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탄수화물(炭水化物) - 나무위키

탄수화물(炭水化物)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평면구조(平面構造)
기하구조(幾何構造)
일탄당(日炭糖)
이탄당(炭糖)
삼탄당(三炭糖)
사탄당(當)
알도스 - 리보스 , 아라비노스 , 자일로스 (크실로스), 릭소스
케토스 - 리(리)불로스 , 자일룰로스 (크실룰로스)
디옥시당(當) - 디옥시리보스
기타(其他) - 디데옥시리보스
칠탄당(七炭糖)
팔탄당(炭糖)
메틸티오린코사마이드
구탄당(舊炭糖)
알돈산(돈山) - 뉴라민산
복당류(複糖類)(복합당(複合當))
이당류(二糖類)
삼당류(三糖類)
사당류(四糖類)
질화당류(窒化糖類)
할로겐화당류(糖類)
탄수화물 01
탄수화물 02
탄수화물(炭水化物)이 풍부(豐富)한 음식(飮食)들의 사진(寫眞). [1]
1 . 개요(槪要) 2 . 특징(特徵) 3 . 분류(分類) 4 . 소화(消化) 과정(過程) 5 . 인류(人類)의 주력(主力) 식생활(食生活)
5.1 . 한국인(韓國人)과 탄수화물(炭水化物)
6 . 결핍(缺乏)과 과잉(過剩)의 부작용(副作用)
6.1 . 향정신성(向精神性) 약물(藥물)과 유사(類似) 반응(反應)
7 . 관련(關聯) 문서(文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당질(糖質) ( , glucide) [2] 또는 탄수화물(炭水化物) ( , carbohydrate [3] )은 포도당(葡萄糖) , 엿당(엿糖)(맥아당(麥芽糖)) , 젖당(젖糖)(유당(乳糖)) , 과당(果糖) , 설탕(雪糖)(자당(自黨)) 등(等) 당류(糖類) [4] 의 유도체(誘導體)를 총칭(總稱)하는 말로, 화학적(化學的)으로는 탄소(炭素) , 수소(水素) , 산소(酸素) 가 결합(結合)하여 이루어진 천연(天然) 고분자(高分子) 화합물(化合物)(natural high polymer)이자 유기화합물(有機化合物) (organic compounds)을 이른다.

2. 특징(特徵) [편집(編輯)]

광합성(光合成) 의 대표적(代表的)인 산물(産物)로서 자연계(自然系)에 널리 분포(分布)되어 있으며, 지구상(地球上)의 많은 생명체(生命體) 가 이를 분해(分解)하여 에너지 대사(大使) 에 사용(使用)한다. 탄수화물(炭水化物)이라는 명칭(名稱)은 영어(英語) 'carbohydrate(카보하이드레이트, 탄소(炭素)-물 결합체(結合體))'를 번역(飜譯)한 것으로, ' 글루코스(C 6 H 12 O 6 ) '의 발견(發見) 당시(當時) 분자식(分子式)을 C 6 (H 2 O) 6 인 탄소(炭素)의 수화물(手貨物)(물 분자(分子)와의 결합체(結合體))로 오기(誤記)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現在)는 디옥시당(當)(디옥시리보스) 역시(亦是) 탄수화물(炭水化物)의 한 분류(分類)로 정의(定義)되고 있다.

일상(日常)에서 빵, 밥 등(等)을 통해 가장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에너지원(에너지源)으로, 인류(人類)가 농업기술(農業技術)의 개발(開發)인 신석기(新石器) 혁명(革命) 을 일으킨 이후(以後) 정착(定着)하고 문명(文明)을 일구는 데 공헌(貢獻)한 화합물(化合物)이나, 그 이면(裏面)에는 과도(過度)한 탄수화물(炭水化物) 섭취(攝取)에 따른 2형(型) 당뇨병(糖尿病) 등(等) 인슐린 저항성(抵抗性)에 기반(基盤)한 대사(大使) 증후군(症候群)을 일으키는 원인(原因)으로 주목(注目)되고 있다. 이에 대중(大衆)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탄수화물(炭水化物)'이라는 표기(表記)보다는 전반적(全般的)인 이해(理解)도를 넓히기 위하여 통칭(統稱)을 바꾸어야 한다는 의견(意見)도 있다.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도 '당(黨)을 줄여라.' 는 철칙(鐵則)은 알고 있지만 매한가지로 '탄수화물(炭水化物)을 줄여라.'라는 명제(命題)에는 잘 공감(共感)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特히) 동아시아(東아시아)에서는 예로부터 '밥심', '밥이 보약(補藥)', '한국인(韓國人)은 밥을 먹어야 한다.' 등(等)과 같은 관념(觀念)이 지배적(支配的)이기 때문에 더욱 탄수화물(炭水化物) 섭취(攝取)를 주의(注意)하기가 쉽지 않다. 한때 단백질(蛋白質)(蛋白質)이나 지질(地質)(脂質)에 대응(對應)하여 탄수화물도(炭水化物度) 당질(糖質)(糖質)이란 용어(用語)로 바꾸자는 운동(運動)이 있었으나, 효과(效果)는 미미(微微)한 편(便)이었다. 반면(反面) 일본(日本)에서는 당질(糖質)이라는 표기(表記)도 널리 쓰인다.

우리 몸의 에너지 를 생산(生産)하는 주원료(主原料). 운동(運動)할 때 탄수화물(炭水化物)을 많이 비축(備蓄)해 놓으라고 하는 것을 종종(種種) 보았을 것이다. [5] 단(單) 1형(型) 당뇨병(糖尿病) 환자(患者)에게 외부(外部) 인슐린 주사(注射) 없이는 섭취(攝取) 가능(可能)한 모든 종류(種類)의 탄수화물(炭水化物)은 독극물(毒劇物)이다. 물론(勿論) 먹는다고 바로 거품물고 쓰러지는 건 아니지만... 고혈당(高血糖) 항목(項目)으로.

구성원소(構成元素)는 지질(地質) (lipid)과 같이 C , H , O 며, 탄수화물(炭水化物)이란 이름은 상술(詳述)했듯 대개(大槪)의 탄수화물(炭水化物)의 분자식(分子式) 이 C n (H 2 O) n 의 형태(形態)라 '탄소(炭素)'와 '물'이 화합(和合)한 수화물(手貨物) 로 착각(錯覺)한 데서 유래(由來)한다. 그러나 분자(分子) 구조(構造)는 탄소(炭素)와 물이 결합(結合)한 형태(形態)는 아니고 그냥 알코올기 (-OH) [6] 가 많이 붙은 알데히드 / 케톤 꼴이다. 따라서 '탄수화물(炭水化物)'보다는 당(黨) 복합체(複合體) 라는 표현(表現)이 더 직관적(直觀的)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단맛 을 느끼는 당류(糖類)와 당류(糖類)가 결합(結合)되어 만들어진 곡물류(穀物類)에서 다량(多量) 함유(含有)되어 있는 녹말(綠末) (starch), 그리고 섬유질(纖維質) [7] 등(等)이 전부(全部) 탄수화물(炭水化物)의 범위(範圍)에 속(屬)한다.

디옥시리보스 , 리보스 DNA / RNA 의 염기(鹽基)를 보호(保護)하는 보호막(保護膜) 역할(役割)을 하기도 한다.

3. 분류(分類) [편집(編輯)]

4. 소화(消化) 과정(過程) [편집(編輯)]

입에서 아밀레이스 에 의(依)해 소화(消化)가 시작(始作)되고 [8] 췌장(膵臟)의 아밀레이스에 의(依)해 십이지장(十二指腸) 부분(部分)에서 대부분(大部分) 소화(消化), 흡수(吸收)된다. 내장(內臟) 상피세포(上皮細胞)의 효소(酵素)에 의(依)해 단당류(單糖類) 로 분해(分解)되고 수송(輸送) 단백질(蛋白質) 에 의(依)해 흡수(吸收)된다. 과당(果糖) 촉진확산(促進擴散) 되고, 포도당(葡萄糖) [9] , 갈락(落)토스 는 Na+와 함께 능동수송(能動輸送) 된다. 이는 이차능동수송(二次能動輸送) 으로, 여기 이용(利用)되는 Na+ 기울기는 거의 전부(全部) Na+/K+ pump 로부터 생긴다.

섭취(攝取)된 탄수화물(炭水化物)은 분해(分解), 변형(變形)되어 최종적(最終的)으로는 6탄당인(炭糖人) 포도당(葡萄糖) 상태(狀態)로 우리 몸에서 이용(利用)된다. 녹말(綠末)은 이러한 당(黨)의 집합체(集合體)로서 매우 훌륭한 에너지원(에너지源)이지만, 셀룰로오스는 분해효소(分解酵素)가 없기 때문에 [10] 체외(體外)로 그냥 배출(排出)된다. 셀룰로오스는 부피가 크고 수분(水分)을 많이 흡수(吸收)하기 때문에 변비(便祕)를 예방(豫防)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만 섬유(纖維)가 길어야 효과(效果)가 있기 때문에 야채(野菜)주스 같은 것을 마시는 것은 헛수고. 그냥 과일을 먹자.

5. 인류(人類)의 주력(主力) 식생활(食生活) [편집(編輯)]

인류(人類)는 농사(農事) 를 짓기 시작(始作)하면서 본격적(本格的)으로 대량(大量)의 탄수화물(炭水化物)을 섭취(攝取)할 수 있게 되었다. 구석기(舊石器) 시대(時代) 사람들은 농사(農事)를 짓지 않아 주로(主로) 에너지를 고기 나 열매에서 얻었기 때문에 그들의 식단(食單)은 단백질(蛋白質), 지방(地方) 및 약간(若干)의 당분(糖分)이 전부(全部)였다고 한다. 다만 구석기(舊石器) 시대(時代)에도 인류(人類)는 전(全) 세계(世界)에 퍼져서 살았다. 전지구적(全地球的)으로 빙하기(氷河期)라 하더라도 기후(氣候)의 차이(差異)는 존재(存在)했기 때문에, 사냥에 전적(全的)으로 의존(依存)하는 부족(不足)도 있었고, 열매에 조금 더 의존(依存)하는 부족(不足)도 있었다. 그러나 분명한 점(點)은 열매에 더 의존(依存)하는 부족(部族)들도 최소(最少) 40% 가량(假量)의 영양(營養)을 단백질(蛋白質)에 의존(依存)했으며 주력(主力)은 수렵채집(狩獵採集)이었다.

하지만 수렵(狩獵) 사회(社會)가 바로 문명(文明) 사회(社會)로 넘어가지 못한 이유(理由)가 이러한 한계(限界) 때문도 있다. 단백질(蛋白質) 은 대사(代謝) 과정(過程)에서 젖산(젖酸) 을 생성(生成)해서 많은 에너지를 한번(番)에 소모(消耗)하기 힘들고, 신체(身體) 유지(維持)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重要)하기에 신체(身體)가 단백질(蛋白質)을 에너지원(에너지源)으로 우선(優先)해서 쓰지 않으려고 한다. 또한, 아무리 사냥감이 지천(至賤)에 널려 있어도 다수(多數)의 인구(人口)를 한번(番)에 부양(扶養)하는 것은 무리(無理)였기에 수렵(狩獵) 사회(社會)나 유목(遊牧) 사회(社會)는 이곳저곳 떠돌아다니는 생활(生活)을 해야 했다. 세계(世界) 4대(大) 문명(文明) 모두가 농경(農耕) 사회(社會)를 이루고 나서야 문명(文明) 사회(社會)로 나아간 것은 이러한 이유(理由)가 있다.

5.1. 한국인(韓國人)과 탄수화물(炭水化物) [편집(編輯)]

한식(韓食) 은 탄수화물(炭水化物)의 비율(比率)이 상당히(相當히) 높다. [11]

문제(問題)는 한국인(韓國人)이 섭취(攝取)한 지방(地方)을 체지방(體脂肪)으로 저장(貯藏)하고, 당(黨)을 분해(分解)하여 글리코겐으로 축적(蓄積)하는 인슐린의 기능(機能)이 선천적(先天的)으로 취약(脆弱)해서, 안 그래도 단당류(單糖類)를 비롯한 온갖 탄수화물(炭水化物)을 많이 섭취(攝取)하는데, 이에 비해 몸이 거기에 따라가질 못해 혈당(血糖)이 높아지는 상태(狀態)가 장기간(長期間) 유지(維持)되다가 점차(漸次) 인슐린에 내성(耐性)이 생기게 되고, 어느 순간(瞬間) 체내(體內)에서 혈당(血糖)을 낮추는 기능(機能)이 작동(作動)을 하지 않게 되는데, 이것이 당뇨병(糖尿病) 이다.

그렇다 보니 현재(現在)에는 저탄수화물(炭水化物) 수요(需要) 및 개발(開發)이 상당히(相當히) 활발(活潑)하며, 상당수(相當數)의 음식제품(飮食製品)의 용기(容器)에 탄수화물(炭水化物) 함량(含量)을 큼지막하게 적어놓는 제품(製品)이 많다. 저탄고지(低炭高脂) 식생활(食生活)이 웰빙이라면서 탄수화물(炭水化物)을 멀리하려는 운동(運動)을 하는 사람도 증가(增加) 추세(趨勢). [12]

6. 결핍(缺乏)과 과잉(過剩)의 부작용(副作用) [편집(編輯)]

우선(于先) 뇌(腦) 적혈구(赤血球) 탄수화물(炭水化物)에서 얻는 포도당(葡萄糖) 을 최우선적(最優先的)인 에너지원(에너지源)으로 쓰기 때문에 장기간(長期間)의 단식(斷食) [13] 은 신체(身體)와 뇌(腦) 활동(活動)에 매우 나쁜 악영향(惡影響)을 끼칠 수 있다. 일단(一旦) 지질(地質) 을 분해(分解)해 어느 정도(程度) 보충(補充)은 가능(可能)하지만, 생리적(生理的) 균형(均衡)이 깨지기 때문에 정말(正말) 좋지 않다. #

반대(反對)로 과량섭취(過量攝取)한 탄수화물(炭水化物)은 섭취(攝取)된 지방(地方)의 소모(消耗)를 막아 [14] 차곡차곡 쌓이도록 한다. [15] 물론(勿論) 모든 탄수화물(炭水化物)이 체중(體重) 감량(減量)에 나쁘다는 뜻은 절대(絶對) 아니다. 설탕(雪糖), 액상(液狀) 형태(形態)의 탄수화물(炭水化物)들은 소화(消化) 흡수율(吸收率)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글루코겐 합성(合成)에 차이(差異)가 크다. 탄수화물(炭水化物) 섭취량(攝取量)이 많아질수록 비만(肥滿) 과 당뇨(糖尿) 등(等) 다양한 질병(疾病)을 유발(誘發)하는 혈장(血漿) 팔미(八美)톨레산(山) 농도(濃度)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硏究) 결과(結果) 도 있다.

하지만 지나치게 탄수화물(炭水化物)을 절제(節制)하는 단백질(蛋白質) 다이어트 등(等)은 체내(體內) 탄수화물(炭水化物) 부족(不足)을 야기(惹起)하고, 탄수화물(炭水化物) 대신(代身) 지방(脂肪)이 분해(分解)되면서 케톤 이라는 물질(物質)이 분비(分泌)되는데 이는 입냄새 의 원인(原因)이 된다.

단(單), 위의 이야기는 비당뇨병(非糖尿病) 환자(患者)들에 해당(該當)하는 것이고, 그보다 심각(深刻)한 당뇨병(糖尿病) 환자(患者), 특히(特히) 1형(型) 당뇨병(糖尿病) 환자(患者)의 경우(境遇) [16] 관리(管理)가 안 되면 탄수화물(炭水化物)을 섭취(攝取)함에도 죄다 소변(小便)으로 다 빠져나가기 때문에 쓸 포도당(葡萄糖) 이 없어진 신체(身體)는 지방(地方)을 태워 에너지를 얻고 그 부산물(副産物)로 다이어트 때와는 비교(比較)를 불허(不許)하는 양(量)의 케톤산을 만드는데 이는 피를 산성화(酸性化) 시킬 정도(程度)의 양(量)이라서 급성(急性) 산독증(酸毒症)을 일으킨다. 이를 ' 당뇨병성(糖尿病性) 케톤산혈증(血症) '이라 하여 환자(患者)들이 대표적(代表的)으로 알아둬야 할 급성(急性) 합병증(合倂症)으로 교육(敎育)한다.

지방(地方)과 마찬가지로 탄수화물(炭水化物)을 줄이는 다이어트가 유행(流行)하면서 마치 지방(脂肪)과 탄수화물(炭水化物)은 적게 먹을수록 좋다는 인식(認識)을 넘어 섭취(攝取)하는 것 자체(自體)를 죄악(罪惡)으로 여기는 경우(境遇)도 있다. 단적(端的)으로 말해서 우리가 일상생활(日常生活)에서 섭취(攝取)한다고 건강(健康)에 해(害)가 되는 영양소(營養素)는 없다. 애초(애初)에 저탄고지(低炭高脂)든 고탄저지(高彈沮止)든 실제로(實際로) 유의미(有意味)한 체지방(體脂肪) 감량(減量) 차이(差異)는 없었다. 어찌 보면 당연(當然)한 것이, 섭취(攝取) 칼로리보다 소모(消耗) 칼로리가 많으면 인체(人體)는 당연히(當然히) 저장(貯藏)된 지방(紙榜)을 쓰기 때문이다. 탄수화물(炭水化物)의 섭취(攝取)가 장기간(長期間) 결핍(缺乏)되면 저혈당(低血糖) 증세(症勢)와 더불어 어지럼증(어지럼症), 두통(頭痛)과 함께 근육(筋肉)의 무기력증(無氣力症)이 나타나며, 특히(特히) 사리분별(事理分別)이나 판단력(判斷力)이 극도(極度)로 떨어지게 된다. 괜히 탄수화물(炭水化物)이 인체(人體)에 꼭 필요(必要)한 3대(大) 영양소(營養素)로 불리는 게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뭐든지 적당히(適當히) 균형(均衡)있게 섭취(攝取)하는 게 중요(重要)한 것이며, 보통(普通) 하루 권장(勸奬) 칼로리의 50~60% 정도(程度)인 300~400g을 넘지 않게 섭취(攝取)하는 것을 권장(勸奬)한다.

속근(筋)(순발력(瞬發力))은 탄수화물(炭水化物)을 에너지원(에너지源)으로 삼고, 지근(遲筋)(지구력(持久力))은 지방(脂肪)을 에너지원(에너지源)으로 삼는다. 즉(卽), 저강도(低强度) 유산소(有酸素) 운동(運動)을 주로(主로) 하는 사람들은 저탄고지(低炭高脂)가 좋고, 고강도(高强度) 무산소(無酸素) 운동(運動)을 주로(主로) 하는 사람들은 고탄저지(高彈沮止)가 좋다. 참고(參考)로 유산소(有酸素) 운동(運動)이나 무산소(無酸素) 운동(運動)이나 속근(斤)과 지근(遲筋)의 사용(使用) 비율(比率)만 다를뿐 둘 다 같이 쓰기 때문에 어느 한쪽의 영양소(營養素)를 완전히(完全히) 배제(排除)하는 것은 미친짓이다. [17] 참고(參考)로 아침에는 신체(身體)를 활성화(活性化)시키기 위해 탄수화물(炭水化物) 위주(爲主)로 먹는 게 좋다고 한다.

실제로(實際로) 운동(運動)하기 전(前)에는 탄수화물(炭水化物)을 비롯한 당(黨) 성분(成分)을 먹는 것이 좋다. 공복(空腹) 운동(運動)을 대다수(大多數)가 추천(推薦)하지 않는 이유(理由)가 여기 있다. 운동(運動)한다는 것은 엔진을 돌린다는 것인데 최소한(最小限)의 연료(燃料)마저 없다면 운동(運動)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무산소(無酸素) 운동(運動)은 부상(負傷) 위험(危險)이 올라간다.

6.1. 향정신성(向精神性) 약물(藥물)과 유사(類似) 반응(反應) [편집(編輯)]

KBS 생로병사(生老病死)의 비밀(祕密) 공식(公式) 유튜브 채널의 영상(映像)에 따르면 마약(痲藥) 암페타민 [18] 을 투여(投與)했을 때와 탄수화물(炭水化物)을 섭취(攝取)했을 때의 도파민 경향(傾向)이 유사(類似)하다고 한다.

7. 관련(關聯) 문서(文書) [편집(編輯)]

[1] 왼쪽 상단(上段)에서부터 과일, 곡물(穀物) 시리얼과 우유(牛乳), 빵, 쌀, 면(麵), 감자이다. [2] 좁은 의미(意味)의 당질(糖質)은 탄수화물(炭水化物) 가운데 인체(人體)가 소화(消化), 흡수(吸收)할 수 없는 난소화성(卵巢火星) 식이섬유(食餌纖維)를 제외(除外)한 것만을 이른다. [3] 영어(英語) 구어(口語)에서는 이름이 길기 때문에 'carb'로 줄여 부르곤 한다. [4] 넓은 의미(意味)에서는 탄수화물(炭水化物) 자체(自體)를 당류(糖類)라고 한다. 하지만 영양성분표시(營養成分標示) 제도(制度)에서 사용(使用)되는 경우(境遇)와 같이, 당류(糖類)는 일반적(一般的)으로 단당류(單糖類) 와 이당류(二糖類)만을 의미하는 경우(境遇)가 많다. [5] 미(美) 육군(陸軍) 기초군사훈련(基礎軍事訓鍊) 때 체력시험(體力試驗) 전날(前날) 내놓는 메뉴가 파스타와 같은 탄수화물(炭水化物)이 높은 음식(飮食)들이다. [6] 여기서 알코올기(氣)가 더 붙으면 당알코올 이 된다. [7] 목화(木花)의 송이는 덜 익은 무렵에 먹으면 단맛이 나는데 아직 셀룰로오스 로 결합(結合)하지 않은 당류(糖類) 때문이다. [8] 위장(僞裝) 염산(鹽酸) 에 의(依)해 아(阿)밀레이스가 억제(抑制)된다. [9] SGLT 에 의(依)해 수송(輸送)된다. [10] 분해(分解) 가능(可能)한 종류(種類)는 일부(一部) 미생물(微生物)뿐이다. 잘 알려진 예(例)로 흰개미들은 장내(場內)에 공생(共生)하는 세균(細菌) 덕(德)에 섬유질(纖維質)을 분해(分解)할 수 있다. [11] 중식(中食) 은 의외로(意外로) 탄수화물(炭水化物)의 비율(比率)이 별로(別로) 높지 않다. 대신(代身) 단백질(蛋白質)의 비율(比率)은 일식(日蝕) 이나 한식(寒食)과 비교(比較)했을 때 상당히(相當히) 높은 편(便). 일식(日蝕) 역시(亦是) 탄수화물(炭水化物) 비중(比重)이 큰 편(便). [12] 한국(韓國)과 비슷한 일본(日本) 역시(亦是) 당뇨병(糖尿病) 발병률(發病率)이 높은 편(便)이라 이 동네(洞네)에서는 온갖 당질(糖質)오프 식품(食品)들이 나와 있다. 맥주(麥酒)조차도 한국(韓國)엔 거의 없는 저당(黨)질, 무당질 맥주(麥酒)가 있을 정도(程度). 맛은 물론(勿論) 필라이트 맛이다 2023년(年) 들어 한국(韓國)에도 제(第)로슈가 소주(燒酒)와 맥주(麥酒)가 출시(出市)되었다. 맛은 물론(勿論) 필라이트 맛이다 [13] 탄수화물(炭水化物)을 일부(一部)만 먹는 것이 아닌 그냥 아예 밥을 굶는 것을 말한다. [14] 탄수화물(炭水化物)이 먼저 소모(消耗)되기 때문. [15] 지방(地方)은 간(肝)에서 합성(合成)하기도 하지만 많은 양(量)은 아니다. [16] 2형(型) 당뇨병(糖尿病) 의 경우(境遇) 고삼투압성(高渗透壓性) 고혈당(高血糖) 증후군(症候群)이라는 합병증(合倂症)이 더 잦다. [17] 단(單), 훈련(訓鍊)된 마라토너나 썰매개들은 달리기시(視) 글리코겐의 소모비율(消耗比率)이 일반인(一般人)에 비해 굉장히(宏壯히) 낮다고 한다. [18] 암페타민은 ADHD 치료(治療)에 정상적(正常的)으로 사용(使用)되는 약물(藥물)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