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한라대학교(學校) - 나무위키

한라대학교(學校)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제주도(濟州島)에 있는 동명(同名)의 대학교(大學校)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제주(濟州)한라대학교(大學校)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한라대학교 엠블럼 한라대학교(學校) 관련(關聯) 틀
[ 펼치기 · 접기 ]

HL그룹 CIHL그룹 CI white
[ 펼치기 · 접기 ]
계열사(系列社)
지주(地主)
HL홀딩스 | HL리츠운용(運用)
모빌리티
HL만도 | HL클레무브 | 만(萬)도브로제(第)
건설(建設)
HL디앤아이한라 | 목포신항만운영(木浦新港萬運營) | HL에코텍 | HL로지스
교육(敎育) · 문화(文化)

[ 펼치기 · 접기 ]
각(各) 대학(大學)의 제(第)1캠퍼스(본교(本校))는 캠퍼스를 표기(表記)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二元化))부터 "OO대학교(大學校)(AA캠퍼스)"과 같이 표기(表記)함. 분교(分校)는 캠퍼스명(名) 표시(標示)에서 OO대학교(大學校) AA캠퍼스로 괄호(括弧) 없이 표시(標示)함.

원주시 CI White 원주시(原州市) 의 대학(大學)
[ 펼치기 · 접기 ]
각(各) 대학(大學)의 제(第)1캠퍼스(본교(本校))는 캠퍼스를 표기(表記)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二元化))부터 "OO대학교(大學校)(AA캠퍼스)"과 같이 표기(表記)함. 분교(分校)는 캠퍼스명(名) 표시(標示)에서 OO대학교(大學校) AA캠퍼스로 괄호(括弧) 없이 표시(標示)함.

3cdd7f0dcd76b
[ 펼치기 · 접기 ]
수도권(首都圈)
관동권(關東卷)
호서권(好書卷)
동남권(東南圈)
대경권(大經卷)
호남권(湖南圈)
사업(事業) 종료(終了)
특(特) : 특화(特化)트랙(중(中)·소규모대학(小規模大學)), 재(再) : 재선정(再選定) 대학(大學)

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
[ 펼치기 · 접기 ]
2020학년도(學年度) 기준(基準)
대학(大學)
EAC
CAC
ETAC
어코드
대학(大學)
EAC
CAC
ETAC
어코드
O
-
-
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
-
O
시드니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워싱턴
-
-
O
더블린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워싱턴
O
-
-
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
-
O
더블린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
-
O
더블린/시드니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
-
O
더블린/시드니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
-
O
시드니
-
-
O
더블린
O
O
-
서울/워싱턴
-
-
O
더블린/시드니
-
-
O
더블린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워싱턴
-
O
-
서울
-
O
-
서울
O
-
-
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
-
O
더블린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
-
O
더블린
-
O
-
서울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
-
O
더블린
O
O
-
서울/워싱턴
-
-
O
시드니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
-
O
더블린/시드니
-
-
O
더블린
-
-
O
시드니/더블린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
-
워싱턴
-
-
O
시드니/더블린
O
O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O
-
-
워싱턴
-
O
-
워싱턴
-
O
-
워싱턴
O
-
-
워싱턴
O
O
-
서울/워싱턴
-
O
-
서울
O
O
-
서울/워싱턴
O
-
-
워싱턴

[ 펼치기 · 접기 ]
회원대학(會員大學)
가야대학교 UI 가야대학교(伽倻大學校) 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 가톨릭관동대학교(學校) 강서대학교 엠블럼 강서대학교(江西大學校) 경기대학교 로고 경기대학교 경일대학교 UI 경일대학교(學校)
고려대학교 심볼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공주대학교 엠블럼 국립(國立)공주대학교 광운대학교 엠블럼 광운대학교(廣韻大學校) 광주교육대학교 UI 광주교육대학교(光州敎育隊學校) 광주대학교 UI 광주대학교(光州大學校)
국민대학교 엠블럼 국민대학교 김천대학교 UI 김천대학교(金泉大學校) 남부대학교 UI 남부대학교(學校) 나사렛대학교 UI 나사렛대학교(學校) 단국대학교 엠블럼 단국대학교(檀國大學校)
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대학교 UI 대구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UI 대구(大邱)한의대학교(學校) 대전대학교 엠블럼 대전대학교 대진대학교 UI 대진대학교(學校)
동국대학교 심볼 동국대학교(東國大學校) WISE캠퍼스 동국대학교 심볼 동국대학교(東國大學校) 서울캠퍼스 동서대학교 엠블럼 동서대학교(東西大學校) 동신대학교 엠블럼 동신대학교(學校)
동아대학교 UI 동아대학교(東亞大學校) 동양대학교 엠블럼 동양대학교(東洋大學校) 동의대학교 UI 동의대학교(同意大學校) 명지대학교 엠블럼 명지대학교 백석대학교 UI 백석대학교(白石大學校)
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 부산외국어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 UI 서울신학대학교(學校) 서원대학교 UI 서원대학교 세종대학교 교표 세종대학교(世宗大學校) 송원대학교 엠블럼 송원대학교(宋元大學校)
수원대학교 심볼 수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 숙명여자대학교(淑明女子大學校) 숭실대학교 엠블럼 숭실대학교 신라대학교 교표 신라대학교(新羅大學校) 아주대학교 엠블럼 아주대학교(亞洲大學校)
영남대학교 엠블럼 영남대학교 용인대학교 엠블럼 용인대학교 우석대학교 UI 우석대학교(又石大學校) 울산대학교 심볼마크 울산대학교(蔚山大學校) 원광대학교 엠블럼 원광대학교(圓光大學校)
유원대학교 UI 유원대학교(學校) 을지대학교 UI 을지대학교(乙支大學校) 인제대학교 교표 인제대학교 인하대학교 엠블럼 인하대학교 중부대학교 UI 중부대학교(中部大學校)
중앙대학교 엠블럼 중앙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 심볼 차의과학대학교(차醫科學大學校) 청운대학교 심볼 청운대학교(學校) 청주대학교 UI 청주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 추계예술대학교(學校)
POSTECH emblem 포항공과대학교 한경국립대학교 로고 한경국립대학교(韓經國立大學校) 한국공학대학교 심볼 한국공학대학교(韓國工學大學校) 한남대학교 UI 한남대학교 한동대학교 엠블럼 한동대학교(學校)
한라대학교 엠블럼 한라대학교(學校) 한림대학교 앰블럼 한림대학교(大學校) 한신대학교 UI 한신대학교 한양대학교 로고 한양대학교 협성대학교 UI 협성대학교(學校)
호남대학교 UI 호남대학교 호원대학교 UI 호원대학교(學校)


한라대학교(學校)
漢拏大學校
Halla University
한라대학교 엠블럼
건학이념(建學理念)
인의예지(仁義禮智)
仁義禮智
상징(象徵)
교조(敎祖)
학(學)
교목(喬木)
소나무
교색(驕色)
한라 다크 블루
슬로건
학생성공(學生成功)과 지역발전(地域發展)을 선도(先導)하는 대학(大學)
국가(國家)
분류(分類)
개교(個校)
1990년(年) 10월(月) 배달학원(配達學院) 학원(學院)
1998년(年) 5월(月) 4년제(年制) 대학(大學) 한라대학교(學校)로 승격(昇格)
설립자(設立者)
운곡(耘谷) 정인영
총장(總長)
제(第)9대(代) 김응권
법인(法人)
배달학원(配達學院)
주소(住所)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원주시(原州市) 흥업면 한라대길 28 (흥업리)
재학생(在學生)
학부생(學部生)
4,172명(名) (2023년(年))
대학원생(大學院生)
36명(名) (2018년(年))
대학기본역량진단(大學基本力量診斷)
일반재정지원(一般財政支援) 선정대학(選定大學) (2021년(年))
홈페이지
홈페이지 아이콘

1 . 개요(槪要) 2 . 상세(詳細) 3 . 학부(學部) 4 . 대학원(大學院) 5 . 학사(學事) 제도(制度) 및 학교(學校) 프로그램 6 . 교통(交通) 7 . 캠퍼스 및 시설물(施設物) 8 . 학생활동(學生活動)
8.1 . 학생(學生) 자치기구(自治機構) 8.2 . 동아리
9 . 축제(祝祭)
9.1 . 문필열림제(文筆熱淋第) 9.2 . 문필대동제(文筆大同祭) 9.3 . 문필체전(文筆體典)
10 . 산학협력(産學協力)
10.1 . 가족회사(家族會社) 10.2 . 산학협력단(産學協力團)
10.2.1 . 센터 10.2.2 . 연구소(硏究所) 10.2.3 . 사업단(事業團)
11 . 국책사업(國策事業)
11.1 . LINC+ : 사회(社會)맞춤형(型) 산학협력(産學協力) 선도대학(先導大學) 사업(事業)
12 . 여담(餘談)
12.1 . 입학식(入學式)
13 . 출신(出身) 인물(人物) 14 . 관련(關聯) 항목(項目)

1. 개요(槪要) [편집(編輯)]

external/www.hal...
한라대학교(學校) 전경(前景)
한라대학교(學校) 홍보영상(弘報映像) (2021년(年))
하늘에서 본 한라대학교(學校)

한라대학교(學校)는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원주시(原州市) 한라대길 28 ( 흥업면 ) 에 소재(所在)한 대한민국(大韓民國)의 4년제(年制) 종합대학(綜合大學) 이다.

2. 상세(詳細) [편집(編輯)]

한라대학교(學校) 주변(周邊)에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미래(未來)캠퍼스 강릉원주대학교(江陵原州大學校) 원주(原州)캠퍼스가 존재(存在)한다.

1994년(年) 재계순위(財界順位) 20위권(位圈) 진입(進入)에 성공(成功)하며, 한창 최고(最高)의 주가(株價)를 자랑하고 있던 前 한라그룹 명예회장(名譽會長) 정인영 (鄭仁永) [1] 한라그룹 의 규모(規模)가 커짐에 따라 더 많은 전문(專門) 인력(人力)이 필요(必要)하다고 판단(判斷)하였고 이에 따라 기업(企業)이 필요(必要)한 전문(專門) 공학기술자(工學技術者)들을 직접(直接) 양성(養成)하고자 학교법인(學校法人) 배달학원(配達學院)에서 한라공업전문대학(工業專門大學)으로 설립인가(設立認可)를 받아 1995년(年) 7개(個) 학과(學科)에 신입생(新入生) 720명(名)으로 개교(開校)하였다.

당시(當時) 한라그룹 은 국내(國內) 최대(最大)의 자동차(自動車) 부품회사(部品會社)인 만도 를 기반(基盤)으로 96년(年) 재계순위(財界順位) 16위(位), 97년(年) 98년(年) 재계순위(財界順位) 12위(位) 등(等) 꾸준한 상승세(上昇勢)를 보이며 한국(韓國)을 대표(代表)하는 대기업중(大企業中)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었고 그 한라그룹의 회장(會長)인 정인영 박사(博士)는 평소(平素) 기술(技術) 인력(人力) 양성(養成)에 깊은 관심(關心)을 갖고 있던 인물(人物)로 적극적(積極的)인 지원(支援)을 통(通)해 한라대학(大學)을 명문대학(名門大學)으로 육성(育成)할 생각을 비추고 있었다. 때문에 개교(開校) 당시(當時)에는 많은 이목(耳目)이 집중(集中)되었고 지역주민(地域住民)들도 기대(期待)가 많았다. [2]

하지만 1997년(年) IMF이후(以後) 한라그룹 의 부도(不渡)와 함께 한라그룹의 밥줄 역할(役割)을 해주던 만도 를 외국계(外國系) 사모(私募)펀드에 빼앗기면서 설립자(設立者) 정인영의 대학(大學)에 대(對)한 당초(當初) 투자계획(投資計劃)은 상당부분(相當部分) 이루어지지 못했고, MIT를 모델삼아 HIT(Halla Institute of Technology)를 만들려 했던 원대(遠大)한 꿈도 후일(後日)을 기약(期約)하며 현재(現在)에 이르게 된다.

2008년(年) 한라그룹 만도 를 다시 인수(引受)하며 재계순위(財界順位) 50위권(位圈)에 진입(進入)하였고 2015년(年) 30대(大) 재벌기업(財閥企業)으로 자리를 잡으며 한라그룹이 재건(再建)에 성공(成功)하면서 다시 한라대학교(學校)에 적극적(積極的)인 투자(投資)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期待)되고 있다. 이 때문인지 고(高)3 담임선생님(擔任先生님)들이 중위권(中位圈) 학생(學生)들에게 한라그룹의 계열사(系列社)로 취업(就業)이 가능(可能)하다고 하여 추천(推薦)을 하는 것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3] [4] 공과대학(工科大學) 을 중심(中心)으로 학교(學校)에서 많은 지원(支援)을 하는 편(便)이다.

3. 학부(學部)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한라대학교(學校)/학부(學部)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4. 대학원(大學院)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한라대학교(學校)/대학원(大學院)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5. 학사(學事) 제도(制度) 및 학교(學校) 프로그램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한라대학교(學校)/학사(學事) 제도(制度)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6. 교통(交通) [편집(編輯)]

  • 철도(鐵道): 원주역 에서는 청량리(淸凉里)(서울), 양평(楊平), 서원주역(主役) , 제천(堤川), 영월(寧越), 태백(太白), 동해(東海), 단양(丹陽), 영주(榮州), 안동(安東), 의성(義城), 영천(永川), 경주(慶州), 태화강(太和江)(울산(蔚山)), 신해운대(臺) 및 부전(釜田)(부산(釜山)) // 만종역(萬種驛) 에서는 서울, 청량리(淸凉里)(서울), 상봉(相逢)(서울), 양평(楊平), 횡성(橫城), 평창(平昌), 강릉(江陵), 정동진, 동해(東海)(기준(基準): 직통열차(直通列車))
  • 고속(高速), 시외버스(市外버스): 원주종합(原州綜合)버스터미널 에서는 서울경부(京釜),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강릉(江陵), 진주(晋州), 동대구(凍大口), 동(東)서울, 경기도(京畿道) 대부분(大部分), 강원도(江原道) 대부분(大部分), 북대구(北帶區)와 서대구(西大邱), 경주(慶州), 포항(浦項), 전주(全州), 대전(大田), 청주(淸州), 부산노포(釜山老圃) 등(等)

통학(通學) 버스 안내
학교(學校)에서 통학(通學)버스를 운행(運行)하고 있다. 원주시내(原州市內), 서울, 수원(水原), 여주(驪州) 이렇게 4곳을 운영(運營)하고 있다. 서울은 강남(江南) , 삼성(三星) , 하계(下溪) , 노원(蘆原) , 상봉(相逢) , 구리(九里) , 천호(千戶) , 상일 등(等)에서 출발(出發)한다. (엄밀히(嚴密히) 말하면 구리나 상일은 경유지(經由地)이다.) [6] [7] 서울에서 학교(學校)까지 노선(路線) 차(車)와 거리(距離) 때문에 시간(時間) 편차(偏差)가 있지만, 차(車)가 막히지 않는다면 1시간(時間), 보통(普通)은 1시간(時間) 20~30분(分) 정도(程度) 걸린다. 수원(水原)은 의왕(儀旺)과 동수원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단(單) 공짜(空짜)는 아니다. 시내순환(市內循環)은 교통(交通)카드는 700원, 현금(現金)은 1,000원이다.

7. 캠퍼스 및 시설물(施設物)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한라대학교(學校)/캠퍼스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external/m.halla...
2015년(年) 대학본부(大學本部)와 학생회관(學生會館)이 완공(完工)되고 학교(學校) 정문(正門)앞 주차장(駐車場)과 정문(正門)이 완성(完成)됨에 따라, 캠퍼스의 시설물(施設物)의 명칭(名稱)이 모두 변경(變更)되었다. 이 때문에 선후배간(先後輩間)의 의사소통(意思疏通)에 있어서 혼란(混亂)을 빚고있기도 한다. 한라대학교(學校) 캠퍼스 맵

캠퍼스는 환경미화원(環境美化員) 아주머니들에 의(依)해 상당히(相當히) 깨끗하게 관리(管理)된다. 특히(特히) 화장실(化粧室)은 어느곳을 가도 냄새가 나지 않고 청결(淸潔)하며 항상(恒常) 손을 닦을 수 있는 타올이 제공(提供)된다.
한라관(館) 및 학생회관(學生會館)의 엘리베이터가 현대엘리베이터의 최고급(最高級) 엘리베이터 모델인 뉴와이저이다.
다만, 건물(建物) 외관(外觀) 및 옥상(屋上)에서는 세월(歲月)의 흔적(痕跡)을 발견(發見) 할 수 있다.

캠퍼스의 크기는 약(約) 9만(萬)6천평(千坪)(318,668m 2 )으로 전국적(全國的)으로도 작은편에 속(屬)한다. 아직 지어진 건물(建物)도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實際로) 보았을때 더욱 작아보인다. 설립(設立) 당시(當時) 재단(財團)인 한라그룹이 전국(全國) 12위(位)까지 치솟던 대재벌(對財閥)이였음을 고려(考慮)해 본다면 다소(多少) 의문(疑問)이 남을수도 있는 부분(部分)이지만 한라대학교(大學校)의 처음 시작(始作)은 전문대(專門大)였고 설립자(設立者)인 정인영(鄭仁永) 회장(會長)은 한라그룹에서 필요(必要)로하는 소수(少數)의 엘리트 기술(技術) 인력(人力)을 양성(養成)하고자 하였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은 처음부터 그리 큰 규모(規模)로 캠퍼스를 설립(設立)할 필요(必要)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캠퍼스는 작지만 아기자기하게 조경(造景)을 잘 꾸며놓은 편(便)이다. 원주시(原州市)에서도 아는 사람들만 아는 말 그대로 숨겨진 명소(名所) 중(中) 하나이다.

8. 학생활동(學生活動) [편집(編輯)]

8.1. 학생(學生) 자치기구(自治機構) [편집(編輯)]

  • 총학생회(總學生會) - 시그널(25대(代))
  • 총대의원회(總代議員會)(25대(代))
  • 총(總)동아리연합회(聯合會) - 링크(25대(代))
  • 한라방송국(放送局) - HUBS(25대(代))
  • 한라학보사(學報社)(25대(代))
  • 응원단(應援團) - FEEL(12대(代))
  • 학교홍보대사(學校弘報大使) - 하이라이트(2020년(年))

8.2. 동아리 [편집(編輯)]

9. 축제(祝祭) [편집(編輯)]

9.1. 문필열림제(文筆熱淋第) [편집(編輯)]

매년(每年) 4월(月) 초(初) 열리는 축제(祝祭)다.

9.2. 문필대동제(文筆大同祭) [편집(編輯)]

매년(每年) 5월(月) 말(末) 학교(學校)에서 크게 열리는 축제(祝祭)다.

9.3. 문필체전(文筆體典) [편집(編輯)]

external/www.hal...
매년(每年) 9월(月) 달에 열리는 학교(學校) 체육대회(體育大會)다.

10. 산학협력(産學協力) [편집(編輯)]

10.1. 가족회사(家族會社) [편집(編輯)]

가족회사제도(家族會社制度)를 통해 학교(學校)와 기업(企業) 간(間) 기술지도(技術指導), 경영지도(經營指導), 공동연구(共同硏究), 현장실습(現場實習) 등(等)을 진행(進行)하고 있다. 현재(現在) 한라그룹을 비롯한 140여개(餘個)의 기업(企業)들과 협약(協約)을 맺고 있으며, 기계(機械),전자정보(電子情報),건축토목(建築土木),산업응용(産業應用),경영지원(經營支援) 등(等) 6개(個) 분과(分課)로 운영(運營)되고 있다. 가족회사(家族會社) 현황(現況)
external/www.hal...

10.2. 산학협력단(産學協力團) [편집(編輯)]

2개(個)의 센터와 3개(個)의 연구소(硏究所), 2개(個)의 사업단(事業團)을 구성(構成)하여 운영(運營)되고 있다. #

10.2.1. 센터 [편집(編輯)]

- 중소기업산학협력(中小企業産學協力)센터
- 원주(原州)에너지기술(技術)센터

10.2.2. 연구소(硏究所) [편집(編輯)]

- 건축도시(建築都市)디자인연구소(硏究所)
- 경영경제연구소(經營經濟硏究所)
- 동북아경제연구원(東北亞經濟硏究院)

10.2.3. 사업단(事業團) [편집(編輯)]

- GTEP(지역특화(地域特化)) 사업단(事業團)
- LINC+ 사업(事業)

11. 국책사업(國策事業) [편집(編輯)]

  • 누리사업(事業) : 2004년(年) 기계자동차공학부(機械自動車工學部)가 선정(選定)되어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로부터 5년간(年間) 총(總) 50억(億)원을 지원(支援) 받았다. 중간(中間) 종합(綜合) 운영실적(運營實績) 평가(評價)에서 우수(優秀) 사업단(事業團)으로 선정(選定)되었으며, 2007년(年) 우수성과(優殊成果) 경진대회(競進大會)에서 '인력양성(人力養成)' 분야(分野) 최우수상(最優秀賞)을 수상(受賞)해 추가(追加) 재정지원(財政支援)을 받았다. 2009년(年) 누리사업단(事業團) 사업(事業) 최종평가(最終評價)에서 전국(全國) 1위(位)를 기록(記錄)하였다. #
  • 공학교육개편사업(工學敎育改編事業) : 2004년(年) 정보통신방송공학부(情報通信放送工學部)가 선정(選定)되어 산업자원부(産業資源部)로부터 2년간(年間) 1억(億)원의 지원(支援)을 받았다. 이 사업(事業)을 통해 정보통신방송공학부(情報通信放送工學部)는 '임베디드 시스템' 전문인력(專門人力)을 양성(養成)을 위한 수요자(需要者) 중심(中心)의 현장(現場) 적응형(適應型) 교과과정(敎科課程)과 현장실습(現場實習)을 통한 실무능력(實務能力)을 배양(培養)할 수 있는 교육과정(敎育課程)으로 개편(改編)되었다. 한라대를 포함(包含)한 전국(全國) 14개(個)의 대학(大學)만이 선정(選定)되었다. #
  • 현장실습학점제(現場實習學點制) 사업(事業) : 현장실습학점제(現場實習學點制) 사업(事業)은 정부(政府)가 산·학간 대화통로(對話通路)를 구축(構築)하고 공동연구(共同硏究) 프로젝트 추진(推進), 수강생(受講生) 현장실습(現場實習) 등(等) 교육(敎育)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산업자원부(産業資源部)에서 실시(實施)한 사업(事業)으로 참여학생(參與學生)들 전원(全員)에게 정부(政府)로부터 급여형태(給與形態)의 장학금(奬學金)을 지원(支援)받고 개인별(個人別) 근무성적(勤務成跡)에 따라 곧바로 취업(就業)까지 보장(保障)하고 있다. 2005년(年) 한라대 제어계측공학과(制御計測工學科)와 정보통신방송공학부(情報通信放送工學部)가 강원도(江原道)에서 유일(唯一)하게 선정(選定)되었다. #
  • IT인턴쉽 지원사업(支援事業) : IT인턴쉽 지원사업(支援事業)은 공학교육과정(工學敎育過程) 개편(改編)을 통해 산업구조(産業構造)에 맞는 인력양성(人力養成)을 목적(目的)으로 하고 있어 산업체(産業體)가 요구(要求)하는 첨단기술(尖端技術)인 '임베디드 시스템' 전문인력(專門人力)을 배출하도로(排出下道路) 현장(現場) 적응형(適應型) 교과과정(敎科課程)의 개편(改編)과 현장실습(現場實習)을 통한 실무능력(實務能力) 교육(敎育)을 위한 국고지원(國庫支援) 사업(事業)이다. 2005년(年) 산업자원부(産業資源部)가 실시(實施)하는 IT인턴쉽 지원사업(支援事業)에 선정(選定)되어 2년간(年間) 1억(億)원의 지원(支援)을 받았다. #
  • 전력산업기초인력양성사업(電力産業基礎人力養成事業) : 전력산업(電力産業) 현장(現場)의 인력수급(人力需給)을 위하여 2006년(年)부터 산업자원부(産業資源部)에서 실시(實施)한 사업(事業)으로 불균형(不均衡)을 해소(解消)하고 미래(未來) 전력산업(電力産業)을 선도(先導)할 고급인력(高級人力)을 체계적(體系的)으로 양성(養成) 지원(支援)하는 사업(事業)이다. 이 사업(事業)을 통해 한라대학교(學校)는 우수인력양성(優秀人力養成)을 지도(指導)하고 첨단실습(尖端實習) 기자재(機資材)를 지원(支援)받았으며, 교과과정(敎科課程) 개편(改編) 및 전기전자공학부(電氣電子工學部) 학생(學生)들의 장학금(奬學金) 수혜(受惠) 내역(內譯)을 확대(擴大)하였다.
  • e-business대학(大學) 지원사업(支援事業) : 2007년(年) 무역통상학과(貿易通商學科)가 선정(選定)되어 교육과학기술부(敎育科學技術部)로부터 지원(支援)받아 전자무역(電子貿易) 및 비지니스 관련교육(關聯敎育), 산학협력(産學協力) 프로그램 운영(運營), 인턴십 시행(施行) 등(等)의 사업(事業)을 진행(進行)하고 있다. #
  • 대학방송(大學放送) 실습교육(實習敎育) 지원사업(支援事業) : 2007년(年) 정보통신방송공학부(情報通信放送工學部)가 선정(選定)되어 방송통신위원회(放送通信委員會)로부터 4억(億) 5천만(千萬)원의 지원금(支援金)과 최첨단(最尖端) 방송실습장비등(放送實習裝備等)을 지원(支援)받아 예비(豫備) 방송전문인력(放送專門人力)을 양성(養成)하고 있다. 대학방송실습교육(大學放送實習敎育) 지원사업(支援事業)은 한라대를 포함(包含)한 전국(全國) 8개(個)의 대학(大學)만이 선정(選定)되었다. #
  • 공학교육혁신(工學敎育革新)센터 지원사업(支援事業) : 교육과학기술부(敎育科學技術部)가 주관(主管)하는 공학교육혁신(工學敎育革新)센터 지원사업(支援事業)에 선정(選定)되어 2007년(年) 5년간(年間) 10억(億)원의 지원(支援)을 받았다. 기업(企業)의 수요(需要)에 부응(副應)하는 공학교육(工學敎育)프로그램 운영(運營)으로 취업률(就業率) 향상(向上)을 도모(圖謀)하고 국제수준(國際水準)에 부합(符合)하는 공학교육(工學敎育) 혁신(革新) 및 의료기기(醫療機器), 정보통신(情報通信), 자동차부품(自動車部品) 등(等) 지역(地域) 산업계(産業界)의 숭용(用) 반영(反映)을 위한 사업(事業)을 펼치고 있으며, 20-21억(億) 가량(假量)의 사업비(事業費)를 투입(投入)하였다. #
  • 글로벌 비즈니스 인력양성사업(人力養成事業) : 2009년(年) 무역통상학과(貿易通商學科)가 선정(選定)되어 지식경제부(知識經濟部)로부터 3년(年)6개월간(個月間) 4억(億)5천만(千萬)원을 지원(支援)받았다.글로벌 비즈니스 인력양성사업(人力養成事業)은 글로벌화(化)된 세계시장(世界市場)을 리드할 수 있는 핵심(核心) 무역인력(貿易人力)을 양성(養成)하고, 대학교육(大學敎育)이 기업(企業)의 요구(要求)를 충족(充足)하는 현장중심형(現場中心型) 교육(敎育)으로 전환(轉換)될 수 있도록 지원(支援)하는 사업(事業)으로 앞으로 기업(企業) 수출활동(輸出活動)을 지원(支援)하는 견인차(牽引車) 역할(役割)을 담당(擔當)할 수 있도록 특성화(特性化)된 무역관련(貿易關聯) 교육(敎育)과 산학협동(産學協同) 해외전시회(海外展示會) 참가(參加), 해외(海外)인턴십 등(等) 다양(多樣)한 프로그램을 운영(運營)하고 있다. #
  • GTEP 사업(事業) : 지식경제부(知識經濟部)에서 추진(推進)하는 글로벌무역전문가(貿易專門家) 양성(養成) 사업(事業)으로 2012년(年)에 선정(選定)되어 3년간(年間) 총(總) 4억(億) 8천만(千萬)원의 지원(支援)을 받았다. 이 사업(事業)을 통해 한라대는 30명(名)의 학생(學生)을 선발(選拔), 3학기(學期)동안 무역관련(貿易關聯) 교육과정(敎育課程)을 개설(開設)해 총(總) 600시간(時間)의 교육(敎育)을 진행(進行)하였다. FTA 특성화(特性化) 분야(分野)로 선정(選定)해 집중적(集中的)인 교육(敎育)을 실시(實施), 최소(最小) 연(年) 1차례(次例) 이상(以上) 해외무역박람회(海外貿易博覽會)에 참가시켜, 교육수료자(敎育修了者)에게는 지식경제부(知識經濟部) 장관(長官)의 무역전문가(貿易專門家) 인증서(認證書)가 수여(授與)되었다. #
  • 스마트 앱창작(創作)터 사업(事業) : 중소기업청(中小企業廳)에서 시행(施行)하는 사업(事業)으로 2013년(年) 선정(選定)되어 3년간(年間) 총(總) 12억(億)원의 지원(支援)을 받았다. 이 사업(事業)을 통해 한라대는 앱 개발역량(開發力量) 심화(深化)를 위한 전문(專門) 과정(課程)과 지역산업(地域産業) 연계(連繫) 자율(自律)프로그램을 개설(開設)하고 (재(財))원주의료기기(原州醫療機器)테크노밸리, (사(寺))강원의료기기산업협회(江原醫療機器産業協會), 강원지식재산(江原知識財産)센터, (재(財))대한(大寒)걷기연맹(聯盟) 등(等)과의 협력(協力)을 통해 300명(名)의 개발(開發) 인력(人力)과 30개(個) 이상(以上)의 창업기업(創業企業) 창출(創出)했다. #
  • 지방대학(地方大學) 특성화(特性化) 사업(事業) : 교육부(敎育部)와 한국연구재단(韓國硏究財團)이 2014년부(年賦)부터 대학(大學) 특성화(特性化)를 위해 지원(支援)하는 사업(事業)으로 한라대의 경우(境遇) 글로벌비즈니스사업단(事業團)이 선정(選定)되어 글로벌 무역(貿易) 전문가(專門家) 양성사업(養成事業)을 진행(進行)하고 있다. 2016년(年) 우수사업단(優秀事業團)으로 선정(選定)되어 재선정(再選定)이 거의 확실시(確實視)되고 있다. #
  • 지역선도대학(地域先導大學) 육성사업(育成事業) : 강원대를 중심(中心)으로 강릉원주대(江陵原州臺), 한라대, 한림대(翰林大) 컨소시엄을 구성(構成), 강원지역(江原地域)의 전략산업(戰略産業)인 의료(醫療)?바이오산업(바이오産業) 맞춤형(型)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한다. 2014년(年) 교육부(敎育部)로부터 10억(億)원 지원(支援)받았다. #
    external/news.un...
  • 시민(市民) 인문강좌(人文講座) 사업(事業) : 한국연구재단(韓國硏究財團)에서 지원(支援)하는 사업(事業)으로 2014년(年) 한라대 평생교육원(平生敎育院)이 선정(選定)되어 2년간(年間) 5천만(千萬)원의 지원(支援)을 받았다. 이 사업(事業)을 통해 한라대 평생교육원(平生敎育院)은 원주지역(原州地域) 청소년(靑少年)들을 대상(對象)으로 인문학(人文學) 강좌(講座)를 실시(實施)하였다. #
  • 교육(敎育)허브 사업(事業) : 2014년(年) 강원도(江原道) 산업경제진흥원(産業經濟振興院)으로부터 IP교육(敎育) 허브대학(大學)으로 선정(選定)되어 지식재산권(知識財産權)에 대(對)한 기초(基礎)부터 심화(深化) 과정(過程)에 이르는 ‘산학(算學) 연계형(連繫型) 체계적(體系的) 맞춤형(型) 지식재산(知識財産) 교육(敎育)’ 시스템 구축(構築)은 물론(勿論) 지역(地域) 중소기업(中小企業) 및 지식재산(知識財産) 관련(關聯) 기업(企業) 등(等)의 인턴 십(十), IP채용(採用) 연계(連繫)캠프 등(等)의 취업활성화(就業活性化) 프로그램 등(等)을 운영(運營)하고 있다. #
  • 취업(就業)프로그램 사업(事業) : 고용노동부(雇傭勞動部)에서 실시(實施)하는 청년(靑年)을 위한 취업(就業)프로그램 사업(事業)으로 청년강소기업체험(靑年強小企業體驗)은 2007년(年)부터 8년간(年間), 대학청년고용(大學靑年雇傭)센터 사업(事業)은 2010년(年)부터 5년간(年間) 연속(連續) 선정(選定)되었다. #
  • 대학운동부(大學運動部) 평가(評價) 및 지원사업(支援事業) : 한국대학(韓國大學)스포츠총장협의회(總長協議會)에서 실시(實施)하는 사업(事業)으로 3230만(萬)원의 지원(支援)을 받았다. #
  • 전통시장(傳統市場) 대학협력사업(大學協力事業) : 중소기업청(中小企業廳)에서 주관(主管)하는 사업(事業)으로 2016년(年) 선정(選定)되어 2년동간(年棟間) 2억(億) 6천만(千萬)원의 지원(支援)을 받았다. #

11.1. LINC+ : 사회(社會)맞춤형(型) 산학협력(産學協力) 선도대학(先導大學) 사업(事業) [편집(編輯)]

LINC+사회
LINC+ 사업단(事業團) 홈페이지

교육부(敎育部)가 지원(支援)하는 사회(社會)맞춤형(型) 산업협력(産業協力) 선도대학(先導大學) 사업(事業)으로 2017 ~ 2021년(年)까지 총(總) 5년간(年間) 지역(地域) 산업체(産業體)에 필요(必要)한 융합인재(融合人材) 양성(養成) 및 산학연(産學硏) 업무(業務)를 수행(遂行)하게 되었다. 현재(現在) 이 사업(事業)을 위해 학교(學校)와 채용(採用) 약정(約定)된 기업(企業)은 ㈜한라를 포함(包含)한 총(總) 49개(個) 업체(業體), 72명(名)으로 이는 한라대학교(學校) 졸업생(卒業生)의 10%에 해당(該當)되는 수치(數値)이다.

이에 따라 한라대학교(學校) LINC+사업단(事業團)은 청년(靑年) 취업(就業), 창업확대(創業擴大) 및 중소기업(中小企業) 혁신(革新) 지원(支援) 등(等) 국가경쟁력강화(國家競爭力强化)와 사회(社會) 수요(需要)를 반영(反映)한 맞춤형(型) 교육과정(敎育課程) 확산(擴散)을 통해 ‘학생(學生)’의 취업난(就業難)과 '기업(企業)'의 구인난(求人難) 해소(解消)를 위해 4차(次) 산업혁명(産業革命)을 위한 소프트웨어 융합형(融合型) 인재(人材), 멀티플레이어(Multiplayer)양성(陽性)을 위한 교육과정(敎育課程)을 운영(運營)하고 우수(優秀)한 학생(學生)을 선별(選別)하여 LINC+장학금(奬學金) 수여(授與), 우수학생(優秀學生) 해외연수(海外硏修) 기회부여(機會附與) 및 교육과정(敎育課程)을 이수(履修)한 모든 학생(學生)들에게 융합학위(融合學位)(복수전공(複數專攻))를 수여(授與)할 계획(計劃)이다.

교육과정(敎育課程)은 정보통신(情報通信)소프트웨어학과(學科)와 광고영상(廣告映像)미디어학과(學科)가 참여(參與)하는 소셜미디어 멀티플레이어(SMMP Social Media Multiplayer)과정(過程)과 전기전자공학과(電氣電子工學科)와 메카트로닉스공학과(工學科)가 참여(參與)하는 오픈소스 멀티플레이어(OSMP Open Source Multiplayer)과정(過程)이 운형(雲形)될 계획(計劃)이며, SMMP과정(課程)은 소셜미디어 사회(社會)에서 필요(必要)한 미디어 기획(企劃) 및 제작(製作), 빅데이터 분석(分析), 소셜 네트워크 설계(設計) 및 구축(構築) 등(等)의 분야(分野)를 OSMP과정(課程)은 인터넷에 개방(開放)된 주요(主要)한 오픈 소스를 활용(活用)해 시스템 설계(設計) 및 제어(制御) 등(等)의 분야(分野)를 교육(敎育)할 계획(計劃)이다.

12. 여담(餘談) [편집(編輯)]

  • 이름이 '한라'다보니 제주도(濟州島)에 있는 학교(學校)로 오인(誤認)하는 경우(境遇)가 더러 있다. 게다가 이름이 비슷한 제주(濟州)한라대학교(大學校) 라는 학교(學校)가 제주도(濟州島)에 있는데 물론(勿論) 둘이 연관(聯關)은 없다. 한라대학교(大學校)도 이 점(點)을 인지(認知)했는지, 광고(廣告)에 응 아니야 제주(濟州) 아니야~ 라는 상큼한(...) 문구(文句)를 넣기도 한다.
  • 2023년(年) 학교법인(學校法人) 수익용(收益用) 기본재산(基本財産) 확보율(確保率)이 10.2%로 전국(全國) 4년제(年制) 일반대학(一般大學) 중(中)에서 두번째(番째)로 낮다.

12.1. 입학식(入學式) [편집(編輯)]

external/www.hal...
아무래도 한라그룹 산하(傘下)의 학교(學校)이다보니 매년(每年) 입학식(入學式)만 되면 한라그룹 관련(關聯) 인사(人士)들이 대거(大擧) 참석(參席)한다. 한라대학교(大學校)와 같이 대기업(大企業) 을 재단(財團)으로 하고 있는 다른 학교(學校)들과 비교(比較)해 보았을 때 회장(會長)이 직접(直接) 참석(參席)하는 경우(境遇)는 거의 없기 때문에 매우 인상적(印象的)인 부분(部分)이다. 입학식(入學式)을 할 때에는 검은색(검은色) 제네시스 G90 수십(數十) 대(臺)가 주차(駐車)되어 있는 진풍경(珍風景)을 볼 수 있다.

위 사진(寫眞)을 보면 알겠지만 입학식(入學式)은 한라관(館) 대강당(大講堂)에서 꽤 성대(盛大)하게 치러지곤 한다. 지루한 학생(學生)들을 위하여 아이돌 축하공연(祝賀公演)도 빠지지 않는데 메인은 대부분(大部分)이 여자(女子) 아이돌이다.
14년(年) AOA , 15년(年) 오렌지캬라멜 , 16년(年) 러블리즈 , 17년(年) 볼빨간사춘기(思春期) 18년(年)에는 먼데이 키즈 리듬파워 가 왔다. 19년(年)에는 박보람 청하(淸夏) 그리고 이우 가 왔다.
그러나 20년도(年度)에는 코로나19바이러스로 인해 감염병(感染病) 위기경보(危機警報)가 "심각(深刻)"으로 격상(格上)되면서 잠정(暫定) 연기(延期)되었던 입학식(入學式)이 취소(取消)되는 사태(事態)가 벌어지고 만다.

13. 출신(出身) 인물(人物) [편집(編輯)]

14. 관련(關聯) 항목(項目) [편집(編輯)]

[1] 정주영(鄭周永) 현대(現代)그룹 명예회장(名譽會長)의 친동생(親同生)이다. [2] 실제로(實際로) 모든 학생(學生)들에게 최대한(最大限)의 장학금(奬學金)을 지급(支給)하고 최신(最新) 실습자재(實習資材)를 통한 수준(水準) 높은 교육(敎育)을 제공(提供)하여, 한라그룹 계열사(系列社)에 모두 취업(就業)시키겠다고 살아 생전(生前)에 언급(言及)하기도 하였다. [3] 하지만 한라그룹 계열사(系列社)에 취직(就職)하려면 과수석(科首席)을 놓치지 않는 수준(水準)의 실력(實力)이 있어야 가능(可能)하다. GPA가 높은것과 한라그룹 계열사(系列社) 취직(就職)에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크지 않다. 물론(勿論) 낮아서 좋을건 없지만 기본적(基本的)으로 스펙이나 얼마나 해당(該當) 계열사(系列社) 혹은(或은) 직무(職務)에 적합한 인재(人材)인지를 훨씬 중요(重要)하게 보고 뽑는다. 단순히(單純히) 과수석(科首席)을 했다고 뽑아주는 경우(境遇)는 절대로(絶對로) 없으며, 매년(每年) 몇몇 인원(人員)이 계열사(系列社) 취직(就職)에 성공(成功)한다. 취직(就職)과는 별개(別個)로 과수석(科首席)이라면 전액장학금(全額奬學金)은 놓치지 않을것이 명확(明確)하다. [4] 다만 만도엘리트 전형(典型)으로 입학(入學)하는경우 계열사(系列社) 취업률(就業率)이 상당히(相當히) 올라간다. [5] 2009년(年) 이전(以前) 지도(指導)로 원주시외버스(原州市外버스)터미널(현(現). 원주종합(原州綜合)버스터미널)이(李) 우산동에 있던 시절(時節)이었을고 원주역도(度) 학성동에 있던 시절(時節)이다. [6] 상일제외(除外) 지하철(地下鐵) 역(驛) 기준(基準) [7] 중간중간(中間中間) 자리가 남을 경우(境遇)에는, 자리를 채우러 거쳐 간다. 예(例)를 들어 강남(江南)-삼성(三星), 상봉(相逢)-구리(九里), 하계(下溪)-상봉(相逢), 천호(千戶)-상일 등등(等等)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