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혼성(混成)그룹 - 나무위키

혼성(混成)그룹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분류(分類)
K-POP 관련(關聯) 문서(文書)
[ 펼치기 · 접기 ]
일반(一般)
아티스트 분류(分類)
매니지먼트 및
프로듀싱
팬 문화(文化)
각종(各種) 기록(記錄) 및
순위(順位)
활동(活動) 플랫폼
논란(論難) 및 문제점(問題點)
1 . 개요(槪要) 2 . 정의(正義) 3 . 유형(類型) 4 . 아이돌 5 . 목록(目錄)
5.1 . 한국(韓國) 5.2 . 일본(日本) 5.3 . 서양(西洋)
6 . 관련(關聯) 문서(文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남성(男性) 멤버와 여성(女性) 멤버가 함께 편성(編成)된, 말 그대로 혼성(混成) 그룹 .

2. 정의(正義) [편집(編輯)]

한국(韓國)에서 혼성(混聲)그룹이라는 용어(用語)는 대부분(大部分) '혼성(混成) 댄스 그룹'으로 한정(限定)되며 영어(英語)로는 이런 범주(範疇)에 주(週)로 'Coed group'이라는 표현(表現)을 쓴다. 8eight , 어반자카파 , AKMU 등(等) 댄스 이외(以外) 장르를 시도(試圖)하는 그룹은 혼성(混聲)그룹으로 표현(表現)하기보다는 대부분(大部分) 장르에 따라 지칭(指稱)하며 혼성(混成)밴드라는 용어(用語) 역시(亦是) 대부분(大部分) 록 밴드 로 한정(限定)짓는다.

2000년대(年代) 까지는 혼성(混聲)그룹들 역시(亦是) 대중적(大衆的)인 성공(成功)을 거뒀다. 원조급인(元祖級人) 철이와 미애 를 시작(始作)으로 ZAM , 룰라 , , 영턱스클럽 , UP , 스페이스A , 코요태 , S#ARP , 거북이 등(等)이 대표적(代表的)이다. 이 중(中) 쿨과 룰라는 가요대상(歌謠大賞)까지 받았으며 나머지 그룹들 역시(亦是) 높은 인기(人氣)를 얻었다.

하지만 아이돌 그룹이 사실상(事實上) 가요계(歌謠界) 주류(主流)를 완전히(完全히) 접수(接受)해버린 2010년대(年代) 부터 댄스 장르의 혼성(混成)그룹은 사실상(事實上) 주류(酒類) 자리에서 이탈(離脫)했다고 보는 시각(視角)이 대부분(大部分)이다. 비슷한 범주(範疇)에서는 그나마 써니힐 정도(程度)가 인지도(認知度)가 있었으며 [1] , 2016년(年) 데뷔한 KARD 가 해외(海外)를 중심(中心)으로 인기(人氣)를 얻으면서 그나마 명맥(命脈)을 이어가고 있는 중(中).

3. 유형(類型) [편집(編輯)]

  • 밴드인 경우(境遇): 여성(女性) 멤버가 보컬리스트인 경우(境遇) (4넌(年) 블론(論)즈, No doubt, 자우림, 크랜베리스, 라 오레하(下) 데 반(半) 고흐, 롤러코스터, 체리필터, 에반에센스 등(等))가 많지만 연주자(演奏者)인 경우(境遇)도 많은데 브로콜리 너마저가 대표적(代表的)이다. 플리트우드 맥, 르네상스, DNCE 등(等) 해외(海外)에도 꽤 흔한 구성(構成).
  • 힙합 그룹인 경우(境遇): 한국(韓國)의 경우(境遇) 업타운이 대표적(代表的)이며 위의 협의(協議)의 혼성(混成) 댄스 그룹과 다소(多少) 이미지가 겹치기도 한다. 외국(外國)의 경우(境遇) (구(舊)) 블랙 아이드 피스가 대표적(代表的).
  • 남자(男子) 프로듀서(작사(作詞) 작곡(作曲)과 노래 또는 연주(演奏) 겸임(兼任))와 여자(女子) 보컬인 경우(境遇): 의외로(意外로) 전세계적(全世界的)으로 굉장히(宏壯히) 흔한 형태(形態)인데 여자(女子) 보컬에 더 잘 어울리는 노래를 만드는 작곡가(作曲家)(프로듀서)가 아예 여자(女子) 보컬과 팀을 이루는 경우(境遇)이다. 아바(남성(男性) 멤버는 연주(連奏))와 카펜터스(남성(男性) 멤버는 연주(連奏))가 가장 대표적(代表的)인 예(例). (두 예 모두 남성(男性)멤버가 노래를 하긴 하지만 가창(歌唱) 비중(比重)은 매우 적고 노래는 대부분(大部分) 여성(女性) 멤버였다.) 한국(韓國)의 경우(境遇) AKMU가 전형적(典型的)으로 여기에 해당(該當)한다. 밴드 더더, 가을방학(放學), 러브홀릭(이쪽은 작곡가(作曲家)가 둘) 등(等)도 여기에 해당(該當)한다. 명백(明白)한 댄스그룹이었던 거북이의 경우(境遇) 이쪽에도 해당(該當)한다.(다만 노래 파트 배분(配分)은 정확히(正確히) 1/3씩) 클래지콰이 프로젝트의 경우(境遇) 남자(男子) 작곡가(作曲家)에 더해 여자(女子) 보컬이 둘, 남자(男子) 보컬이 하나였다.
  • 중창단(重唱團), 아카펠라 컨셉인 경우(境遇): 중창단(重唱團)의 경우(境遇) 현대에는 거의 사장(社長)된 그룹 형태(形態)지만 징기즈칸, 마마스앤 파파스, 보니 엠과 같이 한때는 꽤 유명(有名)했다. 아카펠라 그룹의 경우(境遇) 특정(特定) 성별(性別)로만 구성(構成)하기도 하지만 남녀(男女)가 섞인 형태(形態)가 더 많다. 바비 맥퍼린 같은 경우(境遇) 솔로 가수(歌手) 형태(形態)지만 녹음(錄音), 공연(公演)에는 혼성(混成) 멤버 여러 명(名)을 데리고 다닌다. 그 외(外) 포크 그룹 중(中) 국내(國內)의 여행(旅行)스케치, 마로니에가 예.

4. 아이돌 [편집(編輯)]

일본(日本) 아이돌처럼 아이돌 의 세계(世界)에서는 이미 도태(淘汰)된 지 오래다. 기껏해야 KARD , 트리플 H 정도(程度)가 아이돌형(型) 혼성(混聲)그룹일(日) 뿐 거의 대부분(大部分)의 혼성(混聲)그룹은 싹쓰리 에서 알 수 있듯 멤버들이 기혼자(旣婚者)인 경우(境遇)가 많아 아이돌과는 완전히(完全히) 거리(距離)가 멀다. [2]

로틴/차이돌 까지 그것도 이들 중(中) 해산(解散)그룹을 포함(包含)해도 스위티 , 오예밴드, 원더키즈 등(等)에 지나지 않고 이들의 특성상(特性上) 청일점(靑一點) 멤버를 둔 스위티와 홍일점(紅一點) 멤버를 둔 오예밴드 모두 진즉에 해산(解散)했고 원더키즈는 키즈플래닛 에서 결성(結成)한 임시(臨時) 그룹에 지나지 않는다. 최근(最近) 그나마 슈퍼키즈를 등단(登壇)해 완전히(完全히) 소멸(消滅)하지는 않은 상태(狀態)다. 물론(勿論) 로틴/차이돌은 또 다른 특성상(特性上) 보이그룹의 사례(事例)는 혼성(混聲)그룹보다 약간(若干) 많은 사례(事例)로 과거(過去) 90년대(年代) 사례(事例)까지 모두 쳐도 량현량하 , IDOL , 더 이스트라이트 , 유쏘보이 등(等) 만(萬) 존재(存在)했고 이들 모두는 대부분(大部分) 해산(解散)했다.

그 가운데서 유쏘보이는 걸그룹 유쏘걸과의 대칭(對稱)인 탓에 독자적(獨自的)인 이미지는 약(弱)하다. 더 이스트라이트 역시(亦是)도 후술(後述)한 남녀공학(男女共學) 과 유사(類似)한 문제(問題)로 해산(解産)한 후(後) 혼성(混聲)그룹과 마찬가지로 로틴/차이돌에서 보이그룹이 출원(出願)하지 않는 상황(狀況)이다. 굳이 있다면 최근(最近) 등장(登場)한 리소 정도(程度)가 보이그룹으로 추가(追加)했다.전체 보이그룹은 혼성(混聲)그룹에 비해 단(單) 한 그룹 수(手)만 더 많다.

아이돌의 기준(基準)은 데뷔 시점(時點) 기준(基準) 미혼(未婚)(+ 보이그룹 의 경우(境遇) 군(軍) 미필(未畢))을 어지간하면 기본(基本) 전제(前提)로 깔고 들어간다. 이는 아이돌의 특징(特徵) 상(上) 단순히(單純히) 노래를 불러주는 사람의 의미(意味)를 벗어나 연인(戀人)이 되어줄 수도 있는 사람이라는 기능(機能)이 추가(追加)되어 있는데 이게 아이돌 과 다른 가수(歌手)의 극명(克明)한 차이점(差異點)이기 때문이다. 이 차이점(差異點) 때문에 혼성(混聲)그룹은 '멤버끼리의 연애(戀愛)'라는 전제(前提)가 붙을 수도 있는 탓에 아이돌 시장(市場)에서는 살아남기 매우 어려워서 걸그룹 보이그룹 은 많이 결성(結成)해도 아이돌 혼성(混聲)그룹은 어지간해서는 결성(結成)하지 않는다. [3]

피처링 콜라보레이션 문화(文化)가 활성화(活性化)된 것 역시(亦是) 혼성(混成)그룹의 쇠퇴(衰退)에 영향(影響)을 미쳤다. 즉(卽), 제작자(製作者) 입장(立場)에서 남성(男性)과 여성(女性)이 같이 노래하는 컨셉의 곡(曲)이 나오면, 그냥 피처링을 붙이거나 콜라보레이션을 하면 되지, 굳이 관리(管理)의 어려움과 팬덤의 문제(問題)를 떠안으면서까지 혼성(混成)그룹을 유지(維持)할 필요(必要)가 없기 때문. 실제로(實際로) 마이티 마우스 가 대부분(大部分)의 타이틀 곡(曲)을 여성(女性) 정규(正規) 멤버가 아니라 '여성(女性) 보컬 피처링'으로 발표(發表)해 활동(活動)한 바 있다.

또한 노래와 퍼포먼스 정도(程度)를 강조(强調)했던 예전과는 달리 아이돌 문화(文化)가 일본(日本)으로부터 유입(流入)된 2010년대(年代) 이후(以後)에는 음악(音樂) 그룹이 아이돌과 팬덤 문화(文化)로 바뀌면서 단순히(單純히) 가수(歌手) 인 것을 넘어 어느 정도(程度) 애인(愛人) 의(義) 속성(屬性)을 겸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팬덤에게 애인(愛人)으로서의 가치(價値)가 별로(別로) 없는 혼성(混成)그룹은 점점(漸漸) 도태(淘汰)되었다.

이상민(李尙玟) 은 팬덤이 자신(自身)이 좋아하는 가수(歌手)와 다른 이성(異性)이 함께 활동(活動)하는 것을 그리 반기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說明)한 바 있다. 핑클 젝스키스 만 하더라도 둘이 따로 활동(活動)함에도 소속사(所屬社) 가 같아서 한쪽 팬이 다른쪽 안티가 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혼성(混成) 그룹이라면 아예 멤버들끼리 생사고락(生死苦樂)을 같이 하는 상황(狀況)이니 팬덤 유입(流入)이 더 어렵다. 그밖에도 젊은 멤버로 구성(構成)되는 아이돌의 특성상(特性上) 군백기(軍白旗) 나 이성(異性) 간(間) 갈등(葛藤)처럼 동성(同性)이면 신경(神經) 쓰지 않을 변수(變數)까지 생기니 더욱 관리(管理)가 어렵다.

한 때 김광수(金光守) 가 2010년(年) 당시(當時) 혼성(混成)그룹 남녀공학(男女共學) 을 데뷔시켰고 나름대로 인기(人氣)를 얻긴 했지만 남자(男子) 멤버 중(中) 하나인 열혈강호(熱血强豪) 가 사생활(私生活) 문제(問題)를 일으켜 제대로 활동(活動)조차 못하고 조용히 해체(解體)된 이후(以後) 남(男), 여(女) 멤버끼리 유닛으로 나누어 활동(活動)했지만 별다른 인기(人氣)를 얻지 못했다. 이후(以後) 대형(大型) 기획사(奇劃社)에서는 어지간하면 혼성(混成) 그룹을 결성(結成)하지 않게 되었고 김광수(金光守) 역시(亦是) 걸그룹인(人) DIA 를 결성(結成)하게 된다. 대형(大型) 기획사(奇劃社)들의 사정(事情)이 이러하니 중소형(中小型) 기획사(奇劃社)들은 더욱 시도(試圖)하지 않으려 한다.

이후(以後) 2017년(年) KARD , 2019년(年) K-TIGERS ZERO , 2020년(年) 박문치 유니버스 , 체크메이트 등(等)이 나왔지만 명맥(命脈)만 이어가고 있을 뿐 큰 인기(人氣)는 얻지 못하고 있다.

여하튼(如何튼) 유사연애(類似戀愛) 마케팅이 사실상(事實上) 전면(全面) 제한(制限)되는 것이나 다를 바 없으므로, 현재(現在) 혼성(混聲)그룹으로써 제대로 성공(成功)하려면 실력(實力), 음악성(音樂性), 독창성(獨創性) 면(面)에서 탈(脫) 아이돌 수준(水準)의 예술적(藝術的)인 능력(能力)으로 승부(勝負)해야 한다.

아이돌물 역시(亦是)도 혼성(混聲)그룹은 취급자체(取扱自體)를 하지 않고 절대다수(絶對多數)의 작품(作品)들이 영향(影響)을 준 일본(日本) 작품(作品)인 점(點)을 감안(勘案)하면 더욱 이러하다. [4] [5]


1994년(年)부터 2004년(年)까지 혼성(混聲)그룹들을 정리(整理)한 영상(映像)

5. 목록(目錄) [편집(編輯)]

  • 굵은 글씨 는 인지도(認知度)가 높은 그룹을 의미(意味)한다.
  • 당시(當時) 혼성(混聲)그룹들은 1집(輯)만 내고서 해체(解體)한 경우(境遇)들이 대부분(大部分)이었기 때문에 대중적(大衆的)으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완전(完全) 무명(無名)의 혼성(混成)그룹들의 경우(境遇)에는 이곳을 발췌(拔萃)하여 작성(作成)되었다. 출처(出處)

5.1. 한국(韓國) [편집(編輯)]

  • 고구려(高句麗): 1997년(年) 작곡가(作曲家) 심명훈 [6] 이 발굴(發掘)하고 프로듀서로 참여(參與)한 그룹이었으며 삼국시대(三國時代)때의 대륙(大陸)의 기상(氣像)을 노래 하겠다는 포부(抱負)의 컨셉으로 인(因)해서 멤버 5인(人)의 예명(藝名)이 광개토(송현석), 연개소문(김영현), 주몽(朱蒙)(이양희), 을지문덕(이성화(異性花)), 평강(平康)(문관순)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7] [8] 대표곡(代表曲)은 혈액형(血液型)을 대(對)한 사랑의 심리(心理)를 표현(表現)하는 댄스곡(曲)인 'A형(型) C형(型)' [9] 이들은 이듬해에 에서 특별출연(特別出演)하기도 했으며 1998년초(年初)에 기획사(奇劃社)의 마찰(摩擦)로 인해서 그룹이 와해(瓦解)된 후(後) 김영현은 아예 배우(俳優)로 전향(轉向)하기도 하였다. 또한 2018년(年)에 개봉(開封)된 영화(映畫)인 어른도감(圖鑑) 에 이들을 모티프로 한 동명(同名)의 그룹이 등장(登場)하기도 했다. [10]
  • 게임: 2003년(年)에 잠깐 활동(活動)했던 개그맨 김수용 , 이장숙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대표곡(代表曲)은 미야미야. [11] 그런데 뮤직비디오에는 동료(同僚) 개그맨들의 초호화(超豪華) 캐스팅(?)이었다. 특이(特異)하게도 데뷔를 설특집(特輯) 예능(藝能)에서 했다. '개그맨들이 앨범을 내면 망(亡)한다'라는 속설(俗說)을 깨기 위해 과감(果敢)하게 앨범을 준비(準備)했다고 했으나, 사실(事實)은 일회성(一回性) 프로젝트였다. 그 후(後) 이장숙은 개그계(개그界)에서 은퇴(隱退)한 후(後) 다른 앨범도 내고 누드화보도(畫報度) 찍고 피트니스 대회(大會)도 나가는 등(等) 여러 활동(活動)을 전전(轉轉)한 후(後) 사업(事業)으로 연명(延命)했다가 2022년(年) 10월(月)에 '이리안'으로 개명(改名)하여 활동(活動)을 재개(再開)했다.
  • 게리 골드 스미스:2006년(年)에 한중(韓中) 합작(合作) 4인조(人組) 여성(女性) 그룹인 비유(比喩)티 (B.U.T)출신(出身)의 메인보컬 지영이 소속(所屬)된 혼성(混成) 3인조(人組) 댄스그룹으로써 나머지 멤버는 게리 케이 (유근배) [12] 와 스미스 (정승현) [13] 으로 이루어졌다. 대표곡(代表曲)은 '넌 내꺼', '내(內) 사랑 스토커', 'Just one Day'등(等)이 있다.
  • 구피 : 남성(男性)3인조(人組) 그룹이지만 한때 여성(女性)멤버 제이미를 영입(迎入)해서 잠시(暫時) 혼성(混聲)그룹으로 활동(活動)했다가 나중에 다시 원래(元來) 남성(男性)그룹으로 돌아왔다.
  • 그래미티 (Grammy-T): 1998년(年) 태미, 연우, 성현(成俔), 한이로 구성(構成)된 혼성(混成) 4인조(人組)의 팀. 팀의 이름 처럼 미국(美國) 그래미 상(賞) 시상식(施賞式)을 목표(目標)로 삼았던 팀이기도 하다. 활동곡(活動曲)인 '날 위한 사랑'은 SBS 드라마인 모델의 OST로 쓰여졌으며 팀의 홍일점(紅一點)인 태미는 2000년(年)에 솔로로 재(再)데뷔하였다.
  • 깨비깨비: NRG 의 멤버 김환성 NRG 로 데뷔하기 전(前)에 활동(活動)했던 그룹이며 다른 멤버로는 박호정, 김형균, 이채원이 있다. 대표곡(代表曲)으로는 무선호출기(無線呼出機)를 소재(素材)로 한 노래인 '메세지', 후속곡(後續曲)으로는 '황야(荒野)의 무법자(無法者)'가(價) 있다. 야심(野心)차게 데뷔했지만 1집(輯) 활동(活動)에서 이렇다 할 성과(成果)를 내지 못하고 조용히 사라졌다. 후(後)에 멤버 김환성은 NRG로 재(再)데뷔해 활동(活動)하지만 2000년(年) 활동차(活動次) 중국(中國)에 다녀온 후(後), 상세(詳細) 불명(不明)의 급성(急性) 바이러스성(性) 호흡기(呼吸器) 질환(疾患)으로 인해 세상(世上)을 떠났다.
  • 남녀공학(男女共學) : 여자(女子) 4명(名), 남자(男子) 6명(名)으로 이루어진 혼성(混成)그룹으로 활동(活動)했지만 별다른 주목(注目)을 받지 못했고 게다가 이 그룹의 멤버였던 차주혁 의 과거(過去) 범죄행각(犯罪行脚)이 밝혀지면서 활동(活動)이 영구중단(永久中斷)된 것은 물론(勿論) 그룹 자체(自體)가 아예 해체(解體)되었다. 그 뒤 남성(男性) 멤버들로 구성(構成)된 SPEED 와 여성(女性) 멤버들로 구성(構成)된 5Dolls 로 분리(分離)되었다. 그나마도 원년(元年) 멤버 중(中) 절반(折半) 가량(假量)이 탈퇴(脫退)하고 추가(追加) 멤버가 들어온 상황(狀況). 결국(結局) 분리(分離)된 두 그룹 모두 주목(注目)을 받지 못하고 해체(解體)되면서 역사(歷史) 속으로 사라졌다.
  • N.G: 97년(年)에 나온 혼성(混成) 3인조(人組). 나인 갬블(Nine Gamble)의 약자(略字)라고 한다. 대표곡(代表曲)은 '남의 떡'. 또한 이 노래에는 킹카 만들기 라는 부제(副題)가 붙어있으며 당시(當時) 클럽에서도 자주 틀어질만큼 인기(人氣)가 많았다고 한다. 멤버구성(構成)은 이지업, 장세준, 한우정으로 결성(結成)되었다.
  • 노크 (Knock): 혼성(混成)그룹 거북이의 멤버인 지이가 1997년(年)에 몸담았던 3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으로 대표곡(代表曲)은 '못참겠네'가 있다.
  • 녹스 (NOX): 1998년(年)에 데뷔한 5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으로 유명(有名) 작곡가(作曲家)인 MINUKI가 프로듀싱 했으며 1977년생(年生)의 홍일점(紅一點) 멤버인 김시내를 포함(包含)하여 이승민, 강현우, 정성철, 정상(頂上)대로 구성(構成)되었다. 밝고 신나는 댄스곡(曲)인 미치도록을 발표(發表)했지만 그다지 빛을 보지 못했고 그 후(後) 팀명을 C&G로 바꾸어서 이듬해인 99년(年)에 2집(輯) '5.6(오뉴월(五六月))'을 냈지만 결국(結局) 뜨지 못했다. [14]
  • 더더 (혹(或) 더더밴드) : 김영준이 리더를 맡은 그룹. 1집(輯)과 2집(輯)의 보컬이 박혜경 , 3집(輯)과 4집(輯)의 보컬이 한희정 이었다. 1~3집까지는 2인조(人組) 혼성(混成) 그룹이었다가 4집(輯)부터 밴드의 모습을 갖추었다. 히트곡(曲)으로는 'Delight', 'It's you', '내게 다시'가(價) 있다.
  • 더 문(門): 케이블 채널인 엠넷의 VJ였던 권혁종이 활동(活動)했던 혼성(混成) 4인조(人組) 그룹으로 나머지 구성원(構成員)은 맹유(孟兪)라, 김주형, 박소현으로 만들어졌다. 타이틀곡(曲)은 '애사(哀史)'로 활동(活動)했으며 '부족(不足)한 나'는 나중에 엄정화의 2번째(番째) 베스트 앨범에 '수줍은 사랑' 이라는 곡(曲)으로 리메이크 되었다.
  • DOG: 왁스 가 솔로 데뷔 전(前)에 활동(活動)했던 그룹. 왁스는 이때 본명(本名)인 조혜리로 활동(活動)했으며 이혁준, 안자훈, 김득수로 구성(構成)되었다. 대표곡(代表曲)은 '경아(驚訝)의 하루'.
  • 도로시: 2004년(年)에 나온 모던 락(樂)을 하는 4인조(人組) 혼성(混成)밴드 그룹. 대표곡(代表曲)은 '소풍(逍風)'. 변유림(便儒林), 앤디, 조나단, 아이작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특이(特異)하게도 한국(韓國), 미국(美國), 호주(濠洲), 캐나다 출신(出身)의 4개국(個國) 멤버로 구성도(構成圖)어져 있다. 2004년(年) MBC 음악(音樂)캠프에서 1월(月)부터 6월(月)까지 실시(實施)한 이달의 신인(新人) 발굴(發掘) 코너에서 4월(月)의 신인(新人)으로 선정(選定)된 바 있다.
  • 도시풍경(都市風景): 1995년(年)에 데뷔한 혼성(混成) 4인조(人組) 록그룹으로 홍세존(洪世尊), 김진영(金晋榮), 유요셉, 최혜숙으로 구성(構成) 되었으며 대표곡(代表曲)은 '다시 사랑할수 없나' 가 있다. 방송(放送) 출연시(出演時)에는 홍세존(洪世尊)과 최혜숙의 2인(人) 체제(體制)의 듀오로만 나왔다.
  • 디아이피 (D.I.P): 원래(元來)는 보이그룹이었으나, 멤버 재정비(再整備)를 통해서 혼성(混聲)그룹으로 탈바꿈.
  • 디에이드 : 기타리스트 김규년이 쓴 곡(曲)도 많지만, 프로듀서 전담(專擔) 포지션은 아니다. 콘서트 같이 특별한 경우(境遇)를 제외(除外)하면 노래는 보컬 안다은이 혼자 부른다.
  • 리트머스 (Litmus): 2003년(年)에 기준(基準) (보컬), 필승(必勝) (건반(鍵盤)), 신디 (드러머)로 결성(結成)한 혼성(混成) 3인조(人組) 록밴드. 감성적(感性的)인 팝 발라드를 밴드의 형식(形式)으로 추구(追求)한것이 특징(特徵). 타이틀 곡(曲)인 '할아버지 시계(時計)'는 미국(美國)의 동요인(動搖人) Henry Caly Workd의 Grandfarher's Clock를 한국어(韓國語) 버전으로 리메이크 하였다. 팀이 해산(解散)한후 신디는 혼성(混聲)그룹인(人) 자자의(字字義) 3기(期) 멤버로 합류(合流)하였고 2007년(年)에는 방송인(放送人) 조영구와 함께한 트로트 듀오인 쓰리쓰리를 거쳐서 현재(現在) '장미(薔薇)' 라는 예명(藝名)으로 트로트 가수(歌手)로 전향(轉向)하였고 2011년(年)에 3인조(人組) 트로트 그룹인 팡팡걸스로도 활약(活躍)하였다. 기준(基準)은 현재(現在) CCM가수(歌手)로 활동중(活動中)이며 필승(必勝)은 필승불패(必勝不敗)라는 예명(藝名)으로 작곡자(作曲者) 활동(活動)을 하고있다.
  • 라온 (RAON): 2005년(年)에 신인가수(新人歌手) 서바이벌 프로그램인 KMTV 쇼탱 루(壘)키즈에서 결성(結成)된 혼성(混成) 3인조(人組) 그룹으로 쿨의 음악(音樂) 스타일을 연상(聯想)케하는 유쾌발랄(愉快潑剌)한 곡(曲)인 'Kiss'로 활약(活躍)하였다. 멤버는 이슬, 일호(一號), 최고(最高)로 구성(構成)되었다.
  • 락왕극단(落王極端): 1998년(年)에 배우(俳優) 추상미(抽象美) 의 오빠인 추상록 이 결성(結成)한 3인조(人組) 밴드. KBS의 여성(女性) 아나운서인 진양혜의 여동생(女同生)인 뮤지컬 배우(俳優) 진수현과 현재(現在) 악역(惡役) 전문배우(專門俳優)로 왕성(旺盛)하게 활동중(活動中)인 배우(俳優) 박호산 (당시(當時)에는 본명(本名)인 박정환으로 활동(活動).)으로 구성(構成)되었다. 대표곡(代表曲)은 '세리(稅吏)가 필요(必要)해'가 있다. 타이틀곡(曲) 활동(活動)을 마친 직후(直後)에 박호산 의 군입대(軍入隊)로 자연스럽게 해산(解散)하였다. 현재(現在) 멤버들 모두 배우(俳優)로 활동중(活動中)이다.
  • 럼블피쉬 : 2010년(年) 남자(男子) 멤버들이 모두 탈퇴(脫退)한 뒤로 최진이 혼자만의 그룹이 되었다.
  • 레모네이드: 대일(對日), 요한, 재경(財經)으로 구성(構成)된 1999년(年) 결성(結成)의 혼성(混成)그룹. 지난 1994년(年)에 '사랑보다 좋은 사랑'이라는 댄스곡(曲)으로 한번(番) 데뷔를 한바가 있는 솔로가수인(歌手人) 김대일과 작사(作詞), 작곡(作曲)을 담당(擔當)한 외국계(外國系) 멤버 요한, 모델 출신(出身)인 홍일점(紅一點)이 심재경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밝고 편안(便安)한 모던 록을 추구(追求)하였다. 대표곡(代表曲)은 '곰인형(人形)'
  • 레카 (LEXA): 2001년(年)에 데뷔했으며 금비(金肥) 거북이 에 들어가기 전(前)에 활동(活動)했던 그룹이다. 또한 현재(現在) 방송인(放送人)으로 활동(活動) 중(中)인 이 Key와 뉴 클리어에 이어서 이 그룹에 속(屬)해 있었다. [15] 대표곡(代表曲)은 '러브 발렌타인', '실망(失望)이야'가 있다. 참고(參考)로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방송(放送)사인 EBS에서 만든 3D 애니메이션인 '레카'의 주제곡(主題曲)인 '너의 길을 가라!'라는 노래를 불렀으며 작중(作中) 등장(登場)하는 음악(音樂) 그룹인 레카의 실사판(實寫板) 그룹이라고 한다. iTV경인방송(京仁放送)이나 SBS 호기심(好奇心) 천국(天國)에서 자주 게스트로 출연(出演)하였으나 활동(活動) 도중(途中)에 회사(會社)의 부도(不渡)로 인해서 자연스럽게 해산(解散)되고 말았다.
  • 레비스 (REBIS): 강정아와 연준범(聯準犯)으로 1997년(年)에 결성(結成)한 그룹. 대표곡(代表曲)은 '난 나야'. 연준범(聯準犯)은 2003년(年)에 또다른 혼성(混聲)그룹인(人) 웨스트로 활동(活動)하다가 2005년(年)에 솔로 아티스트로 전향(轉向)하였다.
  • 루키 : 정식명칭(正式名稱)은 세인트 루키며 1995년(年)에 데뷔한 혼성(混成) 3인조(人組)로 멤버는 신상근, 박광열, 한세희로 구성(構成). 대표곡(代表曲)은 혼자만의 사랑이라는 곡(曲)이며 이 노래로 SBS에서 10위권(位圈)에 랭크되며 인기(人氣)를 끌었으나 2집(輯)이 실패(失敗)를 하면서 역사(歷史) 속으로 사라졌다.
  • 마요네즈: 1998년(年) 데뷔한 5인조(人組) 댄스그룹이며 멤버는 서용(恕容), 진의남 [16] , 서지은, 이신영, 김태균이며 대표곡(代表曲)인 '그녀(그女)의 반지(半指)'로 활동(活動)했지만 별다른 인기(人氣)를 얻기 못했고 나중에 팀이 해체(解體)한후에 진의남과 서용이 소속사(所屬社)에 잔류(殘留)하여 11인조(人組) 대형(大型) 남성(男性) 그룹인 논스톱 [17] 에서 활동(活動)한다. 또한 이 그룹은 가수(歌手) 양파(洋파)와 깊은 관련(關聯)이 있는데 소속사(所屬社)가 양파(洋파)가 소속(所屬)된 신촌(新村) 뮤직 이었으며 팀의 이름도 양파(洋파)가 지어줬다고 한다. 또한 남성(男性) 멤버인 서용은 양파(洋파)의 사촌(四寸)동생인데다가 여성(女性)멤버 서지은의 경우(境遇) 양파(洋파)가 다니던 중경(重慶) 고등학교(高等學校)의 1년(年) 후배(後輩)이기도 하다.
  • 마운틴: 현재(現在) 원투 로 활동중(活動中)인 前 체크의 오창훈 , 의 김준희로 구성(構成)된 그룹으로 가요계(歌謠界)의 정상(頂上)에 오르겠다는 포부(抱負)가 담겼으며 1996년(年)에 발표(發表)한 탱고 탱고가 좋은 반응(反應)을 얻었다. 무려(無慮) 7개월(個月)동안 한 곡(曲)으로 길게 활동(活動)했다. 그 뒤 오창훈은 2003년(年) 스크림 출신(出身)의 송호범 과 함께 원투 의 멤버로 활동(活動)했으나 2023년(年)에 대장암(大腸癌) 투병(鬪病) 중(中) 세상(世上)을 떠났다.
  • 마이티 마우스 : 주로(主로) 여성(女性) 가수(歌手) 피처링 이 많아 사실상(事實上) 혼성(混聲)그룹에 가깝다고 보는 경우(境遇)가 많다.
  • 마리오 앤드: 솔로 래퍼인 마리오가 2006년(年)에 박시내, 송보람, 고은주로 구성(構成)된 3인조(人組) 여성(女性)그룹인 앤드 (And)와 함께 크로스 오버로 결성(結成)한 혼성(混成) 4인조(人組) 프로젝트 그룹. SBS 수목(樹木) 드라마인 마이걸의 OST인 'Never Say Good bye'로 활동(活動)하였다.
  • 믹스 (MIX): 잉크의 멤버 이만복이 2003년(年)에 결성(結成)한 혼성(混成) 3인조(人組) 그룹. 대표곡(代表曲)은 '집으로'이며 댄서 출신(出身)인 제(第)나와 모델 출신(出身)인 써니가 함께하였다.
  • 메카: 2001년(年)에 데뷔한 3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으로 김미정, 최선호, 김정환(金正煥)으로 구성(構成)되었다. 대표곡(代表曲)은 'my side' [18] 코요태의 노래를 연상시키는 유로 댄스를 구사(驅使)하는 혼성(混成) 3인조(人組) 그룹이다.
  • 메이비 (May-B): 1998년(年)에 여성(女性)보컬인(人) 정안과 남성(男性) 래퍼인 유비(劉備), 토미로 결성(結成)된 3인조(人組) 혼성(混成) 힙합그룹. 대표곡(代表曲) '낙타(駱駝)'
  • 모닝본드: 2001년(年)에 데뷔한 혼성(混成) 4인조(人組) 하드코어 계열(系列) 록밴드로 지나, 교현, 이병규, 최상균으로 구성(構成). 데표곡(票曲)은 'Why', '시끄러워'가 있다. 여성(女性) 보컬인 지나의 그로울링 창법(唱法)으로 화제(話題)가 되었으며 2001년(年)에 SBS 서울가요대상(歌謠大賞) 락(落) 부문(部門)의 신인상(新人賞)을 수상(受賞)하기도 했다.
  • 모던쥬스: 작곡가(作曲家)이자 프로듀서인 minuki(본명(本名) 신민욱)가 2004년(年)에 민욱, 다운, 지오로 구성(構成)된 혼성(混成) 3인조(人組) 록밴드. 대표곡(代表曲)은 '버스 정류장(停留場)', '사랑을 시작(始作)해도 되겠습니까?', '벙어리 장갑(掌匣)'이 있다. 특히(特히) '사랑을 시작(始作)해도 되겠습니까?'는 영화(映畫) 제니 주노의 뮤직비디오 삽입곡(揷入曲)으로 쓰이면서 인기(人氣)를 얻었으며 1집(輯) 수록곡(收錄曲)인 '벙어리 장갑(掌匣)'은 minuki 본인(本人)이 작사(作詞), 작곡(作曲), 편곡(編曲)한 샵의 5집(輯) 앨범 수록곡(收錄曲)인 샤베트를 리메이크 하였다. 2007년(年) 다운이 팀을 탈퇴(脫退)하면서 2인조(人組)로 활동(活動)했으며 지오(본명(本名) 손현정)는 미루로 개명(改名)했다.
  • : 1994년(年)에 김준희 가 소속(所屬)된 그룹이었으며 대표곡(代表曲)으로는 94년(年) 1집인 '새로운 느낌'과 95년(年)에 발표(發表)한 '나의 또다른 모습' 등(等)이 있다. 현재(現在) DSP 의 전신(全身)이 된 대성기획 소속(所屬)으로서 ZAM과 같은 소속사(所屬社)였다.
  • 미라클: 2008년(年) 7월(月)에 샵의 후계자(後繼者) 라는 기대주(期待株)로 데뷔한 그룹으로 반서진(反西進) (반(反)남규), 동광 (손동광), 필(筆) (김필주), 설희 (윤설희)로 구성(構成) 되었다. 대표곡(代表曲)은 '우리 둘이'. 그리고 투투의 노래인 '니가 내 것이 되어갈수록'을 리메이크 했었다.
  • E.N.C.A: 1996년(年) 결성(結成)의 혼성(混成) 3인조(人組) 힙합그룹. 타이틀곡(曲)인 'DV8'에 영어(英語)가 너무 많다는 이유(理由)로 방송활동(放送活動)을 제대로 해보지 못하고 해체(解體)하고 말았다. 그후(後) 윤희중은 타 가수(歌手)의 랩 메이킹과 피처링으로 활동(活動)하다가 1999년(年)에 솔로로 데뷔하였으며 황수정(黃水晶)은 허니 패밀리의 초기(初期) 멤버로 활동(活動)하였다. 박두현은 1998년(年)에 혼성(混成) 4인조(人組)인 유니티에서 박(朴)D라는 이름으로 제대뷔하였다.
  • 엠아이케이 (M.I.K): 약자(弱者)는 메이드 인 코리아 (Made In Korea)라고 하며 1996년(年)부터 1998년(年)까지 활동(活動)했던 혼성(混成)그룹 으로 4인조(人組)로 구성(構成)되었고 총(總) 네 장(張)의 음반(音盤)을 남겼다. 또한 멤버구성(構成)에는 1기(基)와 2기(基)가 있는데 96년(年)에 활동(活動)한 1기(期)멤버는 이소정, 최윤미, 구민호, 박성우등(等)의 여성(女性) 두명(名)과 남성(男性) 두명(名) 이었으며 97년(年)과 98년(年)에 활동(活動)한 2기(期)멤버는 여(與)1, 남(南)3 으로 재편성(再編成) 되었으며 이때는 원년(元年)멤버인(人) 박성우를 중심(中心)으로 하여 새롭게 합류(合流)한 임희은 [19] , 전(前)경윤, 윤(尹)(본명(本名):지윤)의 3명(名)을 추가(追加)하여 활동(活動)했다. 대표곡(代表曲)은 1기(期) 멤버 당시(當時)인 96년(年)에 발표(發表)한 '여우vs늑대', '컴백'과 재편후(再編後) 2기(期) 멤버들로 모인 97년(年)에 나온 '사랑의 무법자(無法者)', '동상이몽(同牀異夢)'등(等)이 있다. 참고(參考)로 1집(輯)의 멤버가 나가고 2집(輯) 멤버로 재편당시(再編當時)에는 약자(弱者)를 Magic In Korea로 변경(變更)했다. 1997년(年) 12월(月)부터 '동상이몽(同牀異夢)' 활동시(活動時)에는 남자(男子) 2명(名)의 멤버 한석훈, 박경구가 추가(追加)되었다. 박경구는 현재(現在) 연극배우(演劇俳優) 및 안무가(按舞家)로 활동중(活動中)이며,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尹氏), 트라이브스 등(等)에 출연(出演)했다.
  • 바나나: 1997년(年)에 결성(結成)하여 여(女)2 남(南)3의 5인조(人組) 혼성(混成)으로 구성(構成). 당시(當時) 멤버는 이은주, 양미경, 박정용, 안정준, 김범준. 1년전(年前)인 96년(年)에 나온 깨비깨비의 메세지처럼 삐삐를 다룬 노래인 대표곡(代表曲) '삐삐 쳐주세요.'와 후속곡인(後續曲人) '슈퍼마켓 걸' 등(等)이 있다. 재미있는 노래가사(歌詞)로 반짝인기(人氣)를 얻긴 했지만 크게 뜨지 못했다. 타이틀 곡(曲)의 작사(作詞),작곡자(作曲者)이자 리더로 활동(活動)한 박정용은 현재(現在) 홈페이지 제작강사(製作講師) 겸(兼) 프로그래머로 활동중(活動中)이다.
  • 바시아 (Vasia): NRG의 멤버인 천명훈이 2006년(年)에 프로듀싱한(韓) 3인조(人組) 혼성(混成) 댄스그룹으로 한국인(韓國人) 남자(男子) 두명(名) (김(金) 로미오, 타이거 마르코)와 중국인(中國人) 여성(女性)멤버 한명(名) (마틸다 풍(風))으로 구성(構成)되었다. 타이틀곡(曲)인 'Love Story'는 2000년(年)에 미국(美國)의 솔로가수인(歌手人) Aqua가 2003년(年)에 발표(發表)한 Cartoon Heroes를 병(病)맛스럽게 리메이크 하였다.
  • 바나나보트 : 노래는 별반(別般) 인기(人氣)를 끌지 못했지만 멤버 양동선이 비 닮은 꼴로 잠시(暫時) 주목(注目)을 받았다. 이후(以後) 양동선은 스타 오디션 위대(偉大)한 탄생(誕生) 시즌3에 출연(出演)했으며, 또 다른 남자(男子) 멤버인 신현우는 너의 목소리가 보여 시즌2 4회(回)에서 '춤추는 나얼'로 등장(登場)한데 이어 2017년(年) 1월(月) 25일(日) 솔로 앨범을 냈다.
  • 보그 : 제(第) 2의 영턱스 클럽이라는 별명(別名)을 가지고 소개(紹介)된 6인조(人組)의 혼성(混聲)그룹으로 대표곡(代表曲)은 'Hey! Bye! 꺼이'
  • VOY: 96년(年)에 결성(結成)한 문선아, 김기석, 유성식으로 이루어진 3인조(人組) 혼성(混成)댄스 그룹. 빠르고 신나는 가사(歌詞)가 인상적(印象的)인 대표곡(代表曲)인 '그렇겐 못해'로 활동(活動)했지만 그렇게 인기(人氣)를 얻지 못했다. 보이 라고 읽으며 약자(弱者)는 Voice of Youth라고 한다.
  • 붐: 장진, 박준영, 한성혁, 진영주(陣營週)로 구성(構成)된 4인조(人組) 혼성(混成)이며 대표곡(代表曲) 으로는 1995년(年) 나온 '예상(豫想)밖의 얘기'가 있지만 묻혀버렸다. 여담(餘談)으로 이 과는 전혀(全혀) 관계(關係)가 없다. 멤버 한성혁은 안타깝게도 고인(故人)이 되었다고. 그 후(後) 2007년(年) 타이푼 이 리메이크하여 2집(輯) 앨범 수록곡(收錄曲)으로 발매(發賣)되었다.
  • 비타민 (VITAMIN): 1995년(年)에 심현(深玄), 황일랑, 김대희, 고수봉으로 결성(結成)된 4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 대표곡(代表曲)은 '세상(世上)에 이런' 지상파(地上波) 출연(出捐)은 1~2회(回)에 불과(不過)하였고 땅 4개월(個月) 활동후(活動後)에 해체(解體)하였다. 고수봉은 댄서로 전향(轉向)하여 안무(按舞)팀인 나나스쿨을 결성(結成)하였다. 참고(參考)로 위에 서술(敍述)한 혼성(混聲)그룹인(人) 바나나를 만든 소속사(所屬社)와 동일(同一) 소속사(所屬社)였는데 바나나보다 2년(年)이나 일찍 만들어졌다.
  • V2 : 가수(歌手) 양준일 이 2001년(年) 결성(結成)한 프로젝트 혼성(混成) 그룹. 당시(當時)에는 양준일의 예명(藝名)으로 알려져 있었다. [20] 'Fantasy' 라는 곡(曲)으로 활동(活動)했으나, 기획사(奇劃社)의 사정(事情)에 의(依)해 활동(活動)을 접으면서 사라졌다. [21]
  • 베베 (BeBe): 자우림의 멤버인 구태훈이 프로듀싱하고 양성(養成)한 3인조(人組) 록밴드. 멤버는 기타 겸(兼) 보컬인 우연주, 드럼인(人) 말짱, 베이스인 김태윤이 있다. 대표곡(代表曲)으로는 '요술봉(妖術棒)'을(乙) 비롯하여 성장(成長)드라마 반올림(半올림) 시즌2의 주제곡(主題曲)인 '친구(親舊)야 놀자', '대박(大박) 우리들'이 있다. 이름처럼 재기발랄(才氣潑剌)하고 아기자기한 음악(音樂)을 시도(試圖)하였으며 우연주는 2007년(年)에 호연주(好演奏)라는 예명(藝名)으로 솔로로 활동중(活動中)이다.
  • 삐삐밴드 : 1995년(年)부터 1997년(年)까지 활동(活動)한 4인조(人組) 혼성(混成) 밴드. 대표곡(代表曲)은 '안녕(安寧)하세요', '딸기'. 2집(輯) 이후(以後) 이윤정 이 탈퇴(脫退)하고 '삐삐롱스타킹'으로 팀명을 변경(變更)하여 활동(活動)했으나 1997년(年) MBC 인기가요(人氣歌謠) 베스트 50 에 출연(出演)할 당시(當時) 카메라를 향(向)해 법규(法規) 를 날리고 카메라에 침을 뱉는 만행(蠻行)을 저지른 것 때문에 출연(出演)이 정지(停止)되면서 사실상(事實上) 해체(解體)되었으나 2015년(年)에 재결합(再結合)하였다.
  • 샤키 (Psyche): 예몽, 이성훈, 이히로(路)로 구성(構成). 1998년(年) 외국곡(外國曲)을 번안(飜案)한 '유혹(誘惑)'이란 댄스곡(曲)으로 데뷔한 3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 [22] 방송활동(放送活動)은 비록 많이는 하지 못했으나 나이트에서 큰 인기(人氣)를 끌었다. 한참이 지난 2019년(年)에 샤키의 유혹(誘惑) 무대자료(舞臺資料) 유튜브에 남성(男性) 멤버이자 메인보컬인(人) 이성훈의 친족(親族)이 댓글로 교통사고(交通事故)를 당(當)해 고인(故人)이 되었다는 부고(訃告)를 알리기도 했다.
  • 샵(S#arp) : 1998년(年) 데뷔하여 2002년(年)까지 활동(活動)한 4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 여자(女子) 멤버들( 이지혜 , 서지영 )의 인지도(認知度)와 인기(人氣)가 월등히(越等히) 높았고 당시(當時) 라이벌이였던 코요태 와는 정반대(正反對)의 색깔(色깔)로 혼성(混聲)그룹계(系)의 양대(兩大) 산맥(山脈)을 이루었으며 대중적(大衆的)으로도 인기(人氣)가 많았으나 2002년(年) 팀내(內) 불화사건(不和事件)으로 인해 결국(結局) 해체(解體)되었다. [23] [24]
  • 세븐: 1996년(年) 만들어진 여성(女性) CF모델인 손미시(市)와 김현구의 2인조(人組) 혼성(混成)듀엣. 대표곡(代表曲)은 '위험(危險)한 상상(想像)'
  • 스머프 : 1996년(年) 데뷔한 5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 멤버 중(中) 개리는 X-Teen (객원(客員))과 허니 패밀리를 거쳐 리쌍 으로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되고 이희성은 역시(亦是) X-Teen에서 활동(活動)하며 오주연은 보그로 다시 데뷔하게 된다.
  • 스핀: 1997년(年)에 데뷔한 최용호, 최혜란, 문태욱의 3인조(人組) 혼성(混成). 대표곡(代表曲)은 '느낌만으로', '이젠 안녕'. 가요(歌謠) 차트에서는 20~30위(位) 권(卷)에 잠시(暫時) 들었다. 팀 해산후(解散後) 최용호는 안무(安武)팀 프렌즈에 소속(所屬)되어서 이정현(李貞鉉), 엄정화의 백댄서로 활약(活躍)했으며 2000년대(年代)는 사이버 혼성(混聲)그룹인(人) T.G의 객원(客員)멤버로 투입(投入)되어서 일시적(一時的)으로 활동(活動)하였다.
  • 소호대 : 신현우, (한(韓))에스더의 듀엣으로 출발(出發)했다가 뒤에 에스더가 빠지고 김나은이 들어와서 활동(活動)했다. 대표곡(代表曲) '야(野)', '돌이킬 수 없는 사랑', '사랑 그리고 추억(追憶)'.
  • 스페이스A : 90년대(年代)의 혼성(混成)그룹. 이들이 부른 노래로는 섹시한 남자(男子), 성숙(成熟), again 등(等)이 있었다. 2002년(年)을 전후(前後)로 활동(活動)이 뜸했다가 11년(年) 만인 2013년(年) 2월(月) 21일(日)에 새로운 싱글을 내고 컴백했으나 실패(失敗)를 거두었다.
  • 스프링클러 (SPRINKLER): 이브의 G 고릴라 (김현기)가 요(要)아리와 이종민과 함께한 3인조(人組) 그룹으로 2007년(年)에 '보물섬(寶物섬)으로 향(向)해'로 활동(活動)했다. 당시(當時)에 외모지상주의(外貌至上主義)에 대(對)한 일침(一鍼)을 날리는 뜻에서 가면(假面) 퍼포먼스로 신비감(神祕感)을 자극(刺戟)하였지만 음악적(音樂的)인 트렌드에 맞춰나가기에 큰 무리(無理)가 따른다는 뜻에서 2009년(年)에 해산(解散)하였다.
  • 신우도(新右島) (SHIN WOODO): 1995년(年)에 결성(結成)된 혼성(混成) 4인조(人組)로 예지, 신비(神秘), 덕(德)아, 정요(定窯)로 구성(構成)되었다. 대표곡(代表曲)은 '가면(假面)속의 너'. 여담(餘談)으로 이들의 예명(藝名)은 지켜야될 덕목(德目) 중(中)에서 '예의(禮義), 신(神)의, 덕(德)의, 정의(正義)'에서 따왔다고 하며 당시(當時) 시대(時代)에 겉맞지도 않는 엉성한 댄스곡(曲)으로 나왔다가 조용히 사라지고 말았다. 아라비안 나이트의 가수(歌手)인 김준선이 프로듀싱에 참여(參與) 하였으나 그때의 음악(音樂) 트렌드로는 전혀(全혀) 통하지 않았다.
  • 섹시비트: 2000년(年)에 디지털 음반(音盤) 제작업체(製作業體)인 주식회사(株式會社) 이브레인즈에서 제작(製作)한 3차원(次元) 디지털 캐릭터 혼성(混聲)그룹으로 혼성(混成) 6인조(人組)의 사이버 그룹이다. 멤버는 아이디, 래디, 마리, 섹시 라이언, 빅픽, 퍽킹 플라이의 6명(名)이며 대표곡(代表曲)은 '요술공주(妖術公主)'.
  • 써니힐 [25] 2018년(年) 말(末)에 주비(周備)와 미성(美聲)이 연이어 탈퇴(脫退)하면서 팀 의 존재(存在) 자체(自體)가 불투명(不透明)하게 됐지만 새 소속사(所屬社)를 찾고 새 멤버를 영입(迎入)했다.
  • 싸이키: 1996년(年)에 나온 혼성(混成) 2인조(人組)인데 놀랍게도 작곡가(作曲家) 윤일상 이 이 그룹의 멤버로 있었다고 한다. 본인(本人)이 작곡(作曲)한 '행복탈출(幸福脫出)'이라는 노래로 활동(活動)했지만 별(別) 재미를 보지를 못했다. 당시(當時) 여성(女性)멤버이자 랩을 맡았던 강주현의 최근(最近) 근황(近況)은 불명(不明)이다. 참고(參考)로 1995년(年) 1월(月)에 수록곡(收錄曲) 일부(一部)가 비슷한 'Fantaism'이라는 앨범을 먼저 발매(發賣)했는데, '행복탈출(幸福脫出)' 발매(發賣) 당시(當時) 엎어진 계획(計劃) 포함(包含) 준비기간(準備期間)이 2년(年)이라고 언급(言及)된 것을 봐서 해당(該當) 앨범은 발매(發賣)가 불발(不發)된 듯.
  • 씨클로: 배우(俳優) 정양 이 키드, 링크와 함께 2001년(年)에 활동(活動)한 그룹이지만 혜령(慧令)(본명(本名) 최혜령) [26] 이라는 가수(歌手)가 립싱크를 담당(擔當)하여 이로 인해 큰 파동(波動)이 일어나 흑역사(黑歷史)가 된 그룹이다. 결국(結局) 이 일로 인(因)해서 정양(鄭孃)은 연예계(演藝界)에서 퇴출(退出)되어 버린다. 대표곡(代表曲)은 'Change' 딱 이거 하나만 내고 사라진다. 다만 립싱크를 담당(擔當)했던 혜령(慧令)은 2003년(年)에 솔로로 데뷔하여 현재(現在)까지 활동중(活動中)이다.
  • C4: 1997년(年)에 데뷔한 여(與)1 남(南)3의 혼성(混成) 4인조(人組) 팝 댄스 그룹. 대표곡(代表曲) '고정관념(固定觀念)', '슬퍼지는 내 모습'. [27] 팀명(名)의 유래(由來)는 폭약(爆藥)의 일종(一種)인 Composion-4의 약자(弱者) 라고한다. 1998년초(年初)까지 활동(活動) 후(後) 소리소문(所聞) 없이 사라졌다.
  • 아웃렛 : 2021년(年) 여름 미스트롯 TOP12 출신(出身) 박성연 , 미스터트롯 출신(出身) 가수(歌手) 영기(靈氣) [28] 안성훈 이 결성(結成)한 혼성(混成) 3인조(人組) 그룹. 데뷔곡(曲) '돌아버리겠네'는 김광연 이 돌아버리겠네 챌린지에 참여(參與)하면서 해당(該當) 구독자(購讀者)들 사이에 이름을 알렸다. 특이(特異)한 점(點)은 세 사람 다 현역(現役) 트로트 가수(歌手) 임에도 '돌아버리겠네'는 트로트가 아닌 댄스곡(曲). 때문에 뽕끼를 빼느라 고생(苦生)했다고 한다.
  • 안전벨트(安全벨트): 1995년(年)에 정나현, 공형택, 김세훈, 신동훈으로 이루어진 4인조(人組) 혼성(混成) 댄스그룹. 대표곡(代表曲)은 ' 지금(只今)은 내부(內部) 수리중(修理中) '. 앨범은 당시(當時) 신곡(新曲) 몇 곡(曲)과 소속사(所屬社) 소속가수(所屬歌手)들의 다른 수록곡(收錄曲)을 짜깁기하여 발매(發賣)되어 팬들의 원성(怨聲)을 샀으며, 방송용(放送用)으로 공개(公開)했던 리믹스 트랙조차 수록(收錄)되지 않았다. 멤버들의 사진(寫眞) 한 장(張)조차 없는 것도 덤. 모델출신(出身) 홍일점(紅一點) 정나현은 1994년(年)에 '광고시대(廣告時代)'라는 솔로앨범을 발매(發賣)한 바 있으며, 이들의 신곡(新曲) 중(中) '흔들리는 너', '좋은 것 나쁜 것'은 같은 해에 혜은이가 리메이크했다. 역시(亦是) 같은 소속사(所屬社)여서 가능(可能)했던 것인데 전곡(全曲)이 리메이크였던 사실(事實)은 아쉽다.
  • 알로 (Halo): 1997년(年) 9월(月)에 나온 혼성(混成) 2인조(人組) 그룹으로 멤버는 김주훈 [29] , 김지혜이며 대표곡(代表曲)은 댄스음악(音樂)인 '랄랄라', 잠자는 숲속의 왕자(王子)'. 혼성(混成)그룹의 전성시대(全盛時代) 당시(當時)에 그냥 잠시(暫時) 나왔던 그룹으로 너무 빨리 묻혀서 재빠르게 사라졌다. 여담(餘談)으로 이 그룹의 제작자(製作者)는 가수(歌手) 윤상이 프로듀싱했다고 하며 이들의 노래인 랄랄라는 나중에 2009년(年)에 소녀시대가 윤상 20주년(周年) 기념(記念) 앨범에서 랄랄라를 리메이크 했고 윤상이 작곡(作曲)했던 잠자는 숲속의 왕자(王子)의 경우(境遇)에는 이들이 해체(解體)한지 14년(年) 뒤에 여성(女性) 솔로가수인(歌手人) 아이유가 정규(正規) 2집(輯) 트랙의 수록곡(收錄曲)으로 실리게 된다. 또한 수록곡(收錄曲) 중(中)에서 '백제(百濟)' 라는 곡(曲)은 가사(歌詞)때문에 방송금지(放送禁止) 처분(處分)을 받았던 적이 있다.
  • 얌야밍 : 나이스 엔터테인먼트 라는 곳에서 1999년(年) 데뷔한 혼성(混成) 3인조(人組). 온라인 게임인 암야(暗夜)밍 이라는 브랜드의 특별(特別) 오디션으로 선발(選拔)된 프로젝트 그룹이며 당시(當時) 멤버는 지누리, 김수혁, 도영우로 당시(當時) 전원(全員)이 고등학교(高等學校) 1학년생(學年生)으로 구성(構成)되었다. 대표곡(代表曲)은 '거짓말', '과대망상(誇大妄想)', 타임캡슐', '랄랄라'이며 작곡가(作曲家) 김형석이 프로듀싱에 참여(參與)하였다. 또한 빙그레 비비빅 광고(廣告)에도 출연(出演)했지만 이 그룹이 존재(存在)했었다는 사실(事實)조차 모를 정도(程度)로 성공(成功)을 거두지 못했다. 여성(女性) 멤버인 지누리는 아역배우(兒役俳優) 출신(出身)으로 팀 해체(解體) 후(後) 연기자(演技者) 활동(活動)을 재개(再開)했으며 '치키치키 붕붕' 한국판(韓國版)을 비롯해 여러 프로그램의 MC를 맡았으나 2006년(年) 엠넷 의 '와이드 연예(演藝)뉴스'를 끝으로 연예계(演藝界)를 떠났다.
  • 유(有)알아이 (YRI): 재미교포(在美僑胞)인 Ray 전(前), 박서인, 권재연, 유민(遺民)으로 구성(構成)된 혼성(混成) 5인조(人組) 대표곡(代表曲)은 'You&I'. 원래(元來) 이 그룹은 조(兆) PD와 Ray 전이(轉移) 2인조(人組) 힙합그룹으로 만들어졌으나 앨범 발매전(發賣前)에 조 PD가 음악적(音樂的) 견해(見解)로 탈퇴(脫退)하면서 다른 멤버들을 영입(迎入)하여 혼성(混成) 댄스 그룹으로 바꾸어서 데뷔했다. 방송활동(放送活動)을 시작(始作)하면서 신(新)멤버로 이선형을 추가(追加)로 영입(迎入)하였다. 그룹 해체후(解體後)에는 Ray 전(展)은 Ray Jay라는 이름으로 랩퍼로 활동(活動)했다.
  • 어스(US) : 유채영 을 떠난 뒤 대니(신정환)와 함께 결성(結成)한 듀엣. 뒤에 유채영 대신(代身) 장보영이 들어와서 활동(活動)했다. 대표곡(代表曲) '지금(只今) 이대로', '자유(自由)'. 그 뒤 유채영은 솔로로 전향(轉向)했으나 안타깝게도 2014년(年) 위암(胃癌) 투병(鬪病) 끝에 돌아오지 못할 먼 길을 떠났다.
  • 에다호: 홍진경 이 소속(所屬)된 4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 1994년(年) 데뷔했는데, 앨범자체(自體)에 멤버사진(寫眞)이 거의 없을 정도(程度)로 소속사(所屬社)에서 신비주의(神祕主義) 컨셉을 강조(强調)했다. 데뷔곡(曲)은 윤일상 이 만든 '초콜렛 같은 너'였고 당시(當時) 가수출신(歌手出身)에 신인(新人) 작곡가(作曲家)였던 정성(精誠)헌과 주영훈 도 가세(加勢)해 만들었으나 실패(失敗)했다.
  • 에프머신 (F-Machine): 1996년(年) 4월(月)에 데뷔한 혼성(混成) 3인조(人組) 그룹으로 사이버 펑크라는 장르를 들고 등장(登場)했다. 당시(當時) 멤버는 염재욱, 김신부(金神父), 오희지로 구성(構成)되었으며 사회(社會)를 풍자(諷刺)하는 느낌의 랩송인(人) 'News'와 자유분방(自由奔放)한 느낌의 댄스곡(曲)인 '수리수리'로 활동(活動)했으나 대중성(大衆性)이 없어서 뜨지 못하고 사라졌다. 타이틀곡(曲)의 활동종료(活動終了) 직후(直後)에 김신부(金神父)와 염재욱이 탈퇴(脫退)하고 김성곤(金成坤)과 왕호상이 영입되어 활동(活動)을 이어나갔다. 다만 이 그룹의 멤버였던 염재욱은 2002년(年)에 신비(神祕)한 TV 서프라이즈 에 출연(出演)하면서 배우(俳優)로 완전히(完全히) 전업(轉業)하여 현재(現在)까지 활동(活動)하고 있으며 나머지 멤버들의 근황(近況)은 찾아볼 수 없다.
  • 에이스 (A.C.E)
    2001년(年)에 ACLIPS 엔터테인먼트에서 1집(輯) 무풍대박(無風帶泊)으로 데뷔한 4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 대표곡(代表曲)은 Heart, 고백(告白). 타이틀곡(曲)인 Heart의 MV의 경우(境遇)에는 권오중이 출연(出演)했는데 에이스맨이라는 이름의 전대물삘이 나는 특촬물 컨셉을 잡고 촬영(撮影)하기도 했다. 하지만 워낙 무명(無名)이었고 인지도(認知度)를 위한 방송활동(放送活動) [30] 도 거의 없었기 때문에 결국(結局) 묻혀버리고 말았다. 참고(參考)로 이 그룹도 UP를 프로듀싱한(韓) 유명(有名) 작곡가(作曲家)인 장용진과 윤일상이 공동(共同)으로 프로듀싱했으며 멤버는 은별 (본명(本名):정세(情勢)인), 은빛(銀빛) (본명(本名):김은비), 박성호, 박세진 (후(後)에 안상진이라는 예명(藝名)으로 솔로활동(活動).)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 엔터포스 (Enter POS): 1998년(年)에 데뷔한 혼성(混成) 4인조(人組). 대표곡(代表曲) '은밀(隱密)한 사랑', 가창력(歌唱力)이 나름대로 괜찮은 미디엄 템포의 곡(曲)이었지만 그다지 뜨지 못했다. 멤버구성(構成)은 조승균, 김시헌, 김용석, 김지연. 나중에 2집(輯) 활동(活動)때 혼성(混成)그룹 콤마에서 활동(活動)하던 임준형을 영입(迎入)하고 5인조(人組)로 재편성(再編成)했다.
  • 엔에이지(地): 2003년(年)에 타이틀곡(曲) '달의 공주(公州)'로 활동(活動)한 4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 온라인 게임인 엔에이지의 등장(登場) 캐릭터를 바탕으로 하여 결성(結成) 하였으며 강렬(强烈), 령(令)아, 현(現), 명성(名聲)의 남성(男性) 2인(人), 여성(女性) 2인(人)으로 구성(構成)되었다. 2003년(年) 7월(月)에 앨범을 발매(發賣)한 이후(以後)에 가을경(頃) 매니저의 불미(不美)스러운 성추행(性醜行) 사건(事件)으로 인해서 자연스럽게 해체(解體)되고 만다.
  • M3: 터보의 마이키와 퍼니 출신(出身)의 미(美)카 (우미진), 이 그룹으로 데뷔하여 나중에 힙합듀오인(人) 프리스타일의 멤버로 활동(活動)하게 되는 미노로 결성(結成)된 그룹. 2005년(年)에 '사랑을 해요', '사랑했다'로 활동(活動)했다. 타이틀곡(曲)을 마친 직후(直後) 미노가 탈퇴(脫退)하고 혼성(混成) 듀오로 탈바꿈하였다.
  • 오(誤)앤스쿨 (O.N.SCHOOL): 록밴드 자우림의 김윤아 의 남동생(男동생)인 김윤일이 1998년(年)에 속(屬)했던 6인조(人組) 혼성(混成) 그룹. 또한 현재(現在) 연기자(演技者)로 활동중(活動中)인 강성미 도 이 그룹에 속(屬)해 있었다. [31] 그리고 이들 말고도 여성(女性) 랩퍼를 맡은 백수진, 김재석, 장(腸)아진, 이세한으로 구성(構成)되었다. 대표곡(代表曲) '빅뱅'. 후(後)에 김윤일은 나는 가수(歌手)다 에 출연(出演)했다. 대표곡(代表曲)은 'Big Bang (혼돈(混沌)과 질서(秩序))'로 활동(活動)했다.
  • 오룡비무방(非無妨) (五龍飛舞坊): 1998년(年)에 가수(歌手) 김완선(金緩宣) 이 프로듀싱한(韓) 그룹 [32] . 김완선의 이모(姨母)인 한백희의 아들 겸(兼) 김완선의 사촌(四寸)동생인 김정현, 보이시한 느낌의 숏컷을 하고서 남자(男子) 같은 외모(外貌)가 특징(特徵)을 하고있는 여성(女性)멤버인 김민수(金玟秀), 실제(實際) 폭주족(暴走族) 출신(出身)의 리더인 장지원, 태권도(跆拳道) 전국대회(全國大會) 우승경력(優勝經歷)을 가진 멤버이자 팀에서 유일(唯一)하게 '소닉 제(第)' 라는 예명(藝名)을 사용(使用)한 박제진, 1997년(年)부터 백(百)댄서 활동(活動)을 해왔던 안무담당(按舞擔當) 멤버인 안정국(安定國)으로 구성(構成)되었다. 팀명(名)은 5마리의 용(龍)이 날아다니고 춤추는 동네(洞네)라는 뜻이다. 1집(輯)앨범이자 마지막 앨범인 제일차혁명(第一次革命)(第一次革命)의 대표곡(代表曲) '삐빱빠 룰라 룰라'로 활동(活動)하고 사라졌다. 1집(輯) 이후(以後) 멤버를 재정비(再整備)하고 팀명을 화이트 크루라고 이름을 개명(改名)하고 2집(輯) 준비도중(準備途中)에 해체(解體)를 맞았다. 그룹의 멤버였던 김정현은 현재(現在) 김완선의 매니저로 활동중(活動中)이지만 후덕한 모습으로 슈퍼스타 K4에 근황(近況)을 알려 잠시(暫時) 화제(話題)가 되기도 했으나 나머지 멤버들의 근황(近況)은 알려진 바가 없다.
  • 악녀(惡女)클럽: 2008년(年) 가을에 찬찬찬으로 유명(有名)한 가수(歌手) 편승엽이 앨범 제작(製作)에 참여(參與)한 성인층(成人層) 타겟의 3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으로 40대(代) 여성(女性) 2명(名)인 김유정(金裕貞), 마이진(眞) [33] 과 택견 선수(選手) 출신(出身)의 20대(代) 남성(男性)인 제트 (김재후)로 결성(結成)되었다. 타이틀곡(曲)은 '악녀(惡女) 바이러스'이며 정식(正式)으로 데뷔하기 전(前)에 SBS의 예능(藝能) 프로그램인 스타킹에 출연(出演)하며 반짝 주목(注目)을 받았다.
  • 월드: 소방차(消防車)의 멤버였던 김태형이 1995년(年)에 프로듀싱한(韓) 그룹. [35] 친남매인(親男妹人) 최재은 [36] 과 최선(最善) [37] 을 필두(筆頭)로 신명호 [38] , 성재혁 [39] , 한정(限定)은 [40] 으로 구성(構成)된 혼성(混成) 5인조(人組) 그룹이며 세계(世界)의 다양한 스타일을 한국식(韓國式)으로 소화(消化) 시키겠다는 의미(意味)를 가졌다. 대표곡(代表曲)은 러시아의 민요(民謠)인 폴카를 믹싱한 '엄마들의 예감(豫感)'. 리더이자 작곡가(作曲家)인 최재은의 곡(曲)으로 중독성(中毒性) 있는 멜로디와 현실적(現實的)인 가사(歌詞) [41] 로 20위권(位圈)에 진출(進出)하지만, 시대(時代)를 너무 앞서 나갔는지 금새 사라졌다. 참고(參考)로 최재은은 KBS 대학가요축제(大學街要祝祭) 출신(出身)의 남성(男性)듀오 한아로 [42] 의 멤버였으며, 공일오비ㆍ넥스트ㆍ윤종신 등등(等等)이 소속(所屬)된 대영기획(大英企劃) 사단(師團)의 일원(一員)으로 활동(活動)했다.안타까운 점(點)은, 타이틀곡(曲) '엄마들의 예감(豫感)'의 방송용(放送用) 버전(뮤비에도 삽입(揷入)됨)은 앨범에 수록(收錄)되지 않아서 앨범을 구입(購入)한 팬들의 원성(怨聲)을 샀다. 여담(餘談)으로 1997년경(年頃)에 개그우먼 조혜련이 MBC의 한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출연(出演)하여 이 노래를 베이스로 해서 개그 뮤직비디오를 선보인바 있었다.
  • 웨스트: 메인보컬 박희경은 해체(解體) 후(後) 여성(女性) 듀오 태사비애(太史悲哀)로 활동(活動)하기로 하였다.
  • 유니티 : 조기형(早期型), 박(朴)D와 함께 한때 북치기 박치기 로 인기(人氣)를 얻었던 래퍼 후니훈(勳) , 걸그룹 디바 의 새 멤버로 활동(活動)한 이민경이 디바 이전(以前)에 속(屬)했던 4인조(人組) 혼성(混成) 힙합 그룹. 대표곡(代表曲)은 '내기리', '돌아와 줘'. 2010년대(年代) 데뷔한 프로젝트 걸그룹과는 별개(別個).
  • 유비(劉備):1996년(年) 데뷔했으며 최우진과 오승희로 구성(構成)되었다. 대표곡(代表曲)은 '사랑학(學) 개론(槪論).'
  • UP (유피(乳皮))
  • 얍 (YAB): 투투 1기(基)의 멤버였던 오지훈, 유현재가 여성(女性)보컬 이삭을 영입(迎入)하여 결성(結成)하였으며 대표곡(代表曲)은 '개성시대(個性時代) (못 생겨서 죄송(罪悚)합니까?)'로 활동(活動)하였다. 팀명(名)의 유래(由來)는 Young and Attractive Beaux의 약자(略字)이다.
  • Will (윌): 95~97년(年)까지 활동(活動)했으며 데뷔할 당시(當時)에는 4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이었다. 대표곡(代表曲) '결심(決心)', '과거(過去)를 묻지 마세요'. '과거(過去)를 묻지 마세요'로 활동(活動)했을 때 기존(旣存) 남자(男子) 멤버들이 모두 탈퇴(脫退)했으며 양동근 이 그 자리에 합류(合流)해 혼성(混成) 듀엣으로 재편(再編)했다.
  • 이노 (Eno): 노정섭과 이영석을 주축(主軸)으로 하여 1995년(年)에 나온 3인조(人組) 혼성(混成) 힙합 그룹인데 배우(俳優) 노현희 성형(成形)하기 전(前) 이 그룹에서 활동(活動)했다. 대표곡(代表曲)은 '뭘 쳐다봐'. 하지만 당시(當時) 인기배우(人氣俳優)였던 노현희의 이름 값 때문에 노현희 그룹이라는 꼬리표(꼬리票) 타이틀을 달고도 전혀(全혀) 못뜨고 활동(活動)을 마쳤다.
  • 인츠: 2000년(年) 엔터테인먼트 포털 사이트인 인츠닷컴에서 만든 혼성(混成) 3인조(人組) 사이버 댄스그룹. 멤버는 가이아, 미르, 킨이며 대표곡(代表曲)은 'Get Away'.
  • 1730 : 이혜영 이 로미라는 예명(藝名)으로 데뷔했던 그룹으로 ZAM보다 데뷔가 약간(若干) 늦었다. [43] 1집(輯) 활동(活動)은 '나의 마음'과 '그저 널 바라본 것뿐' 2곡(曲)으로 진행(進行)되었다. 이후(以後) 이혜영이 탈퇴(脫退), 1994년(年)에 2집을 둘이 냈다. 타이틀곡(曲)은 '그렇게 될까'였으며 이혜영이 '서로 다른 곳에서'에 나레이션 지원사격(支援射擊)을 했다. 팀의 음악적(音樂的)인 부분(部分)을 책임졌던 두 남자(男子) 멤버인 아휘(황호영)와 무아(無我)(김주훈)의 근황(近況)은 현재(現在) 알려지지 않고 있다. 무아(無我)는 1997년(年) 윤상이 프로듀싱한(韓) '알로'의 멤버로 활약(活躍)한 것이 마지막. 팀에서 탈퇴(脫退)했던 이혜영은 현재(現在) 배우(俳優)로 활동중(活動中).
  • 자우림 : 1997년(年) 결성(結成) 이후(以後) 2022년(年)이 된 지금(只今)까지도 활동(活動)을 꾸준히 하는 장수(將帥)그룹. 코요태와 함께 공백기(空白期) 없이 꾸준히 활약(活躍)하고 있다.
  • 자자 : 대표곡(代表曲) '버스 안에서'
  • ZAM : 이전(以前)에도 혼성(混聲)그룹은 여럿 있었지만 아이돌 성향(性向)이 있는 혼성(混成)그룹의 실질적(實質的)인 시초(始初)라고 할 수 있다. 중간(中間)에 윤현숙의 탈퇴(脫退) 이후(以後)로는 남자(男子) 멤버들만 활동(活動)했다.
  • 젠(Z.E.N) : 2000년(年)쯤에 결성(結成)되었으며 5인조(人組)(남2, 여(與)3) 댄스+발라드 혼성(混聲)그룹으로 대표곡(代表曲)은 댄스곡(曲)인 'eve'. 전신(全身)으로 쥬신이 있었는데 대표곡(代表曲)은 '아발론의 소원(所願)' 이었다. 정규(正規) 2집(輯)부터 뜬금없이 민중가요(民衆歌謠) 가수(歌手)로 전향(轉向)하여 오랫동안 활동(活動)했다.
  • 제니스 (JENIS): 2001년(年)에 남성(男性) 2인(人), 여성(女性) 1인(人)으로 구성(構成)된 혼성(混成) 3인조(人組) 그룹으로 대외적(對外的)인 홍보활동(弘報活動)이 전혀(全혀)없이 나이트나 클럽가 중심(中心)으로 활동(活動)을 이어나갔다. 참고(參考)로 홍보활동(弘報活動) 및 음악(音樂) 방송출연(放送出演)이 전혀(全혀) 없었기 때문에 멤버가 누군지도 알수가 없다. 대표곡(代表曲)인 'Be Nice'는 당시(當時) 유흥가(遊興街)를 중심(中心)으로 하여 살짝 인기(人氣)몰이를 하였다.
  • 젤리: 1996년(年) 데뷔. 멤버는 임희은과 김국민(金國民)이며 데표곡(票曲)은 '큐피드의 시험(試驗)'이 있다. 그룹 해산(解散)뒤에 임희은은 혼성(混成)그룹 M.I.K의 신(新)멤버로 재(再)데뷔하게 된다.
  • 조이박스: 거리의 시인(詩人)들 의 멤버인 박기영 이 예명(藝名)을 리키.P로 변경(變更)한후 2001년(年)에 여성(女性)보컬인(人) 미로(迷路) (본명(本名):박서경)와 솔로 기타리스트인 앤디 (본명(本名):유진원)를 앞세우고 결성(結成)한 혼성(混成) 5인조(人組) 록 밴드로 멤버중(中) 2명(名)의 외국인(外國人) (흑인(黑人)인 쟈니 헐버트, 백인(白人)인 알렉시스 테즈)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特徵)이다. 1집(輯) 앨범인 WELCOME TO THE JOY WORLD의 타이틀곡(曲)인 '세종대왕이 떡볶이 먹었대'가 제일(第一) 유명(有名)하다. 그러나 이듬해에 박기영이 당시(當時) 보컬 트레이너였던 조준호와의 소송(訴訟)에 휘말리면서 거리의 시인(詩人)들이 해체(解體)되자 이 밴드도 해체(解體)되었고 나중에 리키.P와 미로(迷路)는 2004년(年)에 슈퍼 특공대(特攻隊)라는 그룹을 한번(番) 더 결성(結成)해서 활동(活動)한다. [44]
  • 쥬니어 리퍼블릭: 코요태의 노래인 순정(純情)을 작곡(作曲)한 최준영이 기획(企劃)하고 가수(歌手) 홍서범이 앨범 전곡(全曲)을 프로듀싱한(韓) 그룹으로 배우(俳優) 최필립 이 활동(活動)했던 혼성(混成) 5인조(人組) 그룹이기도 하며 [45] 최준혁, 정산(精算), 마빈, 유산(遺産)들으로 구성(構成)되었다. [46] 실질적(實質的)으로 코요태의 바로 윗 선배격(先輩格)인 그룹이며 대표곡(代表曲)은 '장미(薔薇) 한 다발' [47] , '바람의 아들' [48] 이 있다. 특히(特히) '장미(薔薇) 한 다발' 이라는 노래는 이후(以後) SBS '머리가 좋아지는 TV'의 배경음악(背景音樂)으로 개사(開社)했다. 혼성(混聲)그룹이 넘쳐나던 당시(當時)부터 복고(復古) 콘셉트를 내세웠으며 당시(當時) 전(前) 멤버의 보컬화(化)를 선언(宣言)할 정도(程度)로 실력파(實力派) 그룹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했지만 위의 두 곡(曲)을 끝으로 히트곡(曲)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끝내 자취를 감췄다.
  • 지구(地球) 수비대(守備隊): 1995년(年)에 초등학생(初等學生)들으로만 구성(構成)된 국내(國內) 최초(最初)의 최연소(最年少) 혼성(混成)그룹. 4인조(人組) 어린이 중창단(重唱團)으로 환경보호(環境保護)에 관(關)한 주제(主題)를 일반적(一般的)인 가요(歌謠) 스타일로 선보였으며 주로(主로) KBS나 EBS 교육방송(敎育放送)에서 얼굴을 자주 드러냈다. 대표곡(代表曲)은 '지구(地球)가 아파요'가 있으며 중창(中窓) 버전과 댄스 버전이 따로 존재(存在)한다. 멤버 구성(構成)은 임승균, 여민재(與民再), 박성호, 고창성으로 이루어졌다.
  • 초콜릿: 1996년(年)에 결성(結成)한 이흥렬(李興烈)과 조희진의 남녀(男女) 2인조(人組) 그룹으로 '왕자(王子)와 공주(公主)' 라는 곡(曲)으로 활동(活動)했다.
  • 차차 (Cha Cha): 남성(男性) 3인조(人組) 그룹 모노의 멤버인 박정원이 프로듀싱한(韓) 그룹으로 김영철, 조상훈, 김준희, 이보영으로 구성(構成)되었다. Cha Cha라고 표기(表記)하며 1996년(年)에 여(與)2, 남(南)2로 결성(結成)된 4인조(人組) 혼성(混成)듀오며 대표곡(代表曲)인 Say Say Say로 활동(活動)했지만 5개월(個月)만에 묻혔다. 이보영은 신장(伸張)이 무려(無慮) 173cm로 슈퍼모델 입상경력(入賞經歷)이 있으며 김영철은 디보이스와 투투 2집(輯)의 객원(客員)보컬로 활동(活動)한 경력(經歷)이 있다.
  • (Chuck): 1997년(年)에 데뷔한 이희선, 최선호, 김성화, 김수현, 송지영, 김문경으로 이루어진 6인조(人組) 혼성(混成) 댄스 그룹. 대표곡(代表曲) '별땅'. [49] 김문경의 경우(境遇) 별땅의 활동(活動) 직전(直前)에 추가(追加)멤버로 영입(迎入)되었고 최선호는 척 이후(以後)에 메카, 하이브, 리파인까지 총(總) 3개(個)의 혼성(混聲)그룹을 거치기도 하였다. 메인보컬 이희선의 경우(境遇) 장용진이 직접(直接) 활동(活動)했던 남성(男性) 2인조(人組) 그룹인 '동자'의 노래인 '함께'라는 곡(曲)에서 UP의 이혜정과 같이 피처링으로 참여(參與)를 한바 있었다.
  • 체크메이트 : 2020년(年) 9월(月)에 데뷔한 그레이스컴퍼니엔터테인먼트 소속(所屬) 5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 2021년(年) 12월(月) 18일(日) 해체(解體).
  • 짱: 1997년(年)에 박민혁과 안지연으로 구성(構成)된 혼성(混聲)듀오. 대표곡(代表曲)은 '왔어 왔어' [50] 활동(活動) 도중(途中) 안지연의 탈퇴(脫退)로 얼마 못가고 해산(解散)되었고 박민혁은 이 팀 이외(以外)에도 힙합듀오인(人) AS, 3인조(人組) 댄스그룹인 더 믹스를 결성(結成)하여 짧게나마 활동(活動)을 하였으며 1999년(年)에는 예명(藝名)을 김지만으로 변경(變更)하고 솔로로 데뷔하였다. 2006년(年)에는 아이다 라는 이름으로 트로트 장르로 전향(轉向)했으며 2010년(年)에는 다시 박민혁의 본명(本名)으로 돌아와서 작곡자(作曲者)로 활동중(活動中)이다.
  • KARD : 2017년(年)에 데뷔한 DSP미디어 소속(所屬) 혼성(混成)그룹. 한국(韓國)보다는 남미(南美) 등(等) 해외(海外)에서의 인기(人氣)가 더 높다.
  • 카페인: 2001년(年)에 나왔던 혼성(混成) 3인조(人組) 모던 록 밴드로 이윰, 박명기, 조한철로 구성(構成). 자우림과 비슷한 음색(音色)이 특징(特徵)으로 대표곡(代表曲)은 'Choice'가(價) 있다.
  • 킹콩:1997년(年)에 남성(男性) 멤버인 보성(寶城)과 여성(女性) 멤버인 손소영, 김효진으로 구성(構成)되어 '이별(離別)의 권리(權利)' 라는 곡(曲)으로 활동(活動)했으나 음반(音盤) 발매(發賣) 직후(直後)에 레코드 회사(會社)가 부도(不渡) 나면서 활동(活動)을 못해보고 해산(解散)하고 말았다. 대표곡(代表曲)인 '이별(離別)의 권리(權利)'의 경우(境遇)에는 소량(少量)으로 배포(配布)된 홍보용(弘報用) 음반(音盤)을 가지고 DJ들이 리믹스한(韓) 버전이 나이트에서 많이 흘러 나왔으며 의외로(意外로) 나이트나 클럽 등지(等地)에서 선빵한(先빵韓) 노래이기도 하다. 그룹 해산(解散) 직후(直後) 손소영은 1997년(年) MBC 26기(期) 공채(公採) 탤런트로 합격(合格)하여 연기자(演技者)로 활동(活動)했다.
  • 퀘스천: 테크노 음악(音樂)이 본격적(本格的)으로 유행(流行)하던 2000년(年)에 '사랑은 구름을 비로 내리게 하고 (약칭(略稱):사구비(沙丘非))' 라는 곡(曲)으로 활동(活動)했던 혼성(混成) 3인조(人組) 테크노 댄스 그룹. 소속사(所屬社)의 사정(事情)으로 제대로 된 활동(活動)을 하지 못하고 해산(解散)되고 말았다. 멤버는 라이언, 주희(朱熹), 추장(酋長)으로 구성(構成).
  • 케이오스 (K-OS): 1997년(年)에 장재용, 최윤돈, 장윤정(張允瀞), 김연우 [51] 로 구성(構成)되어 1집인 It,s on을 내고서 활동(活動)했다. 대표곡(代表曲)은 '자존심(自尊心)', '우등생(優等生) 열등생(劣等生)'이 있다. 그룹명(名)은 King of Sound라고 하며 참고(參考)로 멤버 전원(全員)이 미국(美國) LA 교포(僑胞) 출신(出身)이다.
  • 코리아나 : 해외(海外)에서 주로(主로) 활동(活動)했고 손에 손잡고 를 부르기 전(前)까지만 하더라도 해외(海外)에서 더 유명(有名)했지만 한국(韓國)에서 결성(結成)된 엄연(儼然)한 한국(韓國) 혼성(混成) 그룹.
  • 코요태 - 현재(現在) 존재(存在)하는 혼성(混成) 그룹 중(中) 최장기간(最長期間) 동안 한번(番)도 해체(解體)하지 않은 그룹. [52] 현재(現在)까지도 꾸준히 활동(活動)하는 제대로 된 형태(形態)를 가진 혼성(混成)그룹의 사실상(事實上) 최후(最後)의 보루(堡壘)라고 봐도 된다. [53]
  • 코싸: 2003년(年)에 결성(結成)한 제(第) 2의 쿨을 목표(目標)로 한 그룹. 윤지원, 최힘찬, 차윤모로 구성(構成)된 혼성(混成) 3인조(人組) 프로젝트성(性) 그룹으로 코믹하고 펑키한(限) 스타일의 곡(曲)인 '기뻐 기뻐'로 활동(活動)하였다. 그룹의 리더이자 프로듀싱 담당(擔當)을 차윤모는 연기자(演技者)와 VJ로 활동(活動)한 경력(經歷)이 있으며 윤지원은 본명(本名)인 김아람으로 여자(女子) 악동(惡童)클럽의 오디션을 준비(準備)했다가 하차(下車)한 적이 있었다. 그룹 해산(解産) 뒤에는 멤버 최힘찬과 함께 2인조(人組) 힙합그룹인 스텝 바이 스텝을 만들었다.
  • 콤마 (COMMA): 1996년(年)부터 1999년(年)까지 총(總) 4년간(年間)의 활동기간(活動期間) 동안 5장(張)의 앨범을 발표(發表)한 혼성(混成) 4인조(人組) 그룹. [54] 대표곡(代表曲)은 고전주의(古典主義), 깜찍이 사랑, 어리면 어때, 슬픈 이별(離別), 나에게 있어 등(等)이 있다. 현재(現在) 대학로(大學路)에서 뮤지컬 배우(俳優)로 활동중(活動中)인 우경권(雨景圈)이 몸담았던 그룹이라고 한다. [55] 또한 현재(現在)까지도 영화배우(映畫俳優)로 간간히 활동중(活動中)이 이환도 이 그룹 소속(所屬)이었다. [56] 혼성(混成)그룹 스페이스 에이 의 래퍼 박재구 는 1998년(年)에 나온 이 그룹 3집(輯) 앨범을 통해 데뷔했다. 원년(元年)멤버중(中) 한 사람이자 리더를 맡았던 임준형은 그룹해체후(解體後)에 5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 엔터포스로 활동(活動)하면서 M-JUN 이라는 이름으로 솔로 활동(活動)도 겸했다.
  • 콜라 : '눈 감아봐도'라는 곡(曲)으로 솔로 활동(活動)을 했던 박준희(현(現) 보컬 트레이너), 강원래 의 아내 김송 이 속(屬)했던 그룹. 대표곡(代表曲) '모기야', ' 우울(憂鬱)한 우연(偶然) ', '첫사랑'(그 이전(以前)에는 3인조(人造)였다가 '첫사랑'으로 활동(活動)할 때는 박준희가 탈퇴(脫退)했고 5인조(人組)로 재편성(再編成)되었다.) [57]
  • 큐브: 95년(年)부터 96년(年)까지 활동(活動). 본래(本來) 여(與)3 남(南)2의 5인조(人組)로 이성민과 황혜선을 중심(中心)으로 결성(結成)되었다. 참고(參考)로 소찬휘 가 이 그룹으로 데뷔하기 직전(直前) 여러가지 사정(事情)에 의(依)해서 탈퇴(脫退)하여 4인조(人組)로 활동(活動)했고 이 그룹과 동명(同名)의 노래인 헤어지는 기회(機會) 로 활동(活動)했다. 나중에 남성(男性) 리드보컬이었던 이성민은 98년(年)에 솔로로 재(再)데뷔했다. [58]
  • 클릭 (Click): 1998년(年)에 데뷔한 3인조(人組) 혼성(混成)으로 김하나, 최기주, 정환으로 결성(結成). 처음에는 잔잔한 발라드 곡(曲)인 너도 나처럼으로 활동(活動)했고 그 뒤 후속곡인(後續曲人) 니가 없는 나로 활동(活動)했다. 동화(童話)같은 느낌의 뮤직비디오로도 큰 화제(話題)를 몰고왔지만 곡(曲)이 대중성(大衆性)이 없었는지 6개월(個月) 만에 사라졌다.
  • 키: 1997년(年)에 데뷔한 3인조(人組) 그룹으로 김민준, 이민호 ,이유미으로 결성(結成). 대표곡(代表曲)은 'Forever Love'가(價) 있다.
  • 키스: 1995년(年)에 1집(輯) KISS를 내고 데뷔한 3인조(人組) 혼성(混成) 보컬그룹으로 최윤정, 이준배, 최정우(崔正友)로 구성(構成). 대표곡(代表曲)은 '벙어리 장난감'이 있다.
  • 타이키즈: 제(第) 2의 코요태를 표방(標榜)하여 나온 2007년(年)에 데뷔한 3인조(人組) 혼성(混成) 프로젝트 그룹. 원티드의 전상환(前償還)과 이정이 공동(共同)으로 프로듀싱을 맡은 그룹으로 장군(將軍)(정병희), 수(백수경), 현정(김현정)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동년(同年)에 비슷한 컨셉으로 데뷔했던 타이푼과 바나나보트와 함께 방송(放送)에 출연(出演)하여 타이틀곡(曲)인 아임 소리(I'm Sorry), '연상연하(年上年下)'로 활동(活動)했다. 짧은 활동(活動)을 마치고 장군(將軍)은 엠블랙 지오 로 재(再)데뷔했다.
  • 타이푼 : 솔비 하나로 사실상(事實上) 설명(說明)이 끝나는 그룹.
  • 토스트: 1998년(年)에 이강근, 이강준 형제(兄弟)와 박선영(朴善英), 박진영(朴軫永) 쌍둥이(雙둥이) 자매(姊妹)로 구성(構成)된 4인조(人組) 혼성(混成) 4인조(人組) 인디밴드 그룹. 중간(中間)에 이강근의 군입대(軍入隊)로 인(因)해서 3인조(人組)로 활동(活動)하게 된다. 대표곡(代表曲)은 'Zero'.
  • 트리플: 1996년(年) 5월(月)에 데뷔한 혼성(混成) 3인조(人組)로 첫 데뷔무대(舞臺) 당시(當時) 여성(女性)멤버인 류수경 (후(後)에 류(類)채희로 개명(改名))가 웨딩드레스를 입고 안무(按舞)를 소화(消化)하여 인상(印象)깊은 무대(舞臺)를 남겼다. 나머지는 김영섭, 김호섭 형제(兄弟)이며 대표곡(代表曲)은 '썰렁한 왕자(王子)와 해적(海賊)'.
  • 트로트 보이스 (Trot Voice): 1997년(年)에 '바람 바람 트로트 바람'이라는 노래로 활동(活動)했던 9인조(人組) 혼성(混成) 트로트 그룹. 소방차(消防車)의 이상원(李祥源)을 중심(中心)으로 결성(結成) 되었으며 그 이외(以外)에 오승훈, 전병선, 송은경, 진유영, 김윤희, 정지현, 지경하(地境下)가 있으며 놀랍게도 여성(女性) 가수(歌手) 백지영이 솔로로 나오기 전(前)에 잠깐 몸을 담았었다. 프로젝트성(性)으로 결성(結成)된 것으로 인해서 사전(事前)에 제대로 된 준비(準備)가 없었는지 홍콩에서 뮤직비디오를 급(急)하게 찍고 재킷 사진(寫眞)과 녹음(錄音) 작업(作業)이 일체(一切)없이 몸으로만 참여(參與)하여 음악방송(音樂放送)을 한두번(番)만 나오면서 활동(活動)하다가 소리소문(所聞) 없이 사라졌다.
  • 티라비(非) (T.Ra.V): 1995년(年)에 데뷔한 여(與)2, 남(南)1 구성(構成)의 혼성(混成)그룹. 어원(語源)은 '티비, 라디오, 오디오' 이며 대표곡(代表曲)은 '헤이 헌터(Hey! Hunter), '돌아가고 싶은거야', '징크스'가 있다. 참고(參考)로 현재(現在) 배우(俳優)로 활동중(活動中)인 고은미가 연기자(演技者)로 데뷔하기 전(前)에 활동(活動)했던 그룹이었다. [59] 당시(當時) 타이틀 곡(曲)과 이름이 같은 동명(同名)의 1집(輯)을 내고 서태지와 아이들, 룰라, 투투 등(等)과 맞붙었으나 실패(失敗)했고 팀내(內) 불화(不和) 문제(問題)로 해체(解體)되었다. 여담(餘談)으로 3인(人)은 티라비의 멤버들은 예명(藝名)을 썼으며 고은미가 티비 (비주얼 담당(擔當) 겸(兼) 래퍼), 남성(男性)멤버인 임우현 [60] 은 라디오 (보컬 겸(兼) 리더), 이영 [61] 은 비디오 (댄서 겸(兼) 코러스)를 담당(擔當)했다.
  • 티는 아이(T=I): 현재(現在) 스타일리스트로써 여러 방송(放送)에서 활동중(活動中)인 김우리가 소속(所屬)했던 그룹. 팀명(名)의 모티브는 튀는 아이라는 단어(單語)를 기호(記號)와 알파벳으로 조합(組合)하여 만든것. 김우리, 으뜸, 고하경의 3인조(人組)로 97년(年)에 데뷔했는데 여(女)2, 남(南)1의 보기드문 구성(構成)을 하고 있다. 대표곡(代表曲)은 '자유선언(自由宣言)'이 있딘.
  • T.G : 사이버 아바타를 이용(利用)하며 홍보(弘報)했던 혼성(混成) 3인조(人組) 그룹이었다.
  • 티탑(塔): 장재원과 이현미로 구성(構成)된 혼성(混聲)듀오로 97년(年)에 '꼴찌사랑'이라는 노래로 조금 알려졌지만 금방(今方) 사라졌다. 또한 이 노래는 인기(人氣) 시트콤인(人) 순풍(順風) 산부인과(産婦人科)의 한 에피소드에서도 사용(使用)된 적이 있었다.
  • 투레터 (2letter): 비쥬의 멤버인 주민(住民)이 결성(結成)한 혼성(混成) 3인조(人組) 프로젝트 그룹으로 다비가 솔로 활동(活動)으로 그룹을 나가고 새로운 여성(女性)멤버로 영입(迎入)한 정(正)가희와 객원(客員)보컬로 들어온 김지은으로 구성(構成)되었다. 대표곡(代表曲)은 '천국(天國)에서의 하루'.
  • 톤 (Tone): 빅죠가 홀라당으로 활동(活動)하기 전(前)에 활동(活動)했던 3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으로 1999년(年)에 활동(活動)했다. 빅죠는 당시(當時)에 통(通) (Tong) 이라는 예명(藝名)으로 활동(活動)했으며 나머지 멤버들도 전원(全員) 재미교포(在美僑胞) 출신(出身)으로 Joe와 Nao로 이루어졌다. 일찍 요절(夭折)한 가수(歌手)인 최병걸의 노래인 진정(眞正) 난 몰랐었네를 리메이크하여 활동(活動)하였다.
  • 팝콘: 1995년(年)에 2인조(人組) 혼성(混成)으로 활동(活動). 룰라가 소속(所屬)되어 있던 서울인 프로덕션이 제작(製作)했고 석우준과 신시아가 멤버였다. 키 작은 남자(男子)와 키 큰 여자(女子)의 독특(獨特)한 조합(組合)으로 주목(注目) 받았으며 실제로(實際로) 161cm의 남자(男子)멤버 석우준은 여성적(女性的)인 취향(趣向)을, 173cm의 여자(女子)멤버인 신시아는 남성적(男性的)인 취향(趣向)을 갖고 있었다. 대표곡(代表曲) '쇼팽과 인어공주'.
  • 팜팜: 배우(俳優) 김혜영이 활동(活動)했던 3인조(人組) 혼성(混成) 댄스그룹으로 일본(日本)의 여성(女性)듀오인 퍼피(避)와 윙크의 영향(影響)을 크게 받았다. 그리고 이 사람 말고도 또 다른 여성(女性) 멤버인 이수연과 랩를 맡고있는 남성(男性)인 객원(客員) 멤버 윤승일로 구성(構成)되었던 그룹으로써 1995년(年)에 데뷔했지만 반년(半年)만에 사라졌다. 투투가 있었던 소속사(所屬社) 휘트니스 소속(所屬). 대표곡(代表曲)은 테크노풍(風)의 댄스곡(曲)인 '처음은 아니야'. 해체(解體)한 후(後)에는 김혜영은 배우(俳優)로 복귀(復歸)했고 이수연은 지역방송(地域放送) 리포터로 활동(活動) 중(中)이다. 1995년(年) 5월(月)과 11월(月)에 방송(放送)된 가요(歌謠)톱10에 출연(出演)한 영상(映像)이 존재(存在)한다.
  • 퍼즐: 박진수, 오하라, 김윤지의 3인조(人組)로 1998년(年)에 데뷔한 그룹. 대표곡(代表曲)은 'Puzzle (수수께끼)'.
  • 퍼니: 박하나 가 배우(俳優) 데뷔 이전(以前)에 활동(活動)했던 그룹. 2003년(年)에 데뷔했다. 다른 여성(女性) 멤버인 우미진은 2005년(年)에 M3를 거쳐서 2007년(年)에 걸그룹 블랙 펄 에서 미(美)카라는 예명(藝名)으로 활동(活動)했다. 남성(男性)멤버는 박기상, 윤경엽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대표곡(代表曲) '고백(告白)', '청량음악(淸凉音樂)'이 있다. 하지만 지상파(地上波) 음악(音樂) 방송(放送)의 출연(出演)은 단(單) 두번(番)이 전부(全部)였고 이후(以後)에는 케이블 방송(放送) 위주(爲主)로만 활동(活動)하였다. 1집이후(以後) 박하나가 소속사(所屬社)의 권유(勸誘)로 연기(演技)에 관심(關心)을 보이면서 탈퇴(脫退)했고 이후(以後) 멤버를 재정비(再整備)하면서 2집(輯)을 내려고 하였으나 끝내 해산(解散)하였다. 윤경엽의 경우(境遇) 현재(現在) 실용(實用) 음악학원(音樂學院)의 강사(講師)로 활동중(活動中)이다.
  • F1RST: 2010년(年)에 장덕(將德), 장현(長峴) 남매(男妹)의 명곡(名曲)인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를 댄스곡(曲)으로 리메이크하여 활동(活動)했지만 그룹이 잘 안되자 남성(男性) 멤버들은 페임어스로 나왔다.
  • 퍼포머: 1996년(年)에 데뷔한 3인조(人組) 혼성(混成). 멤버 전원(全員)이 1975년생(年生)의 동갑내기(同甲내기)인 정다빈 [62] , 김선종, 연지훈(蓮池勳)으로 이루어졌다. 대표곡(代表曲)은 이별(離別)을 후회(後悔)하는 연인(戀人)이 다시 돌아오기를 바라는 댄스곡(曲)인 '쉽지'가 있다.
  • 펄스: 1997년(年)에 윤지희와 강종훈으로 이루어진 2인조(人組) 혼성(混聲)듀오이며 대표곡(代表曲)은 '난 얘기하고 넌 웃어주고'. 이 그룹이 갑자기 소리소문(所聞) 없이 사라진것에 관(關)해서는 여성(女性)멤버 윤지희가 교통사고(交通事故)로 사망(死亡)하여 와해(瓦解) 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事實) 여부(與否)는 확인(確認)할수 없다.
  • 펌프 : 록밴드인 넥스트 1, 2기(基)의 멤버였던 기타리스트 정기(定期)송이 1995년(年)에 프로듀싱한(韓) 그룹. 혼성(混成) 4인조(人組) 그룹으로 주(週)이지, 류승희, 김성철, 조인성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1집(輯)의 타이틀곡(曲)은 '이유(理由)없는 반항(反抗)'이었으며 차트에선 중위권(中位圈)까지 갈 정도(程度)로 선전(善戰)했다. 나중에 후속곡(後續曲)으로 '위험(危險)한 상상(想像)'으로 활동(活動)했으며 그 뒤 1996년(年)에 내놓은 2집인 '카운트 다운', '수호천사(守護天使)'로 활동(活動)했으나 그렇다 할 반응(反應)을 얻지 못한 뒤 사라졌다.
  • 피아노: 1994년(年)에 안성준, 장성희와 조대현이 활동(活動)한 혼성(混成) 3인조(人組)이다. 동아기획(東亞企劃) 소속(所屬)의 가수(歌手)이며 이 당시(當時)의 대표곡(代表曲)은 오렌지 향기(香氣) 속으로, 체념(諦念)(난(亂) 너에게). 훗날(後날) 안성준은 키스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代表理事)가 되어 상(賞)마인드에서 넘어온 샤크라 디바 를 매니지먼트하는데 문제(問題)는 그가 정치(政治)쪽에 지원(支援)하게 되면서 회사(會社)가 휘청거리기 시작(始作)했다.
  • FEEL (필(必)): 비쥬의 멤버인 다비와 주민(住民)이 비쥬 결성전(結成前)에 잠시(暫時) 활동(活動)했던 4인조(人組) 혼성(混成)그룹이며 97년(年) 3월(月)에 데뷔했다. 대표곡(代表曲)은 여자(女子)는 롱다리이고 남자(男子)는 숏다리라는 뜻의 여(餘)롱남숏이라는 곡(曲)으로 활동(活動)했다. 참고(參考)로 다비와 주민(住民)은 이때 당시(當時)에는 본명(本名)인 최희진과 박준규(朴浚圭)로 활동(活動)했으며 나머지 멤버는 최우영과 박경미로 결성(結成)되었다. 박준규(朴浚圭)는 1995년(年) 솔로앨범을 발매(發賣)했었다.
  • 포뮬라 (4mula): 2000년(年) 가을 경(經)에 데뷔 이후(以後)로 Simple Love라는 곡(曲)으로 활동(活動)했으나 지상파(地上波) 방송(放送)에서 한두번(番)밖에 못나오고 묻히고 말았다. 멤버는 김빛나, 신성석, 손태진, 김아영으로 구성(構成)되었다.
  • 후(後) (Who?): 1996년(年) 8월(月)에 데뷔한 혼성(混成) 4인조(人組)로 처음에는 '신세대(新世代) 요청(要請)'이라는 곡(曲)으로 활동(活動)했으며 활동후(活動後) 남자(男子)멤버 한명(名)이 탈퇴(脫退)하고 후속곡인(後續曲人) '빨주노초(朱勞抄)파남(藍)보'로 활동(活動)을 재개(再開)했지만 Intro 부분(部分)의 음악(音樂)이 일본(日本) 가수(歌手)인 사란Q의 스루이 온나를 표절(剽竊)하여 크게 말아먹고 활동(活動)을 완전히(完全히) 접었다. [63] [64]
  • 허니: 허니패밀리의 전신(全身)으로 철이와 미애의 미애 , 허니패밀리 리더 박명호 , 서태지와 아이들 백댄서 출신(出身)의 광범(廣範) 으로 구성(構成)된 3인조(人組) 힙합그룹.
  • 허클베리 핀: 1998년(年)에 3인조(人組)로 결성(結成)된 혼성(混成) 락 그룹으로 대표곡(代表曲)은 '보도(步道)블럭', '사막(沙漠)', '연(緣)'을 남겼으며 방송(放送)에서는 거의 안 나왔고 주로(主로) 인디 무대(舞臺)에서 활동(活動)했고 나중에 5인조(人組) 혼성(混成)으로 개편(改編)되어 지금(只今)도 꾸준히 활동(活動) 중(中)이다.
  • Hy 하이파이브
  • 12번째(番째) 테마: 작곡가(作曲家) 조영수가 소속(所屬)된 4인조(人組) R&B 아카펠라 그룹으로 임준홍, 최은영, 마영준으로 구성(構成). 1996년(年)에 MBC 대학가요제(大學歌謠祭)에서 대상(大賞)을 수상(受賞)하면서 1997년(年)에 데뷔했다. 대표곡(代表曲)은 '지워지지 않는 기억(記憶)'.

5.2. 일본(日本) [편집(編輯)]

5.3. 서양(西洋) [편집(編輯)]

6. 관련(關聯) 문서(文書) [편집(編輯)]

[1] 멤버 중(中) 청일점인(靑一點人) 장현이 탈퇴(脫退)하면서 걸그룹으로 재편(再編)됐다. 싹쓰리 는 일회성(一回性) 프로젝트 그룹이기에 논외(論外)로 친다. [2] 그나마 그 중(中)에서도 유닛인(人) 트리플 H를 빼면, 순수(純粹)한 아이돌 혼성(混聲)그룹으로는 KARD 정도(程度) 밖에 없다. [3] 당장(當場) 베이비복스 의 간미연이 H.O.T. 의 문희준(文熙俊)과 열애설(熱愛說)이 났다는 이유(理由)로 곤욕(困辱)을 치렀듯이, 혼성(混成) 그룹이라면 그런 문제점(問題點)이 일어나기가 쉽기 때문. 다만 로틴/차이돌에 있어서는 보이그룹은 전술(傳述)한 이유(理由)로 인해 혼성(混聲)그룹보다 약간(若干) 많은 사례(事例)만 존재(存在)했다. 역시(亦是) 전술(前述)한 대로 단(單) 한 그룹만 더 많은 상황(狀況)이다. [4] 보이그룹 작품(作品)은 걸그룹 작품(作品)의 부속(附屬)으로 취급(取扱)하는 사례(事例)가 많았지만 몇몇 작품(作品)에도 독자(讀者) 작품(作品)이 있기는 하며 혼성(混成)그룹과 로틴/차이돌 그룹 중(中)에서 상대적(相對的)으로 탄생(誕生)하기 쉬운 것도 후자(後者)일 가능성(可能性)이 높다. 이런 이유(理由)로 굳이 탄생(誕生)한다고 해도 로틴/차이돌물의 외형(外形)을 택(擇)할 가능성(可能性)이 높다. [5] 로틴/차이돌물은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U149 을 출시(出市)했고 그나마 소재(素材) 특성(特性) 상(上) 단순(單純)한 스토리에도 불구(不拘)하고 일단(一旦) 취급(取扱) 자체(自體)는 가능(可能)한 점(點)을 의미한 것이다. [6] 애니메이션 만화(漫畫) 시간탐험대(時間探險隊)의 주제곡(主題曲)을 부른 그 가수출신(歌手出身)의 인물(人物)이다. 1991년도(年度)에 가수(歌手)로 데뷔해서 95년경(年頃)부터 프로듀서로 전업(轉業)했는데 이때 히트 제조기(製造機)였던 윤일상이 곡(曲)을 작곡(作曲)해서 한때 이 그룹이 윤일상이 프로듀싱했다고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7] 여담(餘談)으로 예명후보(藝名候補) 중(中)에서는 김유신, 관창(官昌), 계백(階伯), 온달(溫達)까지 있었다고 한다. [8] 포지션의 경우(境遇) 메인보컬의 연개소문, 여성(女性) 서브보컬 및 댄스멤버로 평강(平康), 주몽(朱蒙)이 랩, 광개토과, 을지문덕(乙支文德)이 백댄서를 담당(擔當)한다. [9] 윤일상과 이승호 콤비가 만든 곡(曲)이기도 하며 KBS의 청소년(靑少年)드라마인(人) 스타트 44화(禍)에서 삽입곡(揷入曲)으로 잠시(暫時) 쓰여졌다. [10] 극중(劇中)에서 보험금(保險金)을 노리는 사기꾼(詐欺꾼)으로 나오는 주인공(主人公)인 황재민 (엄태구 분(分))이(李) 본인(本人)의 동료(同僚)들과 함께 클럽에서 가짜(假짜)그룹을 결성(結成)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각각(各各)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고국원왕(故國原王), 소수림왕, 장수왕(長壽王)으로 패러디된다. 여담(餘談)으로 광개토대왕(大王) 다음의 왕(王)들은 담당배우(擔當俳優)인 엄태구의 애드립이라고 한다. [11] 장용진이 작곡(作曲)하고 1997년(年)에 나온 UP의 2집(輯)앨범 수록곡(收錄曲)인 미야를 리메이크 했다. [12] 2007년(年)에 CnR이라는 그룹으로 데뷔한후 젠틀릭, 10년(年)째 친구(親舊), 킬링타임 등(等)의 그룹을 거쳤다. [13] 2011년(年)에 4인조(人組) 보이그룹인(人) 앤트레인(人)을 거쳤다. [14] 97년(年)에 나온 몰리 2집(輯) 수록곡(收錄曲) '변심(變心)'을 리메이크했다. [15] 붐은 미노, 금비(金肥)는 수아라는 이름을 사용(使用)하였다. 나머지 멤버는 지나 (최지나), 우주(宇宙) (정우주)로 구성(構成)되었다. [16] 1983년(年) 7월(月) 26일생(日生). 1960년대(年代)를 풍미(風靡)한 가수(歌手) 김세레나 의 막내아들이기도 하다. 현재(現在)도 방송(放送)에 간간이(間間이) 출연중(出演中). [17] 무법천지(無法天地)라는 노래로 유명(有名)한 보이그룹으로 대한민국(大韓民國) 최초(最初)로 13인(人)이라는 최대(最大) 인원(人員)의 그룹으로 만들어졌다. [18] 바스토(吐)프 레몬 의 배경음악(背景音樂)으로 쓰여서 화제(話題)가 되기도 했다. [19] 1996년(年)에 데뷔한 혼성(混成) 2인조(人組) 듀엣인 '젤리' 출신(出身)이다. [20] 실제로(實際로) 양준일이 이 때 당시(當時)에 썼던 예명(藝名)은 '쟈이 (JIY)'로, 'Joon Il Yang'의 약자(略字)이다. [21] 당시(當時) 기획사(奇劃社)의 모회사(母會社)가 인수합병(引受合倂) 에 휘말렸고, 심지어(甚至於) 대표이사(代表理事)가 법정(法廷)에 서게 되면서 자회사(子會社)인 기획사(企劃社) 또한 엔터사업(事業)을 중단(中斷)하게 되면서 V2 자체(自體)도 활동(活動)을 중단(中斷)할 수 밖에 없었으며, 양준일 또한 반강제(半强制)로 가수활동(歌手活動)을 접게 되었다. 이후(以後) 양준일은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3 를 통해 소환(召喚)되기 전(前)까지 영어강사(英語講師), 식당(食堂) 캐셔, 물류창고(物流倉庫) 알바, 한식당(韓食堂) 서버 등(等) 다양한 일을 하게 된다. 참고(參考)로 양준일 또한 활동(活動)하면서 제대로 된 정산(精算)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22] 스웨덴 출신(出身)의 여성(女性) 4인조(人組) 그룹인 Popsie의 Latin Lover를 번안(飜案)하였다. [23] 혼성(混聲)그룹이 거의 대부분(大部分) 역사(歷史)속으로 사라진 결정적(決定的) 사례(事例)는 전술(前述)한대로 남녀공학(男女共學) 에서 한 남성(男性)멤버로 인해 발생(發生)한 상황(狀況)이지만 거의 대부분(大部分) 역사(歷史)속으로 사라지는 첫 계기(契機)는 이 그룹의 팀내(內) 불화사건(不和事件)에서 발원(發源)했다. [24] 이후(以後)에 신규(新規) 결성(結成)한 혼성(混聲)그룹들은 이것과 남녀공학(男女工學)의 한 문제적(問題的) 남성(男性)멤버의 영향(影響)들 등(等)으로 인(人)해서라도 역시(亦是) 전술(前述)한대로 성과(成果)는 미미(微微)한 실정(實情)이다. [25] 많은 사람이 써니힐 을 4인조(人組) 걸그룹 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境遇)가 많았는데, 초기(初期) 써니힐은 장현(長峴), 주비, 승아(금비라(金毘羅))의 3인조(人組) 혼성(混成) 그룹이었다. 이후(以後) 코타와 미성(美聲)이 영입(迎入)되고 장현이 프로듀서로 포지션을 변경(變更)하면서 4인조(人組) 걸그룹 체제(體制)가 되었지만, 유일(唯一)한 남성(男性) 멤버인 장현(長峴) 이 써니힐의 구성원(構成員)이면서 음반(音盤) 제작(製作)에 참여(參與)했으므로 혼성(混成)그룹으로 간주(看做)됐었다. 그 뒤 장현이 아무말도 하지(夏至)마요 활동(活動) 이후(以後) 탈퇴(脫退)하여 음악(音樂) 프로듀서로 전향(轉向)하겠다는 뜻을 밝혀 현재(現在)의 체제(體制)가 되었다. [26] 1980년(年) 9월(月) 12일(日) 정부(政府) 직할(直轄) 부산시(釜山市) (현(現)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출생(出生). 걸쭉한 R&B 보컬 음색(音色)을 구사(驅使)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特徵)으로 대표곡(代表曲)은 '슬픔을 참는 세 가지 방법(方法)' 등(等)이 있다. [27] 1988년(年)에 가수(歌手) 양홍섭이 발표(發表)한 노래를 리메이크 했다. [28] 개그맨 출신(出身)이기도 한다. [29] 하단(下段)의 1730 멤버였다. 1730으로 활동(活動) 당시(當時)에는 무아(無我)라는 예명(藝名)으로 활동(活動)하였다. [30] 음악방송(音樂放送)도 아니고 복권추첨(福券抽籤) 프로그램인 쇼 행운열차(幸運列車)에 딱 한번(한番) 출연(出演)했는데 이게 처음이자 마지막 지상파(地上波) 출연(出演)이었다. [31] 그 외(外)에도 당시(當時) 영입(迎入)될 예정(豫定)이었던 멤버가 있었는데 그 중(中) 하나가 후(後)에 핑클 의 멤버로 데뷔하게 되는 이효리(李孝利) 다. [32] 이라고는 하지만 김완선이 이런 중책(重責)을 자진(自進)해서 떠맡았을리가 없고 그 문제(問題)의 이모(李某)께서 김완선(金緩宣)을 내세워 강제(强制)로 하게 했다는게 정설(定說)로 확인(確認)되고 있다. 실제로(實際로) 김완선은 이 그룹에서 돈만 투자(投資)했었음이 밝혀졌다. [33] 현역가왕(現役歌王)에 출연(出演)한 1986년생(年生) 트로트 가수(歌手)인 마이진(陣)과는 전혀(全혀) 다른 인물(人物)로 이쪽은 본명(本名)이다. [34] 왈(曰)와리 해체(解體) 후(後), 미스터트롯 에 출연(出演)했다. [35] 이보다 앞선 1993년(年)에 같은 소방차(消防車)의 멤버였던 이상(以上)원이 보이그룹인(人) 잉크를 만들었다면(같이 활동(活動)하면서 리더 겸임(兼任).) 김태형은 혼성(混聲)그룹을 만들었다고 보면 된다.(이 그룹이 실패(失敗)한 후(後)에 만든 그룹이 NRG.)그리고 나중에 같은 소방차(消防車)의 멤버였던 정원관 역시(亦是) 이에 자극(刺戟)을 받아 한참후(後)인 2005년(年)에 아이써틴 이라는 걸그룹을 만들게 되지만 모두 사라져 버렸다. [36] 1989년(年) KBS 대학가요제(大學歌謠祭)의 대상(對象) 수상(受賞)팀인 한아로 출신(出身)으로 작곡(作曲), 편곡(編曲), 건반(鍵盤)의 세션 및 DJ의 스크래치를 맡고있다. [37] 팀의 비주얼 멤버이자 메인보컬로써 1992년(年)에 여행(旅行)스케치 5기(期) 멤버로 데뷔한바 있었다. 댄스에서는 부드럽고 여성적(女性的)인 면(面)을 담당(擔當)한다. [38] 그룹 결성당시(結成當時) 24세(歲)로 미국(美國) 버지니아 주립대에서 레코딩 엔지니어를 전공(專攻)했다. [39] KBS 무용단(舞踊團)에서 활동(活動)했던 수석(首席) 무용수(舞踊手) 출신(出身)으로 팀의 안무(按舞)를 담당(擔當)한다. 엄마들의 예감(豫感)의 도입부(導入部)에서 팔과 다리를 게처럼 만들고 사이드스탭으로 빠르게 이동(移動)하는 독특(獨特)한 안무(按舞)도 이 사람의 작품(作品)이다. [40] 팀의 서브보컬로 결성(結成) 당시(當時)에 21세(歲). 19세(歲)때인 1993년(年)에 댄스그룹 소방차(消防車)의 곡(曲)에서 코러스 및 화음(和音) 부분(部分)을 담당(擔當)한바 있었으며 당시(當時) 본업(本業)은 모델이었다. 댄스부분(部分)에서는 남성적(男性的)이고 강(剛)한 부분(部分)을 맡는다. [41] 사춘기(思春期)에 들어선 딸이 엄마 몰래 밖으로 나가서 놀고싶은 마음에 거짓말을 하고 딸을 걱정하는 엄마의 마음을 재미있게 표현(表現)해 내었다. [42] 다른 멤버는 김보순, 이 두 사람을 포함(包含)해 대영기획(大英企劃) 사단(師團) 일부(一部)는 이규석 3집(輯)에 참여(參與)했다. 이규석 3집(輯)은 1991년(年)에 제작(製作)되었지만, 매니저가 마이킹을 회수(回收)하고 발매(發賣) 직전(直前) 도망(逃亡)치는 등(等) 몇몇 사건(事件)으로 홍역(紅疫)을 치러 그 다음 해 가을에 나올 수 밖에 없었다. 타이틀로 내세웠던 '언젠간 그대도'가 최재은의 곡(曲)이었다. [43] 활동(活動)이 늦었을 뿐 앨범 자체(自體)는 92년(年) 가을에 나왔다. [44] 이때 '내(內) 노래 듣지마'라는 곡(曲)을 발표(發表)하여 조준호를 디스한다. [45] 최필립은 이때 당시(當時) 이준우 라는 예명(藝名)을 사용(使用)하였다. [46] 나머지 멤버들 이름의 출처(出處)는 잡지 주니어 1998년(年) 6월호(月號)에서 발췌(拔萃). 이때 혼성(混成)그룹 오(誤)앤스쿨과 녹스, 보(步)그도 같이 인터뷰 기사(記事)가 실렸다. 뿐만 아니라 이때 김현정, 박지윤(朴芝潤), 태사자, OPPA까지 이름만 들어도 당시(當時) 가요계(歌謠界)의 전성기(全盛期)를 이끌었던 가수(歌手)들의 기사(記事)가 수록(收錄)되었었다. [47] 유명(有名) 록그룹인(人) ' 사랑과 평화(平和) '가(價) 부른 '장미(薔薇) 한 송이'의 후렴구(後斂句)를 코러스로 사용(使用)한 곡(曲)이다. [48] 코요태의 순정(純情)과 곡조(曲調)와 스타일이 굉장히(宏壯히) 비슷한데 이는 작곡가(作曲家)가 최준영 본인(本人)인 것이었기에 가능(可能)한 것이며 나중에 2002년(年)에 나온 개그맨 박명수(朴明洙)의 노래인 바람의 아들과는 전혀(全혀) 무관(無關)하다. [49] 해당(該當) 곡(曲)의 작곡자(作曲者)는 혼성(混成)그룹 UP의 1집(輯) 타이틀곡(曲) 1024를 작곡(作曲)한 장용진으로 UP에게 다음 2집(輯)에서도 뿌요뿌요, 바다 등(等)의 히트곡(曲)을 주며 UP를 스타덤에 올려 놓았으며 또한 태사자의 도(道), H.O.T의 캔디, 행복(幸福)도 이 분의 작품(作品)이다. [50] 이 곡(曲)은 나중에 혼성(混成)그룹 자자가 '왔어요'로 리메이크 했다. [51] 여기에서 김연우는 본명(本名)이 김학철인 가수(歌手)와 동명이인(同名異人)이며 장윤정(張允瀞) 역시(亦是) 트로트 가수(歌手) 장윤정과는 전혀(全혀) 상관(相關)이 없는 동명이인(同名異人)이다. [52] 다만 멤버 교체(交替)는 많았으며 신지 만이 유일(唯一)한 원년(元年) 멤버. 원년(元年)이 아닌 김종민(金鍾民)이나 빽가(價)도 경력(經歷)은 오래되었다. 참고(參考)로 자우림도(度) 해체(解體)없이 25년(年)동안 쭉 갔다. [53] 공식적(公式的)으로 해체(解體)하지 않은 쿨이나 룰라 등(等)은 멤버들이 결혼(結婚)을 했기에 아무래도 현생(現生)때문에 활동(活動)이 뜸한데 코요태는 멤버들이 전부(全部) 비혼(非婚)이라 그쪽에 제한(制限)을 덜 받는지라 여전히(如前히) 활동(活動)이 활발(活潑)하다. [54] 96년(年)에 첫 결성(結成) 당시(當時) 3인조(人組) 였지만 97년(年)에 두번째(番째) 앨범을 낼때 4인조(人組)로 재편성(再編成)되었다. [55] 제(第) 2의 조정석이라고도 불리웠던 뮤지컬 배우(俳優). 99년(年)에 나온 세번째(番째) 앨범 부터 영입(迎入). 데뷔당시(當時) 18살의 고등학생(高等學生)이었으며 현재(現在) 서울 문정동에 위치(位置)한 빈공간 연기학원(演技學院) 에서 후배(後輩)들에게 노래를 가르치고 있다. [56] 원년(元年) 멤버로 중학교(中學校) 2학년(學年)때 KBS 신세대(新世代)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 로 데뷔했으며 고교(高校) 때는 힙합음악(音樂)에 빠져서 이 그룹에서 활동(活動)했었다. 그룹이 완전히(完全히) 해산(解散)한 뒤에는 버스 안에서 로 알려진 자자 의 3집(輯) 앨범 정규(正規)멤버로 영입(迎入)되어서 작곡(作曲)과 랩 작업(作業)을 한 실력파(實力派) 이기도 하다. 또한 아름다운 일주일(一週日)'에서 엄정화의 핸드백을 훔치는 소매치기역(驛), 곽경택 감독(監督)이 만든 대작(大作)인 태풍(颱風) 에서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활동(活動)하는 국가정보원역(國家情報院逆)으로 출연(出演)했었다. [57] 이 중(中) 우울(憂鬱)한 우연(偶然)은 나중에 2002년(年) 베이비복스 우연(偶然) 이란 곡(曲)으로 리메이크해서 유명(有名)해지게 된다. [58] 소찬휘 문서(文書)를 참조(參照). 이 일로 인(因)해서 법정(法廷)싸움까지 갔다. [59] 2015년(年) 8월(月) 7일(日)에 방송(放送)된 MBC 세바퀴 305회(回)에서 직접(直接) 밝혔으며 고(高)3때 선생님(先生님)의 추천(推薦)으로 오디션을 보았고 당시(當時) 포지션은 래퍼였다고 한다. [60] 1974년생(年生)으로 1995년(年) 1월(月)에 결성(結成)된 록밴드인 미투 출신(出身)이었다. [61] 1979년생(年生)으로 본명(本名)은 박이영. 모델출신(出身)으로 그룹해산(解散) 이후(以後)에도 영화계(映畫界)에서 단역배우(端役俳優) 위주(爲主)로 활동(活動)했다. [62] 배우(俳優)와는 동명이인(同名異人)이다. [63] 결국(結局) 이 일로 소속사(所屬社)는 억대(億臺)의 손해배상(損害賠償)의 책임(責任)을 지고 나서 Who는 해체(解體)되었으며 이 황당(荒唐)한 사건(事件)은 소속사(所屬社)에서 신인가수(新人歌手)의 곡(曲) 선정(選定)과 관리(管理)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끝내 자멸(自滅)하게 된 대한민국(大韓民國) 가요계(歌謠界)의 부끄럽고도 불명예스러운 사례(事例)로 기록(記錄)되었다. 출처(出處) [64] 빨주노초(朱勞抄)파남(藍)보는 원래(元來) 함윤상이라는 가수(歌手)가 1984년(年) 5월(月)에 발매(發賣)한 앨범에 실린 곡(曲)으로 콘도 마사히코 가 부른 ' 긴기라니기 사리게나쿠 '를 표절(剽竊)했다는 의혹(疑惑)에서 자유롭지 않다.(출처: 한국(韓國) 팝의 고고학(考古學) 1980 p.696.) 함윤상은 이 앨범이 유일(唯一)한 앨범이며 이후(以後) 연예계(演藝界)에서 완전히(完全히) 사라졌고 근황(近況)조차 알 수 없기에 표절(剽竊) 의혹(疑惑)을 검증(檢證)할 길이 없는 실정(實情)이다. [65] 1992년(年)에 君がいるだけで라는 싱글 판매량(販賣量) 역대(歷代) 5위(位)인 메가톤급(級) 히트곡(曲)을 배출(輩出)한 것으로 유명(有名)한 혼성(混成)그룹. 이 외(外)에도 낭만비행(浪漫飛行) 등(等) 다수(多數)의 히트곡(曲)을 배출(輩出)했다. 1990년대(年代) 중반(中盤)에 잠시(暫時) 해체(解體)했다가 10여년(餘年) 후(後) 재결성(再結成)하여 지금(只今)도 활동중(活動中). [66] 두 멤버가 부부(夫婦)이기도 하다. 정확히(正確히)는 결성(結成) 이후(以後) 결혼(結婚)한 경우(境遇)다. [67] 보컬인 momocashew는 중국계(中國系) 캐나다인(人)이지만 나마지 멤버들이 일본인(日本人)이고 활동(活動)도 주로(主로) 일본(日本)에서 하므로 일단(一旦)은 일본(日本) 밴드로 분류(分類)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最近) 변경(變更)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