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캐나다스라소니 - 나무위키

캐나다스라소니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1
편집(編輯)
편집(編輯) 권한(權限)이 부족(不足)합니다. 가입(加入)한지 15일(日) 지난 사용자(使用者)(이(李))여야 합니다. 해당(該當) 문서(文書)의 ACL 탭 을 확인(確認)하시기 바랍니다.
토론(討論) 역사(歷史)
분류(分類)
캐나다스라소니 (캐나다시라소니)
Canada lynx
Canadian lynx by...
학명(學名)
Lynx canadensis
Kerr, 1792
분류(分類)
고양이아과(亞科) Felinae
스라소니속 Lynx
캐나다스라소니 L. canadensis
  • 본토(本土)캐나다스라소니( L. c. canadensis )
  • 북극(北極)캐나다스라소니( L. c. mollipilosus )
  • 뉴펀들랜드캐나다스라소니( L. c. subsolanus )
멸종위기등급(滅種危機等級)
멸종위기등급 최소관심

1 . 설명(說明) 2 . 특징(特徵) 3 . 생태(生態)
3.1 . 극도(極度)로 특화(特化)된 포식자(捕食者) 3.2 . 천적(天敵) 및 경쟁(競爭) 관계(關係)
4 . 기타

1. 설명(說明) [편집(編輯)]

북아메리카(北아메리카) 에 서식(棲息)하는 고양이과 동물(動物), 스라소니 의 가까운 친척(親戚)이다.

2. 특징(特徵) [편집(編輯)]

몸길이 75~106cm에 키 48~56cm, 무게는 일반적(一般的)으로 9~10kg이다. 드물게 5kg밖에 안되는 암컷이나 15~18kg쯤 나오는 초대형(超大型) 수컷도 있다. 가까운 친척(親戚)인 스라소니 에 비하면 절반정도(折半程度)밖에 안 된다.

이런 작은 몸집에 비해 발이 매우 큰데, 이는 눈이 많은 지역(地域)에서 주로(主로) 서식(棲息)하기 때문에 체중(體重)을 분산(分散)시켜 가볍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진화(進化)한 것이다.

울음소리가 사람 비명(悲鳴)소리에 가깝게 들리기도 한다.

3. 생태(生態) [편집(編輯)]

아한대(亞寒帶) 기후(氣候)에 의존(依存)하기 때문에 비교적(比較的) 북방(北方) 지역(地域)에서만 발견(發見)되며, 캐나다 의 대부분(大部分) 지역(地域)에서 서식(棲息)하나 중부(中部)의 초원(草原)과 온타리오 남부(南部)에서는 분포(分布)하지 않는다. 미국(美國) 에서는 주로(主로) 알래스카 에 서식(棲息)하며, 그 외(外)에는 서부(西部)의 로키산맥 을 따라서 콜로라도 까지 [1] , 동쪽(東쪽)에서는 미네소타 북부(北部)와 뉴잉글랜드 에서 서식(棲息)한다. 숲에 의존(依存)하나 숲이 군데군데 개방(開放)되어 관목(灌木)이 무성(茂盛)한 장소(場所)에서 대부분(大部分) 살아간다.

야행성(夜行性)이라서 주로(主로) 밤에 활동(活動)한다.

3.1. 극도(極度)로 특화(特化)된 포식자(捕食者) [편집(編輯)]


주요(主要) 먹이, 아니 사실상(事實上) 거의 유일(唯一)한 먹잇감은 눈덧신토끼 이며 식단(食單)의 90% 이상(以上)을 차지한다. [2] 따라서 캐나다스라소니의 개체수(個體數)는 눈덧신토끼의 수(數)에 큰 영향(影響)을 받으며, 상술(詳述)한 분포(分布)와 서식지(棲息地) 역시(亦是) 눈덧신토끼의 분포(分布)와 서식지(棲息地)에 정확히(正確히) 일치(一致)한다.

눈덧신토끼 외(外)에는 설치류(齧齒類) [3] , , 어류(魚類) 도 사냥하지만 주식(株式)은 아니다. 자신(自身)보다 더 작은 붉은여우 를 사냥하기도 한다.

자신(自身)과 비슷한 크기나 자신(自身)보다 더 큰 먹이를 사냥하는 경우(境遇)는 매우 드물지만, 겨울에 사냥감이 줄어들고 눈밭에서 발굽동물(動物)의 움직임이 제한(制限)되는 경우(境遇)는 흰꼬리사슴 을 드물게 사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예외적(例外的)인 케이스이며, 일반적(一般的)으로 캐나다스라소니는 발굽동물(動物)이나 그 새끼들은 노리지 않는다. [4]

3.2. 천적(天敵) 및 경쟁(競爭) 관계(關係) [편집(編輯)]

천적(天敵)으로는 퓨마 불곰 , 늑대 가 있다. 그 외(外)에도 코요테 , 붉은스라소니 와도 경쟁(競爭) 관계(關係)이다. 울버린 은 경쟁자(競爭者)이자 동시(同時)에 천적(天敵)이다.

피셔 와는 서로를 죽일 수 있는 경쟁자(競爭者)이나 캐나다스라소니가 조금 더 밀리며, 사냥당하는 경우(境遇)도 의외로(意外로) 흔하다. [5]
Periodic-fluctua...
  • 고등학교(高等學校) 생명과학(生命科學)1 의 포식(捕食)과 피식 단원(單元)에서 예시(例示)로 자주 나오는 동물(動物)이다. 눈덧신토끼 , 캐나다스라소니와 울버린 의 주기적(週期的) 변동성(變動性) 그래프(Periodic fluctuations of rabbit, lynx, and wolverine in Canada)인데, [6] , 눈덧신토끼의 개체수(個體數)가 변(變)함에 따라 포식자(捕食者)의 수(數)가 어떻게 변(變)하고, 그에 따라 눈덧신토끼의 수(數)는 또 어떻게 변(變)하는지 잘 보여준다. 예시(例示)로 나올 때는 원본(元本) 그래프를 간략화(簡略化)하여 울버린이 빠지고 포식자(捕食者) 캐나다스라소니의 그래프와 피식자(者) 눈덧신토끼의 그래프를 겹쳐 놓는다. 그러나 불행(不幸)히도 교과서(敎科書)에는 이 그래프가 아예 다른 종(種)인 스라소니 에 관(關)한 정보(情報)라고 잘못 나오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캐나다스라소니와 스라소니가 같은 종이거나, 스라소니가 눈덧신토끼를 주식(主食)으로 하고 개체수(個體數)가 주기적(週期的)으로 변동(變動)한다고 잘못 알게 되어버렸다. [7]
  • 씽2게더 의 누시(累時)가 캐나다스라소니이다.
[1] 고지대(高地帶)에서는 저온(低溫)이 유지(維持)되므로 비교적(比較的) 남쪽(南쪽)에서도 아한대(亞寒帶) 기후(氣候)가 성립(成立)된다. [2] 이베리아스라소니 역시(亦是) 굴토끼(窟토끼)를 주식(主食)으로 하지만 캐나다스라소니는 그보다도 더 심(甚)하게 눈덧신토끼에 의존(依存)한다. [3] , 아메리카붉은다람쥐 [4] 많은 사람들이 스라소니속 4종(種) 중(中) 스라소니가 특이(特異)하게 크고 유일(唯一)하게 큰 먹이 위주(爲主)로 사냥한다는 점(點)을 몰라, 스라소니의 식성(食性)을 나머지 3종에게 잘못 적용(適用)해 이들 역시(亦是) 발굽동물(動物)이나 그 새끼의 주(週) 포식자(捕食者)에 포함(包含)된다고 잘못 알고 있다. [5] 반면(反面) 붉은스라소니는 피셔에게 사냥당하기보다는 역(逆)으로 사냥할 때가 더 많다. [6] 캐나다의 생물학자(生物學者) 찰스 고든 휴이트 가 캐나다의 야생(野生) 생태계(生態系)를 연구(硏究)하면서 기록(記錄)한 그래프로, 1917년(年)에 출판(出版)된 "The conservation of the wild life of Canada" 217 페이지에 기록(記錄)되어 있다. [7] 스라소니는 캐나다스라소니의 두 배(倍) 이상(以上)으로 크며, 따라서 노루 와 같은 상대적(相對的)으로 큰 먹이를 주식(株式)으로 한다. 게다가 스라소니는 북아메리카(北아메리카)에서는 살지 않기 때문에 눈덧신토끼를 만날 기회(機會)도 없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