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패혈증(敗血症) - 나무위키

패혈증(敗血症)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패혈증(敗血症)
敗血症 | Sepsis
패혈성 쇼크
패혈성(敗血性) 쇼크에 따른 저혈압(低血壓) 및 호흡(呼吸) 부전(不全)을 나타낸 그림.
국제질병분류기호(國際疾病分類記號)
( ICD-10 )
A40-A41.0
의학주제표목(醫學主題標木)
(MeSH)
진료과(診療科)
질병(疾病) 원인(原因)
미생물(微生物) 감염(感染)
관련(關聯) 증상(症狀)
관련(關聯) 질병(疾病)
패혈성(敗血性) 쇼크 , 호흡(呼吸) 부전(不全), 급성(急性) 신부전(腎不全) , 간(肝) 부전(釜田), 다발성(多發性) 장기(臟器) 부전(釜田)
패혈증 자가진단표
영국국민보건(英國國民保健)서비스(NHS) 에서 제시(提示)하는 패혈증(敗血症) 자가진단법(自家診斷法)
  • 1. S lurred speech - 불분명(不分明)한 발음(發音)
  • 2. E xtreme shivering or muscle pain - 극심(極甚)한 경련(痙攣) 및 근육통(筋肉痛)
  • 3. P assing no urine (in a day) - 하루 동안 소변(小便)을 보지 않음
  • 4. S evere breathless - 심(甚)한 호흡(呼吸) 곤란(困難)
  • 5. I feel like I might die - 죽을 것 같은 느낌
  • 6. S kin mottled or discoloured - 피부(皮膚)가 얼룩지거나 변색(變色)됨

1 . 개요(槪要) 2 . 원인(原因) 3 . 발병(發病) 기전(棋戰) 및 증상(症狀)
3.1 . 패혈성(敗血性) 쇼크
4 . 치료(治療) 5 . 역사(歷史) 6 . 패혈증(敗血症)으로 사망(死亡)한 인물(人物) 7 . 관련(關聯) 문서(文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패혈증(敗血症) ( , sepsis)은 인체(人體)가 세균(細菌) 및 기타(其他) 미생물(微生物) 에 감염(感染)되어 이들이 생산(生産)한 독소(毒素)에 의(依)해 중독(中毒) 증세(症勢)를 나타내거나, 전신성(全身性) 염증(炎症) 반응(反應), 심각(深刻)한 장기(長期) 손상(損傷) 및 합병증(合倂症) 을 보이는 증후군(症候群)을 이른다. 말 그대로 [血]가 썩는 [敗] [1] 병(病) [症]으로, 상처(傷處), 호흡기(呼吸器), 소화기관(消化器官) 등(等)을 통해 침투(浸透)한 혈액(血液) 내(內) 병원체(病原體)가 숙주(宿主)의 면역체계(免疫體系)를 뚫고 번식(繁殖)하는 데 성공(成功)한 상태(狀態)이다.

2. 원인(原因) [편집(編輯)]

패혈증(敗血症)의 발병(發病) 원인(原因)은 미생물(微生物) 감염(感染) 이다. 고령(高齡)이거나, 특정(特定) 약물(藥물)의 사용(使用)( 벤조디아제핀 계열(系列)의 진정제(鎭靜劑) 등(等)) 등(等)에 의(依)해 발생률(發生率)이 높아진다. 질병(疾病) 에 의(依)해서 합병증(合倂症)으로 발병(發病)하기도 한다. 중이염(中耳炎) , 폐렴(肺炎) , 복막염(腹膜炎) , 욕창(褥瘡) 등(等) 원인(原因)이 되는 질병(疾病)도 다양(多樣)하다. 여름철마다 바닷물에 피부(皮膚) 상처(傷處)가 오염(汚染)되거나, 오염(汚染)된 해산물(海産物) 을 먹어 비브리오 패혈증(敗血症) 으로 사망(死亡)하는 사례(事例)도 매우 흔하게 일어난다.

혈액(血液) 배양(培養)으로 병원균(病原菌)의 존재(存在)가 확인(確認)되면 균혈증(菌血症)(Bacteriamia), 혈중(血中)에서 균(菌)이 생산(生産)한 독소(毒素)가 확인(確認)된 경우(境遇)(Septicemia) 패혈증(敗血症)으로 진단(診斷)된다. [2] 면역계(免疫界)가 항원(抗原)을 인식(認識)하고 바로 염증(炎症) 반응(反應)을 보이기 때문에 짧은 잠복기(潛伏期)를 가지고, 균종(菌腫)과 면역(免疫) 상태(狀態), 처치법(處置法)에 따라 수시간에서 수일(數日) 안에 사망(死亡)하거나 만성적(慢性的)인 후유증(後遺症)을 남길 수 있고, 반대(反對)로 완치(完治)해 원만(圓滿)하게 회복(回復)할 수도 있다.

전통적(傳統的)으로 큰 출혈상(出血賞)을 입었던 사람이 급작스럽게 사망(死亡)하게 되는 원인(原因) 중(中) 하나도 패혈증(敗血症)이었다. 즉시(卽時) 상처(傷處)를 소독(消毒) 하지 않고 방치(放置)했을 경우(境遇), 외부(外部)의 미생물(微生物)이 신체(身體) 내(內)로 침투(浸透)하기 좋은 환경(環境)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3]

3. 발병(發病) 기전(棋戰) 및 증상(症狀) [편집(編輯)]

공통(共通)된 증상(症狀)으로는 체온(體溫) 이 38도(度) 이상(以上)으로 올라가거나( 발열(發熱) ) 혹은(或은) 35도(度) 이하(以下)로 내려가며( 저체온증(低體溫症) ), 호흡수(呼吸數)가 정상(正常) 호흡수(呼吸數)에 더해서 분당(盆唐) 24회(回) 이상(以上)으로 증가(增加)하며(저산소증), 혈압(血壓)이 떨어지면서( 저혈압(低血壓) ) 신체(身體) 말단(末端)에 공급(供給)되는 혈액량(血液量)이 저하(低下)되므로 피부(皮膚) 가 퍼렇게 보이고 시간(時間)이 지나면서 피부(皮膚)가 썩기 시작(始作)하는 조직(組織) 괴사(壞死)가 나타나며 구토(嘔吐) 및, 설사(泄瀉) , 부정맥(不整脈) , 장(腸) 마비(痲痹) 증상(症狀)이 나타나기도 한다. [4] 혈관(血管) 투과성(透過性)이 증가(增加)돼서 혈관(血管) 내(內) 알부민이 빠져나가서 혈관(血管) 내(內) 교질삼투압(膠質渗透壓)(oncotic pressure)이 낮아지며, 이로 인해 환자(患者) 혈관(血管) 내(內)의 물이 다 주변(周邊) 조직(組織)으로 빠져나가 쇼크, 부종(浮腫) 등(等)도 발생(發生)한다. 인지력(認知力)이 떨어지는 등(等) 정신착란(精神錯亂) 증세(症勢)가 일어나고, [5] 사망(死亡) 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통계적(統計的)으로 의학(醫學) 처치(處置)를 시도(試圖)해도 20%에서 35%에 달(達)하는 사망율(死亡率)이 보고(報告)된다.

이미 체내(體內)를 점령(占領)한 병원체(病原體)를 어떻게든 박멸(撲滅)하기 위해 면역계(免疫界)에서 사이토카인 폭풍(暴風) 이 일어나기도 한다. 물론(勿論) 사이토카인 폭풍(暴風)이 일어나는 시점(時點)에서 이미 늦었고, 이는 오히려 환자(患者)의 사망률(死亡率)을 증가(增加)시킨다.

3.1. 패혈성(敗血性) 쇼크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쇼크(의학(醫學)) 문서(文書)
5.4.2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4. 치료(治療) [편집(編輯)]

패혈증(敗血症)은 짧은 시간(時間) 내(內)에 사망(死亡)하는 경우(境遇)가 많으므로 위 증상(症狀)을 보이면 재빨리 병원(病院) 에 가서 치료(治療)받아야 한다. 일반적(一般的)인 패혈증(敗血症)(sepsis)의 경우(境遇)도 사망(死亡) 위험도(危險度)가 20~35%에 달(達)하며, 빠르게 더 악화(惡化)되어 패혈성(敗血性) 쇼크로 진행(進行)되면 40~60%가 사망(死亡)하는 매우 치명적(致命的)인 질환(疾患)이다. 게다가 패혈성(敗血性) 쇼크는 장기(臟器)가 망가져서 쇼크가 온 단계(段階) 라서 패혈성(敗血性) 쇼크로 진행(進行)되면 치료(治療)를 받아도 살 확률(確率)보다 죽을 확률(確率)이 더 높다.

거의 대부분(大部分)의 균(菌)들이 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치료법(治療法)은 일단(一旦) 대량(大量)의 수액(樹液) 공급(供給)으로 혈압(血壓) 유지(維持), 광범위(廣範圍) 항생제(抗生劑) 로 경험적(經驗的) 치료(治療)를 시작(始作)하고, 이후(以後) 지속적(持續的)으로 균배양(菌培養) 검사(檢査)를 보고 항생제(抗生劑)를 조절(調節)한다. 세균(細菌)에 따라 듣는 항생제(抗生劑)의 종류(種類)가 달라지기 때문에, 늦기 전(前)에 균종(菌腫)을 파악(把握)하는 것이 중요(重要)하다. 다만 원인균(原因菌)을 찾는다고 항생제(抗生劑) 들어가는 시점(時點)이 늦어져서도 안 된다.

당연히(當然히) 패혈증(敗血症) 환자(患者)가 자가면역질환(自家免疫疾患) ,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後天性免疫缺乏症候群) , 당뇨병(糖尿病) 등(等) 면역력(免疫力)을 약화(弱化)시키는 기저질환도(基底疾患度) 앓고 있다면 사망(死亡) 확률(確率)이 훨씬 더 높아진다.

5. 역사(歷史) [편집(編輯)]

과거(過去)에는 위생(衛生) 관념(觀念)이 없던 탓에 치료행위(治療行爲)가 굉장히(宏壯히) 비위생적(非衛生的)이어서, 전쟁(戰爭) 에서 많은 부상자(負傷者)들이 사망(死亡)하는 병(病)이기도 했다. 설령(設令) 위생적(衛生的)인 환경(環境)에서 치료(治療)를 했다고 한들 항생제(抗生劑) 가 없었기 때문에 이미 세균(細菌)에 감염(感染)된 환자(患者)들은 패혈증(敗血症)의 위협(威脅)에 항상(恒常) 노출(露出)되어 있었다. 세균(細菌)의 존재(存在)를 몰랐던 시절(時節)에는 를 신성(神聖)하다고 여겼고, 몸을 씻는 기준(基準)도 어떤 부위(部位)가 눈에 띄게 더러워지거나 냄새가 날 정도(程度)가 되어야 했으며, 그것도 미생물(微生物)이 득실거리는 시냇물에서 비누 없이 씻는 경우(境遇)가 대다수(大多數)였다. 부상(負傷)에 취약(脆弱)한 육체(肉體) 노동자(勞動者)나 군인(軍人)의 경우(境遇)에는 위생(衛生) 상태(狀態)가 더 심각(深刻)했다.

역사(歷史) 기록(記錄)에서 'A는 부상(負傷)을 입고 회복(回復)하지 못하여 사망(死亡)했다' 등(等)의 문구(文句)가 있으면 굉장히(宏壯히) 높은 확률(確率)로 패혈성(敗血性) 쇼크의 가능성(可能性)을 추측(推測)해볼 수 있다. 영화(映畫) 등(等)에서 부상(負傷) 입은 군인(軍人)들이 후송(後送)된 뒤 고열(高熱)에 시달리다 죽는 묘사(描寫)가 많은데, 이게 패혈증(敗血症) 증세(症勢)다. 그 외(外)에도 정말(正말) 사소(些少)한 외상(外傷), 예(例)를 들어 장미(薔薇) 가시에 긁히거나 [6] 살짝 손을 베는 정도(程度)에도 패혈증(敗血症)이 발병(發病)해 사망(死亡)한 인물(人物)들이 많았다.

불결(不潔)한 물건(物件)에 노출(露出)되면 패혈증(敗血症)에 쉽게 걸린다는 것 정도(程度)는 알았기 때문에 과거(過去)에는 인분(人糞) 을 바른 무기(武器)가 치명적(致命的)으로 쓰이곤 했다. 역사적(歷史的)으로 많은 공성전(攻城戰) 기록(記錄)을 보면 수성측(守城側)에서 인분(人糞)을 투척(投擲)했다는 기록(記錄)이 있으며, 구니노미야 구니(拘泥)요시 왕(王) 은 인분(人糞)을 바른 칼에 찔려 패혈증(敗血症)으로 고생(苦生)하다가 사망(死亡)했다. 베트남 전쟁(戰爭) 당시(當時)에도 베트콩들이 인분(人糞)을 뿌린 부비트랩을 사용(使用)한 바 있다. 전부(全部) 더러운 물건(物件)을 묻힌다는 모욕적(侮辱的)인 의도(意圖)가 아니라 패혈증(敗血症)을 유발(誘發)하기 위한 일종(一種)의 독소(毒素) 역할(役割)이었다.

항생제(抗生劑)가 발명(發明)되기 전(前)까지 수많은 산모(産母)들을 괴롭힌 병(甁) 역시(亦是) 바로 패혈증(敗血症)이었다. 전근대시기(前近代時期) 산모(産母)들은 산욕열(産褥熱) 이라는 세균(細菌) 감염(感染)으로 인한 패혈증(敗血症)을 앓는 경우(境遇)가 많았다. 당시(當時) 의사(醫師) 들은 부검(剖檢) 했던 손으로 바로 출산(出産) 을 도왔는데 , 출산(出産) 과정(過程)에서 어마어마한 출혈(出血)과 회음부(會陰部) 열상(裂傷) 등(等)을 동반(同伴)하기 때문에 감염(感染)이 쉽게 되었던 것.

19세기(世紀) 헝가리 의 의사(醫師)였던 이그나츠 제멜바이스 (Ignaz Semmelweis, 1818?1865)는 출산(出産) 전(前)에 의사(醫師)의 손을 소독(消毒)하는 손 씻기 이후(以後)에 출산(出産) 을 도우면 산욕열(産褥熱)을 낮출 수 있다는 걸 발견(發見)했다. 그래서 그걸 분석(分析)한 책(冊)을 발간(發刊)했으나 당시(當時) 통념(通念)으로는 터무니없는 이야기라 무시당(無視當)했다. 그 시대(時代)에는 세균(細菌) 감염(感染)은 커녕, 세균(細菌)이란 개념(槪念)조차 희박(稀薄)했다. 제멜바이스 사후(死後) 10년(年) 뒤에나 루이 파스퇴르 에 의(依)해 세균(細菌)의 존재(存在)가 명확(明確)해진다.

제멜바이스가 이를 반증(反證)하면서 든 예시(例示)가 전문(專門) 의사(醫師)들에 비해 평범(平凡)한 산파(産婆) 들이 출산(出産)을 도울 때는 산욕열(産褥熱) 의 발병률(發病率)이 상대적(相對的)으로 적었다는 통계(統計)였다. 산파(産婆)들은 의사(意思)와는 달리 시체(屍體)를 만지지 않고, 또 관습(慣習)에 따라 출산(出産) 전(前) 물로 손을 씻은 뒤 산모(産母)를 돌보아서 이 때문에 세균(細菌) 감염률(感染率)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당시(當時) 의사(醫師)들은 전문(專門) 의료(醫療) 지식(知識)을 갖춘 자신(自身)들이 일반(一般) 산파(産婆)만도 못하다는 사실(事實)을 받아들이기 힘들어서 더욱 제멜바이스의 의견(意見)을 비난(非難)했다. 제멜바이스는 비난(非難)하는 자(者)들을 "살인자(殺人者)"라며 비판(批判)했고, 그 후(後) 극심(極甚)한 우울증(憂鬱症)에 시달렸다. 1865년(年) 그는 정신병원(精神病院)에 보내졌고 연조직염(炎) 패혈증(敗血症) 으로 발전(發展)해서 생(生)을 마감한다. 제멜바이스는 이것이 시체(屍體) 입자(粒子) 때문이라는 가설(假說)을 세웠는데 시체(屍體) 입자(粒子)의 정체(正體)는 바로 세균(細菌) 이고 10년(年) 뒤에 밝혀졌다. 그 뒤 위생(衛生)이 철저(徹底)해지고 항생제(抗生劑) 사용(使用)으로 1940년대(年代) 부터 산욕열(産褥熱)로 죽는 산모(産母)가 크게 급감(急減)하였다. 훗날(後날) 이 이론(理論)이 인정(認定)되고 의학계(醫學界)에 끼친 영향(影響)을 고려(考慮)하여 부다페스트 의과대학(醫科大學) 은 개교(個校) 200주년(周年)이 되는 1969년(年)에 제멜바이스 의과대학(醫科大學)으로 이름을 바꾼다. [7]

패혈증(敗血症)은 불특정(不特定)한 병원체(病原體)에 의(依)한 감염(感染) , 또는 폐렴(肺炎) 이나 뇌수막염(腦髓膜炎) 이나 암(癌) 환자(患者)의 감염(感染) 등(等) 갑자기 빠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임상(臨床)에서 판단(判斷)하기 애매모호(曖昧模糊)한 기준(基準)을 가지고 있다. 옛날부터 지금(只今)까지 엎치락뒤치락 새로운 정의(定義)가 내려지고 있는데 여태까지 제시(提示)된 정의(定義)에 의(依)하면 패혈증(敗血症)은 다음과 같이 설명(說明)할 수 있다. (첫 번째(番째) 정의(定義)는 생략(省略)하고 현재(現在)까지도 사람들이 많이 혼동(混同)하는 두 번째(番째) 정의(定義)부터 설명(說明)함)
<2001년(年) 패혈증(敗血症) 정의(正義) (Sepsis-2)> [8]
① 전신성(全身性) 염증(炎症) 반응(反應) 증후군(症候群)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말 그대로 전신(全身)에 심각(深刻)한 염증(炎症) 반응(反應)이 나타난 상태(狀態)이다. 이 전신(全身) 염증(炎症) 반응(反應)의 원인(原因)은 감염(感染)말고도 트라우마 , 화상(畫像) 등(等)이 포함(包含)되기 때문에 엄밀히(嚴密히) 말하면 패혈증(敗血症)은 아니고 패혈증(敗血症)을 아우르는 큰 범위(範圍)의 전신(全身) 염증(炎症) 반응(反應)을 의미(意味)한다. 판단(判斷) 기준(基準)으로는 다음 기준(基準)을 이용(利用)하고, 이 네 가지 기준(基準)에서 환자(患者)가 두 기준(基準) 이상(以上) 해당(該當)되면 SIRS라고 한다.
첫 번째(番째), 체온(體溫)이 36도(度)보다 아래거나 38.5도(度)보다 높은 경우(境遇).
두 번째(番째), 심박수가 분당(分當) 90회(回)를 넘는 경우(境遇).
세 번째(番째), 호흡수(呼吸數)가 분당(分當) 20회(回)를 넘고 폐포(肺胞) 내(內)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 분압(分壓) (PaCO2)이(李) 32 mmHg보다 아래인 경우(境遇).
네 번째(番째), 혈액(血液) 내(內) 백혈구(白血球) 수(數)가 4 × 10^9/L보다 적거나 12 × 10^9/L 보다 많은 경우(境遇).
② 패혈증(敗血症) (sepsis): 위에 언급(言及)한 SIRS 기준(基準)에서 두 기준(基準) 이상(以上) 해당(該當)되고, 그 원인(原因)이 감염(感染)이라고 밝혀지면 패혈증(敗血症)이라고 한다.
③ 중증(重症) 패혈증(敗血症) (severe sepsis): 위의 패혈증(敗血症)에서 더 악화(惡化)된 상태(狀態)로 말초조직(末梢組織) 괴사(壞死)가 발견(發見)되며 저체온(低體溫), 혈액(血液) 내(內) 젖산(젖酸)이 4mmol보다 높은 경우(境遇)에 중증(重症) 패혈증(敗血症)이라고 한다.
④ 패혈성(敗血性) 쇼크 (septic shock): 위의 중증(重症) 패혈증(敗血症)에서 더 악화(惡化)된 상태(狀態)로 말초조직(末梢組織) 괴사(壞死)가 다수(多數) 발견(發見)되며 ( 다발성(多發性) 장기(臟器) 부전(釜田) ) 사망률(死亡率)이 급격(急激)히 증가(增加)된 상태(狀態)를 패혈성(敗血性) 쇼크라고 한다.

쉽게 말해서 이 때의 패혈증(敗血症)은 " 감염(感染) 에 의(依)한 전신성(全身性) 염증(炎症) 반응(反應)"을 의미했다. 하지만 위의 정의(正義)가 임상(臨床)에 맞지 않는 경우(境遇)가 많아서 결국(結局) 2016년(年), 개정(改正)된 패혈증(敗血症)의 정의(定義)가 내려졌다.
<2016년(年) 패혈증(敗血症) 정의(正義) (Sepsis-3)> [9]
이전(以前) 정의(正義)와 많은 부분(部分)이 바뀌었다. 우선(于先), 중증(重症) 패혈증(敗血症)(severe sepsis)이라는 개념(槪念)을 더이상(以上) 사용(使用)하지 않고 "패혈증(敗血症)", "패혈성(敗血性) 쇼크"의 두 개념(槪念)만 사용(使用)한다.
게다가 두 개념(槪念)의 설명(說明)도 바뀌었다.
① 패혈증(敗血症): 감염(感染)으로 인한 숙주(宿主)의 면역계(免疫界) 이상(異常)으로 발생(發生)한 심각(深刻)한 장기(長期) 손상(損傷)을 의미한다.
② 패혈성(敗血性) 쇼크: 바로 위에 언급(言及)한 패혈증(敗血症)에서 순환성(循環性), 세포성(細胞性), 대사성(大司成) 이상(異常)이 발생(發生)해 사망률(死亡率)이 더 높아진 상태(狀態)를 의미한다.

새로운 정의(定義)가 등장(登場)함에 따라서 병원(病院)에서의 패혈증(敗血症) 진단(診斷) 방식(方式)도 변경(變更)되었다.

Sepsis-3에 따르면 과거(過去)에 이미 정립(定立)되었던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OFA) 기준(基準)을 이용(利用)해 더 자세(仔細)하게 환자(患者)의 상태(狀態)를 살피게 된다. 하지만 이 기준(基準)은 너무 복잡(複雜)하기 때문에 신속(迅速)하고 간략히(簡略히) 하기 위한 Quick SOFA (qSOFA)라는 기준(基準)이 새로 나왔고, 이제는 SOFA와 qSOFA를 병행(竝行)해서 패혈증(敗血症) 진단(診斷)을 권장(勸奬)한다.
① 병원(病院)에 감염(感染)으로 의심(疑心)되는 환자(患者)가 오면 qSOFA에 따라서 환자(患者)를 확인(確認).
② qSOFA에 의(依)해 결과(結果)가 2점(點) 이상(以上)이면 환자(患者)의 장기(臟器) 손상(損傷) 여부(與否)를 확인(確認).
③ 환자(患者)의 장기(臟器) 손상(損傷)을 확인(確認)하면 SOFA에 따라서 환자(患者)를 확인(確認).
④ SOFA에 의(依)해 결과(結果)가 2점(點) 이상(以上)이면 패혈증(敗血症)으로 진단(診斷).
⑤ 승압제(昇壓劑) (Vasopressor)와 혈액(血液) 내(內) 젖산(젖酸) 기준(基準)에 따라 환자(患者)를 확인(確認).
⑥ 위 기준(基準)도 해당(該當)되면 패혈성(敗血性) 쇼크로 진단(診斷).

추가(追加)로, 매년(每年) 9월(月) 13일(日)은 세계(世界) 패혈증(敗血症)의 날(World sepsis day)이다. (2012년(年)부터 시작(始作))

6. 패혈증(敗血症)으로 사망(死亡)한 인물(人物)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분류(分類):패혈증(敗血症)으로 죽은 인물(人物)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7. 관련(關聯) 문서(文書) [편집(編輯)]

[1] 대표적(代表的)인 단어(單語)가 부패(腐敗) (腐敗). 썩는다는 것은 냄새나 색깔(色깔) 이야기가 아니라 '체내(體內)에 미생물(微生物)이 증식(增殖)하는 상태(狀態)'를 총칭(總稱)한다. 물론(勿論) 피(백혈구(白血球) 등(等))가 세균(細菌)과의 싸움에 졌다고 이해(理解)해도 의미상(意味上)으론 크게 문제(問題)가 없지만( 금성판(金星版) 과학학습만화(科學學習漫畫) 에서는 이렇게 설명(說明)한다), 음식(飮食)이나 유기물(有機物)이 썩는 것 자체(自體)가 세균(細菌)이 번식(繁殖)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썩다'가 더욱 정확(正確)한 표현(表現)이 맞다. 사전적(辭典的) 의미(意味)에서도 '인체(人體)의 균(菌) 감염(感染)으로 인해 장기(將棋) 등(等)이 기능(機能)을 잃은 경우(境遇)'에 쓸 수 있는 표현(表現)이기에 이론(理論)의 여지(餘地)는 없다. 흔히 '패(牌)'혈증(血症)이 아닌 '폐(肺)'혈증(血症)으로 착각(錯覺)하기도 한다. 특히(特히) 폐(肺)에 염증(炎症)이 발생(發生)하는 폐렴(肺炎) 을 앓았다가 패혈증(敗血症)으로 악화(惡化)되는 경우(境遇)가 많기 때문에 '패(牌)'혈증(血症)이 아니라 '폐(肺)'혈증(血症)으로 오인(誤認)하기 쉽고, 뉴스기사(記事)는 물론(勿論), 법원(法院)의 판례(判例)에서마저 '폐(肺)'혈증(血症)이라고 언급(言及)하는 경우(境遇)가 있을 정도(程度)이다.(대법원 1982. 10. 12. 선고(宣告) 81도(度)2621 판결(判決) 참조(參照)) 그러나 폐혈증이라는 병명(病名)은 없고, 세간(世間)의 인식(認識)처럼 폐(肺)에 피가 차는 병(病)은 따로 혈흉(血胸)(Hemothorax)이라고 하는데 이는 패혈증(敗血症)보다 더 치명적(致命的)이다. 흉강(胸腔)이 피로(疲勞) 꽉 차면 허파가 부풀지 못하니 숨을 들이쉴 수 없어 질식사(窒息死)하기 때문이다. [2] 유명(有名)한 비브리오 패혈증(敗血症) 때문에 패혈증(敗血症)은 비브리오로만 일어나는게 아니냐는 사람들이 있는데, 패혈증(敗血症)은 단일(單一) 균종(菌腫)에 의(依)해 발생(發生)하는 증상(症狀)이 아니다. 어떤 미생물(微生物)이든 침입(侵入)하여 염증(炎症) 반응(反應)을 일으키거나 생체조직(生體組織)에 유해(有害)한 독소(毒素)를 생산(生産)한다면 패혈증(敗血症)을 유발(誘發)할 수 있다. [3] 우리 신체(身體)는 나름대로 고유(固有)의 면역(免疫) 방어(防禦) 체계(體系)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외상(外相) 등(等)으로 신체(身體) 내부(內部)가 외부(外部) 환경(環境)에 노출(露出)될 경우(境遇) 면역(免疫) 체계(體系)가 감당(堪當)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많은 외부(外部) 미생물(微生物)이 침투(浸透), 감염(感染)되는 것이다. 이때 외부(外部) 치료(治療)를 받지 않는다면 사망(死亡)할 확률(確率)은 거의 100%에 달(達)한다. [4] 패혈증(敗血症)이 너무 진행(進行)돼서 다발성(多發性) 장기(臟器) 부전(釜田) 까지 가는 경우(境遇)도 상당히(相當히) 흔하다. 또한 패혈증(敗血症) 치료(治療)에서 항생제(抗生劑) 가 필수적(必須的)으로 들어가는데 그 과정(過程)에서 장내(腸內) 정상세균(正常細菌)무리가 사멸(死滅)하여 가막성대장염(假膜性大腸炎) 이 호발(號發)한다. [5] 섬망(譫妄)이라고 해서 특히(特히) 노인(老人) 이나 중환자실(重患者室) 치료(治療) 환자(患者)에게 상당히(相當히) 흔하다. [6] 정확히(正確히)는 백혈병(白血病)에 걸린 상태(狀態)였고, 이때 장미(薔薇) 가시에 긁혀 패혈증(敗血症)이 생겼다. [7] 다만 이 기사(記事) 에 의(依)하면 그는 자신(自身)의 이론(理論)을 설명(說明)하는 방식(方式)이 지나치게 공격적(攻擊的)인데다가 확실(確實)한 증거(證據)도 제시(提示)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쉽게 받아들이지 못했다고 한다. 심지어(甚至於) 제멜바이스는 후원자(後援者)들에게 아무런 연락(連絡)도 남기지 않고 빈에서 잠적(潛跡)했던 적도 있다. [8] 첫 번째(番째) 패혈증(敗血症) 정의(正義) 이후(以後), 개정(改正)된 패혈증(敗血症) 정의(正義)이기 때문에 Sepsis-2라는 이름이 붙었다. [9] Mervyn Singer et al, The Third International Consensus Definitions for Sepsis and Septic Shock (Sepsis-3), JAMA. 2016 Feb 23; 315(8): 801?810. [10] 개나 고양이 같은 동물(動物)한테 물리는 것은 오염(汚染)되지 않은 철기(鐵器)에 의(依)한 창상(創傷)보다 훨씬 패혈증(敗血症)을 잘 유발(誘發)한다. 특히(特히) 이를 닦지 않는 동물(動物)들은 항상(恒常) 온갖 병원체(病原體)에 노출(露出)되어 구강(口腔)에 많은 미생물(微生物)을 보유(保有)하고, 사람을 물면 당연(當然)하게도 구강(口腔)에 있던 미생물(微生物)이 체내(體內)로 들어오는 것이다. 최시원 개(個) 주민(住民) 습격(襲擊) 사망(死亡) 사건(事件) 의 피해자(被害者)가 실내(室內)에서 키우는 애완견(愛玩犬)에게 물리고 패혈증(敗血症)에 걸려 사망(死亡)했다. 개나 고양이에게 물리면 패혈증(敗血症)이 온다고 단언(斷言)할수는 없으나 여타(餘他) 외상(外傷)에 비해 패혈증(敗血症)이 올 확률(確率)이 높다고 생각하는게 좋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最近) 변경(變更)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