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짱스이 - 나무위키

짱스이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장식의
만주국(滿洲國) 초대(招待) 민정부(民政部) 대신(代身)
참의부(參議府) 2대(代) 의장(議長)
이름
정체(正體) : 臧式毅
한국식(韓國式) 독음(獨吟) : 장식(裝飾)의
영문(英文) : Zang Shiyi
자(者)
봉구(奉久)
출생(出生)
청나라(淸나라) 성경장군부(盛京將軍部) 봉천부(奉天部) 승덕현(承德縣) 소가둔 사하포(沙下抛) 앞 삼도강자촌(三道强者村)
(현(現) 중국(中國) 랴오닝성(랴오닝省) 선양시 쑤자(子)툰구(區) 사허푸진 산다오강(山多五江)쯔촌(寸))
사망(死亡)
1956년(年) 11월(月) 13일(日) (향년(享年) 71세(歲))
국적(國籍)
학력(學歷)
직업(職業)
민정부대신(民政部代身)
임기(任期)
참의부의장(參議府議長)
임기(任期)
1 . 개요(槪要) 2 . 생애(生涯)
2.1 . 초기(初期) 이력(履歷) 2.2 . 만주사변(滿洲事變) 2.3 . 말년(末年)
3 . 주요경력(主要經歷) 4 . 참고문헌(參考文獻)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중화민국(中華民國) 의 군벌(軍閥). 만주사변(滿洲事變) 이후(以後) 일본(日本) 제국(帝國) 과 결탁(結託)하여 만주국(滿洲國) 민정대신(民政大臣)을 지냈다.

2. 생애(生涯) [편집(編輯)]

2.1. 초기(初期) 이력(履歷) [편집(編輯)]

1885년(年) 10월(月) 청나라(淸나라) 성경장군부(盛京將軍部) 봉천부(奉天部) 승덕현(承德縣)(承德縣) 소가둔(蘇家屯) 사하포(沙下抛)(沙河鋪) 앞 삼도강자촌(三道强者村)(三道崗子村) [1] 에서 태어났다. 그의 원적지(原籍地)는 산동성(山東省) 청주부(淸州部)(靑州府) 제성현(諸城縣) 고밀현성(性)(高密縣城) 남쪽(南쪽) 왕오장(王吳莊) [2] 이다.

1911년(年) 일본육군사관학교(日本陸軍士官學校) 를 졸업(卒業)했으며 동삼성(東三星) 병기공장(兵器工場) 감독(監督)을 지냈다. 일찍이 손열신(巽劣神)의 부하(部下)였으나 곧 장쭤린 장쉐량 의 부하(部下)가 되어 장씨(張氏) 부자(富者)를 섬기게 되었다. 이후(以後) 독군(督軍)서 참모장(參謀長), 동삼성 보안총사령부(保安總司令部) 중장(中將) 참모장(參謀長), 요녕성(遼寧省) 정부주석(政府註釋) 등(等)을 역임(歷任)했다. 1928년(年) 황고(皇考)둔 사건(事件) 발생(發生) 후(後) 장쭤린의 죽음을 숨기고 사태(事態) 수습(收拾)을 맡았으며 장쉐량을 불러와 봉천군벌(奉天軍閥)의 수장(首長) 자리를 승계(承繼)하게 했다. 봉천군벌(奉天軍閥)의 실력자(實力者)로 장쭤샹 , 장쉐량 과 함께 동삼성(東三星)의 시국(時局)을 수습(收拾)할 수 있는 인물(人物)로 여겨졌다.

1931년(年) 초(初) 만보산 사건(事件) 이 발생(發生)하자 요녕성(遼寧省) 정부주석(政府主席) 자격(資格)으로 일본(日本) 측(側)과 교섭(交涉)하였다. 하야시 총영사(總領事)는 장쭤샹에게 조선인(朝鮮人)들이 지주(地主)들에게 끼친 손해(損害)를 배상(賠償)하는 조건(條件)으로 조선인(朝鮮人)들의 경작권(耕作權)을 인정(認定)해줄 것을 요구(要求)했고 또한 짱스이에게도 조선인(朝鮮人)들의 논농사(논農事) 권한(權限)을 줄 것을 요구(要求)했다. 7월(月)에도 장쭤샹과 함께 하야시 총영사(總領事)를 만나 중일양국(中日兩國)의 공존공영(共存共榮) 문제(問題)에 대(對)한 문제(問題)를 논의(論議)했는데 이는 난징의 외교부(外交部)가 동북문제(東北問題)에 개입(介入)하는 것을 막으려는 일본(日本)의 술수(術數)였다. 1931년(年) 8월(月) 27일(日), 나카무라 사건(事件) 의 발생(發生)으로 주(週) 봉천(奉天) 일본총영사(日本總領事) 하야시 규지로로부터 항의(抗議)를 받았고 짱스이는 나카무라 사건(事件)의 존재(存在)에 대(對)해 부인(否認)했다. 하야시 영사(領事)가 재차(再次) 경고(警告)하자 짱스이는 사람을 파견(派遣)하여 사실(事實)을 조사(調査)하는 한편(한便) 주둔군(駐屯軍) 지휘관(指揮官)을 압송(押送)하여 철저(徹底)히 조사(調査)하게 하였다. 그리고 참모장(參謀長) 영진(榮進)과 함께 일본(日本) 측(側)에 사과(謝過)하고 손해배상(損害賠償) 지불(支拂)에 합의(合意)하였다.

2.2. 만주사변(滿洲事變) [편집(編輯)]

9월(月) 18일(日) 만주사변(滿洲事變) 이 발생(發生)하자 자택(自宅)에서 왕이철(鐵) 등(等) 휘하(麾下) 군장(軍裝)들을 소집(召集)하여 대책(對策)을 논의(論議)하였지만 장쉐량 으로부터 저항(抵抗)하지 말라는 지시(指示)가 내려온 상황(狀況)이라 결국(結局) 저항(抵抗)을 포기(抛棄)하였고 9월(月) 19일(日), 29연대(聯隊)가 봉천성(奉天性)을 점령(占領)하면서 관동군(關東軍) 의 포로(捕虜)가 되어 3개월(個月) 동안 연금(軟禁)되었다. 하지만 초기(初期) 일본(日本)의 주목(注目)을 받았던 위안진카이 장쉐량 과 내통(內通)하며 성정부(性政府) 건설(建設)을 통한 독립(獨立)에 회피적(回避的)인 태도(態度)를 보이자 일본(日本) 측(側)은 짱스이를 기용(起用)할 필요성(必要性)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이타가키 세이시로 는 짱스이를 석방(釋放)하고 동삼성(東三星) 정권(政權)을 조직(組織)할 것, 동삼성(東三星)에 일본군(日本軍)을 주재(駐在)시켜 국방(國防)을 위임(委任)하고 군사비(軍事費)를 부담(負擔)할 것을 요구(要求)하였다. 만주(滿洲)를 사실상(事實上) 식민지(植民地)로 두겠다는 무리(無理)한 요구(要求)였으나 짱스이는 신변(身邊)의 위협(威脅)을 느끼고 일본(日本)이 내미는 문서(文書)에 서명(署名)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때 짱스이의 어머니는 일본군(日本軍)의 감시(監視)를 피(避)해 아들에게 일본인(日本人)들에게 굴복(屈服)하지 말고 자결(自決)하라는 의미(意味)로 아편(阿片)을 밥그릇에 숨겨 반입(搬入)시켰으나 짱스이가 일본(日本)에 투항(投降)하자 절망(絶望)하여 목을 매어 자살(自殺)하였다.

1931년(年) 12월(月) 16일(日), 짱스이를 주석(主席) 겸(兼) 성장(成長)으로 하는 봉천성(奉天性) 정부(政府) 위원회(委員會)가 정식(正式)으로 수립(樹立)되었다. 관동군(關東軍)은 성명(聲明)을 발표(發表)하여 봉천(奉天), 길림(吉林) 두 성(性)이 자립(自立)의 형태(形態)를 갖추어 구정권(舊政權)과 관계(關係)를 끊었으며 흑룡강성도(黑龍江省度) 진용(陣容)을 바꾸었으며 열(熱)하성, 내몽골도(內몽골度) 호응(呼應)하고 있다고 선포(宣布)했다. 이왕(已往) 일본(日本)에 협력(協力)하게 된 짱스이는 장징후(腸徵候)이 , 아이신기오로 시치아(時齒牙) 와 함께 연성자치론을 주장(主張)하며 만주국(滿洲國) 독립(獨立)을 주장(主張)하게 되었다. 이후(以後) 건국최고위원회(建國最高委員會) 중앙정무위원회(中央政務委員會) 위원(委員)에 선출(選出)되었다.

1932년(年) 2월(月) 16일(日), 장징후(腸徵候)이 , 마잔산 , 탕위린 , 아이신기오로 시치아(時齒牙) 등(等)과 함께 동북(東北) 행정위원회(行政委員會)를 조직(組織)하고 위원(委員)에 앉았다. 2월(月) 18일(日), 국민정부(國民政府)와의 관계(關係)를 단절(斷絶)하고 동북(東北)의 독립(獨立)을 선언(宣言)했으며 3월(月) 1일(日), 장징후이의(腸徵候異議) 자택(自宅)에서 만주국(滿洲國) 건국(建國)을 선포(宣布)했다. 봉천군(峯泉郡)벌 중(中)에서 명망(名望)이 높았기 때문에 만주국(滿洲國)의 수령(守令)으로 추천(推薦)받았으나 관동군(關東軍)은 선통제(宣統帝) 옹립(擁立)을 주장(主張)하며 짱스이안을 기각(棄却)하였다. 짱스이도 줄곧 공화국(共和國) 건설(建設)을 주장(主張)하였으나 일본군(日本軍)의 고집(固執)에 결국(結局) 선통제(宣統帝)를 집정(執政)이라는 애매(曖昧)한 호칭(呼稱)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3월(月) 9일(日), 선통제(宣統帝)가 취임(就任)한 후(後) 민정총장(總長)에 임명(任命)되었으며 봉천파벌(奉天派閥)을 이끌며 장징후(腸徵候)이, 마잔산, 시치아(時齒牙)와 함께 만주국(滿洲國)의 4대(代) 요인(要因)으로 불렸다.

초대(招待) 민정부(民政部) 대신(代身)으로 재임(在任)하면서 1932년(年) 6월(月) 훈령(訓令)을 발표(發表), 모든 지방(地方) 부서(部署)에 공동묘지(共同墓地), 도로(道路), 위생(衛生), 전염병(傳染病) 예방(豫防), 초등학교(初等學校) 교과서(敎科書), 종교(宗敎), 교사(敎師), 사당(祠堂) 등(等) 수십개(數十個) 항목(項目)에 대(對)한 대대적(大大的)인 조사(調査)를 실시(實施)하였으며 이어 사회교육(社會敎育) 시설(施設), 도서관(圖書館), 박물관(博物館), 극장(劇場), 클럽, 여타(餘他) 사회오락(社會娛樂) 시설(施設), 식량보급(食糧補給) 상태(狀態) 등(等)을 조사(調査)할 것을 지시(指示)하는 등(等) 만주국(滿洲國) 통치(統治)의 기반(基盤)을 닦았다. 이후(以後) 민정부(民政部)에 각(各) 대도시(大都市)와 소도시(小都市)가 주기적(週期的)으로 가구수(家口數)를 보고(報告)하도록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매년(每年) 100개(個)의 훈령(訓令)을 하달(下達)해 지방관청(地方官廳)을 감독(監督)하고 고과점수(考課點數)를 매겼다.

2.3. 말년(末年) [편집(編輯)]

1934년(年) 만주국(滿洲國)이 제정(制定)으로 거듭나면서 민정총장(總長)에서 민정부(民政部) 대신(代身)에 임명(任命)되었다. 1934년(年) 10월(月), 동북(東北)4성(性)이 10성(城)으로 개편(改編)되면서 봉천성(奉天性)을 기반(基盤)으로 하던 권력기반(權力基盤)이 뿌리뽑혀 뒷방(뒷房) 늙은이로 물러나게 되었다. 1935년(年) 정샤오쉬 가 총리(總理)에서 사퇴(辭退)하였을 때 강덕제 로부터 새 총리후보(總理候補)로 추천(推薦)받았으나 관동군(關東軍)은 장징후(腸徵候)이 를 새 총리(總理) 후보(候補)로 선정(選定)하였다. 짱스이는 참의부(參議府) 의장(議長)으로 이동(移動)하였다.

1945년(年) 만주(滿洲) 전략(戰略) 공세(攻勢) 작전(作戰) 으로 일본(日本)과 만주국(滿洲國)이 덩달아 패망(敗亡)하자 중신회의(中신會議)를 개최(開催)하여 유지회(維持會)를 비밀리(祕密裏)에 구성(構成)한 후(後) 봉천성(奉天性)을 중심(中心)으로 소련군(蘇聯軍)과 독자적(獨自的)인 협상(協商)을 시도(試圖)했으나 8월(月) 30일(日), 소련군(蘇聯軍)에게 체포(逮捕)되어 시베리아로 압송(押送)되었다. 이후(以後)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측(側)에 인도(引渡)되었으며 1956년(年) 무순(무筍) 전범수용소(戰犯收容所)에서 사망(死亡)했다.

3. 주요경력(主要經歷) [편집(編輯)]

만주국(滿洲國) 역대(歷代) 참의부(參議府) 의장(議長)
만주국 국장
초대(招待)
2대(代)
만주국(滿洲國) 역대(歷代) 민정부(民政部) 대신(代身)
만주국 국장
1대(代)
2대(代)

4. 참고문헌(參考文獻) [편집(編輯)]

  • 만주군벌(滿洲軍閥) 장작림(張作霖), 쉬처, 아지랑이.
  • 만주사변기(滿洲事變機) 중일외교사(中日外交史), 유신순, 고려원.
  • 키메라 만주국(滿洲國)의 초상(肖像), 야마무(野摩撫)로 신이치, 소명출판.
  • 중화민국(中華民國)과 공산혁명(共産革命), 신승하(下), 대명출판사(大明出版社).
  • 만주국(滿洲國) 건국(建國)의 재해석(再解釋), 한석정, 동아대학교(東亞大學校) 출판부(出版部).
  • 만주국(滿洲國), 윤휘탁, 혜안(慧眼).
  • 만주국(滿洲國)과 천주교회(天主敎會), 신의식(神意識), 교회사연구(敎會史硏究) 49호(號), 한국교회사연구(韓國敎會史硏究).
[1] 현(現)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랴오닝성(랴오닝省) 선양시 쑤자(子)툰구(區)(蘇家屯區) 사허푸진(沙河鋪鎭) 산다오강(山多五江)쯔촌(寸)(三道崗子村). [2] 현(現)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산둥성(산둥省) 웨이팡시 가오미시(視)(高密市) 왕(王)우향(王吳鄕).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