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집회(集會) - 나무위키

집회(集會)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external/archive...
서울특별시청(서울特別市靑) 앞에서 이한열(李韓烈) 열사(烈士) 사망(死亡) 이후(以後) 이어진 6.10 민주(民主) 항쟁(抗爭) . 이 집회(集會)로 대한민국(大韓民國)에 제도적(制度的)인 민주화(民主化)가 시작(始作)되었다.
대한민국(大韓民國) 헌법(憲法) 제(第)21조(條)
① 모든 국민(國民)은 언론(言論)·출판(出版)의 자유(自由)와 집회(集會)·결사(結社)의 자유(自由)를 가진다.
② 언론(言論)·출판(出版)에 대(對)한 허가(許可)나 검열(檢閱)과 집회(集會)·결사(結社)에 대(對)한 허가(許可)는 인정(認定)되지 아니한다.

1. 개요(槪要) [편집(編輯)]

헌법(憲法) 집회(集會) 결사(結社)의 자유(自由) 에 의(依)해 사람들이 공공(公共)의 목적(目的)을 위해 모이는 일을 뜻한다.

다수(多數)가 일정한 공동목적(共同目的)을 달성(達成)하기 위하여 일정한 장소(場所)에 일시적(一時的)으로 집합(集合)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다수(多數)가 각기(各其) 다른 목적(目的)을 가지고 일정장소(一定場所)에 집합(集合)한 경우(境遇) 그것은 집회일(集會日) 수 없다. 집회(集會) 및 시위(示威)에 관(關)한 법률(法律) 이 규제(規制)하는 것은 옥외집회(屋外集會)이다. 이 법(法)에서 옥외집회(屋外集會)라 함은 천정(天井)이 없거나 사방(四方)이 폐쇄(閉鎖)되지 않은 장소(場所)에서의 집회(集會)를 가리키는데, 옥외집회(屋外集會)라 하더라도 확성기(擴聲器)의 설치(設置) 등(等)으로 주변(周邊)에서의 옥외참가(屋外參加)를 유발(誘發)하는 집회(集會)는 옥외집회(屋外集會)로 간주(看做)하고 있다. 집회(集會)와 시위(示威)는 집회(集會) 및 시위(示威)에 관(關)한 법률(法律) 에 의(依)해 규제(規制)되고 또한 보호(保護)를 받는다.

위에서 설명(說明)된 것처럼 집회(集會) 시위(示威)는 다수(多數)가 모여야 성립(成立)하며 다수(多數)는 2인(人) 이상(以上)을 의미하기 때문에, 1인(人) 시위(示威)는 특수한 경우(境遇)를 제외(除外)하고는 집회(集會) 및 시위(示威)에 관(關)한 법률(法律)이 적용(適用)되지 않는다.

위(位) 표현(表現)은 집시법상(集矢法上)에 이르는 좁은 의미(意味)의 집회(集會)( 시위(示威) 참조(參照))이고, 넓은 의미(意味)의 집회(集會)는 사람들이 일정한 공간(空間)에 모이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콘서트, 결혼식(結婚式), 장례(葬禮), 전시회(展示會), 공연(公演), 상연, 체육행사(體育行事), 교회(敎會) [1] 등등(等等) 집 밖에서 이루어지는 인간(人間)의 활동(活動) 대부분(大部分)을 집회(集會)라 할 수 있다. [2]

2. 목록(目錄) [편집(編輯)]

민주화운동(民主化運動) 시대(時代)에 반독재(反獨裁) 시위(示威)를 집회(集會)라 칭(稱)하기도 한다.
6월(月) 항쟁(抗爭) 이후(以後) 사상(史上) 최다(最多) 인원(人員)이 동참(同參)한 집회(集會)이며, 평화적(平和的)인 집회(集會)로 해외(海外)에서도 많은 주목(注目)을 받았다. 현재(現在)는 박근혜(朴槿惠) 대통령(大統領)이 탄핵(彈劾) 인용(引用)돼 파면(罷免)되어 목적(目的)을 달성(達成)하였다.
윤석열(尹錫悅) 대통령(大統領) 의 퇴진(退陣)과 김건희 여사(女史)에 대(對)한 특검(特檢)을 요구(要求)하는 집회(集會)로, 진보(進步) 성향(性向) 단체(團體)인 촛불승리전환행동(勝利轉換行動) 에서 주도(主導)한다. # #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궐기대회(蹶起大會)(북한(北韓))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일반적(一般的)인 '집회(集會)'와는 그 목적(目的) 내지(乃至) 취지(趣旨)가 상반(相反)된다. 국가(國家)나 당(黨), 기타(其他) 사회(社會) 주도(主導) 정치세력(政治勢力)이 특정한 정치적(政治的) 목적(目的)을 갖고 그걸 주민(住民)들에게 관철(貫徹)시키거나 의식화(意識化)하려는 취지(趣旨)에서 행(行)해진다. # 중국(中國) 에서도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시기(時期)에 이런 식(式)의 군중(群衆)모임을 가지기도 했으나, 북한(北韓) 처럼 확고(確固)한 제도(制度)로써 운영(運營)된 경우(境遇)는 아닌 듯하다. #

[1] 주로(主로) 성령집회(聖靈集會)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부흥회(復興會) 와 비슷한 개념(槪念)이다. 다만 행사(行事) 규모(規模)가 방대(厖大)한 만큼 어느 정도(程度) 규모(規模)가 큰 중견교회급(中堅敎會級) 이상(以上)에서만 보인다. [2] 왕국회관(王國會館) 에서 기도(祈禱)를 하는 것은 집회(集會)라고 부른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