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카심조(兆)마르트 토카예프 - 나무위키

카심조(兆)마르트 토카예프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카자흐스탄 공화국(共和國) 제(第)2대(代) 대통령(大統領)
카심조(兆)마르트 토카예프
Qasym-Jomart Toqaev / Касым-Жомарт Токаев
Kassym-Jomart Tokayev
토카예프 대통령
본명(本名)
카슴조마르트 케멜룰르 토카예프
Qasym-Jomart Kemel?ly Toqaev
Касы?м-Жома?рт Кеме?левич Тока?ев [1]
출생(出生)
재임기간(在任期間)
제(第)4대(代) 총리(總理)
제(第)2대(代) 대통령(大統領)
서명(署名)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서명
링크
X Corp 아이콘(블랙) | 인스타그램 아이콘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配偶者)
나데즈다 토(土)카예바 (이혼(離婚))
자녀(子女)
아들 티무르 토카예프
학력(學歷)
국립(國立) 모스크바 국제(國際) 관계(關係) 대학교(大學校)
병역(兵役)
카자흐스탄군(群) 최고(最高) 사령관(司令官) (2019~)
종교(宗敎)
신체(身體)
180cm
정당(正當)
의원선수(議員選數)
2 (상원(上院))

1 . 개요(槪要) 2 . 약력(略歷) 3 . 생애(生涯)
3.1 . 취임(就任) 후(後) 3.2 . 2022년(年) 카자흐스탄 시위(示威) 와 개혁(改革) 추진(推進)
4 . 기타 5 . 둘러보기

1. 개요(槪要) [편집(編輯)]

2. 약력(略歷) [편집(編輯)]

  • 카자흐스탄 외교부(外交部) 장관(長官) (1994 ~ 1999)
  • 카자흐스탄 부총리(副總理) (1999)
  • 카자흐스탄 국무총리(國務總理) (1999 ~ 2002)
  • 카자흐스탄 국정고문(國政拷問) (2002 ~ 2003)
  • 카자흐스탄 외교부(外交部) 장관(長官) (2002 ~ 2007)
  • 카자흐스탄 상원의장(上院議長) (2007 ~ 2011)
  • 유엔 제네바 사무국(事務局) 카자흐스탄 대사(大使) (2011 ~ 2013)
  • 카자흐스탄 상원의장(上院議長) (2013 ~ 2019)
  • 카자흐스탄 제(第)2대(代) 대통령(大統領) (2019 ~)
  • 카자흐스탄 안전보장회의(安全保障會議) 의장(議長) (2022 ~)

3. 생애(生涯) [편집(編輯)]

1953년(年) 5월(月) 17일(日)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社會主義) 공화국(共和國) 의 수(數)도 알마티 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케멜 토카예프는 독소전쟁(戰爭) 참전용사(參戰勇士) 였으며, 추리(推理) 소설(小說) 소련(蘇聯) 카자흐스탄 에서 유명(有名)한 작가(作家) 였고, 어머니 투라르 샤바르바예바는 외국어(外國語) 교육(敎育) 강사(講師)였다고 한다.

1975년(年) 소련(蘇聯) 외교부(外交部)에 들어가 전문(專門) 외교관(外交官)의 길을 걸었으며 싱가포르 , 중국(中國) 주재(駐在) 소련(蘇聯) 대사관(大使館)에서 근무(勤務)했다. 소련(蘇聯) 붕괴(崩壞) 이후(以後) 카자흐스탄 외교차관(外交次官), 제(第)1 외교차관(外交次官)을 거쳤으며 1994년(年) 부터 1999년(年) 까지 카자흐스탄 외교장관(外交長官)으로 재임(在任)했다.

이후(以後)로는 카자흐스탄 국무총리(國務總理)(2001년(年) ~ 2002년(年)), 외교장관(外交長官)(2002년(年) ~ 2007년(年)), 상원의장(上院議長)(2007년(年) ~ 2011년(年), 2013년(年) ~ 2019년(年) 3월(月)) 등(等)을 역임(歷任)했다.

3.1. 취임(就任) 후(後) [편집(編輯)]

2019년(年) 3월(月) 전임(前任)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가 사임(辭任)할 때 권한대행(權限代行) 을 지냈다. 2019년(年) 카자흐스탄 조기(早期) 대선(大選)에서 70.96%로 당선(當選)되었다.

1991년(年) 카자흐스탄 독립(獨立) 이후(以後) 최초(最初)의 평화적(平和的)인 집권자(執權者) 교체(交替) 였지만, 토카예프는 야당(野黨) 이 아닌 여당(與黨) 누르 오탄 소속(所屬)인데다가, 나자르바예프가 카자흐 민족(民族) 지도자(指導者)(...)라는 직책(職責)으로 상왕(上王) 노릇을 하고 있다는 평가(評價)가 지배적(支配的)이었다. 사실상(事實上) 나자르바예프의 정치적(政治的) 허수아비로 보였다.

그런데 2022년(年) 카자흐스탄 시위(示威)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가 안전보장위원회(安全保障委員會) 의장직(議長職)에서 물러남에 따라 정치적(政治的) 허수아비에서 벗어날 가능성(可能性)도 생겼다.
카심-문 2019
2019년(年) 한-카자흐 정상회담(頂上會談) 당시(當時)
2019년(年) 한국(韓國) 을 방문(訪問)했다.

2021년(年) 4월(月) 6일(日) 에 카자흐스탄 측(側)은 토카예프 대통령(大統領)이 스푸트니크 V 를 접종(接種)받았다고 밝혔다. #
카심-문 2021
2021년(年) 한-카자흐 정상회담(頂上會談) 당시(當時)
2021년(年) 8월(月) 16일(日) 코로나 19 이후(以後) 최초(最初)로 대한민국(大韓民國) 을 국빈(國賓) 방문(訪問)했다. 이번(이番) 방한(訪韓)과 함께 카자흐스탄에 묻혀 있던 홍범도(洪範圖) 장군(將軍)의 유해(遺骸)가 고국(故國)으로 봉환(奉還)되었다.

3.2. 2022년(年) 카자흐스탄 시위(示威) 와 개혁(改革) 추진(推進) [편집(編輯)]

2022년(年) 카자흐스탄 시위(示威) 에서 시위(示威)가 전국적(全國的)으로 확산(擴散)되자 내각(內閣)을 총사퇴(總辭退)시켰다. 그러나 토카예프는 물러나지 않았으며, 집단안보(集團安保) 조약기구(條約機構) 회원국(會員國)인 러시아 에 지원(支援)을 요청(要請)하는 한편(한便) 카자흐스탄 최대(最大) 도시(都市)인 알마티 의 시위대(示威隊)를 무력진압(武力鎭壓)하여 카자흐스탄 민간인(民間人) 209명(名) [3] 이 사망(死亡)해서 논란(論難)이 되고 있다. 1월(月) 11일(日) 이후(以後) 카자흐스탄 시위(示威)가 진압(鎭壓)되면서 집권(執權) 이후(以後) 최대위기(最大危機)는 넘기게 되었다.

이번(이番) 사건(事件)은 그에게 있어 오히려 위기(危機)가 아닌 기회(機會)로서 작용(作用)했다고 평가(評價)받는다. 토카예프는 과거(過去) 나자르바예프의 측근(側近)이었던 인사(人士)들을 대거(大擧) 체포(逮捕)했으며 누르술탄의 후광(後光)에 가려진 허수아비 대통령(大統領)이었던 토(土)카예프가 이번(이番) 사건(事件)을 계기(契機)로 권력(權力)을 강화(强化)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2022년(年) 1월(月) 28일(日) 실시(實施)된 전당대회(全黨大會)로 토카예프는 나자르바예프가 가지고 있던 당대표직(當代豹直)에 선출(選出)됐고, 누르 오탄이라는 당명(黨名)도 아마나트 로 개칭(改稱)하는 등(等) 빠르게 당권(黨權)을 장악(掌握)했다. 또한 대대적(大大的)인 당내(黨內) 개혁(改革)을 주문(注文)하기도 했다.

현지(現地) 시각(時刻)으로 3월(月) 16일(日) , 대통령(大統領) 권한(權限) 축소(縮小),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 신설(新設), 전현직(前現職) 대통령(大統領)의 집권여당(執權與黨) 직위(職位) 겸직(兼職) 금지(禁止), 하원(下院) 권한(權限) 확대(擴大) 및 상원(上院) 권한(權限) 축소(縮小), 정당(政黨) 설립(設立) 요건(要件) 완화(緩和) [4] 등(等) 파격적(破格的)인 개헌안(改憲案) 을 제시(提示)했다. # 지방(地方)과의 소통(疏通) 강화(强化)를 위해 통폐합(統廢合)했던 주(株) 행정구역(行政區域)도 복구(復舊)시키겠다고 했다. # 뿐만 아니라 국가인권위원회(國家人權委員會) 신설(新設), 선거(選擧) 제도(制度) 개혁(改革) 및 외국(外國) 참관(參觀) 허용(許容), 사형(死刑) 폐지(廢止), 공정(公正)한 언론(言論) 보도(報道), 인터넷 검열(檢閱) 철폐(撤廢) 등(等)의 정치적(政治的) 자유권(自由權) 보장(保障) 까지 제시(提示)했고, 간접적(間接的)으로 그동안 러시아의 개입(介入)이 있었음을 인정(認定)했다. # 따라서 카자흐스탄 제(第)2공화국(共和國) 이라고 내부적(內部的)으로 정(定)하고 있다. ## 그 뒤로 제2공화국 헌법(憲法) 초안(草案)에도 참여(參與)하고 있다. # 또한, 4월(月) 26일(日)에는 탈당(脫黨)하여 무소속(無所屬) 이 되었다.

9월(月) 초(初)에는 대통령(大統領)의 임기(任期)를 현행(現行) 5년(年) 중임제(重任制)에서 7년(年) 단임제(單任制)로 변경(變更)하고, 대통령(大統領)의 권한(權限)을 축소(縮小) 하는 파격적(破格的)인 정치(政治) 개혁안(改革案)을 발표(發表)했다. 이와 더불어 정계(政界) 개편(改編)을 위해 각각(各各) 2024년(年)과 2025년(年)으로 예정(豫定)된 대선(大選)과 총선(總選)을 앞당겨 조기(早期)에 치르는 것을 제안(提案)했다. 또한 반정부(反政府) 시위(示威)로 법적(法的) 책임(責任)을 지게된 이들도 모두 사면(赦免)한다는 뜻을 밝혔다. #

2022년(年) 9월(月) 11월(月) 조기(早期) 대선(大選) 실시(實施)를 발표(發表)하였으며 # , 원내(院內) 3당(黨)의 지지(支持)로 후보(候補)로 추대(推戴)되었다. 다만 지나치게 갑작스런 조기(早期) 대선(大選) 실시(實施)는 장기간(長期間)의 독재(獨裁)로 야권(野圈) 세력(勢力)이 미미(微微)한 카자흐스탄에서 야권(野圈)이 조직(組織)되는 것을 막기 위(爲)한 것이라는 우려(憂慮)를 받기도 했다. # 우려(憂慮)대로 조기대선(早期大選)에서 등록(登錄)한 후보(候補) 중(中) 토카예프를 제외(除外)한 후보(候補)들은 정치적(政治的) 무명인사(無名人士)였다. #

카자흐스탄 대선후보(大選候補) 조건(條件) 때문에 후보(候補) 등록(登錄)에 실패(失敗)한 하이룰라 갑잘릴로프 [5] # 는 토카예프는 깨끗하지도 않고 부패(腐敗)도 많으며 [6] , 대선후보(大選候補) 출마(出馬)와 관련(關聯)된 법(法)을 어겼음에도 출마(出馬)를 했다면서 강(剛)하게 비판(批判)하였다.

11월(月) 20일(日)에 치러진 2022년(年) 카자흐스탄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에서 81.3%라는 높은 득표율(得票率)로 당선(當選)되었고, 2029년(年)까지 재집권(再執權)하게 되었다. #

4. 기타 [편집(編輯)]

  • 카심조(兆)마르트 토카예프는 1957년(年) 생(生) 부인(婦人)인 나데즈다 토(土)카예바(Nadezhda Tokayeva)와 결혼(結婚)했고, 자녀(子女)로 아들 1명(名)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혼(離婚) 했다.
  • 공개석상(公開席上)에서 푸틴 으로부터 노골적(露骨的)인 멸시(蔑視)와 모욕(侮辱)을 한두 번(番) 당(當)한 게 아니다. 심지어(甚至於) 푸틴이 토(土)카예프의 이름을 틀리게 부른 적 도 있는데 [7] 러시아 네티즌들은 '왕(王)은 신하(臣下)의 이름을 외울 필요(必要)가 없다'며 푸틴의 외교적(外交的) 결례(缺禮)를 옹호(擁護)하기도 했다.
  • 위와 같은 이유(理由) 때문인지 한번(番)은 푸틴이 카자흐스탄에 왔을때 의제(議題) 발언(發言)에 카자흐어 로 이야기했다가 러시아어(語) 로 발언(發言)하기도 했다. # 카자흐어가 나오자 푸틴은 물론(勿論) 우왕좌왕(右往左往)하면서 통역(通譯) 이어폰을 끼는 외교장관(外交長官) 대변인(代辯人) 을 비롯한 러시아 관료(官僚)들과 대비(對備)하여 평온(平穩)한 카자흐스탄 관료(官僚)들의 모습이 대비(對比)가 되었다. 그리고 이어폰을 끼자마자 바로 귀신(鬼神)같이 러시아어(語)로 이야기를 한 것은 덤.
  • 1953년(年) 생(生)이라는 걸 감안(勘案)하면 상당(相當)한 동안 이며, 키도 180cm로 상당(相當)한 장신(長身)이다.

5. 둘러보기 [편집(編輯)]

[ 아시아 ]
* 의원내각제(議員內閣制) 하의(下衣) 대통령(大統領)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大統領)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兼職)하여 사실상(事實上) 군주(君主)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國家元首)는 라흐바르 이며, 대통령(大統領)은 정부수반(政府首班)이다.
**** 현직(現職) 장성급(將星級) 장교(將校)들이 국회의원(國會議員)을 겸직(兼職)하는 정당(政黨)이라 사실상(事實上) 미얀마군(軍) 소속(所屬)에 가깝다.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初選))
라이칭더 (초선(初選))
나지브 미(美)카티 (권한대행(權限代行))
민 슈웨 (권한대행(權限代行))
샤하부딘 추(秋)푸 (초선(初選))
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大統領) 지도(指導) 위원회(委員會) 의장(議長))
모하마드 모흐베르 (권한대행(權限代行))
조코 위도(緯度)도 (재선(再選))
마흐무드 압바스 (초선(初選))
[ 유럽 ]
* 의원내각제(議員內閣制) 하의(下衣) 대통령(大統領)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國家元首)는 대통령(大統領)이 아닌 두 명(名)의 집정관(執政官)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憲法上) 이원집정부제(二元執政府制)이나 사실상(事實上) 의원내각제(議員內閣制) 국가(國家)이다.
마이아 산두(汕頭) (초선(初選))
에르신(新) 타타르 (초선(初選))
루멘 라데프 (재선(再選))
마이클 D. 히긴스 (재선(再選))
바이람 베가이 (초선(初選))
아슬란 브자니야 (초선(初選))
알라르 카리스 (초선(初選))
세르조 마타렐라 (재선(再選))
페트르 파벨 (초선(初選))
안제이 두다 (재선(再選))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再選))
슈요크 터마시 (초선(初選))
[ 아메리카 ]
* 의원내각제(議員內閣制) 하의(下衣) 대통령(大統領)
이르판 알리 (초선(初選))
실바니 버튼 (초선(初選))
조 바이든 (초선(初選))
샌드라 메이슨 (초선(初選))
니콜라스 마두로 (재선(再選))
루이스 아르세(歲) (초선(初選))
찬 산(山)토키 (초선(初選))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初選))
다니엘 노보아 (초선(初選))
나이브 부(不)켈레 (재선(再選))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初選))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初選))
디나 볼루아르테 (초선(初選))
[ 아프리카 ]
* 의원내각제(議員內閣制) 하의(下衣) 대통령(大統領)
** 현재(現在) 군사정권(軍事政權)이거나 혹은(或은) 사실상(事實上) 해당(該當) 국가(國家)의 군(軍) 소속(所屬)
아다마 배(倍)로 (재선(再選))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權限代行))
볼라 티누부 (초선(初選))
시릴 라마포사 (초선(初選))
조셉 보(步)아카이 (초선(初選))
폴 카가메 (4선(線))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大統領委員會) 의장(議長))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權限代行))
필리프 뉴시 (재선(再選))
파트리스 탈(脫)롱 (재선(再選))
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權限代行))
파(派)스테프당(當)
와벨 람칼라완 (초선(初選))
무세 비히 압디 (초선(初選))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主權委員會) 의장(議長))
주앙 로렌수 (재선(再選))
폴 비야 (7선(線))
윌리엄 루토(壘土) (초선(初選))
펠릭스 치세케디 (재선(再選))
포르 냐싱베 (4선(線))
카이스 사이에드 (초선(初選))
[ 오세아니아 ]

[1] 러시아어(語) 식(式) 표기(表記)로 '카심조(兆)마르트 케멜레비치 토카예프'라고 읽으며, 한국어(韓國語) 로 옮길 땐 보통(普通) 해당(該當) 표기(表記)가 많이 사용(使用)된다. [2] 카자흐스탄 헌법상(憲法上) 대통령(大統領)은 임기기간(任期期間) 동안은 당적(黨籍)을 가질 수 없다. 원(元) 소속정당(所屬政黨)은
아마나트

.
[3] 경찰(警察), 카자흐스탄 보안군(保安軍) 사망자(死亡者)까지 포함(包含)하면 225명(名)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2920418 . [4] 창당(創黨)에 20,000명(名) 필요(必要)하던 것을 5,000명(名)으로 완화(緩和)하겠다고 한다. [5] 출생(出生) 당시(當時) 카자흐스탄 본토(本土) 출신(出身)이 아닌 점(點)이랑 공무원(公務員) 경력(經歷)이 없어서 떨어졌다고 한다. 파티마 비(非)자코바 역시(亦是) 공무원(公務員) 경력(經歷)이 없는 이유(理由)로 탈락했으며, 탈(脫)가트 예르갈리예(例)프는 공직(公職) 경력(經歷)이 있지만 5년(年)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에 탈락했다고 한다. [6] 전임(前任) 독재자(獨裁者)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의 측근(側近)으로 활동(活動)했으며, 2022년(年) 카자흐 민주화(民主化) 시위(示威)에서 강경진압(强勁鎭壓)을 한 것도 토카예프다. 다만 이 당시(當時)는 전임(前任) 대통령(大統領)이 상왕(上王)으로 집권(執權) 중(中)이었다는 것을 감안(勘案)해야 한다. [7] 이게 한 두번(番)이 아니라 아예 Путин не понял токаев(푸틴은 토카예프를 기억(記憶) 못함) 이 자동(自動) 완성(完成) 될 정도(程度)로 자주 틀리게 이야기하거나 아예 버벅거리며 이름을 언급(言及)도 안 한적이 빈번(頻繁)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