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탤런트 - 나무위키

탤런트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모바일 게임 좀비고등학교(高等學校)의 역할군(役割軍)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탤런트(좀비고등학교(高等學校))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1 . 영어(英語) 단어(單語) 2 . TV 방송국(放送局) 전속(專屬) 연기자(演技者)
2.1 . 개요(槪要) 2.2 . 명칭(名稱) 2.3 . 영화(映畫) 배우(俳優)와의 관계(關係) 2.4 . 관련(關聯) 단체(團體)
3 . 대우전자 비디오 플레이어 이름

1. 영어(英語) 단어(單語) [편집(編輯)]

Talent

재능(才能) , 능력(能力) 을 지칭(指稱)하는 단어(單語)며 어원(語源)은 달란트 다.

2. TV 방송국(放送局) 전속(專屬) 연기자(演技者) [편집(編輯)]

2.1. 개요(槪要) [편집(編輯)]

TV 드라마 에 전담(專擔)으로 출연(出演)하는 배우(俳優)들을 일컫는 명칭(名稱)이다.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국(放送局) 에서는 공채(公採) 탤런트를 뽑아 이들을 주로(主로) 드라마에 기용(起用)하였다. KBS와 SBS는 극회(劇會)를 직접(直接) 관리(管理)하지만 MBC는 1995년(年) 자회사(子會社) MBC예술단(藝術團)에 관리업무(管理業務)를 넘겼고, 2000년(年) MBC예술단(藝術團)이 MBC프로덕션 으로 합병(合倂)되면서 관련(關聯) 업무(業務)가 그리로 넘어갔다.

1990년대(年代)까지만 하더라도 탤런트가 되는 길은 방송사(放送社)의 공채(公採) 시스템으로 방송국(放送局) 배우(俳優)가 되는 것이 일반적(一般的)이었고, 주로(主로) 공채(公採)로 뽑았지만 가끔 연극(演劇)/영화배우(映畫俳優)를 탤런트로 특채(特採)하는 경우(境遇)도 있었다. 하지만 나날이 발전(發展)하는 기획사(奇劃社)의 연습생(練習生) 시스템과 방송가(放送街)의 공채(公採) 폐지(廢止)가 맞물려 현재(現在)는 개별(個別) 오디션이나 각(各) 소속사(所屬社)의 로비와 입김을 통해 데뷔하는 경우(境遇)가 대부분(大部分)이다. 때로는 드라마 작가(作家)의 깜짝 발탁(拔擢)으로 신인급(新人級) 연기자(演技者)들이 드라마의 주연(主演)으로 발탁(拔擢)되는 경우(境遇)도 있다. 전소민 같은 경우(境遇)가 대표적(代表的).

1990년대(年代)부터 인기(人氣)를 쌓은 영화배우(映畫俳優) 중(中)에서 공채(公採) 탤런트로 배우(俳優) 커리어를 시작(始作)한 경우(境遇)가 꽤 많다. 대표적(代表的)으로 한석규 [1] , 이병헌 등(等)의 배우(俳優)가 이런 케이스. MBC 는 2004년(年), KBS 는 2008년(年), SBS 는 2009년(年)까지 탤런트를 뽑았다. [2] [3] 이후(以後) 연예(演藝) 기획사(奇劃社) 의 활성화(活性化)로 공채(公債)가 폐지(廢止)되었다.

2010년대(年代) 이래(以來) 배우(俳優) 라는 단어(單語)를 많이 쓰는 추세(趨勢)라 탤런트의 사용(使用) 빈도(頻度)가 많이 떨어진 상황(狀況)이다. 아직은 중장년층(中壯年層) 및 노년층(老年層)이 많이 사용(使用)하지만 앞으로 사어(死語) 가 될 가능성(可能性)이 높다. 무엇보다 방송국(放送局)에서 공채(公採) 탤런트를 뽑지 않기 시작(始作)한 이후(以後)로 연기자(演技者) 본인(本人)들도 의미(意味)가 모호(模糊)해진 탤런트보다는 전문성(專門性)이 있어 보이는 단어(單語)인 배우(俳優)를 더 선호(選好)한다.

조선일보(朝鮮日報) 인물검색(人物檢索), JOINS 인물정보(人物情報), 헬로아카이브(연합뉴스(聯合뉴스)) 등(等) 대다수(大多數) 인물정보(人物情報) 검색(檢索)사이트에선 영화(映畫) 출연(出演) 배우(俳優)는 영화배우(映畫俳優), 드라마 출연(出演) 배우(俳優)는 탤런트로 나누는 분류(分類)를 계속(繼續) 사용(使用)하고 있으며 네이버 등(等) 포털사이트도 이를 따르고 있다. 이 두 분류(分類)는 가수(歌手)나 기업(企業)인 같은 다른 직업(職業) 분류(分類)와 마찬가지로, 인물(人物) 정보(情報)와 연결(連結)되는 출연작(出演作)이 네이버 정보(情報)에 등록(登錄)되면 자동(自動) 으로 형성(形成)되는 분류(分類)다. [4]

2.2. 명칭(名稱) [편집(編輯)]

탤런트라는 명칭(名稱)은 영어(英語)가 아니라 재플리시 인(人) 타(他)렌토(タレント)를 어원(語源)으로 한다. 일본(日本)에선 가수(歌手) , 연기자(演技者) , 코미디언 , MC , 예능(藝能) 패널 등(等) TV 를 중심(中心)으로 활동(活動)하는 연예인(演藝人) 들을 통틀어 일컫는다. 그런데 이 단어(單語)가 한국(韓國)으로 넘어 오면서 TV 드라마 에 출연(出演)하는 연기자(演技者)만을 지칭(指稱)하는 단어(單語)로 의미(意味)가 변화(變化)했다 .

영어권(英語圈)에선 talent가 부(部)가 설명(說明) 없이 단독(單獨)으로 쓰이면 연예계(演藝界) 인물(人物)이라는 뉘앙스가 바로 생기기 힘들다. 그래서 일본(日本)의 탤런트를 설명(說明)할 때 일본(日本)의 TV 유명(有名) 인사(人士)(Television personalities in Japan)라는 명칭(名稱)을 쓴다. 다만 '재능(才能) 있는 인물(人物)'이라는 talent의 본래(本來) 의미(意味)를 연예계(演藝界)와 접목(椄木) 시키는 경우(境遇)는 있다. 보통(普通) 신인(新人) 발굴(發掘) 프로그램에서 talent를 타이틀에 다는 경우(境遇)가 많은데 대표(代表) 프로그램으로 아메리카 갓 탤런트 가 있다. 이런 프로그램들을 통틀어 탤런트 쇼(Talent show)라고 부른다.

그리고 미국(美國)에선 탤런트 에이전시(Talent agency)나 탤런트 에이전트(Talent agent) 같은 명칭(名稱)을 통해서도 연예계(演藝界)의 틀에서 talent를 이해(理解)한다. 하지만 탤런트 에이전트는 한국(韓國)의 연예(演藝) 기획사(奇劃社) 와 기능상(機能上) 큰 차이(差異)가 없다. 실제로(實際로) 미국(美國)에서 가장 역사(歷史)가 오래된 탤런트 에이전시인 윌리엄 모리스 에이전시는 19세기(世紀) 말(末), 즉(卽) 영화(映畫) 산업(産業)이 생겨나기도 전(前)에 설립(設立)된 회사(會社)로 초창기(草創期) 클라이언트는 무대(舞臺)에 서는 엔터테이너들이었다. 무성영화(無聲映畫)가 생겨난 후(後)에는 영화(映畫)에 집중(集中)하여 찰리 채플린, 막스 형제(兄弟), 매이(枚移) 웨스트 등(等) 쟁쟁(錚錚)한 헐리웃 스타들을 대표(代表)한 회사(會社)가 생겨났지만, 기본적(基本的)으로는 영화계(映畫界)를 넘어 연예계(演藝界) 전반(全般)을 아우르는 기획사(企劃社)란 의미(意味)로 쓰인다.

2.3. 영화(映畫) 배우(俳優)와의 관계(關係) [편집(編輯)]

전통적(傳統的)으로 극(極) 콘텐츠 중(中) 가장 큰 자본(資本)이 들어가는 분야(分野)가 영화(映畫)인데 투자(投資)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엎어지는 경우(境遇)도 많아 배우(俳優) 입장(立場)에서 안정적(安定的)인 수입원(收入源)은 아니었다. 방송사(放送社) 공채(公採) 시험(試驗)을 통과(通過)해 텔레비전 배우(俳優)로 기반(基盤)을 다진 후(後) 영역(領域) 확대(擴大) 차원(次元)에서 영화판(映畫판)으로 진출(進出)하는 사례(事例)가 흔했다. 배우(俳優) 최진실 은 방송사(放送社) 특채(特採) 배우(俳優) 1년차(年次)에 영화(映畫) 배우(俳優)로도 입문(入門)해 양(兩) 진영(陣營)에서 모두 성공(成功)한 드문 케이스. 물론(勿論) TV 드라마에서 인기(人氣)를 끈 후(後) 충무로로 진출(進出)했다가 흥행(興行)에 실패(失敗)해 하향세(下向勢)를 타거나 조연급(助演級) 배우(俳優)로 강등(降等)되어 대중(大衆)의 뇌리(腦裏)에서 사라지는 경우(境遇)도 있었다. 한석규는 '서울의 달'과 '호텔'이라는 TV 드라마로 대중적(大衆的)인 인기(人氣)를 다진 후(後) 1990년대(年代) 후반(後半) 영화계(映畫界)로 진출(進出)해서 첫 영화(映畫) '닥터봉(奉)'이 흥행(興行)에 성공(成功)하자 계속(繼續) 영화판(映畫판)에서 잘 나갔다.

1990년대(年代)는 컬러TV가 일반적(一般的)인 시청(視聽) 수단(手段)이 되면서 '텔레비전 배우(俳優)의 시대(時代)'라고 해도 과언(過言)이 아니었던 반면(反面) 영화(映畫)는 1990년대(年代) 후반(後半)까지 '방화(放火)'라고 불리며 외국(外國) 영화(映畫)에 비해 외면(外面)을 받았고 '스크린 쿼터제(制)'가 메인 이슈였다. 텔레비전 배우(俳優)는 안방(안房) 극장(劇場)을 통해 대중(大衆)을 만나니 인지도(認知度) 올리기도 좋고 컬러TV 보급(普及)으로 광고(廣告) 시장(市場)도 비약적(飛躍的)으로 발전(發展)하자 방송사(放送社)는 드라마 제작비(製作費)도 넉넉하게 확보(確保)하게 된다. 그러니 텔레비전 배우(俳優) 입장(立場)에서 영화(映畫) 배우(俳優)에 아쉽지가 않았다. '영화(映畫) 배우(俳優)' 로망, '스크린' 로망으로 할 뿐이지.

예술가연(藝術家然) 하기에는 '영화(映畫) 배우(俳優)'가 때깔이 나는 감성(感性)은 있었다. 한국(韓國) 전쟁(戰爭) 이후(以後) 국가(國家) 재건(再建) 과정(過程)에서 라디오, 텔레비전도 귀(貴)하던 시절(時節) 대중예술(大衆藝術)은 영화(映畫)가 전부(全部)이다시피 했고 그걸 향유(享有)하는 사람도 극소수(極少數)였기 때문에 영화(映畫) 배우(俳優)에 대(對)한 로망이 한국사회(韓國社會) 기저(基底)에 깔려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영화판(映畫판)에서만 놀던 배우(俳優)들이 브라운관(브라운管)으로 활동(活動) 영역(領域)을 넓히면 '급(級)' 타령하는 경우(境遇)도 있었다. 하지만 배우(俳優) 정선경 은 영화(映畫) 배우(俳優)로 자리잡은 후(後) 텔레비전 배우(俳優)로도 연착륙(軟着陸)한 배우(俳優)에 해당(該當)된다.

TV 드라마에서는 시청률(視聽率) 보증(保證) 수표(手票)지만 영화판(映畫판)에서는 흥행력(興行力)이 저조(低調)한 배우(俳優)들은 탤런트로만 남는다. 예(例)를 들면 김희선(金希宣) , 최수종 등(等)이 있다. 영화(映畫)는 잘되는데 TV 드라마에서는 흥행(興行)이 저조(低調)한 배우(俳優)도 있다. 예(例)를 들면 문소리 등(等)이 있다. 안성기 처럼 영화판(映畫판)에서만 연기(演技)하고 TV 드라마에는 진출(進出)하지 않는 배우(俳優)들도 있다. 즉(卽) 텔레비전 배우(俳優), 영화(映畫) 배우(俳優), 연극(演劇) 배우(俳優) 중(中) 어느 하나, 혹은(或은) 두 가지, 혹은(或은) 셋 모두를 섭렵(涉獵)하는 배우(俳優) 등(等) 배우(俳優) 개인(個人)의 상황(狀況)이나 성향(性向)에 따라 재량(裁量)대로 간다. 대표적(代表的)인 예(例)가 배우(俳優) 김혜자 로 김혜자는 연극(演劇) 배우(俳優), 텔레비전 배우(俳優), 영화(映畫) 배우(俳優)로 종횡무진(縱橫無盡) 활동(活動)한 배우(俳優)다.

과거(過去) TV 드라마판(版)과 영화판(映畫판)의 촬영(撮影) 시스템이 너무 달라서 적응(適應)을 못하고 탤런트로만 남는 배우(俳優), 영화(映畫) 배우(俳優)로만 남는 배우(俳優)가 갈렸다. TV 드라마에선 거의 실시간(實時間)에 가까운 스피디한 촬영(撮影)이 이뤄지고 쪽대본(臺本)이 성행(盛行)했던 반면(反面) 영화(映畫)는 감독(監督)의 의지(意志)에 따라 촬영(撮影) 기간(期間)에 융통성(融通性)이 있고 재촬영(再撮影)이 들어가기도 하는 등(等) 연기(演技) 흐름이나 환경(環境)에 차이(差異)가 있다. 인터넷이 발달(發達)하고 촬영(撮影) 시스템이 유사(類似)해지면서 이 둘의 간극(間隙)도 좁혀져 갔다. 그리고 사전(事前) 제작(製作) 시스템이 도입(導入)이 되고 2020년대(年代) OTT 시장(市場)에서 영화(映畫) 감독(監督) 중(中)에 TV 드라마 연출(演出)을 하는 경우(境遇)도 생겨 더욱 경계(境界) 자체(自體)가 사라져 간다. 게다가 코로나19 이래(以來) 극장(劇場) 개봉(開封)은 맛보기로 하고 냉큼 넷플릭스 등(等) OTT에 올려서 수익(收益) 증대(增大)를 꾀하는 영화(映畫)들도 많아졌다.

1992년(年) 중국(中國)과 수교(修交)가 이뤄지면서 1993년(年) MBC 드라마 <질투(嫉妬)>(1992년(年))가 처음으로 중국(中國) 시장(市場)에 진출(進出)한 후(後) MBC 드라마 <별은 내 가슴에>가 중화권(中華圈)에서 빅히트를 치는 등(等) 한국(韓國) 드라마의 세계적(世界的) 위상(位相)이 높아져 갔고 2000년대(年代)에 들어서자 그 흐름이 한 단계(段階) 더 업그레이드돼 TV 드라마가 해외(海外) 시장(市場)에서 날개를 달게 되고 텔레비전 배우(俳優)들의 인기(人氣)도 고공행진(高空行進)했다. 2000년대(年代) 초반(初盤) '욘사마' 열풍(烈風) 배용준(裵勇浚) 이(李) 대표적(代表的)인 예(例)다. 배우(俳優)들은 '탤런트 -> 한류 스타 -> 월드 스타' 테크트리를 탔다.

1990년(年) 후반(後半) 영화계(映畫界)에 '100만(萬) 관객(觀客) 시대(時代)'의 서막(序幕)이 오르고 2000년대(年代)에 들어서면서 '100만(萬) 관객(觀客) 시대(時代)'가 안정적(安定的)으로 구축(構築)되자 영화(映畫) 배우(俳優)도 안정적(安定的) 수입원(收入源)이 된다. 블록버스터가 대거(大擧) 제작(製作)되면서 영화(映畫) 배우(俳優)의 위상(位相)도 전(前)과 달라지고 한국(韓國) 영화(映畫) 위상(位相)도 외국(外國) 영화(映畫)를 능가(凌駕)한다.

2010년대(年代)부터는 영화(映畫) 활동(活動) 없이 TV 드라마만으로 한류 스타로 자리잡는 경우(境遇)가 더욱 많아졌다. 이민호 가 그 예(例)다. 2010년대(年代)에는 영화계(映畫界)에도 '500만(萬) 관객(觀客) 시대(時代)'가 열리고 '영화(映畫) 배우(俳優) -> 탤런트 -> 한류 스타 -> 월드 스타' 테크트리를 타는 경우(境遇)도 생겼다. '기생충(寄生蟲)', '미나리'를 거치면서 2020년대(年代) 영화계(映畫界)는 '1000만(萬) 관객(觀客) 시대(時代)'를 열었고 세계적(世界的)으로 한국영화(韓國映畫) 배우(俳優)의 위상(位相)도 한국(韓國) 텔레비전 배우(俳優)의 위상(位相)과 다르지 않게 되었다. '영화(映畫) 배우(俳優) -> 한류 스타 -> 월드 스타' 테크트리를 타는 경우(境遇)도 가능(可能)해 졌다.

전(全) 세계적(世界的)인 한류(韓流) 열풍(烈風) 속에 TV 드라마 시장(市場), 영화(映畫) 시장(市場) 모두 급성장(急成長)하자 영화(映畫) 배우(俳優)와 텔레비전 배우(俳優)로 소위(所謂) 말하는 '급(級)'을 나누는 분위기(雰圍氣)도 거의 사라졌고 그 경계(境界)도 사라져 이제는 배우(俳優)가 영화(映畫)와 드라마를 가리지 않고 고루 나오는 경향(傾向)이 대세(大勢)가 되었다. [5] '탤런트'라는 단어(單語)가 사어화(死語化)의 계단(階段)을 밟고 있는 2010년대(年代) 들어서 이러한 경향(傾向)은 더욱 강(剛)해졌다. 영화판(映畫판)에서 잘 나가는 전도연(全度姸) , 이병헌 , 김혜수(金憓秀) , 전지현 등(等)이 TV 드라마 출연(出演)도 병행(竝行)한다는 게 그 증거(證據)다.

2.4. 관련(關聯) 단체(團體) [편집(編輯)]

  •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韓國演藝藝術人總聯合會)
  • 탤런트연우회
  •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演技者勞動組合)

1989년(年)에 나왔으며 고인(故人)이 된 김무생 김윤경 이 나와 광고(廣告)를 했다. 1번(番) 항목(項目)처럼 재주가 많아 탤런트라고 설명(說明)하는 게 나온다.


1990년(年)에는 당시(當時) 대우(大宇)그룹 계열(系列)인 부산(釜山) 대우(大宇) 로얄즈 선수(選手)이던 김주성 이 광고(廣告) 모델로 나온 바 있다.

[1] 본래(本來) KBS 성우(聲優) 로 먼저 데뷔하였다. [2] 그밖에도 지역민방(地域民放) 인(人) PSB(현(現) KNN ), 케이블 방송(放送) 인(人) 제일방송(현(現) MBC 드라마넷 ), 현대방송 (현(現) OCN Movies )에서 탤런트를 뽑았던 적이 있는데, 대표적(代表的)으로 진재영 , 원빈(元嬪) 이 있다. [3] 그마저도 KBS하고 SBS는 2003년(年)에 폐지(廢止)되었다가 간(間)만에 다시 뽑은 것이라고 한다. 위에 나온 것처럼 이때 한 번(番)만 뽑고는 끝. MBC도 2009년(年)에 다시 선발(選拔)할 계획(計劃)이었으나 , 모종(某種)의 사유(事由)로 이루어지지 않은 듯하다. [4] '탤런트'라는 호칭(呼稱) 자체(自體)를 문제시(問題視) 삼을 수는 있으나 둘을 분류(分類)하는 것 자체(自體)는 포털의 기본적(基本的)인 정보(情報) 분류(分類)에 가깝다. 자동(自動)으로 분류(分類)하는 정보(情報)이기 때문에 인물(人物) 정보(情報)와 작품(作品) 정보(情報)가 연결(連結)되지 않았거나 다른 이유(理由)가 있을 경우(境遇) 영화(映畫)나 드라마 출연(出演) 경력(經歷)이 있는 배우(俳優)인데도 영화배우(映畫俳優)나 탤런트 분류(分類)가 추가(追加)되지 않을 수 있다. [5] 미국(美國)도 OTT 시장(市場)이 대두(擡頭)되면서 할리우드 톱 배우(俳優)에게도 이에 걸맞는 출연료(出演料)를 지급(支給)할 수 있을 정도(程度)가 되었고, 점차(漸次) TV 시리즈에 출연(出演)하는 경우(境遇)가 점차(漸次) 늘어나고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