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중구(中區)(대전(大田) 선거구(選擧區)) - 나무위키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이 문서(文書)는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구(選擧區)에 대(對)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行政區域)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중구(中區)(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관련 문서 아이콘 ? 관련(關聯) 문서(文書): 중구(中區)(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정치(政治)
,
,
,
,
,
대한민국 국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선거구(選擧區)
국회휘장
중구(中區) (대전(大田))
중구(中區) 일원(一圓)
中區
Jung
국회선거구 중구(대전)
선거(選擧)인 수(數)
195,348명(名) (2024)
상위(上位) 행정구역(行政區域)
관할(管轄) 구역(區域)
[ 펼치기 · 접기 ]
중구(中區) 전역(轉役)
태평(太平)1동(棟), 태평(太平)2동(棟), 유천1동(棟), 유천2동(棟), 목동(木洞), 중촌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용두동, 오류동, 산성동, 문화(文化)1동(棟), 문화(文化)2동(棟), 은행(銀行)·선화동
신설년도(新設年度)
국회의원(國會議員)
zsdkl3gasdg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소선거구(小選擧區) 체제(體制) 이후(以後) 선거구(選擧區) 조정(調整)이 한 차례(次例)도 없이 중구(中區) 전(全) 지역(地域)을 담당(擔當)하고 있다. 현역(現役) 의원(議員)은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소속(所屬)의 박용갑 의원(議員)이다.

수도권(首都圈)/충청권(忠淸圈)의 구도심(舊都心) 지역구(地域區)가 으레 그렇듯 토박이(土박이) 주민(住民)들, 특히(特히) 중노년층(中老年層)의 비율(比率)이 매우 높아 보수세(保守勢)가 강(剛)한 선거구(選擧區)였다.

하지만 이후(以後) 민주당계(系) 정당(政黨) 소속(所屬) 구청장(區廳長) 및 국회의원(國會議員) 등(等)이 다수(多數) 당선(當選)되는 등(等) 현재(現在)는 민주당계(系) 정당(政黨)의 지지세도(支持勢度) 만만치 않아진 편(便)으로, 현재(現在) 두 정당(政黨)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지역구(地域區) 이기도 하다. [1]

특기(特記)할 만한 사항(事項)은 원도심(原都心)임에도 불구(不拘)하고 문화동 태평동 , 목동(木洞) , 중촌동 등(等)이 택지(宅地) 개발(開發)이나 재개발(再開發) 등(等)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어 인구(人口) 유입(流入)이 꾸준한 편(篇)에 집값 상승폭(上昇幅)도 가파라서 원도심(原都心)임에도 불구(不拘)하고 부동산(不動産) 표심(票心)이 상당히(相當히) 존재(存在)한다는 점(點)이다.

2. 역대(歷代) 국회의원(國會議員) 목록(目錄)과 선거(選擧) 결과(結果) [편집(編輯)]

총선(總選)
당선인(當選人)
당적(黨籍)
임기(任期)
제(第)13대(代)
신민주공화당 글자
1988년(年) 5월(月) 30일(日) ~ 1992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14대(代)
1992년(年) 5월(月) 30일(日) ~ 1996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15대(代)
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
1996년(年) 5월(月) 30일(日) ~ 2000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16대(代)
2000년(年) 5월(月) 30일(日) ~ 2004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17대(代)
열린우리당 로고타입
2004년(年) 5월(月) 30일(日) ~ 2008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18대(代)
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
2008년(年) 5월(月) 30일(日) ~ 2012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19대(代)
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
2012년(年) 5월(月) 30일(日) ~ 2016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20대(代)
2016년(年) 5월(月) 30일(日) ~ 2020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21대(代)
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2020년(年) 5월(月) 30일(日) ~ 2024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22대(代)
zsdkl3gasdg
2024년(年) 5월(月) 30일(日) ~
대전시(大田市) 중구(中區)
대전시(大田市) 중구(中區) 일원(一圓)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33,728
2위(位)
민주정의당 글자
25.92%
낙선(落選)
2
류동열(柳東烈)
3,104
4위(位)
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2.38%
낙선(落選)
3
신제철(申齊澈)
3,554
3위(位)
평화민주당 글자
2.73%
낙선(落選)
4
김홍만 (金洪萬)
87,925
1위(位)
신민주공화당 글자
67.58%
당선(當選)
5
민호기(閔浩基)
717
5위(位)
제3세대당
0.55%
낙선(落選)
6
류명규(柳明奎)
401
7위(位)
0.30%
낙선(落選)
7
이상열(李相烈)
665
6위(位)
0.51%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65,465
투표율(投票率)
79.24%
투표(投票) 수
131,108
무효표(無效票) 수
1,014
중구(中區)
대전(大田) 중구(中區) 일원(一圓) [대전(大田)중구]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김홍만 (金洪萬)
29,438
2위(位)
민주자유당 글자
21.99%
낙선(落選)
2
류인범 (柳寅範)
24,069
4위(位)
민주당(1991년) 로고타입
17.98%
낙선(落選)
3
송두영(宋斗永)
24,542
3위(位)
통일국민당 글자
18.34%
낙선(落選)
4
정희원 (鄭熙元)
2,164
7위(位)
신정치개혁당 글자
1.61%
낙선(落選)
5
46,533
1위(位)
34.77%
당선(當選)
6
박종배(朴鍾培)
2,957
6위(位)
2.20%
낙선(落選)
7
송재호(宋在浩)
704
8위(位)
0.52%
낙선(落選)
8
이선우(李先雨)
3,408
5위(位)
2.54%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90,538
투표율(投票率)
70.98%
투표(投票) 수
135,240
무효표(無效票) 수
1,425
중구(中區)
대전(大田) 중구(中區) 일원(一圓) [대전(大田)중구]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안양로(安亮老)
16,406
2위(位)
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
15.30%
낙선(落選)
2
신제철(申齊澈)
12,395
3위(位)
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
11.56%
낙선(落選)
3
김홍철(金洪哲)
4,598
5위(位)
민주당(1991년) 로고타입
4.29%
낙선(落選)
4
62,716
1위(位)
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
58.51%
당선(當選)
5
송재호(宋在浩)
551
9위(位)
대한민주당
0.51%
낙선(落選)
6
김종길(金鍾吉)
615
7위(位)
0.57%
낙선(落選)
7
김종길 (金洪萬)
4,532
6위(位)
4.22%
낙선(落選)
8
송두영(宋斗永)
4,799
4위(位)
4.47%
낙선(落選)
9
이종오(李鍾旿)
566
8위(位)
0.52%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81,079
투표율(投票率)
60.29%
투표(投票) 수
109,169
무효표(無效票) 수
1,991
중구(中區)
대전(大田) 중구(中區) 일원(一圓) [대전(大田)중구]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인창원 (印昌元)
15,610
3위(位)
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
17.09%
낙선(落選)
2
전성환 (全聖煥)
25.322
2위(位)
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27.73%
낙선(落選)
3
41,687
1위(位)
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
45.65%
당선(當選)
4
박천일 (朴天一)
1,609
5위(位)
민주국민당(2000년) 흰색 ...
1.76%
낙선(落選)
5
김준회 (金埈會)
1,366
6위(位)
희망의한국신당 흰색 로고타입
1.49%
낙선(落選)
6
신제철(申齊澈)
3,416
4위(位)
3.76%
낙선(落選)
7
이종오(李鍾旿)
1,108
7위(位)
1.21%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85,285
투표율(投票率)
49.91%
투표(投票) 수
92,481
무효표(無效票) 수
1,178
중구(中區)
대전(大田) 중구(中區) 일원(一圓) [대전(大田)중구]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38,457
2위(位)
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
33.43%
낙선(落選)
2
박천일 (朴天一)
3,507
4위(位)
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3.05%
낙선(落選)
3
권선택 (權善宅)
60,046
1위(位)
열린우리당 로고타입
52.20%
당선(當選)
4
박영철(朴永哲)
13,028
3위(位)
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
11.32%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200,140
투표율(投票率)
58.15%
투표(投票) 수
116,388
무효표(無效票) 수
1,350
지난 총선(總選)에서 자민련 후보(候補)로 당선(當選)된 강창희 의원(議員)은, 김종필(金鍾泌) 총재(總裁)와 당(黨)의 진로(進路) 및 새천년민주당(새千年民主黨)과의 공동정부(共同政府) 재구성(再構成)을 놓고 갈등(葛藤)을 빚는 바람에 한나라당으로 옮겨 갔다. 정치(政治) 신인(新人)인 권선택 후보(候補)는 예상(豫想) 외(外)의 큰 격차(隔差)인 18.8%차(差)로 지난번(지난番)까지 3번(番) 연속(連續) 중구(中區)에서 승리(勝利)를 거둔 거물(巨物) 강창희(姜昌熙) 후보(候補)를 꺾었다.

탄핵(彈劾) 후폭풍(後暴風) 및 노무현(盧武鉉) 대통령(大統領)의 행정수도(行政首都) 공약(公約)이 큰 도움이 되었다. 게다가 행정고시(行政考試) 수석(首席)에다가 청와대(靑瓦臺) 인사비서관(人士祕書官)을 역임(歷任)하는 등(等) 능력(能力)있는 관료(官僚) 출신(出身)임을 내세워 보수세(保守勢)가 강(剛)한 지역구(地域區)의 중도보수(中道保守) 표심(票心)까지 끌어모았다. 강창희 의원(議員)의 자민련 탈당(脫黨) 이후(以後) 이 지역(地域) 터줏대감(터主大監)인 자유민주연합(自由民主聯合)은 전혀(全혀) 힘을 쓰지 못했다. 자민련 후보(候補)도 11.3% 득표(得票)로 1, 2위(位) 후보(候補)에 한참 뒤진 3위(位)를 거뒀다.
중구(中區)
대전(大田) 중구(中區) 일원(一圓) [대전(大田)중구]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유배근 (柳培根)
10,811
3위(位)
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
11.46%
낙선(落選)
2
37,258
2위(位)
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
39.50%
낙선(落選)
3
권선택 (權善宅)
45,148
1위(位)
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
47.87%
당선(當選)
6
이현영(李現榮)
1,092
4위(位)
평화통일가정당 흰색 로고타입
1.15%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204,253
투표율(投票率)
46.17%
투표(投票) 수
95,095
무효표(無效票) 수
786
2006년(年)에 권선택 의원(議員)은 소속당(所屬黨)이 대전시장(大田市長) 전략공천(戰略公薦)을 한나라당을 탈당(脫黨)한 '굴러온 돌' 염홍철 시장(市長)에게 주자 당(黨)의 결정(決定)에 반발(反撥)하고 탈당(脫黨)을 감행(敢行)했다. 이후(以後) 심대평 전(前) 충남도지사(忠南道知事) 가 창당(創黨)한 국민중심당(國民中心當) 에 입당(入黨)했다. 그리고 심대평 전(前) 지사(知事)와 이회창(李會昌) 전(前) 한나라당 총재(總裁)가 힘을 합치자 자연(自然)스래 새로 창당(創黨)된 충청권(忠淸圈) 지역정당(地域政黨)인 자유선진당(自由先進黨) 소속(所屬)이 되었다.

한나라당은 지난 번(番)과 마찬가지로 강창희 전(前) 의원(議員)을 공천(公薦)했다. 비록 전국적(全國的)으로는 이명박(李明博) 대통령(大統領)의 압도적(壓倒的) 승리(勝利)로 한나라당 강세(强勢)가 예상(豫想)되었지만, 이명박(李明博) 대통령(大統領)이 서울시장(市長) 당시(當時) 충청권(忠淸圈) 행정수도(行政首都)를 반대(反對)했던 점(點) 때문에 자유선진당(自由先進黨)의 충청권(忠淸圈) 홀대론(忽待論)이 먹혔다.

마지막에 박근혜(朴槿惠) 전(前) 한나라당 대표(代表)가 유세(遊說)를 왔지만, 강창희(姜昌熙) 후보(候補)는 한나라당에 대(對)한 반감(反感)을 극복(克服)하지 못하고 다시 패배(敗北)했다. 민주당(民主黨) 유배근 후보(候補)가 낮은 득표(得票)를 한 것도 권선택 당선자(當選者)에게 호재(好材)가 되었다. 민주당 성향(性向)의 표(票)도 한나라당 당선(當選)을 막기 위해 권선택 후보(候補)에게 몰렸다고 해석(解釋) 가능(可能)하다.
중구(中區)
대전(大田) 중구(中區) 일원(一圓) [대전(大田)중구]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48,934
1위(位)
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
42.73%
당선(當選)
2
이서령(李瑞寧)
30,597
3위(位)
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
26.72%
낙선(落選)
3
권선택 (權善宅)
33,400
2위(位)
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
29.16%
낙선(落選)
6
남일(南壹)
1,572
4위(位)
정통민주당 초록 로고타입
1.37%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209,551
투표율(投票率)
54.99%
투표(投票) 수
115,241
무효표(無效票) 수
738
지난 두 번(番)의 총선(總選)을 거치면서 대전(大田) 중구(中區)의 민심(民心)은 '강창희(姜昌熙)를 찍는 보수표(保守票) 35-40%' vs '진보표(進步票) + 반강창희(反姜昌熙) 충청(忠淸) 지역정당(地域政黨) 지지(支持) 보수표(保守票) 55-60%' 로 정리(整理)할 수 있다. 권선택 후보(候補)가 17대(代), 18대(代)에 연거푸(連거푸) 승리(勝利)를 거둔 것은 후자(後者)를 인물론(人物論)과 선거(選擧) 당시(當時) 정세(情勢) 덕분(德分)에 결집(結集)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이番) 선거(選擧)에서는 이서령 후보(候補)가 인지도(認知度)가 한참 밀리는데도 불구(不拘)하고 '진보표(進步票) + 반강창희(反姜昌熙) 충청(忠淸) 지역정당(地域政黨) 지지(支持) 보수표(保守票) 55-60%' 를 권선택 후보(候補)와 정확히(正確히) 반(半)으로 가르면서 강창희(姜昌熙) 후보(候補)에게 승리(勝利)를 건넸다.

자유선진당(自由先進黨)의 무기력(無氣力)함과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를 8개월(個月) 앞두고 보수(保守) 대(對) 진보(進步) 구도(構圖)가 강(剛)해지면서 진보성향(進步性向)의 유권자(有權者)들이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에 소신(所信) 투표(投票)를 한 결과(結果)다. 강창희(姜昌熙) 후보(候補)도 지난 총선(總選)보다 3.2% 높은 득표(得票)를 하면서 어부지리(漁夫之利)로만 거둔 승리(勝利)가 아님을 어느 정도(程度) 입증(立證)했다.
중구(中區)
대전(大田) 중구(中區) 일원(一圓) [대전(大田)중구]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이은권 (李殷權)
48,465
1위(位)
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
41.64%
당선(當選)
2
송행수 (宋幸洙)
39,423
2위(位)
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33.87%
낙선(落選)
3
유배근 (柳培根)
25,663
3위(位)
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
22.05%
낙선(落選)
5
송미림(宋美林)
2,813
4위(位)
2.41%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209,037
투표율(投票率)
56.31%
투표(投票) 수
117,702
무효표(無效票) 수
1,338
현역(現役) 국회의원(國會議員)이던 강창희(姜昌熙) 전(前) 국회의장(國會議長)이 불출마(不出馬) 선언(宣言)을 함에 따라 [9] 새누리당(새누리黨) 측(側)에서는 강창희(姜昌熙) 국회의장(國會議長)의 보좌관(補佐官) 출신(出身)인 이은권 전(前) 중구청장(中區廳長)을 당협위원장(黨協委員長)으로 내정(內定)하여 본격적(本格的)인 선거전(選擧戰)에 돌입(突入)했다.

이은권 후보(候補)가 최근(最近) 2번(番)의 지방선거(地方選擧)에서 박용갑 현(現) 중구청장(中區廳長)에 의(依)해 연거푸(連거푸) 물을 먹은 상황(狀況)이라서 경쟁력(競爭力)이 떨어진다는 지적(指摘)도 있었지만, 정작 야권(野圈) 후보(候補)들도 하나같이 모두 인지도(認知度) 들이 바닥인 사람들인데다 당시(當時) 대전광역시장(大田廣域市長) 이던 권(卷)트램 의 실정(實情)과 결정적(決定的)으로 야권(野圈) 분열(分裂)이라는 호재(好材) 가 겹쳐 결국(結局) 이은권 후보(候補)의 당선(當選) 으로 이어졌다.
다만 낙선(落選)한 야권(野圈) 후보(候補)들의 득표율(得票率)이 이은권 당선인(當選人)의 득표율(得票率)을 뛰어넘는 수치(數値)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옛날에 비하면 보수색(保守色)은 생각보다 상당히(相當히) 옅어졌다고 볼 수 있다.
중구(中區)
대전(大田) 중구(中區) 일원(一圓) [대전(大田)중구]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66,295
1위(位)
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50.30%
당선(當選)
2
이은권 (李殷權)
63,490
2위(位)
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
48.17%
낙선(落選)
7
홍세영(洪世英)
1,996
3위(位)
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
1.51%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205,922
투표율(投票率)
64.83%
투표(投票) 수
133,505
무효표(無效票) 수
1,703
21대(代) 총선(總選) 대전(大田) 중구(中區) 개표(開票) 결과(結果)
정당(正當)
격차(隔差)
(1위(位)/2위(位))
투표율(投票率)
(선거인(選擧人)/표수(票數))
후보(候補)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66,295
(50.30%)
63,490
(48.17%)
+2,805
(△2.13)
64.83%
은행(銀行)선화동
52.00%
46.60%
△5.40
53.56
목동(木洞)
58.48%
40.33%
△18.15
70.32
중촌동
51.06%
47.36%
△3.70
64.23
대흥동
53.04%
45.46%
△7.58
60.69
문창동
45.94%
51.93%
▼5.99
59.74
석교동
45.45%
52.70%
▼7.25
57.96
대사동
42.41%
56.12%
▼13.71
57.47
부사동
45.47%
52.55%
▼7.08
58.81
용두동
51.44%
47.24%
△4.20
64.17
오류동
46.91%
51.83%
▼4.92
66.25
태평(太平)1동(洞)
53.14%
45.45%
△7.69
67.07
태평(太平)2동(洞)
47.15%
51.79%
▼4.64
68.12
유천1동(洞)
48.44%
50.24%
▼1.80
61.22
유천2동(洞)
44.21%
54.34%
▼10.13
63.75
문화(文化)1동(棟)
49.23%
49.65%
▼0.42
68.70
문화(文化)2동(棟)
47.61%
50.85%
▼3.24
62.78
산성동
47.13%
50.97%
▼3.84
57.45
후보(候補)
격차(隔差)
거소(居所)·선상투표(線上投票)
48.36%
46.27%
△2.09
관외사전투표(館外事前投票)
62.69%
35.26%
△27.43
국외부재자투표(國外不在者投票)
72.39%
26.12%
△46.27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황운하(黃雲夏) 경찰인재개발원장(警察人材開發院長) [11] 과 송행수 변호사(辯護士) [12] , 전병덕 변호사(辯護士) [13] 가 경선(競選)을 치렀다. 경선(競選) 결과(結果) 황운하(黃雲夏)가 1위(位)를 차지해 공천(公薦)되었다. 사실(事實) 이 결과(結果)는 민주당(民主黨)에게도 뜻밖이었는데, 일단(一旦) 중구(中區)는 원도심(原都心)으로 보수세(保守勢)가 만만치 않은 지역구(地域區) 라 가뜩이나 선거(選擧)도 힘든데, 아무리 민주당(民主黨) 지지자(支持者)들이 검찰개혁(檢察改革)에 대(對)한 강(剛)한 의지(意志)가 있다고 해도 황운하(黃雲夏)는 기소(起訴)된 피의자(被疑者)이고, 상술(詳述)했듯이 신분(身分)도 어정쩡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정치(政治) 신인(新人)에게 불리(不利)한 3자(字) 경선(競選)까지 치러졌는데도 불구(不拘)하고 이겨서 후보(候補)가 되었다. 나쁜 뉴스들로 유명(有名)해지긴 했지만, 아무튼 울산시장(蔚山市長) 선거개입(選擧介入) 의혹(疑惑) 보도(報道) 덕분(德分)에 생긴 전국적(全國的) 인지도(認知度) 의 덕(德)을 보았다. 또 정치신인(政治新人)으로서 20% 가산점(加算點)을 받는 행운(幸運)도 있었다. [14]

미래통합당(未來統合黨)은 지역구(地域區) 현역(現役) 의원(議員)인 이은권 이 재선(再選)에 나선다.

여담(餘談)으로, 황운하(黃雲夏)와 이은권은 서대전고등학교(西大田高等學校) 동문(同門)으로, 같은 시기(時期)에 각각(各各) 중부경찰서장(中部警察署長)과 중구청장(中區廳長)으로 있으면서 대전지역(大田地域) 대표적(代表的)인 윤락가(淪落街)인 유천동 환락가(歡樂街)를 폐쇄(閉鎖)시키는데 협력(協力)했던 인연(因緣)이 있다. #

여론조사(輿論調査)는 대체로(大體로) 접전(接戰)인 가운데서 황운하(黃雲夏)가 근소(僅少)하게 앞서는 것으로 나오고 있다. 황운하(黃雲夏)가 보수색(保守色)이 조금씩 옅어지는 중구(中區)에 깃발(旗발)을 꽂음으로써 대를린 장벽(障壁)을 넘을 수 있을지, 이은권이 막판 보수(保守) 결집(結集)을 통해 재선(再選)에 성공(成功)할지 주목(注目)된다.

특히(特히) 황운하(黃雲夏)의 무리(無理)한 수사(搜査)로 피해(被害)를 보았던 김기현(金起炫)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 남구(南區) 을 후보(候補)가 대전(大戰) 을 방문(訪問)해 이은권 후보(候補) 지원유세(支援遊說)를 하기도 했다. 이 과정(過程)에서 황운하(黃雲夏)를 향(向)해 " 조국(曺國) 을 능가(凌駕)하는 반칙(反則)과 특권(特權)의 소유자(所有者)", "권력(權力)의 하수인(下手人)이자, 가면(假面) 속에 숨은 맨 얼굴"이라고 디스 했다. #

출구조사(出口調査)는 이은권의 신승으로 나왔으나, 개표(開票) 초반(初盤)에 황운하(黃雲夏)가 리드하다가 후반(後半) 들어 혼전(混戰) 양상(樣相)으로 진행(進行)되더니 관외사전투표(館外事前投票)함이 개봉(開封)되며 표차(票差)를 벌려 최종적(最終的)으로 황운하(黃雲夏)가 승리(勝利)했다. 세부(細部) 결과(結果)를 분석(分析)해보면 황운하(黃雲夏)는 17개(個) 동(棟)들 중(中) 은행(銀行)선화동, 목동(木洞), 중촌동, 대흥동, 용두동, 태평(太平)1동(桐)에서만 이겼고 이은권이 나머지 12개(個) 동(棟)에서 이겼는데, 황운하(黃雲夏)는 각(各) 동(棟)들에서 표차(票差)를 더 크게 벌린 반면(反面)에 이은권은 그 표차(票差)가 근소(僅少)해서 크게 차이(差異)가 나지 않았다 [15] . 여기에 사전투표(事前投票)에서 3천표(千票) 넘게 벌려서 승부(勝負)가 갈린 것.

한편(한便) 김기현(金起炫) 도 울산(蔚山) 남구(南區) 을(乙)에서 당선(當選)되면서, 국회(國會)에서의 어색(語塞)한 만남이 성사(成事)되었다. 그리고 황운하(黃雲夏)는 '경찰(警察)이자 국회의원(國會議員) 당선인(當選人) '이란 이중신분(二重身分)을 계속(繼續) 유지(維持)하게 되어서 국회(國會)가 개원(開院)하면 겸직(兼職) 금지(禁止) 위반(違反)으로 국회법(國會法) 위반자(違反者)가 될 뻔했으나, 5월(月) 29일(日) 경찰청(警察廳)이 '조건부(條件附) 의원면직(依願免職)'을 결정(決定) 하여 [16] 국회의원(國會議員)으로서 의정(議政) 활동(活動)을 수행(遂行)할 수 있게 되었다.
중구(中區)
대전(大田) 중구(中區) 일원(一圓) [대전(大田)중구]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박용갑 (朴龍甲)
66,509
1위(位)
zsdkl3gasdg
52.08%
당선(當選)
2
이은권 (李殷權)
61,172
2위(位)
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
47.91%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95,348
투표율(投票率)
66.44%
투표(投票) 수
129,803
무효표(無效票) 수
2,122
22대(代) 총선(總選) 대전(大田) 중구(中區) 개표(開票) 결과(結果)
정당(正當)
격차(隔差)
(1위(位)/2위(位))
투표율(投票率)
(선거인(選擧人)/표수(票數))
후보(候補)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66,509
(52.08%)
61,172
(47.91%)
+5,337
(△4.17)
66.44%
은행(銀行)선화동 [18]
54.76%
45.23%
△9.53
57.02
목동(木洞)
60.11%
39.88%
△20.23
68.11
중촌동
52.06%
47.93%
△4.13
65.68
대흥동 [19]
54.12%
45.87%
△8.25
58.25
문창동
47.89%
52.10%
▼4.21
62.44
석교동
46.54%
53.45%
▼6.91
60.64
대사동 [20]
47.62%
52.37%
▼4.75
61.38
부사동
48.86%
51.13%
▼2.27
60.32
용두동
56.19%
43.81%
△12.38
65.14
오류동
48.17%
51.82%
▼3.65
67.26
태평(太平)1동(洞)
52.73%
47.26%
△5.47
67.77
태평(太平)2동(洞)
47.92%
52.07%
▼4.15
68.75
유천1동(洞)
49.58%
50.41%
▼0.83
63.12
유천2동(洞)
46.96%
53.03%
▼6.07
62.74
문화(文化)1동(棟)
50.98%
49.01%
△1.97
69.24
문화(文化)2동(棟)
48.05%
51.94%
▼3.89
65.14
산성동 [21]
48.18%
51.81%
▼3.63
59.70
후보(候補)
격차(隔差)
거소(居所)·선상투표(線上投票)
48.05%
51.94%
▼3.89
관외사전투표(館外事前投票)
64.13%
35.87%
△28.26
국외부재자투표(國外不在者投票)
70.65%
29.34%
△41.31
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
후보(候補)
격차(隔差)
전체(全體)
53.1%
46.9%
6.2%p
현역(現役) 황운하(黃雲夏) 의원(議員)은 선거(選擧)를 4달 앞둔 상황(狀況)에서 울산시장(蔚山市長) 선거개입(選擧介入) 사건(事件) 1심(審)에서 징역(懲役) 3년(年)을 선고(宣告)받아 출마(出馬)가 불투명(不透明)해졌고, 같은 날에 치러지는 중구청장(中區廳長) 재선거(再選擧)에 전략공천(戰略公薦) 가능성(可能性)이 높아지자 경선(競選)하지 않을 경우(境遇) 불출마(不出馬) 하겠다고 밝혔으며, 2024년(年) 2월(月) 26일(日) 공식적(公式的)으로 불출마(不出馬)를 선언(宣言)했다. [22]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에서는 박용갑 전(前) 중구청장(中區廳長)과 정현태 전(前) 충남대병원 상임감사(常任監事)가 경선(競選)을 치렀고, 박용갑 전(前) 구청장(區廳長)이 공천(公薦)을 받았다.

국민의힘(國民의힘) 에서는 4년(年) 전(前) 황운하(黃雲夏) 의원(議員)에게 석패(惜敗)한 이은권 전(前) 의원(議員)과 강영환 전(前) 국무총리비서실(國務總理祕書室) 공보협력비서관(公報協力祕書官)이 경선(競選)을 치뤘고, 이은권 전(前) 의원(議員)이 공천(公薦)을 받았다.

두 후보(候補)는 2006년(年) , 2010년(年) , 2014년(年) 지방선거(地方選擧) 중구청장(中區廳長) 선거(選擧)에서 경쟁(競爭)한 적이 있기에 이번(이番) 선거(選擧)가 4번째(番째) 대결(對決)이 된다.

대전(大戰) 내(內)에서 가장 보수적(保守的)인 지역(地域)인 만큼 접전(接戰)이 예상(豫想)되었으나 여론(輿論) 조사상(調査上) 박용갑 후보(候補)의 우세(優勢)가 점쳐졌고, 개표(開票) 결과(結果) 박용갑 후보(候補)가 여론(輿論) 조사(調査)만큼 격차(隔差)를 벌리진 못했지만 개표(開票) 대부분(大部分)의 시간(時間) 동안 앞서나가며 승리(勝利)하였다.

한편(한便) 이번(이番) 총선(總選)과 같이 치뤄진 중구청장(中區廳長) 재보궐선거(再補闕選擧) 역시(亦是) 국민(國民)의힘은 귀책(歸責) 사유(事由)로 후보(候補)를 내지 않았지만, 사실상(事實上)의 여권(與圈) 후보(候補)인 무소속(無所屬) 이동한 후보(候補)를 상대(相對)로 민주당 후보(候補) 가 승리(勝利)하면서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은 대전(大田)에서 완승(完勝)을 거뒀다.

중구(中區)는 대전(大田)의 다른 선거구(選擧區)에 비해서는 과학기술(科學技術) 예산(豫算) 삭감(削減)의 영향력(影響力)은 적으나, 의대(醫大) 정원(定員) 확대(擴大) 로 인해 항상(恒常) 압승(壓勝)을 거두었던 충남대학교병원(忠南大學校病院) 이 있는 대사동(臺詞棟)에서 표차이(票差異)가 5%내(內)로 줄어들었다.

게다가 정치(政治)저관심층(關心層)들이 재보궐선거(再補闕選擧)가 같이 있으면 같은 정당(政黨)에 몰아주는 줄투표(投票)를 하는만큼 공식적(公式的)인 국민(國民)의힘 소속(所屬) 후보(候補)가 없어 악영향(惡影響)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은권은 이번(이番) 선거(選擧)에서 패배(敗北)하면서 박용갑에게 1승(勝) 3패(敗)째를 기록(記錄) 하게 됐고, 대전(大田)에서 제일(第一) 보수정당(保守政黨) 지지세(支持勢)가 강(强)하다고 평가(評價)받는 이 지역구(地域區)에서 총선(總選)을 연패(連霸)하면서 경쟁력(競爭力)의 문제(問題)를 드러내면서 향후(向後) 정치(政治) 인생(人生)이 불투명(不透明) 해졌다.

반면(反面)에 지역구(地域區) 현역(現役) 황운하(黃雲夏) 의원(議員)은 3월(月) 8일(日) 민주당을 탈당(脫黨)하고 조국혁신당(曺國革新黨) 으로 이적(移籍)해서 비례대표(比例代表) 8번(番)으로 공천(公薦)받아 재선(再選) 에 성공(成功)하였다.
[1] 박용갑 前 구청장(區廳長)이 민주당으로 당적(黨籍)을 옮긴 후(後) 두번(番) 더 당선(當選)되었으며, 2020년(年) 제(第)21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에서는 황운하(黃雲夏) 후보(候補)가 당선(當選)되면서 16년(年)만에 국회의원직도(國會議員職度) 민주당(民主黨)이 되찾았다. 하지만 이후(以後) 2022년(年) 제(第)20대(代)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에서는 국민(國民)의힘 윤석열(尹錫悅) 후보(候補)가 대전(大田) 시내(市內) 최다(最多) 득표율(得票率)을 기록(記錄)하였고, 연(連)이은 중구청장(中區廳長) 선거(選擧) 역시(亦是) 국민(國民)의힘 김광신 이 당선(當選)되면서 보수(保守) 강세(强勢) 지역(地域)구로 회귀(回歸)하는 듯 했으나, 김광신은 공직선거법(公職選擧法) 위반(違反)으로 이듬해 가을에 구청장직(區廳長職)을 상실(喪失)했고, 2024년(年) 제(第)22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와 재보궐선거(補闕選擧)에서는 민주당 박용갑 후보(候補)와 역시(亦是) 민주당 김제선 후보(候補)가 독식(獨食)하는 등(等) 현재(現在) 팽팽히 맞서고 있다. [대전(大田)중구] 2.1 2.2 2.3 2.4 2.5 2.6 2.7 2.8 2.9 태평(太平)1동(棟), 태평(太平)2동(棟), 유천1동(棟), 유천2동(棟), 목동(木洞), 중촌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용두동, 오류동, 산성동, 문화(文化)1동(棟), 문화(文化)2동(棟), 은행(銀行)·선화동 [9] 보통(普通) 국회의장(國會議長)은 퇴임(退任) 이후(以後) 다음 선거(選擧)에 출마(出馬)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정계(政界)를 떠나는 것이 관례(慣例)이다. [11] 원래(元來) 명예퇴직(名譽退職) 예정(豫定)이었으나, 수사(搜査)를 당(當)하면서 명예퇴직(名譽退職)과 의원면직(依願免職) 둘 다 불가능(不可能)해졌다. "사표(辭表)를 낸 시점(時點)부터 출마(出馬) 가능(可能)"이라는 선관위(選菅委) 유권해석(有權解釋)을 받아서 출마(出馬)했다. [12] 20대(代) 총선(總選) 때 민주당 후보(候補)였고, 전(全) 지역위원장(地域委員長)이기도 하다. 검사(檢事)로 근무(勤務)한 적이 있었다. [13] 청와대(靑瓦臺) 법무비서실(法務祕書室) 행정관(行政官) 근무(勤務). [14] 송행수 예비후보(豫備候補)는 4년(年) 전(前)에 출마(出馬)했기 때문에 가산점(加算點)을 받지 못했다. [15] 황운하(黃雲夏) 동(桐) 합계(合計) 3324표(票), 이은권 3788표(票). [16] 의원면직(依願免職)하되 경찰공무원(警察公務員) 정년(停年)인 60세(歲)가 되는 해인 12월(月) 31일(日) 까지 형사재판(刑事裁判)에서 유죄판결(有罪判決)이 확정(確定)된다면 경찰(警察) 신분(身分)으로 돌아가 징계(懲戒)받는 것. [18] 법정동(法定洞) 은행동 + 선화동. 2013년(年)까지 충남도청(忠南道廳) 이 있었고, 은행동 번화가(繁華街)가 있는 원도심(原都心). [19] 은행동 번화가(繁華街)가 있는 원도심(原都心) [20] 충남대학교병원(忠南大學校病院) 이 있는 동네(洞네). [21] 법정동(法定洞) 산성동 · 사정동 · 안영동 + 구(區) 대덕군 산내면(서부(西部)) [22] 현실적(現實的)으로 1심(審)에서 뒤집기 어려운 징역(懲役) 3년(年)을 선고(宣告)받았고, 대전(大田)에서 제일(第一) 보수적(保守的)인 지역구(地域區)인만큼 출마(出馬)해도 당선(當選)을 장담(壯談)할 수 없는데다가, 출마(出馬)해서 당선(當選)되더라도 민주당 귀책사유(歸責事由)로 직(職)을 상실(喪失)하면 되찾기 어렵기 때문에 출마(出馬)가 어렵지 않겠냐는 압박(壓迫)과 고민(苦悶)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推定)되며, 이 때문에 중구청장(中區廳長) 전략공천(戰略公薦)을 막지 못했다는 명분(名分)으로 불출마(不出馬)한 것으로 보인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