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하이에나 - 나무위키

하이에나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24
편집(編輯)
편집(編輯) 권한(權限)이 부족(不足)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使用者)(이(李))여야 합니다. 해당(該當) 문서(文書)의 ACL 탭 을 확인(確認)하시기 바랍니다.
토론(討論) 역사(歷史)
분류(分類)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포유류(哺乳類)를 제외(除外)한 다른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하이에나(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하이에나
Hyena
하이에나 점박이
학명(學名)
Hyaenidae
(Gray, 1821)
분류(分類)
고양이아목(亞目)(Feliformia)
하이에나과(Hyaenidae)
하위(下位) 분류(分類)
  • 하이에나아과(亞科)( Hyaeninae )
  • †이크티테리움아과(亞科)( Ictitheriinae )

1 . 개요(槪要) 2 . 진화(鎭火) 3 . 종류(種類)
3.1 . 하이에나아과(亞科)
3.1.1 . 땅늑대아과(亞科) 3.1.2 . 이크티테리움아과(亞科)
4 . 특징(特徵) 5 . 양육(養育) 6 . 무는 힘 7 . 기타 8 . 대중문화(大衆文化)
8.1 . 캐릭터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영어(英語) 발음(發音)은 하이이너 . 아프리카 아시아 에 걸쳐 서식(棲息)하는 식육목(食肉目) 하이에나과에 속(屬)하는 동물(動物)의 총칭(總稱). 현재(現在) 4종류(種類)가 생존(生存)해 있다.

2. 진화(鎭火) [편집(編輯)]

현존(現存)하는 하이에나 종들은 개과(個科) 동물(動物)들과 비슷하나, 이는 수렴(收斂) 진화(鎭火) 의 결과(結果)이며 실제로(實際로)는 고양이아목(亞目)에 포함(包含)되어 있다. 마이오세 초기(初期)에 처음으로 등장(登場)한 하이에나들을 보면 가장 가까운 현존(現存)하는 친척(親戚)인 몽구스과 , 그리고 특히(特히) 사향고양이과(麝香고양이科) 동물(動物)들에 매우 흡사(恰似)하다. 생활상(生活相) 역시(亦是) 땅과 나무를 오가며 작은 척추동물(脊椎動物)이나 곤충(昆蟲)을 사냥하고 식물(植物)도 먹는 잡식성(雜食性) 하위포식자(下位捕食者)였다.

그러나 마이오세 후기(後期)로 접어들면서 지구(地球) 전체(全體)가 더 냉한화(冷寒化)되고 건조(乾燥)해지자 숲이 줄어들고 초원(草原)이 늘어났으며, 하이에나들은 이에 적응(適應)해 땅에서 빠르게 달리는 데 더 적합한 체형(體型)으로 진화(進化)하게 되어 개과(科) 동물(動物)들과 비슷한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 이 시점(時點)에서 하이에나과는 현존(現存)하는 개과(科) 동물(動物)들에 특히(特히) 흡사(恰似)된 ”dog-like hyenas” [1] 계열(系列)과 보로파(步老婆)구스아과(亞科) [2] 와 마찬가지로 저작력(咀嚼力)이 발달(發達)된 “bone-crushing hyenas” [3] 혈통(血統)으로 분기(分岐)되었다. [4] 전자(前者)의 경우(境遇), 마이오세 후기(後記) 동안 자칼 과 같은 하위포식자(下位捕食者)의 역할(役割)로서 주로(主로) 살았었고 일부(一部)는 대형화(大型化)하여 더 큰 초식동물(草食動物)을 사냥했으나, 마이오세가 끝나면서 기후(氣候)가 다시 급격(急激)하게 냉한건조(冷寒乾燥)되자 적응(適應)하지 못하고 대부분(大部分) 멸종(滅種)되었다. [5] . 예외적(例外的)으로 카스마포(麻浦)르테테스는 플라이오세 에 더욱 대형화(大型化)하여 유라시아의 발빠른 상위포식자(上位捕食者)로서 맹위(猛威)를 펼쳤고 북아메리카(北아메리카)로도 진출(進出)했으나, 결국(結局) 플라이스토세 전기(電氣)가 끝나면서 기후(氣候)가 또다시 냉한화(冷寒化)되고 빙기-간빙기(間氷期) 주기(週期)가 시작(始作)되자 멸종(滅種)되었다. 현재(現在) 이 계열(系列)에서는 흰개미 만(灣)을 먹고 사는 땅늑대 만이 남아 있다.

반면(反面) 보로파(步老婆)구스아과(亞科)와 수렴진화(收斂進化)했던 계통(系統)은 계속(繼續) 번성(蕃盛)하면서 중형(中型) 및 상위포식자(上位捕食者)의 자리를 이어나갔다. 플라이오세에 카스마포(麻浦)르테테스가 진화(進化)할 당시(當時), 이쪽 계통(系統)에서는 100kg을 능가(凌駕)했던 파(派)키크로쿠타 가 진화(進化)해 유라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역시(亦是) 상위포식자(上位捕食者)로서 군림(君臨)했다. 최근(最近) 유전학(遺傳學) 연구(硏究)에 따르면 갈색하이에나 는 같은 속의 소형종일(小型終日) 가능성(可能性)이 크다고 여겨진다. 또한 줄무늬하이에나 로 이어지는 하위(下位) 계통(系統)이 분기(分岐)되어 나온 곳도 이때의 일이었다. 그리고 플라이스토세 초기(初期)에 점박이(點박이)하이에나속이 분기(分岐)되어 나와 사회성(社會性)을 발달시켰고, 플라이스토세 중기(中期)에는 점박이(點박이)하이에나 로 진화(進化)하게 된다.

현재(現在)는 점박이(點박이)하이에나 , 줄무늬하이에나 , 갈색하이에나 , 땅늑대 4종류(種類)의 하이에나가 아프리카와 아시아 일부(一部) 지역(地域)에서 살고 있다. 종(種)이 많지는 않지만 다른 대형(大型) 포식자(捕食者)인 사자(獅子) 호랑이(虎狼이) 와 비교(比較)하면 매우 안정적(安定的)인 개체수(個體數)를 유지(維持)하고 있다. 비슷한 동물(動物)인 늑대 와 비슷한 정도(程度).

3. 종류(種類) [편집(編輯)]

3.1. 하이에나아과(亞科) [편집(編輯)]

  • 하이에나속 ( Hyaena )
  • 갈색하이에나속 ( Parahyaena )
  • †아(亞)드크로쿠타( Adcrocuta )
  • †알로히아이나( Allohyaena )
  • †벨부스( Belbus )
  • †카스마포(麻浦)르테테스( Chasmaporthetes )
  • †헤르페스티데스( Herpestides )
  • †히아이닉티스( Hyaenictis )
  • †히아이노테리움( Hyaenotherium )
  • †이켈로히아이나( Ikelohyaena )
  • †레에키아이나( Leecyaena )
  • †리키아이나( Lycyaena ''')
  • †메타히아이나( Metahyaena )
  • †미오히에나테리움( Miohyaenotherium )
  • †팔린히에나( Palinhyaena )
  • 파(派)키크로쿠타 ( Pachycrocuta )
  • †플리오(理誤)크로쿠타( Pliocrocuta )
  • †플리(理)오비베롭스( Plioviverrops )
  • †프로틱티테리움( Protictitherium )
  • †탈라시크티스( Thalassictis )
  • †통크시(視)닉티스( Tongxinictis )
  • †툰구(舊)리크티스( Tungurictis )
  • †웨르델리누스( Werdelinus )

3.1.1. 땅늑대아과(亞科) [편집(編輯)]

3.1.2. 이크티테리움아과(亞科) [편집(編輯)]

  • †이크티테리움( Ictitherium )

4. 특징(特徵) [편집(編輯)]

hckendpskrmfvwja...

떼거리로 다니는 청소부(淸掃夫)라는 이미지 때문인지 하이에나를 작고 약(弱)한 동물(動物)로 아는 사람이 많은데, 동물원(動物園)의 하이에나를 보면 의외로(意外로) 한 덩치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가장 큰 종(種)인 점박이(點박이)하이에나 의 경우(境遇) 40~80kg 가량(假量)으로, 아프리카 에서 사자(獅子) 다음으로 큰 대형(大型) 육식동물(肉食動物)이다. 실제(實際) 사자(使者)와 같이 있는 모습을 보면 덩치가 그렇게 많이 차이(差異)나지 않는다. 아프리카의 고양이과 중(中) 2번째(番째)로 큰 아프리카표범(豹범) 과 비슷하거나 약간(若干) 더 큰 편(便)이다. [6] 생태학적(生態學的)으로 유라시아 대륙(大陸)과 아메리카 대륙(大陸)에서 비슷한 지위(地位)를 차지하고 있는 늑대 가 보통(普通) 20~50kg 남짓인 것을 생각해 보면 매우 큰 셈. [7]

반면(反面) 가장 작은 종인 땅늑대 의 경우(境遇) 10kg 정도(程度) 나가는데, 이는 시바견(犬) 과 비슷한 크기다. 멸종(滅種)한 종(鐘)까지 합쳐서 가장 큰 종(種)은 파(派)키크로쿠타 속에 속(屬)한 하이에나들로, 이들은 사자(獅子) 호랑이(虎狼이) 와 맞먹을 정도(程度)의 몸집을 가졌으며, 그 무게가 190kg에 달(達)했다. 두개골(頭蓋骨)은 현생(現生) 보다도 컸다.

평상시(平常時)에는 이히히히히히히힠 [8] 하는 걸로 유명(有名)한데, 정확히(正確히)는 점박이(點박이)하이에나 의 울음소리. 상대(相對)를 위협(威脅)할 때에도 그냥 으르렁거리지 짖지는 않는다. 줄무늬하이에나 끄애애애애애애앩 하는 말로 표현(表現)할 수 없는 기괴(奇怪)한 울음소리를 낸다. 그래서 옛날에는 사람들이 하이에나의 울음소리를 '악마(惡魔)의 웃음소리'로 비유(比喩)했다고 한다. [9]



무리의 우두머리에게 철저(徹底)하게 복종(服從)하며 위계질서(位階秩序)가 강(剛)하나, 우두머리가 무리를 제대로 챙겨주지 못할 경우(境遇) 집단(集團)으로 반란(叛亂) 을 일으켜 우두머리를 공격(攻擊)하여 추방(追放)시키거나 죽인다. 실제(實際) 위의 영상(映像)에서 우두머리가 새끼들을 돌보는 암컷 하이에나들에게서도 먹이를 뺏어가는 등(等) 무리(無理)를 챙겨주지 않고 자기(自己)만 생각하자 나중에 무리(無理)가 반란(叛亂)을 일으켜 우두머리가 한 쪽 뒷다리를 심(甚)하게 다쳤을 정도(程度)로 공격(攻擊)해서 결국(結局) 쫓아냈다.

5. 양육(養育) [편집(編輯)]

점박이(點박이)하이에나 는 클랜이라는 집단(集團)을 이루어 사는데 많은 수(數)의 암컷과 적은 수(數)의 수컷으로 뒤섞인 80마리에 달(達)하는 대규모(大規模) 무리를 형성(形成)한다. 암수가 혼잡(混雜)하게 섞인 무리를 구성(構成)하며 서열(序列)은 철저히(徹底히) 암컷이 우위(優位)에 서고 덩치도 암컷이 더 크기 때문에 수컷은 암컷에게 대항(對抗)하지 않는다. 설령(設令) 암컷이 더 작아도 수컷보다는 우위(優位)이다. 또 새끼 돌보기를 할 때 수컷은 양육(養育)에 참여(參與)하지 않으며 암컷은 새끼를 낳거나 양육(養育)할 때쯤에 수컷을 내쫓는다.

줄무늬하이에나 의 경우(境遇) 자신(自身)의 서식지(棲息地) 조건(條件)에 따라 가족(家族) 단위(單位) 무리를 만든다. 5~6마리의 무리 생활(生活)을 하거나 단독(單獨) 생활(生活)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경우(境遇)에 따라 작은 무리를 이루는 경우(境遇)도 있으며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 사회(社會)를 택(擇)하는 동물(動物)이고 암수가 모두 양육(養育)에 참여(參與)하는 편(便)이다.

갈색하이에나 의 경우(境遇) 역시(亦是) 가족(家族) 단위(單位)의 무리를 지어서 생활(生活)하는데 함께 영역(領域)을 지키고 새끼를 양육(養育)하는 등(等) 상당히(相當히) 긴밀(緊密)한 사이인데다 수컷들 한정(限定)으로 무리 내(內)의 서열(序列)도 철저(徹底)하게 정(定)해져 있고 서로 다른 무리의 암수끼리 번식기(繁殖期)에 만나 교미(交尾)를 하고 헤어지는 듯 하며 역시(亦是) 암수가 모두 양육(養育)에 참여(參與)한다.

땅늑대 는 암수가 모두 양육(養育)에 참여(參與)해서 새끼들이 완성체(完成體)가 될 때까지 양육(養育)하는 편(便)이다.
external/www.wir...
누(樓)의 뼈를 먹는 점박이(點박이)하이에나
하이에나의 뼈 먹방(먹放)
하이에나의 이빨과 턱 힘이 무섭다는 것은 유명(有名)하며 아프리카의 육식(肉食) 포유류(哺乳類) 중(中) 가장 높은 저작력(咀嚼力) 을 낸다고 알려져 있다.
어느 정도(程度)냐면 하이에나 성체(聖體) 1마리가 말 한마리분(分)의 힘을 가질 정도(程度)라고 한다. 그래서 사람이 타고 앉아도 멀쩡할 정도(程度)로 단단한 타조(駝鳥) 알이나 코끼리 뼈 같은 것도 과감(果敢)하게 씹어먹을 수 있다.

다 자란 하이에나의 무는 힘은 400kg을 넘는데, 다음은 측정기(測定器)를 동원(動員)하여 실제(實際) 동물(動物)들의 저작력(咀嚼力) 측정치(測定値)이다. [10]

긴급구조(緊急救助) 119 1998년(年) 7월(月) 29일(日) 방영분(放映分)에서 하이에나에게 먹이를 주던 남성(男性)이 하이에나에게 손가락을 물려 손가락이 절단(切斷)된 사고(事故)를 다룬 바 있다. 영상(映像) 물론(勿論) 이는 사육사(飼育師)도 아니면서 동물(動物)에게 함부로 먹이를 준 남성(男性)의 명백(明白)한 잘못이다.
고대(古代) 이집트인(人) 들은 하이에나를 길러서 식용(食用)으로 먹었다. 그래서 하이에나를 식용(食用)으로 사육(飼育)하거나 도축(屠畜)하는 부족(不足) 등(等)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물론(勿論) 맹수(猛獸)이다 보니 가축(家畜)으로서 키우기 위험(危險)하고 사료(飼料) 효율(效率)이 떨어진다는 문제(問題) 때문에 보편적(普遍的)인 식재료(食材料)가 되지는 못했다. 다만 맛은 어땠는지는 불명(不明). 식용(食用)으로 먹어서 그런지 동물(動物)을 신격화(神格化)하던 고대(古代) 이집트 문화권(文化圈)에서 신격화(神格化) 대상(對象)이 되지 않았다.

중동(中東) 아프리카 지방(地方)의 이슬람 문화권(文化圈)에서는 하이에나에게 주로(主로) 악령(惡靈)을 쫓아내는 상징성(象徵性)을 부여(附與)한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理由) 때문에 충격적(衝擊的)이게도 소말리아에서는 하이에나가 정신병(精神病)을 치료(治療)하는 목적(目的)으로 사용(使用)된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이곳 참조(參照) .

에티오피아 에선 하이에나들이 마을에 양(羊)떼를 기습(奇襲)해 잡아먹는 등(等) 피해(被害)가 속출(續出)하자, 주민(住民)들이 야간(夜間)에 사냥하는 하이에나에게 음식(飮食) 찌꺼기를 나눠주면서 나름 공존(共存)하는 방식(方式)을 택(擇)하고 있다. 이렇게 사람에게 길들여진 하이에나들이 여행객(旅行客)들이 주는 음식(飮食)도 받아 먹으며 차츰 온순(溫順)해지고 에티오피아의 관광(觀光) 상품(商品)이 되었다고 한다.

이곳에서는 외상이 존재(存在)하지 않는 정신병(精神病)에 대(對)한 의학적(醫學的) 지식(知識)이 없는 탓에 정신병(精神病)을 일종(一種)의 악령(惡靈)의 빙의(憑依)로 여기는데 황당(荒唐)하게도 하이에나와 환자(患者)를 함께 철장에 가두어 놓고 하이에나가 환자(患者)를 공격(攻擊)하는 과정(過程)을 환자(患者)의 몸에 깃든 악령(惡靈)을 공격(攻擊)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18] 사실상(事實上) 사형집행(死刑執行)이나 다름없는 이 기괴(奇怪)한 치료법(治療法) 때문에 매년(每年) 소말리아에서는 사상자(死傷者) 수(數)가 17만명(萬名) [19] 에 달(達)할 정도(程度)로 사회적(社會的) 문제(問題)가 되고 있다고 한다. 현재(現在) 이 미친짓을 막기 위해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에서 봉사자(奉仕者)들을 파견(派遣)하고 있다. 기사(記事)에 따르면 갓난아기는 물론(勿論) 어린이 환자(患者)들도 이 미친 짓거리로 인해 목숨을 잃고 있다고 한다.

시체(屍體) 청소부(淸掃夫) 라는 점(點) 때문에 배틀로얄 게임 에서 다른 플레이어와의 직접(直接) 교전(交戰)은 피(避)하면서 다른 플레이어들 사이의 교전(交戰)이 끝난 후(後) 그 현장(現場)에 남은 시체(屍體)들을 파밍하는 전략(戰略)을 하이에나 메타라고 부르기도 한다. 성공(成功)한다면 노력(努力)에 비해 많은 소득(所得)을 올릴 수 있는 방법(方法)이지만 지나치게 많이 쓸 경우(境遇) 싸움 실력(實力)이 늘지 않게 된다는 문제(問題)가 있다.

한국(韓國)에서 이름이 혜나 인 사람이 국어(國語)의 로마자(로마字) 표기법(表記法) 에 맞게 표기(表記)하면 hyena 이기(利器) 때문에 영어권(英語圈) 국가(國家)로 유학(遊學)이나 이민(移民)을 갈 때 이름을 그대로 유지(維持)하면 별난 이름이 되므로 유의(留意)해야 한다.

모성애(母性愛)가 극대화되는 시기(時期)에 조건(條件)이 맞는 상황(狀況)에 새끼가 없다면 다른 동물(動物)의 새끼라도 키우는 모양(模樣)이다.
external/farm1.s...
이미지는 대체적(大體的)으로 비호감인(非好感人) 부분(部分)이 많으며 사바나 의 날강도(날强盜)나 사체(死體) 청소부(淸掃夫). 새까맣고 추악(醜惡)해보이는 눈매에 털 색깔(色깔)도 칙칙한 갈색(褐色)과 흑색(黑色)이 섞여있는 지저분한 외모(外貌), 특유(特有)에 기괴(奇怪)한 울음소리에 다른 포유류(哺乳類)에 비해 어색(語塞)한 다리 비율(比率)까지 인간(人間) 기준(基準)으로 비호감(非好感) 요소(要素)를 다 갖췄다. 물론(勿論) 아기 때는 강아지 같아서 귀엽고 사람이 생각 차이(差異)라는 게 있기 때문에 성체도(聖體度) 귀엽다고 하는 사람이 없진 않지만.

'하이에나'가(街) 들어가는 문장(文章)이나 하이에나에 비유(比喩)하는 대상(對象)은 이미 좋은 말일 확률(確率)이 거의 없다. 특히(特히) '하이에나들'이라고 복수형(複數型)으로 쓰면 99% 부정적(否定的)인 비유법(比喩法)이라고 봐도 무방(無妨)하다. 사람 중(中)에서도 무언가를 찾아서 배회(徘徊)하는 사람을 이 하이에나에 비유(比喩)하기도 한다. 혹은(或은), 먹이를 보고 달려드는 모습에 빗대어, 기회(機會)를 이용(利用)해 약자(弱者), 특정인(特定人)에게 덤벼드는 사람들의 무리도 하이에나 무리로 묘사(描寫)된다. 라이온 킹 에도 하이에나가 온갖 악행(惡行)은 다 저지르고 왕국(王國)도 황폐화(荒廢化)시키는 주범(主犯)처럼 그려져 있다. [20] 또 타(他) 맹수(猛獸) 들에 비해 멍청하게 생긴 외모(外貌) 때문인지, 라이온 킹 이나 밀림(密林)의 왕자(王子) 레오 같은 작품(作品)에서도 대놓고 바보 캐릭터로 등장(登場)한다.

생긴 모양새(模樣새)와 기분(氣分) 나쁜 울음소리, 썩은 고기를 즐겨 먹는 습성(習性)과 이 때문에 몸에 밴 냄새 탓에 부정적(否定的)인 이미지를 갖게 된 경우(境遇)다. 사실(事實) 하이에나가 하는 짓으로 알려져 있는 건 사자(獅子) 도 하거나 오히려 더 심(甚)하다. 하지만 사자(獅子)는 사자(獅子)가 서식(棲息)했던 모든 문화권(文化圈)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숭배(崇拜)의 대상(對象)으로 여겨졌다. 힘과 아름다움을 추구(追求)하는 인간(人間)이 그에 걸맞은 대상(對象)을 우상(偶像)으로 삼는 것은 선사(先史) 시대(時代) 부터 내려오던 것이 현대(現代)에도 남아 있는 것이다.

물론(勿論) 하이에나의 부정적(否定的)인 이미지는 어디까지나 비호감(非好感) 이미지로만 그려진 판타지일(日) 뿐, 하이에나도 엄연히(儼然히) 포식자(捕食者)이자 시체청소부(屍體淸掃夫)로서 생태계(生態系)에 매우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하고 있다. 현실(現實)의 아프리카 초원(草原)에 이런 하이에나들이 없었다면 아프리카는 초식동물(草食動物)들의 개체수(個體數)가 제대로 조절(調節)되지 않고 시체(屍體)가 쌓여 생태계(生態系)가 엉망이 되었을 것이다. 특히(特히) 하이에나의 마스코트나 다름 없는 점박이(點박이)하이에나 가 이런 부정적(否定的)인 이미지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실제(實際) 점박이(點박이)하이에나는 오히려 아프리카에서 사자(獅子), 나일악어와 함께 가장 적극적(積極的)이고 이 둘 다음으로 강(强)한 포식자(捕食者) 중(中) 하나로 사자(獅子)와 표범(豹범) 등(等)에게도 밥이 아니라 천적(天敵)이다. [21] 실제로(實際로)는 사체청소부(死體淸掃夫)라는 인식(認識)은 커녕 인지도(認知度) 자체(自體)가 매우 낮은 줄무늬하이에나 갈색하이에나 가 진짜(眞짜) 순수(純粹)한 사체청소부(死體淸掃夫)에 가깝다. [22] 또한 머리가 나쁘게 묘사(描寫)되는 것과 달리 실제로(實際로)는 지능(知能)과 사회성(社會性)이 꽤 높다.

아프리카 설화(說話)에 따르면 유럽의 늑대인간(人間) 마냥 하이에나인간(人間)으로 변(變)하는 설화(說話)가 전(傳)해지며 마녀(魔女) 의 소유물(所有物)로 여겨지기도 했다고 한다.
[1] 직역(直譯)하면 ”개과(科) 동물(動物)과 흡사(恰似)한 하이에나“ [2] 에피키온(溫) 이 포함(包含)된 개과(個課)의 멸종(滅種)된 하위(下位) 분류(分類)이다. [3] 직역(直譯)하면 ”뼈를 분쇠(粉쇠)하는 하이에나“ [4] 후자(後者)의 경우(境遇) 흔히 포식자(捕食者)들이 남긴 뼈만 먹도록 특화(特化)되었기 때문에 저작력(咀嚼力)이 발달(發達)되었다고 하지만 오늘날 점박이(點박이)하이에나만 보아도 이 주장(主張)은 신빙성(信憑性)이 떨어진다. 애초(애初)에 육상(陸上) 동물(動物)은 걸어서 돌아다녀야 하기 때문에, 다른 동물(動物)이 죽였거나 타 이유(理由)로 죽은 사체(死體)만으로 연명(延命)할 수 있을 정도(程度)로 사체(死體)를 힘 안들이고 찾아낸다는 것이 불가능(不可能)하다. 사체(死體)에 의존도(依存度)가 훨씬 더 높다 알려진 갈색하이에나 줄무늬하이에나 의 경우(境遇)도 해당(該當) 연구(硏究)가 수십년(數十年) 전(前), 하이에나과 전체(全體)에 대(對)한 편견(偏見)에 학계(學界)가 큰 영향(影響)을 받던 시기(時期)였기 때문에 실제로(實際로) 사체(死體)에 대(對)한 의존도(依存度)가 그리 높은지 의심(疑心)되며, 이들은 식물성(植物性) 먹이도 어느 정도(程度) 먹기 때문에 식량(食糧)을 다른 방법(方法)으로도 보충(補充)할 수 있다. [5] 이 시점(時點)은 개과(科) 동물(動物)들이 유라시아로 진출(進出)한 시점(時點)이기 때문에 ”덜 진화(進化)되었어서“ 생존경쟁(生存競爭)에서 밀려났을 거라는 주장(主張)도 흔히 언급(言及)되지만, 실제(實際) 증거(證據)는 없다. 애초(애初)에 이런 무능론(無能論)들의 대부분(大部分)은 단순히(單純히) ”멸종(滅種)된 계통(系統)이 더 열등(劣等)했다“라는 선입견(先入見)에 기반(基盤)되었고 화석(化石) 증거(證據)나 현존(現存)하는 동물(動物)들의 행동(行動)을 무시(無視)한 경우(境遇)가 과반사(科反射)이다. [6] 단(單), 표범(豹범) 은 일대일(一對一) 체급(體級)은 비슷해도 단독생활(單獨生活)을 하므로, 무리로 다니는 하이에나 상대론(相對論) 나무 위로 도망(逃亡)다니기 바쁘다. [7] 물론(勿論) 늑대들도 지역(地域)이나 각(各) 개체(個體)에 따라 크기 차이(差異)가 매우 심(甚)한지라 다 자라도 30kg 밖에 안되는 늑대가 있는가 하면 80kg에 달(達)하는 늑대도 있다. [8] 싸울때는 낮은 울음소리로 우(禹)우옹! 우로(迂路)로롱!!하는 기괴(奇怪)한 소리를 낸다. [9] 오쇼 라즈니쉬 가 쓴 책(冊)에서도 하이에나와 침팬지 친구(親舊) 가 되었는데, 사자(獅子) 가 와서 하이에나를 두들겨 팼다. 하지만 침팬지는 숨어서 나오지 않았고 사자(獅子)가 가버린 뒤, 반죽음(半죽음) 상태(狀態)가 된 하이에나가 친구(親舊)끼리 안 돕냐고 화(火)내자 침팬지 曰 "네가 기분(氣分) 나쁘게 이히히히히 웃기에 이기는지 알았지."라고 변명(辨明)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실제로(實際로)는 침팬지도 사자(獅子)가 무서워서 그랬을 가능성(可能性)이 높지만... [10] 티라노사우루스 메갈로돈 은 두개골(頭蓋骨)을 연구(硏究)하여 낸 추정(推定) 수치(數値)이다. [11] 측정기(測定器)를 들이대자 경계(警戒)하여 송곳니로 깨문 수치(數値)로, 갯과(갯科) 동물(動物)은 어금니가 크고 튼튼하기 때문에 어금니로 낼 수 있는 힘은 이보다는 훨씬 높을 것이다. [12] 실제(實際) 백상아리(白상아리)의 턱 구조상(構造上) 이보다 훨씬 강(剛)한 힘을 낼 수 있지만 강(强)한 저작력(咀嚼力)이 필요(必要) 없는 날카로운 이빨로 공격(攻擊)하기 때문에 가장 높은 저작력(咀嚼力)을 직접(直接) 측정(測定)하기는 어렵다. [13] 덜 자란 젊은 수컷이었다. [14] 43kg의 비교적(比較的) 어린 개체(個體)였다. [15] 측정(測定) 도중(途中) 악력계(握力計)가 찢어졌기 때문에 더 악력(握力)이 강(强)할 가능성(可能性)이 높다. [16] 성장(成長) 중(中)인 암컷의 측정치(測定値)로 장성한 수컷은 1t을 상회(上廻)할 가능성(可能性)이 있다. [17] 나일악어와는 달리 3미터 대(代)의 작은 개체(個體)로 측정(測定)하였다. 다 자란 크기의 바다악어(鰐魚)로 가정(假定)하고 계산(計算)을 돌린 결과(結果) 무려(無慮) 3톤이 넘는 수치(數値)가 나왔음으로 현존(現存)하는 동물(動物) 중(中) 저작력(咀嚼力)이 가장 강(剛)한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18] 당연(當然)하지만 환자(患者) 대부분(大部分)이 끔찍하게 목숨을 잃고 운(運)이 좋아 목숨을 건진 경우(境遇)라도 하이에나의 턱힘이 굉장히(宏壯히) 세(歲)다보니 십중팔구(十中八九) 불구(不具)가 되는 경우(境遇)가 부지기수(不知其數)라고 한다. [19] 이곳 국민(國民) 대부분(大部分)이 까트 라는 마약성(痲藥性) 식물(植物)을 너도나도 복용(服用)하기 때문에 정신적(精神的)으로 문제(問題)가 생기는 중독자(中毒者)들이 매우 많다. [20] 그나마 TVA 후속편(後續篇) 중(中) 하나인 라이온 수호대(守護隊) 에서는 선역(腺疫) 하이에나들이 등장(登場)하기는 한다. 그리고 바보처럼 그려지는 악역(惡役) 하이에나들과는 달리 똑똑하기도 하다. [21] 라이온 킹 에서 스카의 심복(心腹) 하이에나 트리오 중(中) 우두머리인 쉔지가 그 놈의 사자(使者)들만 아니면 우리가 왕(王) 노릇을 한다고 말한 게 농담(弄談)이나 과장(誇張), 혹은(或은) 푸념이 아니라 팩트에 가깝다고 한다. [22] 그 외(外)에는 대머리수리(修理) . [23] 언급(言及)만 되는 캐릭터이며 과거(過去) 전쟁(戰爭)으로 인해 죽임당했다고 언급(言及)되는 하이에나 공주(公州)이다. [24] 이 쪽은 보통(普通) 악역(惡役)으로 자주 비추어지는 라이온 킹 시리즈 속 다른 하이에나들과는 달리 처음부터 선역(先逆)으로 등장(登場)하는 하이에나들이다.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문서(文書)의 r170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以前) 역사(歷史)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다른 문서(文書)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文書)의 r170 ( 이전(以前) 역사(歷史) )
문서(文書)의 r ( 이전(以前) 역사(歷史)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