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초교파(超敎派) - 나무위키

초교파(超敎派)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비복음주의(非福音注意)
재림교회(再臨敎會) (a.k.a 안식교(安息敎))는 안식일(安息日)이 결부(結付)된 구원론(救援論)과 엘런 화이트 에 대(對)한 직통(直通) 계시론(啓示論) 때문에 이단(異端) 논쟁(論爭)이 심(甚)하다.
강력(强力)한 에큐메니컬 성향(性向) 교단(敎壇)에서는 정통(正統)의 일원(一員)으로, 구원론(救援論) 및 계시론(啓示論)에 민감(敏感)한 교단(敎壇)에서는 이단(異端)으로 분류(分類)한다.
국내(國內) 개신교계(改新敎界)는 조직신학(組織神學)(교의학(敎義學))에 민감(敏感)하기에 대체로(大體로) 이단(異端)으로 받아들인다.
1 . 개요(槪要) 2 . 초교파(超敎派)(독립교단(獨立敎壇))
2.1 . 종류(種類) 2.2 . 장점(長點) 2.3 . 단점(短點)
3 . 초교파(超敎派)(교파연합(敎派聯合))
3.1 . 단체(團體) 3.2 . 장점(長點) 3.3 . 단점(短點)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초교파(超敎派)( )는 개신교(改新敎)에서 교파(敎派)를 초월(超越)하는 것을 뜻한다. 초교파(超敎派)의 의미(意味)는 다음과 같다.

1. 개신교(改新敎) 복음주의(福音主義) 의 테두리 안에서 주요(主要) 교파(敎派)들의 신학적(神學的) 교리(敎理)를 초월(超越)한 교파(敎派). 단(單), 정통적(正統的)인 개신교(改新敎)의 신학적(神學的) 입장(立場)에서 이단적(異端的)으로 간주(看做)될 수 있는 교리(敎理)는 허용(許容)하지 않는다. 그래서 복음주의(福音主義)의 테두리 밖에 있는 상당수(相當數) 성공회(聖公會) 고교회파(派) 및 앵글로가톨릭, 광교회파(廣敎會派)는 초교파(超敎派) 1.에 참여(參與)하지 않는다.

2. 개신교(改新敎)의 정통교단(正統敎團)들의 친목(親睦) 모임. 즉(卽) 개신교계(改新敎界)에서 이단(異端) 으로 분류(分類)된 교파(敎派), 교단(敎團), 목사(牧師)들은 초교파(超敎派)에 포함(包含)되지 않는다. 또한 개신교(改新敎) 이외(以外)의 종파(宗派), 이를테면 가톨릭과 정교회(正敎會)도 역시(亦是) 배제(排除)된다. 기독교방송 이사진(理事陣)에 대한성공회(大韓聖公會)는 참여(參與)해도 한국천주교(韓國天主敎)는 빠지는 것도 같은 원리(原理)다. 개신교인(改新敎人)들에게 초교파(超敎派)의 의미(意味)는 '계파(系派)나 계열(系列)을 뛰어넘는 소집(召集)'이라고 생각하면 편(便)할 것이다. 특히(特히) 소속(所屬) 교단(敎團)이 있는 교회(敎會)나 개신교(改新敎) 단체(團體)나 목사(牧師), 사역자(使役者)가 교단(敎壇)을 가리지 않고 사역(使役)을 할 때 '초교파(超敎派)'라는 말을 주로(主로) 사용(使用)한다. 정통교단(正統敎團) 소속(所屬)이기만 하면 교단(敎壇)에 관계(關係) 없이 누구나 멤버가 될 수 있다는 뜻이거나, 개신교(改新敎) 단체(團體), 언론(言論)이 활동(活動)하는 범위(範圍)가 교단(敎壇)에 구애(拘礙)받지 않고 개신교(改新敎) 전체(全體)를 다룬다는 뜻이다. 간혹(間或) 초교파(超敎派)를 종파(宗派)를 초월(超越)한 종교연합(宗敎聯合)으로 오해(誤解)하는데, 종파(宗派)를 초월(超越)한 종교연합(宗敎聯合)은 '초종파(初終派)'이다. 초교파(超敎派)는 교파(敎派)를 초월(超越)한 복음주의(福音主義) , 특히(特히) 정통(正統) 계열(系列) 개신교(改新敎) 연합(聯合)이다. 초종파(初終派)는 종교다원주의(宗敎多元主義)와 혼용(混用)되기도 하나 완전히(完全히) 같은 개념(槪念)이 아니다.

쉽게 말해 1번(番)은 기존(旣存) 교파(敎派)에서 독립(獨立)한 교회(敎會), 2번(番)은 기존(旣存) 교파(敎派)들을 포함(包含)하는 모임이라고 보면 된다. 더 짧게 설명(說明)하면 교파(敎派) 독립(獨立)과 교파(敎派) 모임의 차이(差異)다.

다만 독립교단(獨立敎壇)이건 교파(敎派) 연합(聯合)이건 특정(特定) 개신교(改新敎) 교파(敎派)의 관점(觀點)에 구속(拘束)되지 않고 다양한 교파(敎派)의 신학(神學)을 배워볼 수 있다는 점(點) 때문에 초교파(超敎派) 산하(傘下) 신학대학(神學大學)은 모든 개신교(改新敎) 신학(神學)을 배우려고 하는 학구열(學究熱)이 높은 신학생(神學生)둘에게 부러움을 사기도 한다. 반대(反對)로 다른 교파(敎派)를 적대시(敵對視)하는 근본주의(根本主義) 성향(性向) 신학생(神學生)들에겐 혐오(嫌惡)받기도 한다.

다만 일부(一部) 초교파(超敎派)의 경우(境遇) 에큐메니컬 적(的)인 성향(性向)이 강(剛)한 쪽은 가톨릭 교회(敎會)에도 자주 출석(出席)하는 편(便)이다. 미국(美國) 대통령(大統領)이었던 앤드루 존슨 이나 크리스 프랫 이 그 경우(境遇).

2. 초교파(超敎派)(독립교단(獨立敎壇)) [편집(編輯)]

특정(特定) 교파(敎派)에 속(屬)하지 않는 교회(敎會). 즉(卽) 무소속(無所屬) 인 셈이다.

초교파(超敎派)의 특징(特徵)은 개신교(改新敎), 복음주의(福音主義) 테두리 안에서 다른 교파(敎派)들은 그래도 자신(自身)들의 교리(敎理)가 가장 옳은 방식(方式)이고, 자신(自身)과 다른 정통교파(正統敎派)들의 교리(敎理)는 자신(自身)들의 교리(敎理)와 기조(基調)를 공유(共有)하는 친선적(親善的)인 것으로 인식(認識)하지만, 초교파(超敎派)는 기존(旣存) 개신교(改新敎)의 기조(基調)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어느정도(程度) 옳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개교회(個敎會) 간(間) 차이(差異)가 다른 교파(敎派)와 다르게 심(甚)한 편(便). 성공회(聖公會) 의 고교회파(派)와 저교회파(派)의 차이(差異)보다 더욱 심(甚)한데, 성공회(聖公會)에는 그래도 4대(大) 통합(統合) 기제(忌祭) 가 있는 반면(反面)에, 초교파(超敎派)는 어떠한 중앙집권적(中央集權的)인 정치적(政治的) 구조(構造)가 없기 때문이다.

중앙집권적(中央集權的) 구조(構造)가 없다는 점(點)에서 장로회(長老會)와 비교(比較)되기도 한다. 다른 점(點)은 장로회(長老會) 소속(所屬) 교단(敎壇) 별(別)로 총회(總會) 헌법(憲法)과 장로교(長老敎) 신학(神學)을 공유(共有)한다는 점(點). 하지만 초교파(超敎派)는 개신교(改新敎), 복음주의(福音主義)라는 테두리를 설정(設定)한 것 외(外)에 그 특성상(特性上) 정립(定立)된 것이 부족(不足)하다. 그래서 시각(視角)에 따라 논란(論難)이 될만한 신학(神學)을 논(論)하거나 기존(旣存) 교단(敎團)의 기조(基調)를 피해(被害) 교회(敎會)들이 원(元) 소속(所屬) 교단(敎壇)에서 탈퇴(脫退)해 가입(加入)하는 경우(境遇)가 잦다. [1] 결국(結局) 변별력(辨別力)이 떨어진다는 비판(批判)을 받기도 한다.

교단(敎壇)의 형식(形式)을 거부(拒否)한다는 점(點)에서 그리스도의 교회(敎會) 와 비교(比較)되기도 하지만, 그리스도의 교회(敎會)는 성경(聖經)이 말하면 말하고 성경(聖經)이 침묵(沈默)하면 침묵(沈默)한다는 그리스도의 교회(敎會) 신학(神學)으로 통일(統一)되어 있으나, 초교파(超敎派)는 개신교(改新敎)의 기조(基調)에 포함(包含)된 것이라면 받아들이는 다원주의(多元主義) 신학(神學)이라서 교회(敎會) 간 충돌(衝突)이나 목사(牧師)들의 신학적(神學的) 견해차(見解差)가 있다.

다양한 시각(視角)으로부터 자유(自由)로울 수 없으나 교단(敎團)과 교파(敎派) 정치(政治)에서 자유(自由)를 원(願)하는 목회자(牧會者)들이 모여 독립교회(獨立敎會)라 불리운다. 즉(卽) 성격(性格) 특성상(特性上) 자유로운 편(便)이다. 하지만 다른 교파(敎派)들은 독립교단(獨立敎壇)이 개신교(改新敎)에서 신학적(神學的)으로 공인(公認)된 형태(形態)의 교단(敎團)이 아니라 일종(一種)의 법인(法人) 형태(形態)를 갖고 있기에 독립교단(獨立敎壇)의 목사(牧師) 안수(按手) 자격(資格)에 의문(疑問)을 품기도 한다. [2]

2.1. 종류(種類) [편집(編輯)]

2.2. 장점(長點) [편집(編輯)]

일단(一旦) 특정(特定) 교파(敎派)에 속(屬)하지는 않았기에 특정(特定) 교파(敎派)의 성향(性向)에 국한(局限)되지 않고 각(各) 교파(敎派)들의 장점(長點)들을 전부(全部) 수용(受容)하여 넓은 시각(視角)으로 연구(硏究) 할 수 있고, 그런일로 배척(排斥)하는 일이 덜하다.

또한 각(各) 교회별(敎會別)로 변질(變質)되지 않는 선(線)에서 자유(自由)로운 정체성(正體性)을 정리(整理)하는 생활(生活)이 가능(可能)하다는 점(點)이 장점(長點)이라면 장점(長點)이다.

2.3. 단점(短點) [편집(編輯)]

역설적(逆說的)이게도 특정(特定) 교파(敎派)에 국한(局限)되지 않기에 여러 교파(敎派)들간(間)의 장점(長點)들을 수용(受容)할 수도 있지만, 반대(反對)로 애매(曖昧)한 정체성(正體性)으로 결국(結局) 변질(變質)될 가능성(可能性)도 전혀(全혀) 배제(排除)할 수는 없다.

특히(特히) 비판(批判)을 받고 있는 것은 이단(異端) 논란(論難)이 있어, 기존(旣存) 교파(敎派)에서 퇴출(退出)되어 놓고 독립교회(獨立敎會)로 존립(存立)하는 경우(境遇)도 은근(慇懃) 있다는 것으로 간혹(間或) 독립교회(獨立敎會)들이 비판(批判)을 받고는 한다. 물론(勿論) 심각(深刻)할 수준(水準)으로 이단성(異端性)을 띄게 되거나 사이비(似而非)가 된다면 안수(按手)를 준 독립교단(獨立敎壇) 측(側)에서도 직위(職位)를 박탈(剝奪)할 수는 있다.

더불어 개신교계(改新敎界)에서 가장 문제(問題)가 되는 것 중(中) 하나가 개교회중심(個敎會中心)의 활동(活動)으로 인해 특정(特定) 목회자(牧會者)가 비윤리적(非倫理的)인 사건(事件)을 터뜨려도 그것을 통제(統制) 하거나 예방(豫防)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인데 독립교회(獨立敎會)는 개교회(個敎會) 그 자체(自體)이기 때문에 목회자(牧會者) 개개인(個個人)이 성향(性向)에 따라 더욱 사건사고(事件事故)를 통제(統制)하는게 어렵다는 것도 단점(短點)이다.

이런 문제(問題)로, 교단(敎壇)에 소속(所屬)된 교회(敎會)에 비해 변질(變質)될 가능성(可能性)과 제대로된 정체성(正體性)을 갖지 못한 교회(敎會)일 가능성(可能性)이 있다며, 기독교(基督敎)를 처음 믿는 사람이 "혹시(或是) 독립교단(獨立敎壇) 소속(所屬) 교회(敎會)도 괜찮나요?"라고 물으면 "독립교회(獨立敎會)는 추천(推薦)하지 않는다"는 식(式)의 대답(對答)을 자주 한다. 물론(勿論) 모든 독립교회(獨立敎會)와 독립교단(獨立敎壇)을 비하(卑下)하거나 잘못되었다 여기는 것은 아니고 애매(曖昧)한 정체성(正體性)과 변질(變質)되기 쉬운 독립교회(獨立敎會)의 특성(特性) 때문에 조심(操心)해서 나쁠것 없다는 것이다

3. 초교파(超敎派)(교파연합(敎派聯合)) [편집(編輯)]

우리가 한 몸에 많은 지체를 가졌으나 모든 지체가 같은 기능(機能)을 가진 것이 아니니
이와 같이 우리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이 되어 서로 지체가 되었느니라.


개신교(改新敎) 정통교파(正統敎派) [6] 친목(親睦) 모임 으로 설명(說明) 끝. 여기서 가톨릭과 정교회(正敎會)는 일단(一旦) 배제(排除)된다. [7] 각(各) 교파(敎派)들이 자신(自身)들의 신학적(神學的) 견해(見解)를 공유(共有)하거나 믿음과 우애(友愛)를 다지기 위해 잠시(暫時) 모인 것이다보니, 1.처럼 굳이 통일(統一)된 교파(敎派)의 형태(形態)를 가질 이유(理由)가 없다.

종파(宗派)로써의 통일(統一)된 신학적(神學的) 교리(敎理)는 개신교(改新敎) 참조(參照). 개신교(改新敎)가 형성(形成)되면서 교파(敎派), 목회자(牧會者) 간(間)의 신학적(神學的) 대화(對話)로 이미 개신교(改新敎)의 특징(特徵)이 정립(定立)되었기에 굳이 모여서 통일(統一)된 교파(敎派)를 이룰 이유(理由)가 없다. 다만 인도(印度) 같이 기독교(基督敎) 교세(敎勢)들이 약(弱)한 국가(國家)에서는 여러 교단(敎團)들이 연합(聯合) 교회(敎會)를 이루는 경우(境遇)가 있기도 하다.

2.가 적극적(積極的)으로 변(變)하면 아예 통일(統一)된 교파(敎派)를 이루자는 교회일치운동(敎會一致運動) 으로 변(變)하기도 하지만, 이미 같은 종파(宗派)로서 기조(基調)를 공유(共有)하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적극적(積極的)인 교회일치운동(敎會一致運動)이 크게 힘을 잃은 상태(狀態)이다. 굳이 거시적(巨視的)으로 합치지 않아도 되고 [8] , 강제(强制)로 합쳤다간 1.의 문제점(問題點)처럼 신학적(神學的)으로 취약(脆弱)해지며 개교회(個敎會) 간 갈등(葛藤)으로 큰 반발(反撥)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초교파적(超敎派的)인 성경번역도(聖經飜譯度) 있는데, 특정(特定)한 개신교(改新敎) 교파(敎派) 주도(主導)의 번역(飜譯)이 아니라 범(汎) 복음주의(福音主義) 진영(陣營)에서 연합(聯合)한 번역(飜譯)이다. 가톨릭이나 정교회(正敎會)도 동참(同參)한 공동번역(共同飜譯)(에큐메니컬 번역(飜譯)) [9] 과는 다르다. 대표적(代表的)인 초교파(超敎派) 성경(聖經) 번역(飜譯)으로, 개역(改易)한글, 개역개정(改譯改正) , 새번역(飜譯), NIV 가 있다.

3.1. 단체(團體) [편집(編輯)]

이외(以外)에도 한국(韓國)의 개신교(改新敎) 신학대학(神學大學) 학부(學部) 과정(課程)은 소속(所屬) 교단(敎壇)의 시선(視線)이 반영(反映)된 초교파(超敎派) 학풍(學風)으로 가르친다.

3.2. 장점(長點) [편집(編輯)]

교황청(敎皇廳) 을 중심(中心)으로 전세계(全世界) 어느 교구(敎區)든 일치(一致)해 있는 가톨릭 , 그만큼은 아니어도 어느 정도(程度) 단일성(單一性)을 띠는 정교회(正敎會) 에 비해 개신교(改新敎) 는 교파(敎派)가 여러가지로 갈라져있는 상황(狀況)이고 성향(性向)도 제각각(제各各)이다. 교파(敎派)들의 연합(聯合) 개념(槪念)의 초교파(超敎派)의 장점(長點)은 각(各) 교파(敎派)들 간(間)의 연합(聯合)을 이룸으로서 어느 정도(程度)의 성향(性向)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하고 그럼에도 근본적(根本的)으로는 개신교(改新敎)로서 같다는 것을 인정(認定)함으로서 개신교(改新敎)의 개교회중심(個敎會中心) 활동(活動)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점(問題點)을 어느 정도(程度) 바로 잡을 수 있다.

개신교(改新敎) 초교파(超敎派) 운동(運動)은 가톨릭-개신교(改新敎) 간(間) 에큐메니컬 운동(運動)에 비해 상당히(相當히) 열려있고 비교적(比較的) 진척(進陟)된 편(便)이라 상대(相對) 교단(敎團) 간(間) 목회자(牧會者) 파견(派遣) 같은 교류(交流)도 활발(活潑)하다.

3.3. 단점(短點) [편집(編輯)]

일부(一部) 극단적(極端的) 보수성향(保守性向)을 보이는 교파(敎派)들의 경우(境遇)에 타 교파(敎派)의 성향(性向)을 다짜고짜 무조건(無條件) 잘못된 것이라며, 서로 견제(牽制)하고 분쟁(紛爭)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단점(短點)으로는 일부(一部) 이단(異端) 논란(論難)이 있는 교파(敎派)의 수용문제(收容問題)나 [13] 가톨릭 등(等) 비개신교(非改新敎) 교파(敎派)와의 연대(連帶) 에 대(對)한 관점(觀點) 차이(差異)로 인해 논란(論難)의 여지(餘地)가 있을 수 있고 결국(結局) 비슷한 성향(性向)의 교파(敎派)들간(間)의 연합(聯合)만 이루어져 건강(健康)한 연합(聯合)이 어렵게 된 경우(境遇)도 있다.
[1] 여성(女性) 목사(牧師)를 인정(認定)하지 않는 교단(敎團)에서 나온 케이스, 기존(旣存) 교단(敎團) 안에서도 시각(視角)에 따라 해석(解釋)이 다른 신학(神學) 형태(形態)의 교회(敎會) 등(等) 다양(多樣)하다. [2] 이것은 많은 개신교(改新敎) 교단(敎團)이 가지는 문제(問題)다. 일례(一例)로 일부(一部) 교단(敎團)은 교역자(敎役者) 생활(生活), 신학(神學)의 공부(工夫)를 단(單) 몇 개월(個月) 혹은(或은) 1년(年)만에 마치고 목사(牧師) 안수(按手)를 받는 경우(境遇)도 존재(存在)한다. [3] 다만 최근(最近) 일부(一部) 신대원(神大院) 졸업생(卒業生)들에게 전도사(傳道師) 경력(經歷)을 조작(造作)하여 안수(按手)를 주려 했다는 폭로(暴露)가 나와 논란(論難)이 되고 있다 [4] 국제독립교회연합회(國際獨立敎會聯合會)는 1995년(年) 박조준 목사(牧師)에 의(依)해 세워졌고, 실무(實務)는 설립사무총장(設立事務總長)인 임우성 목사(牧師)에 의(依)해 이루어지고 있다. 순복음부천교회(富川敎會), 과천중신교회, 전주(全州)예닮교회(敎會), 압구정예수교회등(狎鷗亭예수敎會等)이 여기에 속(屬)한다. 인준신학교(認准神學校)는 웨이크사이버신학원(神學院)을 운영(運營)한다. 인터넷 신문(新聞)으로는 뉴스포유(哺乳)를 운영(運營)한다. [5] 개신교(改新敎)에 대(對)한 내용(內容)이므로 공동번역성서(共同飜譯聖書) 가 아니라 개역개정판(改譯改訂版) 을 따른다. [6] 성공회(聖公會) (특히(特히) 저교회파(派))도 포함(包含). [7] 단적(端的)인 사례(事例)로, 초교파(超敎派) 개신교(改新敎) 방송인(放送人) 기독교방송(CBS)에서 대한성공회(大韓聖公會) 소식(消息)도 전달(傳達)할지언정 한국(韓國) 천주교(天主敎) 소식(消息)은 거의 다루지 않는다는 것이다. [8] 교단(敎壇)의 물리적(物理的) 통합(統合) 보다는, 상대(相對) 목회자(牧會者) 파견(派遣) 등(等)의 교류(交流) 형태(形態)가 일반적(一般的)이다. [9] 공동번역(共同飜譯) 성서(聖書) , NRSV , CEB, REB 등(等) [10] 육군훈련소(陸軍訓鍊所)를 비롯한 군부대(軍部隊) 내 세례대장(洗禮大將)도 관리(管理)한다. [11] 교단(敎團)의 연합체(聯合體)는 아니지만 초교파성향(超敎派性向)의 기독교(基督敎) 방송사(放送社)이다. [12] 교단(敎團)의 연합체(聯合體)는 아니지만 특정교단(特定敎團)에 국한(局限)되지 않고 성경(聖經)의 번역(飜譯)과 출판(出版) 판매(販賣) 등(等)의 업무(業務)를 담당(擔當)하는 단체(團體)이다. [13] 한기총이 세력(勢力)을 크게 잃게 된 원인(原因)이기도 하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