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한준기 - 나무위키

한준기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용(龍)과 같이 시리즈에 등장(登場)하는 캐릭터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한준기(용(龍)과 같이 시리즈)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1 . 개요(槪要) 2 . 생애(生涯) 3 . 장단역에 멈춰선 마(馬)터형(型) 증기기관차(蒸氣機關車) 4 . 관련(關聯)된 기사(記事)

1. 개요(槪要) [편집(編輯)]

external/news.do...
韓俊基
1927년(年) ~ 2011년(年) 10월(月) 15일(日) (향년(享年) 84세(歲))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전(前) 철도(鐵道) 공무원(公務員). 흔히 알려진 경의선(京義線) 마지막 기관사(機關士) 로 유명(有名)하다.

2. 생애(生涯) [편집(編輯)]

1927년(年) 일본(日本) 후쿠오카현 출신(出身)으로, 1943년(年) 부터 1945년(年) 10월(月)까지 일본(日本)에서 철도(鐵道) 기관사(機關士) 로 근무(勤務)했다. 당시(當時)에는 일본(日本)이나 한국(韓國) 모두 증기(蒸氣) 기관차(機關車) 가 운행(運行)하던 시점(時點)이었던 만큼 귀국(歸國) 후(後)에도 이 경력(經歷)이 반영(反映)된 것으로 보인다.

해방(解放) 후(後)인 1945년(年) 11월(月) 에 귀국(歸國)해 1946년(年) 2월(月)부터 서울철도국 수색기관차사무소(搜索機關車事務所)(現 한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 서울본부(本部) 서울기관차승무사업소(機關車乘務事業所))에서 근무(勤務)하면서 서울역(서울驛) 에서 토성역 까지의 80km 경의선(京義線) 구간(區間)을 담당(擔當)했다.

당시(當時) 이 기록(記錄)은 상당히(相當히) 빠른 편(便)으로, 1946년(年)을 기준(基準)으로 봐도 19세(歲). 대한민국(大韓民國) 철도(鐵道) 공무원(公務員) 역사상(歷史上) 최연소(最年少) 기록(記錄)이라고 한다. 일본(日本)에서 증기기관차(蒸氣機關車)를 운전(運轉)한 때는 무려(無慮) 17세(歲)이다. 어떻게 청소년(靑少年) 때 할 수 있었던 거지 증기기관차(蒸氣機關車)는 주(主) 기관사(機關士) 외(外)에도 화부(火夫)가 1~2명(名) 더 필요(必要)하기 때문에, 보조원(補助員)으로 들어가는 게 이상(異常)한 일은 아니다. 또한 당시(當時)는 구제중학교(救濟中學校) 구제고등학교(救濟高等學校) 진학(進學) 인원(人員)은 사회(社會) 전체적(全體的)으로 봤을 때는 일부(一部)였으며, 나머지는 10대(代) 때부터 생활전선(生活前線)에 뛰어들었다. 또한 이때는 전쟁중(戰爭中) 이었다. 1937년(年) 중일전쟁(中日戰爭)을 시작(始作)으로 해서 전쟁(戰爭)이 계속(繼續) 커지고, 태평양전쟁(太平洋戰爭) 이 격화(激化)되며 일본(日本)은 일반(一般) 농민(農民)이나 상점(商店) 종업원(從業員) 같은 인력(人力)뿐만 아니라 공장(工場) 숙련인력(熟鍊人力)까지 뽑아다 전선(戰線)에 밀어넣기 시작(始作)했기 때문에, 철도기관사(鐵道機關士) 같은 분야(分野)도 예외(例外)는 아니었다. 거꾸로 말하자면 철도(鐵道)에 17세(歲) 인력(人力)까지 써야 할 정도(程度)로 막장으로 돌아갔다는 뜻. 북한(北韓)도 철도인력(鐵道人力)은 군부(軍部)에 준(準)하는 조직(組織)이자 중요인력(重要人力)으로 군(軍) 계급(階級)을 주어 대우(待遇)한다. 한국(韓國)은 군(軍) 계급(階級)을 주진 않지만 철도(鐵道) 인력(人力)은 별도(別途)의 편제(編制)되어 있으며, 예비군(豫備軍) 훈련(訓鍊)도 면제(免除)된다.(정확히는 면제(免除)가 아니라 별도(別途)의 훈련(訓鍊)을 받는다.)

그러나 1950년(年) 에 발생(發生)한 6.25 전쟁(戰爭) 경의선(京義線) 의 운행(運行)을 중단(中斷)시켰고, 1950년(年) 12월(月) 31일(日) 한포역(暴逆) 에서 내려오던 열차(列車)를 마지막으로 그는 경의선(京義線) 열차(列車)에서 내렸다. 경향신문 기사(記事)에 의(依)하면 1967년(年)까지 기관사(機關士)로 근무(勤務)한 후(後) 행정직(行政職)으로 전환(轉換)했다고 한다. 주(株) 근무지(勤務地)는 경의선(京義線), 경원선(京元線) 이었다고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두 곳 다 남북(南北) 분단(分斷) 으로 끊어진 곳이다.

이후(以後) 1985년(年) 철도청(鐵道廳) 에서 은퇴(隱退), 은퇴(隱退) 후(後)에도 철도(鐵道) 관련(關聯) 행사(行事)에 참가(參加)하였고 2000년(年) 건설(建設)교통부 에서 만든 경의선(京義線) 관련(關聯) 자료집(資料集)에서 경의선(京義線) 마지막 기관사(機關士) 로 공식(公式) 인정(認定)했다. 당시(當時) 경의선(京義線) 남북연결사업(南北連結事業) 기공식(起工式)에서 직접(直接) 열차(列車)를 시운전(試運轉)했고, 2007년(年) 경의선(京義線) 시험운전(試驗運轉)때 초대(招待)받은 뒤에 개성(個性)을 둘러보기도 했다.

이후(以後) 2009년(年) 마(馬)터형(型) 증기기관차(蒸氣機關車) 전시식에 참가(參加)한 후(後) 노환(老患)으로 병원(病院)에 있다가, 2011년(年) 10월(月) 15일(日)에 별세(別世)했다. 장지(葬地)는 전라북도(全羅北道) 진안군(鎭安郡) 안천면이다.

3. 장단역에 멈춰선 마(馬)터형(型) 증기기관차(蒸氣機關車) [편집(編輯)]

장단역 문서(文書)에 있는 '장단역과 한국전쟁(韓國戰爭)' 부분(部分) 참고(參考).

장단역에 있다가 지금(只今) 임진각(臨津閣) 으로 옮겨진 열차(列車)는 1950년(年) 12월(月) 31일(日) 군수물자(軍需物資)로 싣고 북진(北進)하던 열차(列車)였으나, 당시(當時) 중공군(中共軍) 의 개입(介入)으로 한포역(暴逆) 에서 남하(南下)하던 상황(狀況). 이 이후(以後)의 내용(內容)은 고인(故人)의 인터뷰를 참조하자(參照瑕疵).
개성역 에 도착(到着)해 거기서 기차(汽車) 차량(車輛)을 정리(整理)해 기관차(機關車) 2대(代)에 매달아 먼저 보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도 출발(出發)했다. 밤 10시(時)쯤 장단역에 우리 기관차(機關車) 가 도착(到着)하자 미군(美軍) 들이 총(銃)을 쏘기 시작(始作)했다. 이미 그 때 북한군(北韓軍) 이 쓰지 못하게 모든 차량(車輛)을 불태우라는 명령(命令)이 떨어졌던 것이다. 그렇게 장단역에 기관차(機關車)를 버리고 우리를 태우러 온 다른 기차(汽車)를 이용(利用)해 후퇴(後退)했다.
당시(當時) 철도(鐵道) 기관사(機關士)들은 군수물자(軍需物資)나 식량(食糧)을 수송(輸送)하던 상황(狀況)이었고, 국군(國軍) 의 진군(進軍)과 후퇴(後退)에 따라 일진일퇴(一進一退)를 거듭하고 있었다. 그만큼 위험(危險)한 상황(狀況)에 있었고 병력(兵力) 수송(輸送)도 이뤄지고 있었다. [1] 이런 상황(狀況)에서 움직였으니 볼 거 다 본 셈.

4. 관련(關聯)된 기사(記事) [편집(編輯)]

  • # 경향신문(京鄕新聞) 2000년(年) 기사(記事). 일부(一部)가 짤렸다.
  • # 동아일보(東亞日報) 2011년(年) 10월(月) 16일(日) 기사(記事)
  • # 경인일보 2011년(年) 10월(月) 16일(日) 기사(記事)
[1] 순직(殉職)한 김재현 기관사(機關士) 문서(文書)에 그 상황(狀況)이 잘 나온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