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현악기(絃樂器) - 나무위키

현악기(絃樂器)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찰현악기(擦絃樂器)의
계통(系統) 분류(分類)
바이올린 계(界)
비올 계(界)
리라 · 레밥 계(界)
발현악기(撥絃樂器)의
계통(系統) 분류(分類)
지터 계(界)
류트 계(界)
하프 계(界)
타현악기(打絃樂器)의
계통(系統) 분류(分類)
external/www.pro...
1 . 개요(槪要) 2 . 분류(分類) 3 . 국악(國樂) 과 현악기(絃樂器)

1. 개요(槪要) [편집(編輯)]

/ String instrument

줄을 이용(利用)해 소리를 내는 악기(樂器) 의 총칭(總稱)이다. 타악기(打樂器) , 관악기(管樂器) 에 이어 전자(電子) 악기(樂器)를 빼면 인류(人類) 역사상(歷史上) 가장 나중에 등장(登場)한 악기(樂器) 종류(種類)이다. [1]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줄을 켜거나 퉁겨서, 즉(卽) 무언가를 이용(利用) [2] 해 줄을 문지르거나, 손 등(等)으로 뜯어서 소리를 낸다. 줄을 타격(打擊)하여 소리를 내는 방식(方式)도 있으며 악기(樂器)를 활로 켜다가 중간(中間)에 포인트로 현(絃)을 뜯는 등(等), 두 가지 이상(以上)의 연주법(演奏法)을 하나의 악기(樂器)로 모두 구사(驅使)할 수도 있다.

날씨의 영향(影響)에서 가장 자유(自由)로운 타악기(打樂器) [3] 와는 달리 정(鄭) 반대(反對)로 현악기(絃樂器)는 날씨, 특히(特히) 습도(濕度)에 굉장히(宏壯히) 민감(敏感) 하다.

2. 분류(分類) [편집(編輯)]

  • 찰현악기(擦絃樂器) ( 絃樂器, bowed string instruments): 활을 이용(利用)해 줄을 문질러 소리를 내는 악기(樂器).(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아쟁(牙箏), 해금(奚琴) 등(等))
  • 발현악기(撥絃樂器) ( 絃樂器, plucked string instruments): 손이나 도구(道具)로 줄을 뜯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樂器).(쳄발로, 기타(其他), 하프, 우쿨렐레, 거문고, 가야금(伽倻琴) 등(等))
  • 타현악기(打絃樂器) ( 絃樂器, striked string instruments): 줄을 때려서 소리를 내는 악기(樂器).(피아노, 양금(洋琴), 덜시머 등(等))
  • 위(位) 분류(分類)에 해당(該當)되지 않는 악기(樂器)인 드렐라이어 는 줄을 바퀴 를 이용(利用)하여 문질러서 내는 악기(樂器)이다.

다만 줄을 진동(振動) 시켜 낸 소리를 몸통으로 증폭(增幅)시킨다는 원리(原理)는 동일(同一)하기에, 구조(構造)가 비슷한 일부(一部) 찰현학기(學期)와 발현악기(撥絃樂器)의 경우(境遇) 찰현악기(擦絃樂器)의 줄을 때리거나 발현악기(撥絃樂器)의 비벼서 소리를 내는 주법(奏法)이 존재(存在)한다. 찰현악기(擦絃樂器)의 피치카토 주법(走法)으로 발현악기(撥絃樂器) 처럼 소리를 내는 것이 가능(可能)하며, 반대(反對)로 발현악기도(撥絃樂器度) 활로(活路) 문지르는 아르코 주법(走法)으로 찰현악기(擦絃樂器) 기능(機能)이 가능(可能)하다.

피아노 클라비코드 등(等)의 타현악기(打絃樂器)는 현(玄)이 진동(振動)하여 소리를 내므로 면(面)(막명악기(膜鳴樂器))이나 몸체(몸體)(체명악기(體鳴樂器))가 진동(振動)하여 소리를 내는 타악기(打樂器)와 구분(區分)할 수 있다. 하프시코드 는 피아노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현(絃)을 뜯어서 소리를 내는 발현악기(撥絃樂器)이며, 오르간 은 애초(애初)에 현악기(絃樂器)조차 아닌 기명악기(氣鳴樂器)이자 관악기(管樂器) 이다. 이 악기(樂器)들은 건반(鍵盤)을 눌러 소리를 내는 악기(樂器)인 관계(關係)로 현악기(絃樂器)나 관악기(管樂器)로 분류(分類)하기보다는 ' 건반악기(鍵盤樂器) '라는 별개(別個)의 종류(種類)로 분류(分類)하는 경우(境遇)가 많다.

3. 국악(國樂) 과 현악기(絃樂器) [편집(編輯)]

국악(國樂)에서는 현(玄)의 여음(餘音)이 길게 나올수록 좋은 악기(樂器)로 쳐 찰현악기(擦絃樂器)에 해당(該當)되는 아쟁(牙箏) 이나 해금(解禁) 등(等)의 일부(一部)를 제외(除外)하면 대부분(大部分)이 발현악기(撥絃樂器)이다.

마한 현악기 복원품
광주(光州) 신창동 저습지(濕地) 에서 출토(出土)된 삼한(三韓) 현악기(絃樂器)의 복원품(復元品). 가야금(伽倻琴) 의 원형(原形)으로 추정(推定)되며, 마한(馬韓) 에서 사용(使用)되었다고 한다. ( 관련기사(關聯記事) 링크 )
[1] 그렇다고 현악기(絃樂器)의 역사(歷史)가 짧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하다못해 넓적한 판떼기에 줄 몇개(個) 달고 튕기는 수준(水準)의 현악기(絃樂器)라면 문명(文明) 이전(以前)에도 존재(存在)했던 것으로 추정(推定)되며, 티체스트 베이스 와 같은 형태(形態)는 기원전(紀元前) 수천(數千) 년(年) 전(前) 기록(記錄)에도 등장(登場)하고, 기타 의 직계(直系) 조상(祖上)인 류트 는 중세(中世) 유럽, 류트의 원형(原形)인 우드(악기(樂器)) 는 기원전(紀元前)에도 존재(存在)했다. 즉(卽) 현악기(絃樂器)의 역사(歷史)가 짧다기보다, 그냥 상대적(相對的)으로 최근(最近)에 나왔다 정도(程度)로만 이해(理解)하면 된다. [2] 바이올린 과 같은 대다수(大多數)의 경우(境遇) 활이 되지만, 드렐라이어 처럼 활을 이용(利用)하지 않는 것도 있다. [3] 체명악기(體鳴樂器) 한정(限定)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