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혜산시 - 나무위키

혜산시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혜산군(惠山郡) 에서 넘어옴
분류(分類)
량강도(兩江道) 시(時)
혜산시
惠山市 | Hyesan City
광역행정구역(廣域行政區域)
하위(下位) 행정구역(行政區域)
면적(面積)
277㎢
인구(人口)
192,680명(名) [1]
인구(人口) 밀도(密度)
696명(名)/㎢
인민위원회(人民委員會)
조선로동당 로고타입
최영호(崔榮鎬) [2]
시당(市黨)
조선로동당 로고타입
신명수(神明數) [3]
조선로동당 로고타입
5석(席) [4]
external/upload....
혜산시의 위치(位置)
혜산시 관련(關聯) 영상(映像) (2020년(年)) [5] [6]

1 . 개요(槪要) 2 . 역사(歷史) 3 . 자연(自然) 4 . 인문(人文)
4.1 . 경제(經濟) 4.2 . 정치(政治) 4.3 . 교통(交通) 4.4 . 문화(文化)
5 . 행정(行政)
5.1 . 북한(北韓) 기준(基準) 행정구역(行政區域) 5.2 . 관공서(官公署), 관련기관(關聯機關)
6 . 기타 7 . 이북(以北) 5도(度) 기준(基準) 행정구역(行政區域)
7.1 . 구(區) 갑산군(甲山郡) 지역(地域) 7.2 . 구(區) 삼수군(三水郡) 지역(地域)
8 . 출신(出身) 인물(人物) 9 . 참고(參考) 자료(資料)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북한(北韓) 량강도(兩江道) 에 있는 도시(都市)로서 량강도(兩江道)의 소재지(所在地)(행정(行政) 중심지(中心地))이다. 이북(以北)5도(道) 기준(基準) 함경남도(咸鏡南道) 혜산군(惠山郡) 혜산읍 일원(一圓)과 운흥면, 별동면 각(各) 일부(一部)에 해당(該當)한다. 압록강(鴨綠江) 을(乙) 사이에 두고 중국(中國) 장백(匠伯) 조선족(朝鮮族) 자치현(自治縣) (長白朝鮮族自治縣)과 마주하는 국경(國境) 도시(都市)이며, 평안도(平安道) 의 큰 도시(都市)나 함경도(咸鏡道) 해안가(海岸가)에 있는 도시(都市)보다 작은 편(便)이지만 개마고원(蓋馬高原) 에서 그나마 큰 도시(都市)다. 과거(過去)에 혜산진(惠山鎭)이었다. 탈북민(脫北民) 이 많은 곳 중(中) 청진시(淸津市) 와 더불어 규모(規模)가 큰 도시(都市)고, 비교적(比較的) 최근(最近)에 탈북(脫北)이 많았으며, 중국(中國) 과 대단히 가까워 한국(韓國) 에서 그 주민(住民) 생활(生活)이 가장 잘 알려진 북한(北韓)의 도시(都市)로 꼽을 수 있다.

2. 역사(歷史) [편집(編輯)]

고구려(高句麗) , 발해(渤海) 의 영역(領域)이었으며 발해(渤海)의 멸망(滅亡) 후(後) 한동안 여진족(女眞族) 이 점유(占有)하게 되었다.

공양왕 3년(年)(1391년(年))에 갑주만호부(甲胄萬戶府)(甲州萬戶府)를 설치(設置)하면서 지금(只今)의 개마고원(蓋馬高原) 일대(一帶)가 고려(高麗) 의 영토(領土)로 편입(編入)되었는데, 조선(朝鮮) 태종(太宗) 13년(年)(1413년(年))에 갑주만호부(甲胄萬戶府)를 갑산군(甲山郡) 으로 개편(改編)하면서 갑산군(甲山郡)의 일부(一部)가 되었다. 그후(後) 세종대왕(世宗大王) 대(臺)에 여진족(女眞族) 의 침입(侵入)에 대비(對備)하기 위한 방어시설(防禦施設)인 혜산진(惠山鎭)이 설치(設置)된 것이 혜산(惠山)의 시초(始初)이다. 1932년(年) 갑산군(甲山郡) 보혜면(寶鞋面)이 혜산면(惠山面)과 보천면, 2개(個)의 면(面)으로 분리(分離)되었고, 동시(同時)에 혜산면(惠山面)이 혜산읍으로 승격(昇格)했다. 그리고 1942년(年)에 갑산군(甲山郡) 혜산읍을 비롯해 갑산군(甲山郡) 운흥면, 봉두면, 보천면, 대진면과 삼수군(三水郡) 별동면을 분리(分離)해 혜산군(惠山郡)이라는 독립(獨立)된 행정구역(行政區域)으로 만들었다.

8.15 광복(光復) 당시(當時)의 혜산군(惠山郡)은 1읍(邑) 5면(面)으로 이루어져 2,325km 2 의 면적(面積)을 관할(管轄)했으며, 백두산(白頭山) ( 천지(天地) ) 역시(亦是) 이 혜산군(惠山郡) 보천면 관할(管轄)이었다.

6.25 전쟁(戰爭) 당시(當時)인 1950년(年) 11월(月) 21일(日) 미(美) 7사단(師團) 17연대(聯隊)가 혜산(惠山)을 점령(占領)하면서 평안북도(平安北道) 초산(初産) 을 점령(占領)한 국군(國軍) 6사단(師團) 7연대(聯隊) 에 이어 유엔군(유엔軍) 부대(部隊)들 중(中) 2번째(番째)로 한만국경(韓滿國境) 에 도달(到達)했다. 대한민국(大韓民國) 국군(國軍) 에는 혜산진부대(部隊) 라는 이를 기념(記念)하는 명칭(名稱)이 있다. 초산군(楚山郡), 부령군(富寧郡) 과 더불어 유엔군(유엔軍)이 가장 북쪽(北쪽)까지 도달(到達)한 지역(地域) 중(中) 하나였지만 점령(占領)한 지 며칠 지나지 않은 11월(月) 30일(日), 서부전선(西部戰線)에서의 대패 소식(消息)이 전(傳)해지면서 12월(月) 3일(日) 혜산(惠山)을 포기(抛棄)하고 남쪽(南쪽)으로 철수(撤收)해야 했다.

1954년(年) 시(時)(市)로 바뀌었으며, 도소재지(道所在地) 로서 량강도(兩江道) 최대(最大)의 시(詩)(市)이다. [7] 고적(古跡)으로는 조선시대(朝鮮時代) 의 누각(樓閣)인 괘궁정(掛弓亭)(掛弓亭)이 있다.

2020년(年) 8월(月) 3일(日) 저녁 6시경(時頃) 폭발사고(爆發事故)가 일어났다. # 이 사건(事件) 때문에 북한군(北韓軍) 서열(序列) 2위(位)인 리병철 이 혜산시(惠山詩)로 급파(急派)되기도 하였다. 하모니카 주택(住宅)이라는 가난한 사람들이 빽빽하게 모여사는 곳에서 일어난 사고(事故)로, 사상자(死傷者)가 많았을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2020년(年)에는 코로나19 시국(時局)으로 경제(經濟)가 어려워지자, 이곳에서 금괴(金塊)를 밀수(密輸)하다 걸린 사건(事件)이 북한(北韓) 관련(關聯) 여러 언론(言論)에서 보도(報道)되고 있다. 국경경비대(國境警備隊), 보위성(保衛性), 중앙당(中央黨) 간부(幹部) 등(等) 군인(軍人)과 비밀경찰(祕密警察), 고위(高位) 관료(官僚)와 같은 체제(體制) 유지(維持) 세력(勢力)이 이 밀수(密輸)에 가담(加擔)하여, 일각(一角)에서는 김정은(金正恩) 이 이를 체제(體制) 위협(威脅)을 암시(暗示)하는 일로 인식(認識)하는 중대(重大)한 사건(事件)으로 보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이런 일로 시(詩)를 봉쇄(封鎖) 후(後) 나오지도 못하게 하여 아사자(餓死者)가 생기고 있다는 증언(證言)이 있다. # #

2020년(年) 11월(月) 1~2일경(日頃)부터 봉쇄(封鎖)를 시작(始作), 20일(日) 동안 이 봉쇄(封鎖)가 이어졌다고 한다. # 봉쇄(封鎖) 자체(自體)는 국가정보원(國家情報院) 도 인정(認定)한다. #

2021년(年) 1월(月) 29일(日)부터 2월(月) 15일(日) 0시(時)까지 또 봉쇄(封鎖)가 되었다는 보도(報道)도 있다.

3. 자연(自然) [편집(編輯)]

시가지(市街地)가 대략(大略) 해발(海拔) 700m 높이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개마고원(蓋馬高原) 으로 대변(代辯)되는 내륙(內陸) 고원지대인(高原地帶人) 탓에 기후(氣候)는 특히(特히) 춥다. 북한(北韓) 도시(都市) 중(中) 특히(特히) 추운 곳이다. 중강진(中江鎭) 이나 개마고원(蓋馬高原) 한복판의 풍산(북한명(北韓名) 김형권군(金亨權郡) ), 장진 보다 1월(月) 평균기온(平均氣溫)이 낮다. 여름철 기후(氣候)는 에어컨 없는 도시(都市)라는 강원도(江原道) 태백(太白) 과 같이 가장 더운 달의 평균(平均) 최고기온(最高氣溫)이 27℃ 가량(假量)으로 비슷하다. 최저기온(最低氣溫)은 태백(太白)이 18℃ 가량(假量), 혜산(惠山)이 14℃ 가량(假量)이다. 그래서 여기를 찍은 사진(寫眞)이나 동영상(動映像) 중(中) 여름에 긴팔을 입은 모습도 있을 수 있다.

기상청(氣象廳) 발간(發刊) < 북한기상연보(北韓氣象年報) 2019 >에 따르면 2019년(年) 7월(月) 6일(日) 혜산시의 최고기온(最高氣溫)이 무려(無慮) 46.0℃ 를 기록(記錄)하였다!! 물론(勿論) 이는 오류(誤謬)의 가능성(可能性)이 매우 높다.

그러나 겨울은 태백(太白)과는 비교(比較)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춥다. [8] 10℃ 가량(假量) 낮아 혜산시의 1월(月) 평균기온(平均氣溫)은 -16.4℃ 로 한반도(韓半島)에서 행정구역상(行政區域上) 시(詩)에 해당(該當)하는 지역(地域) 중(中) 독보적(獨步的)인 최한지였으나 삼지연(三池淵)의 시(市) 승격(昇格)이 있어 한 단계(段階) 내려갔다. 그러나 위도(緯度)는 의외로(意外로) 바르셀로나 와 같다. 서유럽(西유럽) 북대서양(北大西洋) 난류(暖流) 의 영향(影響)으로 다른 지역(地域)에 비해 압도적(壓倒的)으로 따뜻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반도내(韓半島內)에서 최(崔) 소우지 로, 지난 30년(年) 평년값(平年값) 기준(基準) 강수량(降水量) 약(約) 590mm이다. 혜산(惠山) 출신(出身)을 비롯한 함경도(咸鏡道) 계(系)의 탈북민(脫北民)은 한국(韓國) 정착(定着) 후(後) 물을 남쪽(南쪽)에서 많이 쓴다고 여기는 경우(境遇)도 있는데, 수도 인프라가 열악(劣惡)한 면(面)도 있지만 강수량(降水量)이 원래(元來) 적었던 것도 있다. 백령도(白翎島) 가 여기보단 비가 많이 오지만 간혹(間或) 제한급수(制限給水)가 있는 곳인데, 이곳은 비교적(比較的) 인구(人口)가 적어서 물이 많이 필요(必要)하지는 않지만 넉넉하지도 않다. 시(時)에 삼수발전소(發電所)라는 수력발전소(水力發電所) 가 있는데 종종(種種) 제 기능(機能)을 못하는 이유(理由)가 겨울엔 물이 얼고, 여름엔 비가 많이 안 오기 때문이라는 의견(意見)도 있다. #

혜산군(惠山郡) 보천면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 (명목상(名目上)) 가장 높은 곳에 있는 행정구역(行政區域) 이(理)라 할 수 있다. [9]

단(但), 이 지역(地域)은 현재(現在)는 혜산(惠山)이 아닌 삼지연(三池淵) 에 속(屬)해 있어서, 혜산(惠山)이 북한(北韓)에서 가장 높은 행정구역(行政區域)은 아니다.

4. 인문(人文) [편집(編輯)]

4.1. 경제(經濟) [편집(編輯)]

2018년(年) 10월(月) 30일(日) 혜산(惠山)의 상업적(商業的) 중심지(中心地)인 혜산시장(惠山市場) 옆 역전(逆轉) 백화점(百貨店) 골목 인근(隣近).
2019년경(年頃)의 사진(寫眞). [10]

‘혜산(惠山)’이라는 지명(地名)이 산(山)의 혜택(惠澤)을 입고 살아가는 곳에서 유래(由來)된 것처럼, 이 지역(地域)은 전체(全體) 면적(面積)의 74%가 산림지역(山林地域)으로 풍부(豐富)한 임업자원(林業資源)을 갖고 있다. 혜산(惠山)에도 있는 북한(北韓) 특유(特有)의 민둥산(민둥山)을 보며 '임업자원(林業自願)'이라는 말이 이상(異常)하게 들릴 수 있는데, 시가지(市街地)에서 벗어난 곳에는 이 있으며, 연풍동과 강안동에 적어도 4개(個)의 목재가공(木材加工) 공장(工場)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中國) 과 잇닿아 있는 국경지역(國境地域)이어서 무역(貿易) 을 위한 크고 작은 무역회사(貿易會社)들이 집결(集結)되어 있으며, 비공식적(非公式的)인 밀매(密賣)가 왕성(旺盛)하다. 이러한 영향(影響)으로 시장운영(市場運營)이 활발(活潑)한데, 혜산시에는 2019년(年) 기준(基準) 6개(個) [11] 의 공식적(公式的)인 시장(市場)이 운영(運營)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調査)되었다. 이 시장(市場)은 2003년(年)부터 공식적(公式的)으로 운영(運營)되기 시작(始作)했다.

현재(現在) 혜산시에 있는 것으로 파악(把握)된 국가(國家)가 인정(認定)한 상설시장(常設市場)은 다음과 같다. 소매시장(小賣市場)은 지역(地域) 주민(住民)들이 주로(主로) 이용(利用)한다.
  • 혜산시장(惠山市場)(혜산시 혜신동): 세관(稅關) 또는 밀수(密輸)로 들여온 중국상품(中國商品)을 전국각지(全國各地)에 판매(販賣)하는 전국적(全國的)인 도매시장(都賣市場)이다.
    • 2017년(年) 기준(基準) 이곳 도매상(都賣商)은 1달 수입(輸入)을 합치면 500위안(약(藥) 8만(萬)원)정도(程度) 번다고 한다. 이 돈이면 버스운전사(運轉士) 남편(男便)의 외벌이로는 어려운 살림에 맞벌이를 통해서 자식(子息) 2명(名)(10세(歲) 이하(以下))을 뒷바라지할 수 있다고 한다. # 공식적(公式的)으로는 오후(午後) 2시(時)부터 장사를 시작(始作)하지만, 새벽에 단속(團束)을 피(避)해 열리는, 남한(南韓)에서 '메뚜기장'이라고 하는 시장(市場)이 있다고 한다. 북한(北韓) 여느 도시(都市)와 마찬가지로 조직생활(組織生活)을 하는 남자(男子)들 대신(代身) 여자(女子)들이 주로(主로) 장사를 한다. 2018년(年) 혜산시장(惠山市場)
  • 련봉시장(蓮봉市場)(혜산시 련봉(蓮봉)1동(棟)): 소매시장(小賣市場)
  • 마산시장(馬山市場)(혜산시 마산동): 소매시장(小賣市場)
  • 연풍시장(軟風市場)(혜산시 연풍동): 소매시장(小賣市場)
  • 대오천시장(隊伍千市長)(혜산시 검산동): 농촌도매시장(農村都賣市場)
  • 위연시장(市場)(혜산시 위연동): 소매시장(小賣市場)

북중간(北中間) 수출입(輸出入) 상품(商品)의 관세(關稅)에 관(關)한 일을 처리(處理)하는 혜산세관(惠山稅關)이 있어, 국가기관(國家機關) 산하(傘下) 무역지사(貿易支社)들이 적지 않게 상주(常住)하고 있다. 본사(本社)를 평양시 나 기타(其他) 도시지역(都市地域)에 두고 있는 무역회사(貿易會社)들은 업무추진(業務推進)을 위해 사무실(事務室)과 숙소(宿所), 수출입(輸出入) 상품(商品)을 보관(保管)할 수 있는 창고(倉庫)가 있는 출장소(出張所)가 필요(必要)한데, 혜산시 내(內) 가동(稼動)하지 않는 공장건물(工場建物)을 임대(賃貸)하는 방식(方式)으로 해결(解決)하고 있다.

혜산시에는 혜산광산(惠山鑛山), 로중(路中)(노중(路中))광산을(光山乙) 비롯해 중소규모(中小規模)의 광산(鑛山)들이 다수(多數) 있다. 이들 광산(鑛山)에서는 금광(金鑛), 동정광(銅精鑛), 중석(重石) 등(等)을 생산(生産)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中國) 의 투자(投資)로 운영(運營)되는 혜산광산을(惠山光山乙) 제외(除外)한 중소규모(中小規模)의 광산(鑛山)들은 임대업(賃貸業)을 통해 일정한 소득(所得)을 얻고 있다. 혜산지역(惠山地域)의 광산(鑛山)들은 국가계획위원회(國家計劃委員會)로부터 받은 연간생산계획(年間生産計劃)을 수행(遂行)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양수기(揚水機)나 동발목(동발木)(동발 [12] )을 비롯해 광물생산(鑛物生産)에 필요(必要)한 설비(設備)와 자재(資材), 그리고 노동자(勞動者)들에게 공급(供給)할 식량(食糧)이나 생활비(生活費)(월급(月給))도 부족(不足)하다. 중소광산(中小鑛山)들은 이러한 문제(問題)를 타 기관(機關)이나 기업소(企業所), 개인(個人)에 대(對)한 광산임대(鑛山賃貸)를 통해 해결(解決)하고 있다. 임대료(賃貸料) 지급(支給)은 현금(現金)이 아닌 광석(鑛石)을 통해 대부분(大部分) 이루어지는데, 광석(鑛石)을 캐낸 즉시(卽時) 지불(支拂)된다. 임차인(賃借人)이 채굴(採掘)에 필요(必要)한 설비(設備)를 임대인(賃貸人)으로부터 빌려서 이용(利用)하는 경우(境遇)에는 임대료(賃貸料)를 인민폐로 지급(支給)하기도 한다.

2010년대(年代)에는 식당(食堂), 목욕탕(沐浴湯) [13] , 수영장(水泳場) , 미용실(美容室) , 이발소(理髮所) 등(等)의 운영(運營)에 신흥부유층인(新興富裕層人) '돈주(株)'가 참여(參與)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북한(北韓)의 다른 도시(都市)도 마찬가지다.


'밀무역(密貿易)' [14] 으로 사람들이 먹고 사는 곳이었는데, 2019년(年) 국경(國境)에 대(對)한 단속(團束)이 심해져 사정(事情)이 어렵게 되었다고 한다. # 코로나19로도 지역간(地域間) 유통(流通) 통제(統制)와 더욱 강화(强化)된 국경(國境) 봉쇄(封鎖)로 극심(極甚)한 타격(打擊)을 받아, 물가(物價)가 평양(平壤) 과 따로 높게 형성(形成)되었다는 말도 있고, 의약품(醫藥品)이 부족(不足)하다는 말이 많다.

빈부(貧富) 격차(隔差)가 존재(存在)하여 한국(韓國)돈 4천(千)원 정도(程度)의 돈을 주고 보는 4D 영화관(映畫館)에서 오락(娛樂)을 즐기는 계층(階層)이 존재(存在)하기도 하지만 # , 가난한 사람들은 '하모니카 주택(住宅)' [15] 이라는 부엌과 방(房) 하나로 이어진 곳에서 산다. 옆집의 말소리가 들리는 곳이다. 이쪽에서 가스가 폭발(爆發)하는 사고(事故)가 있어 국내(國內) 언론(言論)에 보도(報道)되기도 하였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調査)에 따르면, 2019년(年) 탈북(脫北)한 혜산(惠山) 출신(出身) 탈북민(脫北民) 기준(基準) 가장 가난한 사람은 47세(歲) 여성(女性)으로 월(月) 가구(家口) 소득(所得)이 한국(韓國) 돈 만(萬)3천(千) 740원, 가장 잘 버는 사람은 35세(歲) 여성(女性)으로 장사만으로 월(月) 82만(萬)원을 번다.

량강도(兩江道) 기준(基準)으로는 그나마 최근(最近) 조성(造成)된 삼지연(三池淵)을 제외(除外)하면 도시(都市)의 꼴을 갖춘 유일(唯一)한 곳이니 잘 사는 편(便)일 수 있으나, 북한(北韓)에서 함경남도(咸鏡南道) 자강도(慈江道) 량강도(兩江道) 가 잘 사는 편(便)이 아니라는 주장(主張)도 있다. # 흔히 국경도시(國境都市)니까 잘 산다는 주장(主張)이 많지만, 절반(折半) 정도(程度) 맞다. 주변(周邊)에 변변한 도시(都市) 자체(自體)가 없어서 그나마 이곳이 경제적(經濟的) 중심(中心)이 된다는 뜻으로, 내륙(內陸) 깊숙한 곳에서도 사람들이 다 장사를 하고 검문(檢問)을 뚫어서라도 거래(去來)를 한다. 대신(代身) 북한(北韓)의 도시화율(都市化率)이 60% 정도(程度)이긴 하니, 적어도 40%의 시골보다는 잘 살 수는 있겠다. 지방(地方) 배급(配給) 체계(體系)가 마비(痲痹)된 고난(苦難)의 행군(行軍) 무렵이나 그 직후(直後)에는 중국(中國) 을 보고 시장(市場) 경제적(經濟的) 습관(習慣)을 빨리 받아들여 성장(成長)할 수 있었으나, 평성시 같은 내륙도(內陸道) 이미 1990년대(年代) 중후반(中後半)에 굶어죽을 것 같으니 바로 장사를 시작(始作)했고, 밀수(密輸)나 '비사회주의(非社會主義)'를 명목(名目)으로 북한(北韓) 당국(當局)이 개인(個人)이 스스로 생계(生計)를 꾸리는 행위(行爲)를 방해(妨害)하여 꽤 힘들어졌다.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통일평화(統一平和)연구원의 탈북민(脫北民) 대상(對象) 설문(設問) [16] 에 따르면, 강계시 를 제외(除外)한 북한(北韓)의 도(度) 중심도시(中心都市) 중(中) 가장 못 사는 곳으로 혜산(惠山)이 꼽혔다. 2017년(年)까지만 해도 사리원시 개성시(開城市) 가 더 못산다고 하였는데, 이들 도시(都市)에 의(依)해 추월(追越)당했다. 30~40% 가량(假量)이 혜산(惠山)이 가장 못 산다고 한다. 다만 가장 잘 사는 도시(都市)를 꼽으라고 해도 청진시(淸津市) 와 비슷한 결과(結果)가 나오는데, 이것은 남포시 나 사리원시 같은 도시(都市)보다 잘 산다는 것이다. 이것은 10% 안되는 사람들이 가장 잘 사는 곳으로 꼽은 것이다. #

2010년대(年代) 후반(後半) 기준(基準) 북한(北韓) 전역(全域)에서 부동산(不動産) 거래(去來)가 제한적(制限的)으로 가능(可能)한데, 같은 시일(時日)에 조사(調査)했을 때 혜산(惠山)은 부동산(不動産) 가격(價格)이 자강도(慈江道) 강계시 를 제외(除外)한 다른 지역(地域)의 중심도시(中心都市)보다는 낮다. 북한(北韓)/경제(經濟) 문서(文書)의 부동산(不動産) 문단(文壇) 참조(參照). 대량(大量)의 중국(中國) 러시아 의 물자(物資)가 들어올 수 있는 라선시 , 신의주시 , 평성시 , 평양시 정도(程度)가 비교적(比較的) 잘 사는 편(便)이다.

4.2. 정치(政治) [편집(編輯)]

2010년대(年代) 후반(後半) [17] 혜산청년역(惠山靑年驛) 앞의 모습. 한국(韓國)의 경찰(警察)에 해당(該當)하는 보안원(保安員)에 대(對)한 설명(說明)이 있다.
이곳에 혜산(惠山) 애국렬사릉(愛國烈士陵)이 위치(位置)한다.

북한(北韓) 내(內)에서 외부(外部) 문물(文物)을 그나마 접(接)할 수 있는 곳이고, 강폭(江幅)이 상대적(相對的)으로 좁아 탈북자(脫北者) 가 많은 도시(都市)이기도 하다. 외부(外部) 문물(文物)을 접(接)하기 쉬워 북한(北韓) 내(內)에선 그나마 정치적(政治的)으로 깨어있다는 정황(情況)도 있다. 김정은(金正恩) 의 통제(統制)도 종종(種種) 안 먹히기도 하고, 이쪽의 문화(文化)가 내륙(內陸)으로 퍼지기도 한다고. 저 동영상(動映像)을 보면 보안원(保安員)에게 대드는 모습도 있다.

배(倍)나TV 의 인터뷰에 의(依)하면, 2018년(年) 11월(月)에 탈북(脫北)한 이곳 출신(出身)의 한 탈북자(脫北者)는 왜 안들고 일어나는가 하는 생각도 했다고 한다. # 젊은 세대(世代) 사이에서는 한국(韓國) 수저계급론(階級論)과 비슷한 인식(認識)이 있다는 말도 있다.

4.3. 교통(交通) [편집(編輯)]

교통(交通)으로는 만포청년역(滿浦靑年役) 을 기점(起點)으로 북부내륙선(北部內陸選) 이 이어지는데, 압록강(鴨綠江) 구간(區間)의 60% 이상(以上)을 따라가는 건 둘째치고 선형(先兄)이 정말로(正말로) 안 좋다 . 그 외(外)에 길주(吉州) 로 내려가는 백두산청년선(白頭山靑年善) 이 여기를 종점(終點)으로 한다. 도시(都市)의 중심(中心) 역(驛)은 혜산청년역(惠山靑年驛) 이지만, 나무위키에는 이 역(驛) 다음 역(驛)인 위연청년역(靑年役) 이 더 먼저 작성(作成)되는 위엄(威嚴)을 보였다. 이는 북한이탈주민(北韓離脫住民) 들 덕분(德分)에 위연역(演繹)의 유명세(有名稅)가 높아졌기 때문.


시외버스(市外버스), 택시가 존재(存在)한다. 동남아시아(東南아시아) 뚝뚝 처럼 생긴 삼륜(三輪)오토바이 택시는 2009년(年) 처음 등장(登場)하여 제대로 운영(運營)되지 않는 국영(國營)버스보다 각광(脚光)받았다. 2013년(年)에는 이것이 더 흔해졌다고 한다. # 2017년(年) 가을부터 한국(韓國)과 비슷하게 생긴 택시가 생겼다고 알려져 있으며, 1인당(人當) 요금(料金)이 한국(韓國) 돈 3천(千)원 정도(程度) 한다고 한다. 택시가 원거리(遠距離) 이동(移動)을 해 철도(鐵道)보다 7배(倍) 더 빠르다고 하며, 함흥(咸興) 까지 가면 100위안 [18] , 한국(韓國)돈 만(萬) 7천(千)원~만(萬) 8천(千)원 가량(假量)이다. # 여기서 보이는 승합차(乘合車) 같은 것은 'Long Van'을 북한식(北韓式)으로 읽어 주민(住民) 사이에서 '로그바/농구망(籠球網)' 등(等)으로 통한다고 한다. 함흥이 평성(平成), 신의주(新義州) [19] 로 가는 기점(起點)이 된다. # 그래서 평양(平壤) 옆의 평성(平成)까지 24시간(時間) 안에 갈 수 있다고 한다. 돈을 많이 주면 검문(檢問)도 뚫을 수 있다고 한다. 택시는 2018년(年) 3월(月) 기준(基準) 30여대(餘臺) 정도(程度)로 조사(調査)된다.

2018년(年) 12월(月)에 처음으로 신호등(信號燈) 이 생겼다. 혜산역(惠山驛) 앞에 있다고 한다. #

북한(北韓)은 도(道) 사이의 물류(物流)를 '서비차(鉏飛車)'라는 택배(宅配) 나 미니 밴의 일종(一種)으로 보낸다. 운전자(運轉者) 식비(食費), 검문소(檢問所)를 통과(通過)할 뇌물(賂物) , 연료비(燃料費)를 제외(除外)하면 2018년(年) 1월(月) 기준(基準) 다음과 같이 운송비(運送費)가 정(定)해진다고 한다. #
도시(都市)
거리 [20] (km)
요금(料金)(달러)
147
50
278
120
350
150
562
200
574
300

혜산비행장(惠山飛行場)이라는 군용(軍用) 비행장(飛行場)이 있다. 지역(地域) 주민(住民)들에게는 '련봉비행장(蓮봉飛行場)', '운총비행장(飛行場)' [21] 이라고도 불리는 듯하다.

대한민국(大韓民國) 9번(番) 국도(國道) 의 종점(終點)이며, 10번(番) 국도(國道) 와 만난다.

4.4. 문화(文化) [편집(編輯)]

동북(東北) 방언(方言) 에 해당(該當)하는 사투리가 있으며, 이것은 흔히 '북한(北韓)말'로 알려진 평안도(平安道) 사투리 와는 억양(抑揚)이 다르다. 말이 빠르고 성조(聲調)가 있다고 한다. 서울 사람 기준(基準)으로 경상도(慶尙道), 영동(嶺東) 지방(地方)의 말과 억양(抑揚)이 비슷하다는 주장(主張)이 있다. # 여기서 나이든 사람들은 서울말을 들으면 간지럽다고 생각하는 경우(境遇)도 있다고 한다.

중국(中國), 밀수(密輸)된 한국(韓國) 문화(文化) 등(等)의 영향(影響)을 받아 옷차림 같은 부분(部分)에서는 다른 북한(北韓) 도시(都市)보다 세련되었다는 증언(證言)도 있다. 그래서 유튜브에 올라온 혜산(惠山)을 촬영(撮影)한 동영상(動映像)을 보면 옷차림이 인프라와 대조적(對照的)으로 현대적(現代的)이라는 반응(反應)도 나온다.

2010년대(年代) 후반(後半) 기준(基準) 시장화(市場化)로 인(因)해 남존여비(男尊女卑) 문화(文化)가 상당(相當) 부분(部分) 무너지는 추세(趨勢)라고 알려져 있다. 한편(한便)에서는 여자(女子)에게 힘든 일을 시키고 뒷짐지는 사람도 있지만, 다른 쪽에서는 시장(市場) 한복판에서 아이를 업고 다니는 남자(男子)가 포착(捕捉)되기도 한다. 가사(家事)는 아직 남성(男性)의 가사분담(家事分擔)이 없지는 않아도 여성(女性)이 하는 경우(境遇)가 지배적(支配的)이나, 결혼관(結婚觀)과 같은 부분(部分)에서 큰 변화(變化)가 있다.

2000년대(年代) 중반(中盤)부터 "여자(女子)들이 경제력(經濟力)이 있으면 못사는 남자(男子)라도 똑똑하고 잘생긴 남자(男子)를 끌어온다."는 말이 있던 곳이고, 2016년경(年頃) 기준(基準) 재력(財力)이 있는 신붓감(新婦감)이 그 지역(地域) 출신(出身) 남성(男性) 중(中) 평양(平壤)의 대학(大學)을 졸업(卒業)하여 평양(平壤)에 거주(居住)할 가능성(可能性)이 있는 신랑감(新郞감)을 선호(選好)하는 현상(現象)이 발생(發生)하고 있다고 한다. 평양(平壤)에 살기 위해서는 그곳에 적(敵)을 둔 남성(男性)과 결혼(結婚)해야 한다. 부유층(富裕層) 사이에서는 결혼(結婚)의 대가(代價)로 대학(大學) 공부(工夫) 뒷바라지와 평양(平壤)의 주택(住宅)이 오가기도 한다. '평양(平壤)의 주택(住宅)'은 여자(女子)의 돈이 필요(必要)하다.

아예 신부(新婦) 측(側)이 경제력(經濟力)이 있으면 친정(親庭) 근처(近處)에 집을 마련해주고 결혼(結婚)한 딸을 가까이 두고 살기도 한다. 지금(只今)은 옛날하고 달라서 딸을 더 중시(重視)한다는 말도 있으며, 부모(父母)들은 딸한테 더 의지(依支)하려고 하고, 며느리를 들여봤자 딸보다 못하다는 말이 오간다고 한다. #

2018년(年) 기준(基準) 가사(歌詞) 분담(分擔)에 대(對)한 관념(觀念)이 달라진다는 주장(主張)도 있다. “남편(男便)들이 아내를 도와 아이를 봐준다거나 집안일을 돕는 것을 두고 ‘저 사람 좀 모자라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일반적(一般的)이었다면, 지금(只今)은 그렇게 해야 가정(家庭)이 편(便)하다는 것을 남성(男性)들이 더 잘 알고 있고 있다”며 “지금(只今)은 그런 가정(家庭)을 두고 주변(周邊)에서는 ‘보기 좋다’고 평가(評價)하곤 한다”는 보도(報道)가 있다. #

2019년(年)에 탈북(脫北)한 한 탈북자(脫北者)의 증언(證言)으로는, 웬만한 사람들은 휴대전화(携帶電話)를 갖고 싶어하며, 못사는 사람도 휴대전화(携帶電話)는 가지려고 한다고 한다. 인터넷이 안 되니 제약(制約)이 심(甚)하지만, 그래도 집전화(電話)보다 휴대전화(携帶電話)가 좋다는 인식(認識)이 생긴다고 한다. 태양광(太陽光) 패널이 보급(普及) 중(中)이라 전기(電氣)를 국가(國家)에서 안줘도 한국(韓國) 영상물(映像物) 등(等)을 볼 수 있는 경우(境遇)가 생기고 있다. 평양(平壤)과 같은 지역(地域)과 마찬가지로 한국(韓國) 영상물(映像物)이 최근(最近)에는 팔지 않고 그냥 돈다고 한다. 단속(團束)이 심(甚)해서 그런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당시(當時) 북한(北韓) 형법(刑法) 등(等)을 보면 처벌(處罰)이 5년(年) 교화(敎化)(징역(懲役))이(李) 가능(可能)할 정도(程度)로 세지만, 뇌물(賂物)로 이것이 무마(撫摩)되기도 한다고 한다. 한국(韓國) 물품(物品)은 매우 품질(品質)이 좋다고 소문(所聞)이 나있지만, 부자(富者)가 아니면 못쓴다고 한다. 머리 코팅을 해보고 단속(團束)을 피(避)해 모자(帽子)를 쓰고 다녔다고 한다. #

5. 행정(行政) [편집(編輯)]

5.1. 북한(北韓) 기준(基準) 행정구역(行政區域) [편집(編輯)]

총(總) 25개동(個棟)과 6개(個) 리(里)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보천군(普天郡)에서 화전리를 2008년(年) 이후(以後) 편입(編入)하였다. 로동리는 기존(旣存) 리(리) 지역(地域)에서 분리(分離)시킨 것으로 보인다. 출처(出處)
  • 동(桐): 혜산동, 혜흥동, 혜화동(惠化洞), 혜강동, 혜신동, 혜강동, 혜명동, 신흥동, 탑성동, 성후동, 련두동, 강안동, 위연동, 연풍동, 련봉(蓮봉)1동(棟), 련봉(蓮봉)2동(棟), 영흥동, 송봉1동(棟), 송봉2동(棟), 강구동, 춘동(桐), 마산(馬山)1동(棟), 마산(馬山)2동(棟), 혜탄동, 혜장동, 검산동
  • 리(리): 로중리, 로동리, 운총리, 신장리, 장안리, 화전리

5.2. 관공서(官公署), 관련기관(關聯機關) [편집(編輯)]

량강도(兩江道)의 소재지(所在地)이기에 인근(隣近)에는 없는 기관(機關)이나 관공서(官公署)가 위치(位置)한다. 한국국토정보공사(韓國國土情報公社) 산하(傘下) 공간정보연구원(空間情報硏究院)에서 2018년경(年頃)에 탈북자(脫北者)를 대상(對象)으로 교차검증(交叉檢證)을 마친 지명(地名)이다.
  • 당(黨)?정권기관(政權機關)
    • 당(黨) : 일선(一線) 행정(行政)을 제외(除外)한 행정(行政)의 실질적(實質的) 권한(權限)은 이곳에 있다. 인민위원회(人民委員會)나 농촌경영위원회(農村經營委員會)의 보고(報告)를 받는다.
      • 량강도(兩江道) 도당위원회(道黨委員會): 혜산시 혜명동
      • 혜산시 당위원회(黨委員會): 혜산시 혜명동
    • 행정(行政) : 한국(韓國) 수준(水準)으로 행정(行政) 전반(全般)을 관할(管轄)하지는 않고 지역(地域)의 당위원회(黨委員會)의 지도(指導)를 받는다. 즉(卽), 인민위원회(人民委員會)는 '행정(行政) 중심지(中心地)'나 '시청(視聽)'이 절대로(絶對로) 아니다. 이름과 실제(實際)가 다르다. 북한(北韓)에서는 관청(官廳) 하나의 위치(位置)로 중심지(中心地)를 나타내지 않으며, 그런 점(點)으로 된 단일(單一) 중심지(中心地) 자체(自體)가 존재(存在)하지 않는다. 북한(北韓)/행정구역(行政區域) 문서(文書)를 참조(參照)할 수 있다.
    • 농업(農業) : 농촌경영위원회(農村經營委員會)는 이곳의 위원장(委員長)이 지역(地域) 서열(序列) 3위(位)일 정도(程度)로 한국(韓國)에 비하면 위상(位相)이 높은 기관(機關)이다. 한국(韓國) 경찰(警察)과 유사(類似)한 원리(原理)로 운영(運營)되는 중앙(中央) 직속(直屬) 기관(機關)으로, 농촌(農村)의 행정(行政) 자체(自體)를 이곳에서 담당(擔當)하는 경우(境遇)가 많다. 1위(位)는 당위원회(黨委員會)를 이끄는 도당(道黨) 책임비서(責任祕書), 2위(位)는 인민위원회(人民委員會)의 위원장(委員長)이다. 역시(亦是) 당위원회(黨委員會)의 지도(指導)를 받는다.
      • 량강도(兩江道) 농촌경영위원회(農村經營委員會): 혜산시 혜명동
    • 근로단체(勤勞團體) : 이름만 들으면 마치 민주노총(民主勞總) , 한국노총(韓國勞總) 같은 단체(團體)로 오해(誤解)할 수 있으나 그런 곳이 아니다. 북한(北韓)에서 사회생활(社會生活)을 위해 의무적(義務的)으로 가입(加入)해야 하는 곳인데, 여기는 주민(住民)들을 노역(勞役)에 동원(動員)시키거나 생활총화(生活總和) 같이 충성(忠誠)을 하지 않았다고 서로를 갈구(渴求)는 자리를 마련하는 곳이 되기도 한다. # 2018년(年) 내용(內容)이 다소(多少) 바뀌었다는 말도 있으나 2018년(年) 이후(以後) 탈북자(脫北者)도 여전히(如前히) 생활총화(生活總和)가 싫었다는 탈북자(脫北者)가 있다.
      • 량강도(兩江道) 청년동맹(靑年同盟) 위원회(委員會): 혜산시 혜명동
      • 혜산시 청년동맹위원회(靑年同盟委員會): 혜산시 혜명동
      • 량강도(兩江道) 직맹(職盟) 위원회(委員會): 혜산시 혜명동
      • 혜산시 직맹위원회(職盟委員會): 혜산시 혜명동
      • 량강도(兩江道) 여맹(女盟) 위원회(委員會) [22] : 혜산시 혜명동
      • 혜산시 여맹위원회(女盟委員會): 혜산시 혜명동
  • 국가보안(國家保安)·사회통제(社會統制)·사법기관(司法機關)
    • 국가보안(國家保安)
    • 사법(司法)
      • 혜산시 검찰소(檢察所): 혜산시 혜산동
      • 량강도(兩江道) 재판소(裁判所): 혜산시 혜산동
      • 혜산시 재판소(裁判所): 혜산시 혜산동

6. 기타 [편집(編輯)]

갈렙선교회(宣敎會) 등(等)의 유튜브에서는 이곳의 영상(映像)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중국인(中國人)들이 혜산(惠山) 사람들을 그냥 촬영(撮影)한 것이 유튜브에 돌아다닌다. 파주(坡州) 오두산 통일전망대(統一展望臺) 와 북한(北韓) 정곶(正串)리 선전(宣傳)마을이 3~4km 떨어져 있는데, 북중(北中) 세관(稅關) 사이의 거리(距離)가 300m이며, 중국(中國) 장백현의 고지대(高地帶) 중(中) 일부(一部)가 혜산(惠山) 시가지(市街地)에서 1~2km의 안쪽에 있는 경우(境遇)도 있다. 그래서 중국(中國)에서 망원(望遠)렌즈로 주민(住民)들의 일상(日常)까지 찍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런데...

2020년(年) 12월(月) 경(頃)으로 추정(推定)되는데, 이젠 강변(江邊)에 나무 판자(板子)로 가림막(가림幕)을 설치(設置)한다고 한다. 자기(自己) 채널에 반응(反應)을 한 것이라고 하는데, 편집자(編輯者) 본인(本人)도 중국(中國)에서 영상(映像)을 받아오거나 퍼오기도 한다고 언급(言及)한 경력(經歷)이 있어 이것만 보고 반응(反應)한 것이라는 뜻은 아닌 듯하다. 탈북(脫北)한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이라 남한(南韓) 네티즌과 문화적(文化的) 차이(差異) [23] 로 의사소통(意思疏通)에서 어긋나기도 하는 모습이 있다. 이 채널이전(移轉)부터 중국(中國)에서 KBS 같은 방송국(放送局)도 이곳을 찍는 사례(事例) 가 많았다.

북한(北韓)에 연락망(連絡網)을 갖추고 있는 언론(言論)인 데일리NK , 아시아프레스 는 혜산(惠山)의 소식(消息)을 접(接)하기 쉽기에 이쪽의 소식(消息)을 많이 취재(取材)한다.

2016년(年) 4월경(月頃) 웬만한 건물(建物)의 도색(塗色) 작업(作業)을 마쳤다. # 건물(建物)의 색깔(色깔)이 눈이 아플 정도(程度)로 강렬(强烈)하다.

창바이 조선족자치현(朝鮮族自治玄)에서 이 혜산시(惠山詩)가 내려다보이는 익스트림 레포츠 관광시설(觀光施設)이 개장(開場)했다. #

7. 이북(以北) 5도(度) 기준(基準) 행정구역(行政區域) [편집(編輯)]

7.1. 구(區) 갑산군(甲山郡) 지역(地域) [편집(編輯)]

  • 혜산읍 (惠山邑)
    • 관할(管轄) 리 : 혜산(惠山)(惠山) , 강구(講究)(江口), 석덕(碩德)(石德), 송봉(松峯), 여(餘)달(呂達), 연평(延坪)(?坪), 요동(搖動)(要洞), 위(位)연포(渭淵浦), 중(中)(中), 춘동(桐)(春洞)
    • 원래(元來) 갑산군(甲山郡) 혜산사(社)였다가 보천사(洑天使)와 통합(統合)되어 보혜면(寶鞋面)이 되었다가, 1932년(年)에 보혜면(寶鞋面)이 분할(分割)되면서 신설(新設)되었고 1934년(年)에 읍(邑)으로 승격(昇格)되었다. 북부내륙선(北部內陸選) , 백두산청년선(白頭山靑年善) , 삼지연선(三池淵選) 이 지나는 교통(交通)의 요지(要地). 혜산청년역(惠山靑年驛) 에서 혜산(惠山)만포청년선과 백두산청년역(白頭山靑年役)이 분기(分岐)하며, 위연역(演繹) 에서 백두산청년선(白頭山靑年善)과 삼지연선(三池淵線)이 분기(分期)한다. 이외(以外)에도 관내(管內)에 강구역(江區域) 이 있다.
    • 혜산진성 남문(南門) 문루(門樓)였던 괘궁정(掛弓亭)(掛弓亭)이 남아있다. 1937년(年)에 현재(現在) 위치(位置)로 옮겼으며 북한(北韓)의 보물급(寶物級) 문화재(文化財)다.
  • 대진면 (大鎭面)
    • 관할(管轄) 리 : 대진평(坪)(大鎭坪) , 대평(大坪), 대흥(大興)(大興), 보흥(步興)(保興), 여수(麗水)(麗水)
    • 1942년(年) 혜산군(惠山郡) 출범(出帆)과 동시(同時)에 보천면에서 분리(分離)되어 신설(新設)되었다. 보천선(步遷善) 철도(鐵道)가 이곳에서 시종착(始終着)하며 관내(管內)에 대진역(驛) , 려수역(旅愁驛) , 량(輛)강대평역(驛) 이 있다. 남한(南韓) 지도(地圖)에는 대진역(驛)까지 표시(標示)된 지도(地圖)가 있다.
  • 운흥면 (雲興面)
    • 관할(管轄) 리 : 대오시(隊伍視)(大五是) , 검산(劍山), 남산(南山)(南山), 대문(大門)(大門), 대상(對象)(大上), 대전평(大戰坪)(大田坪), 대중(對中)(大中), 대하(大河)(大下), 모정(毛亭), 봉서(奉書)(鳳棲), 산당(山堂)(山堂), 상(上)산양천(上山羊川), 상장성(上場性)(上長城), 속신(俗信)(束薪), 송암(松巖), 신복(神服)(新福), 신흥(新興)(新興), 오산(烏山)(五山), 오시천(五是川), 옹동(桐)(甕洞), 운룡(雲龍)(雲龍), 일건(一件)(日建), 장포(菖蒲)(長浦), 중봉(重峯)(中峰), 중평(衆評)(仲坪), 하산양천(陽川)(下山羊川), 하장성(下長城), 호동(好童)(芦洞)
    • 북한(北韓) 행정구역상(行政區域上) 운흥군(雲興郡) 소재지(所在地). 백두산청년선(白頭山靑年善) 철도(鐵道)가 지나가며 관내(管內)에 검산리역(驛) , 대오천역(隊伍賤役) 이 있다.

7.2. 구(區) 삼수군(三水郡) 지역(地域) [편집(編輯)]

  • 별동면 (別東面)
    • 관할(管轄) 리 : 통목(桶木) , 광생(狂生)(光生), 내동(內洞), 대동(帶同)(大洞), 동동(銅洞), 동중(洞中)(東中), 동하(冬夏)(東下), 번포(番布)(蕃浦), 보파(補播)(寶坡), 부변(父邊)(?邊), 삼흥(三興), 상발(上發), 상어(相於), 상초평(上草平)(上草坪), 선소(宣召)(船所), 신거(宸居)(新巨), 안계(眼界)(安溪), 양문(陽文)(養文), 장강(長江)(長江), 장동(章動)(長洞), 장수(長壽)(長壽), 창포(菖蒲)(菖蒲), 천석(千石)(千石), 하면(下面), 회사(會社)(回沙), 효장(驍將)(孝長), 흘립(屹立)(屹立)
    • 혜산군(惠山郡)에서 유일(唯一)하게 구(區) 삼수군(三水郡) 지역(地域)이었다(나머지는 구(舊) 갑산군(甲山郡) 지역(地域)이다.). 1914년(年) 별해면(別海面)(別海面)과 하동면(下東面), 상동면(上東面)을 병합(倂合)하여 신설(新設)된뒤 1942년(年) 혜산(惠山)으로 이관(移管)되었다. 철도(鐵道)로는 북부내륙선(北部內陸選) 철도(鐵道)가 지나가며 관내(管內)에 늪평역 이 있다.
    • 허천강(虛川江)을 막은 댐의 건설(建設)로, 면소재지(面所在地) 통목리(里)를 비롯한 강변(江邊) 지역(地域)이 댐으로 수몰(水沒)됐다.

8. 출신(出身) 인물(人物) [편집(編輯)]

9. 참고(參考) 자료(資料) [편집(編輯)]

  • 남북(南北) 간(間) 사회격차(社會隔差) 완화(緩和)를 통한 한반도(韓半島) 평화복지체제(平和福祉體制) 구축(構築) 방안(方案) 연구(硏究) - 북한(北韓) 주민(住民)의 생활실태(生活實態)를 중심(中心)으로(2020): 2019년(年) 탈북(脫北)한 혜산(惠山) 주민(住民)의 증언(證言)이 많이 실려있다. 유튜브의 탈북자(脫北者)보다도 최신(最新)의 증언(證言)을 다룬다. #
  • 대북제재하(對北制裁下) 북한(北韓)의 혜산시 부동산(不動産) 상품별(商品別) 거래행태(去來行態)와 특징(特徵)(2019): #
  • 지적재조사사업(地積再調査事業)의 성과(成果)를 활용(活用)한 통일한국(統一韓國)의 지적제도(指摘制度) 정립방안(定立方案) 연구(硏究)(2018): #

[1] 2008년(年) 기준(基準) 북한(北韓) 인구조사(人口調査) 인구주택총조사(人口住宅總調査) 통계(統計) [2] 2022년(年) [3] 2022년(年) [4] 제(第)637호(號) 혜산선거구(惠山選擧區), 박철호, 제(第)638호(號) 혜장선거구(選擧區), 정형숙, 제(第)639호(號) 탑성선거구(塔性選擧區), 최련제(第), 640호(號) 송봉선거구(選擧區), 리상원(리上院) , 제(第)641호(號) 련봉선거구(蓮봉選擧區), 김미남 [5] 혜산(惠山) 출신(出身) 탈북자(脫北者) 의 고향(故鄕)을 주제(主題)로 한 영상(映像). 제작자(製作者)가 비교적(比較的) 최근(最近)(2010년대(年代) 중반(中盤) 이후(以後))에 탈북(脫北)한 모양(模樣)인지, 기존(旣存)에 알려진 북한(北韓)의 모습과 다른 언급(言及)을 한다. 아이들의 노는 모습이 바뀌었고, 남편(男便)이 아내에게 월급(月給)을 바친다고 하며, 고리대(高利貸)의 존재(存在)와 상업(商業)의 발달(發達), 부정부패(不淨腐敗)의 만연(蔓延)을 언급(言及)한다. 영상(映像)을 자세(仔細)히 보면 인프라와 대비(對比)되게 옷과 같은 물건(物件)이나 여성(女性)들의 체형(體型)이 대중적(大衆的) 이미지와 차이(差異)가 있다. [6] 80년대(年代)라는 표현(表現)이 이상(異常)할 수 있다. 저것보다 나은 모습도 있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저쪽은 정비(整備)가 되지 않은 주택가(住宅街)인데, 저런 곳 말고 그나마 깔끔한 아파트 나 온수기(溫水器)가 있는 집도 있다고 한다. 소수(少數)의 건물(建物)은 21세기(世紀)의 건물(建物) 같은 것도 있다. # # 하지만 2021년(年)에도 물을 긷는 사람이 보이고, 밤이 여전히(如前히) 어둡다는 말이 있어, 전기(電氣)나 수도(水道)가 80년대(年代)에 못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7] 2019년(年) 삼지연군(三池淵郡)이 시(市)로 승격(昇格)하면서 더이상(以上) 유일한(柳一韓) 시(詩)가 아니게 되었다. [8] 태백(太白)의 월별(月別) 평균기온(平均氣溫)이나 극값(極값)은 함경북도(咸鏡北道) 청진시(淸津市) 와 비슷한 편(便)이다. [9] 남한(南韓) 한정(限定)으로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행정구역(行政區域)은 한라산(漢拏山) 을 관할(管轄)하는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서귀포시(西歸浦市) 영천동이다. [10] 김정은(金正恩) 이 실제로(實際로) 아예 시장(市場)을 없애고자 했는지는 이견(異見)이 있다. 조선일보(朝鮮日報) 의 보도(報道)에서 나온 주장(主張)인데, 데일리NK 같은 언론(言論)에서는 더 관리(管理)를 하려는 것으로 관측(觀測)하기도 하였다. [11] 5개(個)라는 말도 있는데, 공간정보연구원(空間情報硏究員)은 6개(個)로 파악(把握)한다. [12] 광산(鑛山)이나 탄광(炭鑛), 토목(土木) 공사(工事)를 위하여 땅속에 뚫어 놓은 길이 무너지지 않도록 받치는 기둥. '동발목(동발木)'은 대한민국(大韓民國) 표준어(標準語) 로 인정받지 못한 말이다. [13] 한국식(韓國式) 목욕탕(沐浴湯)이 중국(中國)에 수입(輸入)되고, 이것이 다시 북한(北韓)에 수입(輸入)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 여기서 밀무역(密貿易)이란 국가(國家)가 허가(許可)하지 않았다는 의미(意味)만 있지, 한국(韓國) 기준(基準)으로는 평범(平凡)한 물건(物件)을 거래(去來)하는 것일 수도 있다. [15] 첫 번째(番째) 동영상(動映像)의 첫 부분(部分)에 나오는 부분(部分)이다. [16] 매년(每年) 100명(名)을 조사(調査)한다. [17] 동영상(動映像)은 2020년(年)에 올라와있지만, 이 동영상(動映像)을 제공(提供)하는 갈렙선교회(宣敎會) 는 촬영자(撮影者)의 안전(安全)을 위해 수(數) 년(年) 있다가 동영상(動映像)을 올리기도 한다. 2020년(年) 동영상(動映像)은 사람들이 마스크 를 쓰고 있다. [18] 평성(平聲)과 함흥(咸興) 간(間) 구간(區間)도 마찬가지다. [19] 함흥(咸興)을 거쳐가면 상당히(相當히) 돌아가는 것이지만, 영업구역(營業區域)을 기계적(機械的)으로 정(定)해 분쟁(紛爭)을 회피(回避)하는 수단(手段)이라고 한다. [20] 직선거리(直線距離)가 아니다. 평양(平壤)의 경우(境遇) 직선거리(直線距離)는 320km대(臺) 정도(程度)다. [21] '운촌(韻村)'이라는 보도(報道)도 있는데 오타(誤打)로 보인다. [22] 여맹(勵猛)의 두음법칙(頭音法則)을 무시(無視)한 공식(公式) 명칭(名稱)은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朝鮮社會主義女性同盟)'이다. 그런데 '여맹위원회(女盟委員會)'의 공식명칭(公式名稱)이 무엇인지 한국(韓國) 공간정보연구원(空間情報硏究院)의 자료(資料)에는 언급(言及)되지 않는다. [23] 옛 남한(南韓)의 생활상(生活相), 경제력(經濟力), 화법(話法)(북한(北韓) 치하(致賀) 이전(以前)에도 있던 화법(話法)이 있다.) 등(等)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