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중구(中區)(울산(蔚山) 선거구(選擧區)) - 나무위키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이 문서(文書)는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구(選擧區)에 대(對)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行政區域)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중구(中區)(울산(蔚山))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관련 문서 아이콘 ? 관련(關聯) 문서(文書): 중구(中區)(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정치(政治)
,
,
,
,
,
대한민국 국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선거구(選擧區)
국회휘장
중구(中區) (울산(蔚山))
중구(中區) 일원(一圓)
中區
Jung
국회선거구 중구(울산)
선거(選擧)인 수(數)
179,055명(名) (2024)
상위(上位) 행정구역(行政區域)
관할(管轄) 구역(區域)
[ 펼치기 · 접기 ]
중구(中區) 전역(轉役)
학성동, 성안동, 중앙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약사동, 반구(反求)1동(棟), 반구(反求)2동(棟), 병영(兵營)1동(棟), 병영(兵營)2동(棟), 복산동
신설년도(新設年度)
이전(以前) 선거구(選擧區)
경상남도(慶尙南道) 울산시(蔚山市) 중구(中區)
국회의원(國會議員)
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울산(蔚山) 원도심(原都心)에 해당(該當)하는 만큼 울산(蔚山) 시가지(市街地) 내(內)에서 가장 보수(保守) 성향(性向)이 강(强)한 선거구(選擧區)이다. 다만 19대(代) 대선(大選) 당시(當時)에는 최순실 게이트 로 인해 보수정당(保守政黨)의 전체적(全體的)인 지지율(支持率)이 크게 하락(下落)한 상태(狀態)라, 문재인(文在寅) 후보(候補)가 36.5%의 득표율(得票率)을 기록(記錄), 6%에 가까운 차이(差異)로 홍준표(洪準杓) 후보(候補)를 누르고 역사상(歷史上) 처음으로 중구(中區)에서 민주당(民主黨)이 1위(位)를 차지하기도 했다. [1] 실제(實際) 후술(後述)되어있듯 민주(民主)-진보(進步) 진영(陣營) 단일화(單一化) 실패(失敗)로 보수(保守) 정당(政黨) 후보(候補)가 당선(當選)된 적도 있는 등(等) 확실(確實)한 텃밭 수준(水準)까진 아니다. 21대(代) 현역(現役) 국회의원(國會議員)은 국민의힘(國民의힘) 박성민(朴聖敏) 의원(議員)이다.

2. 역대(歷代) 국회의원(國會議員) 목록(目錄)과 역대(歷代) 선거(選擧) 결과(結果) [편집(編輯)]

대수(臺數)
당선인(當選人)
당적(黨籍)
임기(任期)
선거구(選擧區)
13대(代)
민주정의당 글자
1988년(年) 5월(月) 30일(日) ~ 1992년(年) 5월(月) 29일(日)
경상남도(慶尙南道) 울산시(蔚山市) 중구(中區)
14대(代)
통일국민당 글자
1992년(年) 5월(月) 30일(日) ~ 1996년(年) 5월(月) 29일(日)
15대(代)
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
1996년(年) 5월(月) 30일(日) ~ 2000년(年) 5월(月) 29일(日)
16대(代)
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
2000년(年) 5월(月) 30일(日) ~ 2002년(年) 7월(月) 10일(日) [2]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 중구(中區)
2002년(年) 12월(月) 19일(日) ~ 2004년(年) 5월(月) 29일(日)
17대(代)
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
2004년(年) 5월(月) 30일(日) ~ 2008년(年) 5월(月) 29일(日)
18대(代)
2008년(年) 5월(月) 30일(日) ~ 2012년(年) 5월(月) 29일(日)
19대(代)
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
2012년(年) 5월(月) 30일(日) ~ 2016년(年) 5월(月) 29일(日)
20대(代)
2016년(年) 5월(月) 30일(日) ~ 2020년(年) 5월(月) 29일(日)
21대(代)
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
2020년(年) 5월(月) 30일(日) ~ 2024년(年) 5월(月) 29일(日)
22대(代)
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
2024년(年) 5월(月) 30일(日) ~

2.1. 울산시(蔚山市) 중구(中區) (13대(代)~15대(代)) [편집(編輯)]

울산시(蔚山市) 중구(中區)
울산시(蔚山市) 중구(中區) 일원(一圓)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46,532
1위(位)
민주정의당 글자
49.75%
당선(當選)
2
이철수 (李鐵樹)
36,716
2위(位)
신민주공화당 글자
39.25%
낙선(落選)
3
최영준(崔泳準)
10,276
3위(位)
민중의당
10.98%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39,313
투표율(投票率)
68.10%
투표(投票) 수
94,872
무효표(無效票) 수
1,348
울산시(蔚山市) 중구(中區)
울산시(蔚山市) 중구(中區) 일원(一圓)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50,127
2위(位)
민주자유당 글자
39.28%
낙선(落選)
2
19,685
3위(位)
민주당(1991년) 로고타입
15.42%
낙선(落選)
3
차화준 (車和俊)
50,138
1위(位)
통일국민당 글자
39.29%
당선(當選)
4
이규정 (李圭正)
4,736
4위(位)
신정치개혁당 글자
3.71%
낙선(落選)
5
이철수 (李鐵樹)
2,906
5위(位)
2.27%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68,725
투표율(投票率)
76.42%
투표(投票) 수
128,944
무효표(無效票) 수
1,352
이때 차화준이 불과(不過) 11표차(票差) 로 당선(當選)됐다. 그리고 8전(戰) 9기(基)의 신화(神話) 송철호(宋哲鎬) 울산시장(蔚山市長)이 처음으로 출마(出馬)한 선거(選擧)다. 실제로(實際로) 이 선거(選擧) 이후(以後)부터 송철호는 눈물의 2위(位) 낙선(落選) 스택 (...)을 2018년(年) 울산시장(蔚山市長) 당선(當選) 전(前)까지 계속(繼續) 쌓게 된다.
울산시(蔚山市) 중구(中區)
울산시(蔚山市) 중구(中區) 일원(一圓)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42,543
1위(位)
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
38.25%
당선(當選)
2
이일성 (李一星)
3,843
5위(位)
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
3.45%
낙선(落選)
3
39,743
2위(位)
민주당(1991년) 로고타입
35.73%
낙선(落選)
4
이철수 (李鐵樹)
5,399
4위(位)
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
4.85%
낙선(落選)
5
박삼주(朴三柱)
1,522
6위(位)
1.35%
낙선(落選)
6
18,157
3위(位)
16.32%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83,652
투표율(投票率)
61.72%
투표(投票) 수
113,341
무효표(無效票) 수
2,134

2.2. 중구(中區) (16대(代)~현재(現在)) [편집(編輯)]

중구(中區)
울산(蔚山) 중구(中區) 일원(一圓) [울산중구(蔚山中區)]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42,144
1위(位)
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
47.94%
당선(當選)
2
문병원 (文炳元)
5,150
4위(位)
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5.86%
낙선(落選)
4
유송근(劉松根)
5,463
3위(位)
민주국민당(2000년) 흰색 ...
6.21%
낙선(落選)
5
박삼주(朴三柱)
1,598
5위(位)
1.82%
낙선(落選)
6
33,548
2위(位)
38.16%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55,973
투표율(投票率)
57.00%
투표(投票) 수
88,904
무효표(無效票) 수
1,001
중구(中區)
울산(蔚山) 중구(中區) 일원(一圓) [울산중구(蔚山中區)]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48,458
1위(位)
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
43.26%
당선(當選)
3
35,304
2위(位)
국민통합21 흰색 로고타입
31.52%
낙선(落選)
4
천병태 (千炳泰)
17,531
3위(位)
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
15.65%
낙선(落選)
5
이향희 (李香姬)
8,829
4위(位)
사회당 1998년 글자
7.88%
낙선(落選)
6
강석철
1,883
5위(位)
1.68%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65,033
투표율(投票率)
68.89%
투표(投票) 수
113,688
무효표(無效票) 수
1,683
중구(中區)
울산(蔚山) 중구(中區) 일원(一圓) [울산중구(蔚山中區)]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45,359
1위(位)
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
46.78%
당선(當選)
3
이정환(李正煥)
32,029
2위(位)
열린우리당 로고타입
33.03%
낙선(落選)
4
이철수 (李鐵樹)
822
6위(位)
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
0.85%
낙선(落選)
5
천병태 (千炳泰)
13,438
3위(位)
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
13.86%
낙선(落選)
6
이향희 (李香姬)
3,017
4위(位)
사회당 1998년 글자
3.11%
낙선(落選)
7
문병원 (文炳元)
2,298
5위(位)
2.37%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67,321
투표율(投票率)
58.48%
투표(投票) 수
97,842
무효표(無效票) 수
879
중구(中區)
울산(蔚山) 중구(中區) 일원(一圓) [울산중구(蔚山中區)]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임동호 (林東昊)
8,309
3위(位)
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
11.11%
낙선(落選)
2
48,483
1위(位)
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
64.85%
당선(當選)
4
천병태 (千炳泰)
15,994
2위(位)
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
21.39%
낙선(落選)
6
이상용(李相龍)
1,971
4위(位)
평화통일가정당 흰색 로고타입
2.64%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77,629
투표율(投票率)
42.52%
투표(投票) 수
75,535
무효표(無效票) 수
778
중구(中區)
울산(蔚山) 중구(中區) 일원(一圓)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50,258
1위(位)
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
50.39%
당선(當選)
2
37,412
2위(位)
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
37.51%
낙선(落選)
6
이향희 (李香姬)
4,288
4위(位)
진보신당 흰색 로고타입
4.29%
낙선(落選)
7
유태일(劉泰一)
6,122
3위(位)
6.13%
낙선(落選)
8
변영태(卞永泰)
1,642
5위(位)
1.64%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83,595
투표율(投票率)
54.66%
투표(投票) 수
100,359
무효표(無效票) 수
637
중구(中區)
울산(蔚山) 중구(中區) 일원(一圓) [울산중구(蔚山中區)]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51,836
1위(位)
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
46.98%
당선(當選)
2
이철수 (李鐵樹)
21,694
3위(位)
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19.66%
낙선(落選)
3
서인채(徐寅彩)
14.157
4위(位)
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
12.83%
낙선(落選)
5
이향희 (李香姬) [8]
22,642
2위(位)
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타...
20.52%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99,153
투표율(投票率)
55.39%
투표(投票) 수
110,329
무효표(無效票) 수
1,693
야당(野黨) 표심(票心)이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 국민의당(國民의黨) , 노동당(勞動黨) (민주노총 지지(支持) 진보단일후보(進步單一候補)) 3갈래로 나뉘는 바람에 새누리당(새누리黨) 정갑윤(鄭甲潤) 후보(候補)가 절반(折半)에 못 미치는 득표율(得票率)로 당선(當選)되면서 5선(線)에 성공(成功)했다. 노동당(勞動黨) 이향희 후보(候補)가 정당(政黨) 사상(史上) 총선(總選) 최다(最多) 득표율(得票率)을 기록(記錄)했다.
중구(中區)
울산(蔚山) 중구(中區) 일원(一圓) [울산중구(蔚山中區)]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임동호 (林東昊)
44,050
2위(位)
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34.32%
낙선(落選)
2
69,359
1위(位)
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
54.04 %
당선(當選)
7
송난희(宋蘭姬)
1,077
5위(位)
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
0.83%
낙선(落選)
8
이향희 (李香姬) [10]
12,149
3위(位)
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타...
9.46%
낙선(落選)
9
이철수 (李鐵樹)
1.696
4위(位)
1.32%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88,368
투표율(投票率)
68.13%
투표(投票) 수
128,331
무효표(無效票) 수
1,599
21대(代) 총선(總選) 울산(蔚山) 중구(中區) 개표(開票) 결과(結果)
정당(正當)
격차(隔差)
(1위(位)/2위(位))
투표율(投票率)
(선거인(選擧人)/표수(票數))
후보(候補)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44,050
(34.32%)
69,359
(54.04%)
12,149
(9.46%)
-25,489
(▼19.72)
188,368
(68.13%)
학성동
26.05%
64.0%
7.88%
▼39.95
66.09
반구(反求)1동(洞)
35.47%
52.38%
9.97%
▼16.91
64.97
반구(反求)2동(洞)
30.95%
57.88%
9.04%
▼26.93
66.20
복산1동(洞)
30.41%
58.55%
9.57%
▼28.14
68.10
복산2동(洞)
35.53%
51.81%
10.34%
▼16.28
68.21
성안동
35.70%
48.20%
14.65%
▼12.50
65.50
중앙동
25.80%
65.59%
6.18%
39.79
62.48
우정동
31.35%
58.76%
7.92%
▼27.41
68.07
태화동
36.0%
52.66%
9.14%
▼16.66
71.03
다운동
31.84%
57.54%
8.47%
▼25.70
66.35
병영(兵營)1동(洞)
34.74%
54.11%
9.40%
▼19.37
68.68
병영(兵營)2동(洞)
35.07%
53.27%
9.57%
▼18.20
64.04
약사동
41.21%
46.69%
10.58%
▼5.48
77.20
후보(候補)
격차(隔差)
거소(居所)·선상투표(線上投票)
29.32%
49.84%
11.07%
20.52
관외사전투표(館外事前投票)
44.09%
42.51%
9.40%
△1.58
국외부재자투표(國外不在者投票)
55.34%
33.98%
9.71%
11.36
박성민(朴聖敏)이 관외사전투표(館外事前投票)를 제외(除外)한 모든 동(棟)에서 압승(壓勝)했다. 임동호는 민주당계(系) 정당(正當) 에서 울산(蔚山)에서 선거(選擧)만 8번(番)을 나왔는데, 또 낙선(落選)의 고배(苦杯)를 마시게 되었다. 그렇지만 지역구(地域區)의 보수성(保守性) [11] 과, 울산(蔚山) 정가(定價)를 뒤흔들었던 논란(論難) 을 감안(勘案)하면 나쁘지 않은 성적(性的)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한便) 이번(이番) 선거(選擧) 결과(結果)는 진보(進步) 진영(陣營) 입장(立場)에선 무척 씁쓸한 결과(結果)인데, 지난 총선(總選)과 이번(이番) 총선(總選)에서 다 진보단일후보(進步單一候補)로 나온 이향희가 지난 총선(總選)보다 득표율(得票率)이 반(半)토막나서 선거비(選擧費) 보전(保全)도 못 받게 된 것이다. 정의당(正義黨) 후보(候補)가 울산(蔚山) 북구(北區)에서 9% 정도(程度) 받은 것과 더불어, 노동자(勞動者) 도시(都市)인 울산(蔚山)에서도 진보(進步) 정당(政黨)이 밀려나는 현실(現實)을 보여줬다.

이렇게 된 요인(要因)은 우정혁신도시(牛亭革新都市) 의 성장(成長)과 약사동 개발(開發)로 인하여 인구(人口) 구조(構造)가 많이 뒤바뀌었기 때문이다. 울산(蔚山) 북구(北區) 가 강동동 등(等)의 개발(開發)로 인구(人口) 구조(構造)가 많이 뒤바뀐 것과 비슷한 맥락(脈絡)이다.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오상택 (吳尙澤) [13]
52,158
2위(位)
zsdkl3gasdg
43.55%
낙선(落選)
2
67,601
1위(位)
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
56.44%
당선(當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79,055
투표율(投票率)
67.70%
투표(投票) 수
121,227
무효표(無效票) 수
1,468
22대(代) 총선(總選) 울산(蔚山) 중구(中區) 개표(開票) 결과(結果)
정당(正當)
격차(隔差)
(1위(位)/2위(位))
투표율(投票率)
(선거인(選擧人)/표수(票數))
후보(候補)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52,158
(43.55%)
67,601
(56.44%)
-15,443
(▼12.89)
121,227
(67.70%)
학성동
34.60%
65.39%
▼30.79
65.07
반구(反求)1동(洞)
43.85%
56.14%
▼12.29
64.01
반구(反求)2동(洞)
40.53%
59.46%
▼18.93
64.84
성안동
48.55%
51.45%
▼2.90
62.82
중앙동
30.43%
69.56%
39.13
61.63
우정동
39.43%
60.56%
▼21.43
68.34
태화동
44.25%
55.74%
▼11.49
68.88
다운동
39.61%
60.38%
▼20.77
65.26
병영(兵營)1동(洞)
43.00%
56.99%
▼13.99
67.06
병영(兵營)2동(洞)
44.93%
53.27%
▼10.14
62.06
약사동
50.97%
49.02%
△1.95
73.90
복산동
44.97%
55.02%
▼10.05
64.78
후보(候補)
격차(隔差)
거소(居所)·선상투표(線上投票)
41.52%
58.47%
16.95
관외사전투표(館外事前投票)
54.20%
45.79%
△8.41
국외부재자투표(國外不在者投票)
69.07%
30.92%
38.15
[1] 3당합당(黨合黨) 이전(移轉)인 13대(代) 대선(大選)에서도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 노태우(盧泰愚) 후보(候補)가 PK의 맹주(盟主)였던 통일민주당(統一民主黨) 김영삼(金永三) 후보(候補)를 누르고 1위(位)를 했다. [2] 임기(任期) 중(中) 사망(死亡). [울산중구(蔚山中區)] 3.1 3.2 3.3 3.4 3.5 3.6 학성동, 성안동, 중앙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약사동, 반구(反求)1동(棟), 반구(反求)2동(棟), 병영(兵營)1동(棟), 병영(兵營)2동(棟), 복산1동(棟), 복산2동(棟) [8] 민주노총(民主勞總), 정의당(正義黨), 노동당(勞動黨) 단일(單一) 후보(候補) [10] 민주노총(民主勞總) , 정의당(正義黨) , 민중당 , 노동당(勞動黨) 단일화(單一化) 후보(候補) [11] 19대(代) 대선(大選) 에서 민주당계(系) 정당(政黨)이 처음 이겼다. [울산(蔚山)(중구(中區))] 학성동, 성안동, 중앙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약사동, 반구(反求)1동(棟), 반구(反求)2동(棟), 병영(兵營)1동(棟), 병영(兵營)2동(棟), 복산동 [13]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 진보당(進步黨) , 녹색정의당(綠色正義黨) , 노동당(勞動黨) , 민주노총(民主勞總) 단일(單一) 후보(候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