창공원(曉蒼公園) 내부(內部)에 묘소(墓所)가 있다. [5] 서울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 보조경기장(補助競技場) 역시(亦是) 홈구장이긴 하나, 행사(行事)가 1년(年) 내내 치루어지는 곳이라 효창(曉蒼)에서 더 많은 경기(競技)를 한다. 가끔 노원(蘆原)마들스타디움 에서 야간(夜間) 홈경기를 치르기도 했다. [6] 서울 지하철(地下鐵) 6호선(號線) 이나 수도권(首都圈) 전철(電鐵) 경의중앙선(京義中央線) 디지털미디어시티역(驛) 에서 효창공원앞역 까지 지하철(地下鐵)로 한 번(番)에 갈 수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