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종합대학(綜合大學) - 나무위키

종합대학(綜合大學)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분류(分類)
다른 뜻 아이콘  
유니버시티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모바일 게임 도미네이션즈의 건물(建物)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유니버시티(도미네이션즈)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1 . 개요(槪要) 2 . ' 대학(大學) '과 ' 대학교(大學校) '
2.1 . 교육법(敎育法) 시행(施行) 2.2 . 고등교육법(高等敎育法) 시행(施行)
3 .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 에서의 명칭(名稱)
3.1 . 한국(韓國) 3.2 . 외국(外國)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종합대학(綜合大學) (綜合大學, University)이란 3개(個) 이상(以上)의 단과대학(單科大學) 들로 이루어진 대학(大學) 으로, 다양한 학문(學問) 영역(領域)을 교육(敎育)·연구(硏究)하는 대학(大學)이다. 하나의 학문(學問) 영역(領域)을 교육(敎育)·연구(硏究)하는 대학(大學)을 단과대학(單科大學) 이라고 하며, 단과대학(單科大學)의 장(腸)은 학장(學長) , 종합대학(綜合大學)의 장(腸)은 총장(總長) 으로 구분(區分)했었다. 애초(애初)에 종합대학(綜合大學)과 단과대학(單科大學)은 'University'와 ' College '를 번역(飜譯)한 말이다. 우리가 아는 대학교(大學校)가 바로 이 종합대학(綜合大學)이다. 종합대학교(綜合大學校)는 “연구(硏究)와 교육(敎育)의 융화(融和)”라는 설립이념(設立理念)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독창적(獨創的)인 연구(硏究) 성과(成果)들로 인해 국제적(國際的)으로 큰 명성(名聲)을 누린다. 대학(大學)은 실용성(實用性)을 추구(追求)하는 동시(同時)에 학제간(學際間) 연구(硏究) 와 국제적(國際的) 교류(交流)를 중시(重視)하며 연구기관(硏究機關)이나 다국적(多國籍) 기업(企業) 과 다양한 형태(形態)의 산학(算學) 협력(協力) 체계(體系)를 구축(構築)하고 있다. 이러한 학업(學業) 환경(環境) 속에서 학생(學生)들은 독립적(獨立的)이고 비판적(批判的) 사고(事故)가 뒷받침 되는 학문(學問)을 하게 된다.

2. ' 대학(大學) '과 ' 대학교(大學校) ' [편집(編輯)]

근대(近代) 서양(西洋) 문물(文物)이 들어올 때 번역어를 만든 일본(日本) 중국(中國) 은 공히(共히) University의 번역어로 대학(大學) [1] 을 사용(使用)했고 이는 우리나라를 포함(包含)해 동아시아(東아시아)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 에서 동일(同一)하게 차용(借用)되었다. 그런데 현재(現在)까지 베트남 을 포함(包含)한 다른 나라들이 전부(全部) 대학(大學) 을 쓰고 있는 데 반(反)해 한국(韓國)만 대학교(大學校) 로 쓰게 된 배경(背景)에는 국대안 파동(波動) 이 자리하고 있다.

원래(元來) 해방(解放) 이전(以前)까지는 대학(大學)과 학교(學校)의 합성어(合成語)로 '대학교(大學校)'가 간혹(間或) 쓰인 용례(用例)가 있을지 몰라도 'University'를 지칭(指稱)하는 용어(用語)는 공식적(公式的)으로 '대학(大學)'만(萬) 사용(使用)되었다. 일본제국(日本帝國) 에는 '제국(帝國) 대학(大學) 령(令)'에 의거(依據) 설립(設立)된 제국대학(帝國大學) '대학(大學) 령(令)'(1918)에 준거(遵據)한 관립대학(官立大學) 과 공립(公立)/사립(私立) 대학(大學) 이 그것이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를 통틀어 한반도(韓半島) 에 존재(存在)한 대학(大學)은 경성제국대학 ( Keijo Imperial University ) 뿐이었으며, 연세대(延世大) 의 전신(前身)인 연희전문학교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醫學專門學校) , 고려대(高麗大) 의 전신(前身)인 보성전문학교 등(等)의 학교(學校)는 '대학(大學)'이 아니라 ' 전문학교(專門學校) '였다. [2] 그리고 해방(解放) 직후(直後)인 1945년(年) 에도 경성제대(京城帝大)는 교명(校名)에서 '제국(帝國)'을 뺀 경성대학(서울대학(大學))을 칭(稱)했고 구제전문학교(救濟專門學校) 들도 미군정(美軍政) 하(下)에서 개강(開講)하면서 신제대학(神制大學)(新制大學) 인가(認可)를 받기도 전(前)에 이미 대학(大學) 이라 칭(稱)하고 있었다.
건국동량(建國同量)의 요람(搖籃), 대학(大學)으로 승격(昇格)되는 24 남자대학(男子大學)(동아일보(東亞日報), 1946.05.20)

우리 육영계(育英系)의 반가운 소식(消息)은 9월(月) 신학기(新學期)부터 28개(個) 관공(官公) 남녀(男女) 사립전문학교(私立專門學校)가 대학(大學) 으로 승격(昇格)되므로 더 한층(한層) 빛을 발(發)하고 있다. 이리하여 문과계통(文科系統)은 4년제(年制) 대학(大學)으로, 자연과학(自然科學) 계통(系統)은 6년제(年制) 대학(大學)으로 이름을 고치는 동시(同時)에, 내용(內容) 충실(充實)을 도모(圖謀)하고 있다. 이리하여 새로 나타나게 되는 대학(大學)은 서울대학(大學)을 제외(除外)하고 관공립전문학교(官公立專門學校)가 대학(大學)으로 된 것이 14교(橋), 민립대학(民立大學)이 9교(校)이고, 여자대학(女子大學) 만도 이화대학을 비롯하여 여자사범(女子師範), 여자의과(女子醫科), 숙명여자대학(淑明女子大學) 등(等) 5교(校)나 된다. 그리고 입학시험(入學試驗)은 제(第)1기(期)로 7월(月) 1일(日)부터 4일(日) 간(間), 제(第)2기(期)로 7월(月) 13일(日)부터 4일(日) 간(間) 각기(各其) 모집(募集)하는데 금년(今年)은 기왕에(旣往에) 이 학교(學校) 저 학교(學校) 시험(試驗) 치던 폐단(弊端)까지 없이 하고, 다만 두 번(番)만 수험(受驗)할 수 있게 하는 제도(制度)를 제정(制定)하여 학도(學徒)의 불타는 연학(硏學)의 좁은 길을 열어주기로 하였다.

이미 결정(決定)된 대학(大學) 중(中)에 가장 그 이름부터 특이(特異)한 학교(學校)는 보성전문이 고려대학(高麗大學)이라 한 것이고, 그밖에는 대개(大槪) 전(全) 교명(校名)을 단과대학(單科大學)으로만 고쳤다. 연희전문은 종합대학(綜合大學)으로, 중앙전문(中央前文)은 중앙여자대학(中央女子大學)으로 각각(各各) 승격준비(昇格準備)를 하는 등(等) 각(各) 학교(學校)는 아연(俄然) 활기(活氣)를 띄우고 있는 터이다.

이제 각(各) 대학(大學)의 시험기일(試驗期日) 모집인원(募集人員) 등(等)을 조사소개(調査紹介)하면 다음과 같다.

제(第)1기(期) 시험(試驗)(7월(月) 1일(日)/4일(日))
경성대학 (전(前) 성대(成大)) 예과(豫科) 문과(文科) 120명(名)(국사(國史)/한문(漢文)) 이과갑(理科甲) 160명(名)(화학(化學)/물리(物理)) 이과(理科)을12명(화학/생물)
고려대학(高麗大學) 예과(豫科)(전(前) 보전(保全)) 법(法)과 경제과(經濟科) 문(門)과 각(各) 100명(名) 문과(文科) 2년(年) 보결(補缺) 약(約) 60명(名)
경성의과대학(京城醫科大學) (전(前) 경성의전(京城儀典)) 동(桐) 예과(豫科) 100명(名)(물리화학(物理化學)) 전문부(專門部) 100명(名)(동일(同一))
승격준비중(昇格準備中)인 학교(學校)
대구농업대학(大邱農業大學) (전(前) 대구농전(大邱膿栓))
광주의과대학(光州醫科大學) (전(前) 광주의전(光州義展))
경성광산대학(京城鑛山大學) (경성광전(京城光電))
대구사범대학(大學) (대구사범)
경성법과대학(京城法科大學) (법전(法典))
경성여자의과대학(京城女子醫科大學) (경성여자의전(京城女子儀典))
숙명여자대학(淑明女子大學) (숙전(熟田))
경성약학대학(京城藥學大學) (약전(略傳))

제(第)2기시험(基試驗)(7월(月)7일(日)/13일(日))
세브란스의과대학(醫科大學) (전(前) 세의전(歲儀典)) 대학예과(大學豫科) 100명(名)(물리(物理)/화학(化學)/생물(生物)) 전문부(專門部) 80명(名)(동일(同一))
연희종합대학(演戱綜合大學) (전 연희전(演戱展)) 문과(文科) 예과(豫科) 정치과예과(政治科豫科) 경제과예과(經濟科豫科) 외교과예과(外交科豫科) 수리과예과(科豫科)
경성사범대학(大學) (전(前) 경사(警査)) 동예(東濊)과 문과(文科) 150명(名) 이과(理科) 150명(名) 동학부(東學部) 교육(敎育)과 국문과(國文科) 사학과(史學科) 영문과(英文科) 체육과(體育科)(이상(以上) 각(各) 40명(名))
경성여자사범대학(京城女子師範大學) (전(前) 여사(女史)) 국문과예과(國文科豫科) 영문과예과(英文科豫科) 역사과예과(歷史科豫科) 교육과예과(敎育科豫科) 가사과예과(家事科豫科) 미술과(美術科)(신설준비(新設準備)) 이상(以上) 각과(各科) 50명(名)
경성경제대학(京城經濟大學) (전 고상(高尙) ) 예과(豫科) 100명(名) 전문부(專門部) 200명(名) 동(桐) 각학년(各學年) 보결생(補缺生) 약간(若干)
경성치과대학(京城齒科大學) (전 치전(致奠)) 예과(豫科) 전문부(專門部)
이화대학 (전(前) 이전(以前)) 문과예과(文科豫科) 음악과예과(音樂科豫科) 가사과예과(家事科豫科) 미술과예과(美術科豫科) 보육과예(保育果銳)과 약학과예과(藥學科豫科) 의학과예과(醫學科豫科)(각(各) 모집인원(募集人員) 미정(未定))
승격준비중(昇格準備中)인 학교(學校)
수원농림대학(水原農林大學) (수원고농(水原高農))
대구의과대학(大邱醫科大學) (대구의전(大邱儀典))
경성공과대학(京城工科大學) (경성고공)
부산수산대학(釜山水産大學) (부산수산전문(釜山水産專門))
혜화대학(大學) (혜화전문(專門))

그런데 이 무렵 미군정(美軍政) 에서는 국대안 을 기획(企劃)하였다. 이보다 앞서 초기(初期)에 미군정청(美軍政廳) 학무국(學務局)에서는 법문학부(學部), 의학부(醫學部), 이공학부(理工學部)의 3학부(學部)으로 구성(構成)된 경성대학(서울대학(大學))의 법문학부를 법학부(法學部)와 문학부(文學部)로, 이공학부(理工學部)를 이학부(理學部)와 공학부(工學部)로 각각(各各) 분리(分離)하고 농학부(農學部)와 교육학부(敎育學部)를 추가(追加) 설치(設置)하여 7학부(學部)의 종합대학(綜合大學)으로 확장(擴張)한다는 종대안(種代案) 의 구상(構想)이 제시(提示)된 바 있었다. 이 종대안(鐘代案)이 계획(計劃)대로 실현(實現)되었다면 경성대학(京城大學) 외(外)의 경성의학전문학교 , 경성공전(京城空轉) , 경성법전(京城法典), 경성경전(京城經典) , 수원농전(水原農展) 등(等)의 각(各) 전문학교(專門學校)는 일본(日本) 의 사례(事例)처럼 [3] 개별(個別) 단과대학(單科大學)으로 발전(發展)했을 것이다.

그러나 일본(日本) 유럽 으로부터 도입(導入)한 舊학제(學制) 대학(大學) 엘리트 교육(敎育) 시스템에 대(對)한 반감(反感)을 갖고 있었던 미군정(美軍政)은 학제(學制)를 완전히(完全히) 미국식(美國式)으로 뜯어고치기로 결정(決定)하고 소학교(小學校) 구제중학교(救濟中學校) 의 수학기간(數學期間)을 1년(年)씩 연장(延長)하는 대신(代身) 3년제(年制) 경성제국대학 예과(豫科) 를 폐지(廢止)하고 교양교육(敎養敎育) 을 강조(强調)하는 4년제(年制) 신제대학(新制大學)으로 바꾸어버렸다. 조선(朝鮮)의 미군정(美軍政) 을 통할(統轄)하던 도쿄의 GHQ 는 일본(日本)에서도 동일(同一)한 교육(敎育) 개혁(改革)을 실시(實施)하였고 모든 구제대학(救濟大學) 을 신제대학(新制大學)으로 개편(改編)함과 동시(同時)에 각(各) 도도부현 고등교육기관(高等敎育機關) 을 일원화(一元化)한다는 1縣1校 정책(政策)을 펼쳤다. 이 때 각(各) 지방(脂肪) 에 있던 제국대학(帝國大學) 관립대학(官立大學) 에 縣內의 구제전문학교(救濟專門學校) 및 사범학교(師範學校) 등(等)을 모두 흡수시켜 통폐합(統廢合)하였고, 縣外에서는 구제전문학교(救濟專門學校) 와 사범학교(師範學校) 등(等)을 전부(全部) 통합(統合)해서 이른바 에키벤 [도시락] 대학(大學)이라 불리는 신제대학(申制大學)이 우후죽순(雨後竹筍) 신설(新設)되었다.

조선(朝鮮)에서도 구제대학(救濟大學)이었던 경성제국대학 서울 과 근교(近郊)( 수원(水原) ) [수원농전(水原農展)] 의 관공립(官公立) 전문학교(專門學校) 를 통합(統合)하여 마치 오늘날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州立大學校) 시스템 과 같이 거대(巨大)한 대학(大學) 연합체(聯合體)를 설립(設立)하겠다는 국(國) 립서울 대(臺) 학교(學校) , 바로 국대안 을 수립(樹立) 시행(施行)하게 되었다.
최고학부(最高學府)를 통합개편(統合改編), 9월(月) 신학기(新學期)부터 실시(實施). (동아일보, 1946.07.14)

교육균등(敎育均等)의 새로운 이념(理念) 아래 문교부에서는 앞서 제정(制定)한 신(神) 교육제도(敎育制度)에 마쳐, 기왕(旣往)의 서울대학과(學科) 도내(道內)의 각종(各種) 관립전문(官立專門)(예외(例外)로 치과의전도(齒科醫顚倒) 포함(包含))학교(學校)를 통틀어 종합대학(綜合大學)인 국립(國立) 서울대학교로 기구(機構)와 내용(內容)을 고쳐 9월(月) 신학기(新學期)부터 새로운 출발(出發)을 짓게 되었다.
즉(卽), 새로운 대학(大學) 제도(制度)는 국립대학교(國立大學校)의 총칭(總稱) 아래 문리과(文理科)/사범(師範)/법(法)과/상과/공과/의과/치과/농과/예술과 등(等) 9개(個)의 단과대학(單科大學)과 한 개(個)의 대학원(大學院)을 두어 유기적(有機的)인 연락(連絡) 밑에 운영(運營)되는 것이다.
이는 9월(月) 신학기(新學期)부터 실시(實施)되는데 현존(現存)한 서울대학은 물론(勿論) 각종(各種) 전문학교(專門學校)는 시설(施設)이 그대로 이관(移管)되는 동시(同時)에, 종전(從前)의 전문(前文)은 전문(專門)으로서, 신입생(新入生)만은 신제도(新制度)에 의(依)하여 교육(敎育)을 받게 될 것이다.

그리고 단과대학(單科大學)은 대략(大略) 다음과 같이 개편(改編)되며, 지금(只今) 문제(問題)되어 있는 서울대학(大學) [6] 의학부(醫學部), 경성의전(京城儀典) 합병문제(合倂問題)도 합병(合倂)이 아니라 기구(機構)의 개편(改編)으로 해석(解釋)된다고 할 것이다.
-9개(個) 단과대학명(單科大學名)=
문리과대학(文理科大學)(경대(鏡臺) 예과(豫科)와 경대(鏡臺) 문학부(文學部), 이공학부(理工學部)의 일부(一部)가 주체(主體))
사범대학(師範大學)(경사(傾斜)와 경여사(警女史))
법과대학(法科大學)(법전(法典))
상과대학(商科大學)(경제전문(經濟專門))
공과대학(工科大學)(고공(高空)과 광전(光電) 일부(一部))
의과대학(醫科大學)(경대(鏡臺) 의학부(醫學部)와 경의전(敬意戰))
치과대학(齒科大學)(사립(私立) 경성치전)
농과대학(農科大學)(수원농전(水原農展))
예술대학(藝術大學)(신설(新設)로서 미술(美術)과 음악(音樂)을 전공(專攻)) 등(等) 9종(種)이다.

제국(帝國)의 최고학부(最高學部)였던 경성제국대학 은 물론(勿論)이고 각자(各自) 나름 College 를 칭(稱)하며 구제대학(救濟大學) 승격(昇格)을 바라던 구제전문학교(救濟專門學校) 의 격한 반발(反撥)은 당연(當然)한 것이었다. 여기에 좌우익(左右翼)의 대립(對立) 까지 맞물려 개교(個校) 자체(自體)가 아예 불가능(不可能)할 정도(程度)로 난리(亂離)가 났고( 국대안 파동(波動) ), 미국식(美國式) 학제(學制) 대로 9월(月) ( 1학기(學期) )- 3월(月) ( 2학기(學期) ) 도입(導入)이 아니라 일본식(日本式) 가을학기인(學期人) 10월(月) 초(初)에도 개강(開講)이 어려워 [7] 아예 1년(年)이 지나 이듬해인 1947년(年) 이 되어서야 서서히(徐徐히) 대학(大學)들의 개강(開講)이 이루어졌을 정도(程度)라고 하니 그 수준(水準)을 짐작(斟酌)할 수 있게 한다. 이런 사태(事態)가 예상(豫想)되는 상황(狀況)에서 기존(旣存)에 이미 대학(大學)을 자칭(自稱)하고 있던 구제전문학교(救濟專門學校) 들을 경성대학(서울대학(大學))에 통합(統合)하면서 구제대학(救濟大學) 소속(所屬) Faculty(유럽식(式))로 번역(飜譯)되던 학부(學部) 로 삼았다가는... 더 이상(以上)의 자세(仔細)한 설명(說明)은 생략(省略)한다 가 발생(發生)할 것이 불 보듯 뻔했던 데다가, 미군정(美軍政) 의 당초(當初) 의도(意圖) 역시(亦是)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州立大學校) 시스템 처럼 미국식(美國式) 주립대학(州立大學) 으로 국립대학교(國立大學校) 를 만들고 그 총칭하(總稱下)에 각(各) 대학(大學)들을 두려는 것이었으므로 각(各) 구제전문학교(救濟專門學校) 들이 칭(稱)하고 있던 대학(大學) 명칭(名稱)을 그대로 두고 단과대학(單科大學)으로 삼아 각자(各自) 캠퍼스까지 유지(維持)한 상태(狀態)로 법제(法制)/행정적(行政的)으로 서울대학에 통합(統合)시켜 서울 대학교(大學校) 를 만들게 된다. [8]

이렇게 국대안 파동(波動) 으로 생겨난 대학교(大學校) 용어(用語)가 고려대학(高麗大學) 연희대학(演戱大學) 등(等) 여타(餘他) 대학(大學)으로 퍼지면서 종합대학(綜合大學)(University)= 대학교(大學校) , 학부(學部) (College [미국식(美國式)] /Faculty [유럽식(式)] )= 단과대학(單科大學) 의 용례(用例)가 규준(規準)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것이 1949년(年) 교육법(敎育法)(법률(法律) 제(第)86호(號)) 제정시(制定時) 반영(反映)되어 단과대학(單科大學)인 대학(大學)과 종합대학(綜合大學)인 대학교(大學校)의 구분(區分)이 법제화(法制化)되었으며, 해당(該當) 조문(條文)이 없어진 이후(以後)에는 2 ~ 3년제(年制) 전문대학인(專門大學人) 대학(大學)과 4년제(年制) 대학(大學)인 대학교(大學校)로 구분(區分)되었고, 고등교육법(高等敎育法)이 개정(改正)되면서 다시 대학(大學)과 대학교(大學校)의 구분(區分)이 사라졌다. 물론(勿論) 이것은 어디까지나 교명(校名)에서의 호칭(呼稱)을 말하고, 종합대학(綜合大學)에 소속(所屬)된 하위(下位) 단위(單位)의 단과대학(單科大學)은 항상(恒常) '대학(大學)'으로 칭(稱)하므로, 'OO대학교(大學校) OO대학(大學)'과 같은 계층적(階層的) 구분(區分)은 남아 있다.

2.1. 교육법(敎育法) 시행(施行) [편집(編輯)]

교육법(敎育法) 제(第)109조(條) (시행(施行) 1991.6.20.)
대학(大學)은 대학(大學)(단(段)과)과 대학교(大學校)(종합(綜合))의 2종(種)으로 한다.
대학교(大學校)에는 3개이상(個以上)의 단과대학(單科大學)과 대학원(大學院)을 둔다.
③단과대학(單科大學)(대학교(大學校)의 단과대학(單科大學)을 제외(除外)한다)에도 대학원(大學院)을 둘 수 있다.

1949년(年) 교육법(敎育法) 제정(制定) 당시(當時)부터 1991년(年)까지 법률상(法律上)으로 단과대학(單科大學)은 '대학(大學)', 3개(個) 이상(以上)의 단과대학(單科大學) 대학원(大學院) 으로 구성(構成)된 종합대학(綜合大學)은 '대학교(大學校)'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대학교(大學校)가 대학(大學)보다 규모(規模)가 크고 우수(優秀)한 학교(學校)라는 인식(認識)이 자리잡게 되었다.
교육법(敎育法) (시행(施行) 1991.12.31)
제(第)109조(條) (대학(大學)의 명칭등(名稱等)) 대학(大學) (교육대학(敎育大學) 및 사범대학(師範大學)을 포함(包含)한다) 의 명칭(名稱)은 대학(大學) 또는 대학교(大學校)로 하되 , 국립(國立)인 경우(境遇)에는 대통령령(大統領令)으로, 공립(公立)인 경우(境遇)에는 당(當)해 지방자치단체(地方自治團體)의 조례(條例)로, 사립(私立)의 경우(境遇)에는 당(當)해 학교법인(學校法人)의 정관(定款)으로 정(定)한다.
②대학(大學)에 대학원(大學院)을 둘 수 있다.

이후(以後) 1991년(年) 12월(月) 31일(日), 이런 형식적(形式的) 구분(區分)에 따른 교육제도운영상(敎育制度運營上)의 불합리(不合理)한 점(點)을 개선(改善)한다는 취지(趣旨)로 교육법(敎育法)을 개정(改正)하면서, 단과대학(單科大學)과 종합대학(綜合大學)의 구분(區分)이 사라졌고, 종합대학(綜合大學)의 정의(定義)도 삭제(削除)되어 더는 법률상(法律上)의 개념(槪念)이 아니게 되었다. 이때 거의 모든 대학(大學)들이 교명(校名)을 대학교(大學校)로 바꾸었다. 물론(勿論) 경찰대학(警察大學) 같은 예외(例外)도 있었다. [11] 그런데 이때까지도 전문대학(專門大學) 만큼은 '대학교(大學校)'라는 명칭(名稱)을 사용(使用)할 수 없어, '대학(大學)'과 '대학교(大學校)'는 '2 ~ 3년제(年制)'와 '4년제(年制)'로 여전히(如前히) 구분(區分)되는 개념(槪念)이었다.

2.2. 고등교육법(高等敎育法) 시행(施行) [편집(編輯)]

고등교육법(高等敎育法) (시행(施行) 1998.3.1)
제(第)18조(條) (학교(學校)의 명칭(名稱)) ①학교(學校)의 명칭(名稱)은 국립학교(國立學校)의 경우(境遇)에는 대통령령(大統領令)으로 정(定)하고, 공립학교(公立學校)의 경우(境遇)에는 당(當)해 지방자치단체(地方自治團體)의 조례(條例)로 정(定)하며, 사립학교(私立學校)의 경우(境遇)에는 당(當)해 학교법인(學校法人)의 정관(定款)으로 정(定)한다.
②제(第)1항(項)의 규정(規定)에 의(依)하여 명칭(名稱)을 정(定)함에 있어 당(當)해 학교(學校) 설립목적(設立目的)의 특성(特性)을 나타내기 위하여 대통령령(大統領令)이 정(定)하는 범위(範圍)안에서 제(第)2조(條)의 규정(規定)에 의(依)한 학교(學校)의 종류(種類)와 다르게 사용(使用)할 수 있다 .
고등교육법(高等敎育法) 시행령(施行令) (시행(施行) 1998.3.1)
제(第)8조(條) (학교(學校)의 명칭(名稱)) ①법(法) 제(第)18조제(條第)1항(項)의 규정(規定)에 의(依)한 국립학교(國立學校)의 명칭(名稱)은 따로 대통령령(大統領令)으로 정(定)한다.
②법(法) 제(第)18조제(條第)2항(項)의 규정(規定)에 의(依)하여 학교(學校)의 명칭(名稱)을 법(法) 제(第)2조(條)의 규정(規定)에 의(依)한 학교(學校)의 종류(種類)와 다르게 사용(使用)하고자 하는 때에는 대학(大學)·산업대학(産業大學)·교육대학(敎育大學)과 방송대학(放送大學)·통신대학(通信大學) 및 방송통신대학(放送通信大學)(이하(以下) "방송(放送)·통신대학(通信大學)"이라 한다)은 각각(各各) 그 명칭(名稱)을 대학교(大學校) 또는 대학(大學)으로, 전문대학(專門大學) 및 기술대학(技術大學)은 각각(各各) 그 명칭(名稱)을 대학(大學)으로 사용(使用)하여야 한다 .

1998년(年) 3월(月) 1일(日) 교육법(敎育法)이 폐지(廢止)되고, 고등교육법(高等敎育法)이 제정(制定)되면서 법(法)에 규정(規定)된 대학(大學)의 종류(種類)와 다르게 명칭(名稱)을 사용(使用)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전문대(專門大)가 교명(校名)에서 '전문(專門)'을 떼어내고 '대학(大學)'이라는 명칭(名稱)을 쓸 수 있게 되었다.
고등교육법(高等敎育法) (시행(施行) 2011.11.20)
제(第)18조(條)(학교(學校)의 명칭(名稱)) ① 학교(學校)의 명칭(名稱)은 국립학교(國立學校)는 대통령령(大統領令)으로 정(定)하고, 공립학교(公立學校)는 해당(該當) 지방자치단체(地方自治團體)의 조례(條例)로 정(定)하며, 사립학교(私立學校)는 해당(該當) 학교법인(學校法人)의 정관(定款)으로 정(定)한다.
② 제(第)1항(項)에 따라 명칭(名稱)을 정(定)할 때 제(第)2조(條)에 따른 학교(學校)의 종류(種類)와 다르게 대학(大學) 또는 대학교(大學校)라는 명칭(名稱)을 사용(使用)할 수 있다 .

2011년(年) 11월(月) 20일(日) 고등교육법(高等敎育法)의 개정(改正)으로 전문대학(專門大學)도 '대학교(大學校)'라는 명칭(名稱)을 사용(使用)할 수 있게 되면서, 대부분(大部分)의 전문대학(專門大學)들이 교명(校名)을 '○○대학(大學)'에서 '○○대학교(大學校)'로 바꿨다.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韓國專門大學敎育協議會)의 조사(調査)에 따르면 2011년(年) 12월(月) 14일(日) 33곳이나 되는 전문대(專門大)들이 '대학교(大學校)' 명칭(名稱)으로 변경(變更)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 , 2023년(年) 기준(基準) '대학(大學)' 이라는 명칭(名稱)을 쓰는 곳은 아래가 전부(全部)이다.

따라서 현재(現在)는 '대학교(大學校)'라고 해서 반드시 4년제(年制) 종합대학(綜合大學)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대학교(大學校)'란 이름을 달고 단과대학(單科大學)이나 학부(學部)가 설치(設置)된 곳은 학사학위(學士學位) 를 수여(授與)하는 대학(大學) 이고, '~계열(系列)'로 나뉘거나 단과대학(單科大學)이나 학부(學部) 없이 바로 학과(學科)만 설치(設置)된 곳은 전문학사(專門學士) 를 수여(授與)하는 전문대학(專門大學) 으로 보아도 무리(無理)가 없다. 또한 종합대학(綜合大學)은 학과(學科) 이름에 모두 '학(學)'자가(自家) 들어가는 반면(反面)( 사범대학(師範大學) 제외(除外)) 전문대학(專門大學)은 학과(學科) 이름에 '학(學)'자가(自家) 들어가지 않는 학과(學科)가 많다. 결국(結局) 고등교육법상(高等敎育法上) 고등교육기관(高等敎育機關) 을 가리키는 정식(正式) 명칭(名稱)은 '대학(大學)'이지만 교명(校名)에 얼마든지 '대학교(大學校)'를 쓸 수 있기 때문에, 교명(校名)에서 대학(大學)과 대학교(大學校)는 사실상(事實上) 차이(差異)가 없다.

3.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 에서의 명칭(名稱) [편집(編輯)]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 에서 대학(大學)을 '대학교(大學校)'라고 부르는 곳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이 유일(唯一)하다. 똑같은 형태(形態)의 교육기관(敎育機關)을, 중국(中國) , 홍콩 , 대만(臺灣) , 일본(日本) , 베트남 , 싱가포르 는 물론(勿論)이고 북한(北韓) 에서도 '대학(大學)'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를테면 베이징대학 , 국립대만대학(國立臺灣大學) , 도쿄대학 , 김일성종합대학(金日成綜合大學) 이지 베이징대학 교(校) , 국립대만대학(國立臺灣大學) 교(校) , 도쿄대학 교(校) , 김일성종합대학(金日成綜合大學) 교(校) 가 아닌 것이다.

3.1. 한국(韓國) [편집(編輯)]

전문학무국(專門學務局)에서는 중학교(中學校), 대학교(大學校) , 기예학교(技藝學校), 외국어학교(外國語學校)와 전문학교(專門學校)를 맡아본다.(專門學務局掌 中學校 大學校 技藝學校 外國語學校 及 專門學校) - 고종실록 1894년(年) 6월(月) 28일자(日子)

小學校(소학교(小學校))로 自(자)하야 中學校(중학교(中學校))와 大學校(대학교(大學校)) 로 選升(선승(禪僧))한(韓) 後(후(後))에 其卒業(기졸업(期卒業))을 待(대(大))하야 政府(정부(政府))에셔 取用(취용(取用))하니 - 황성신문(皇城新聞) 1898년(年) 9월(月) 24일자(日子)

성균관(成均館)을 대학교(大學校) 로 만들고 서울에는 하나의 서(署)에 각각(各各) 하나의 중학교(中學校)를 설치(設置)하고(以成均館爲 大學校 而京師則一署 各置一中學校) - 고종실록 1906년(年) 3월(月) 25일자(日子)
다른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 국가(國家)들과 달리 유독(唯獨) 우리나라만 '대학교(大學校)'라는 명칭(名稱)을 쓰게 된 유래(由來)는 알 수 없지만, 상당히(相當히) 오래전(前)부터 사용(使用)한 것은 알 수 있다. 구한말(舊韓末) 1880년대(年代)의 한성순보(漢城旬報)나 1890년대(年代)의 독립신문(獨立新聞) 에서도 서양(西洋)과 일본(日本)의 대학(大學)을 '대학교(大學校)'로 표기(表記)하고 있으며, 심지어(甚至於) 제국대학(帝國大學), 북경대학(北京大學), 동경대학도 제국대학교(帝國對學校), 북경대학교(學校), 동경대학교(學校) 식(式)으로 표기(表記)했다. 원래(元來) University를 일본(日本)에서 처음 '대학(大學)'으로 번역(飜譯)한 것은 유교(儒敎) 경전(經典)인 대학(大學) 에서 비롯한 것이지만, 소학교(小學校)-중학교(中學校)-대학(大學)으로 올라가는 학제(學制) [12] 에서 라임을 살려 '대학(大學)'이 받아들여지는 대신(代身) 자연스레(自然스레) '대학교(大學校)'라는 용어(用語)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3.2. 외국(外國) [편집(編輯)]

한국(韓國)의 단과대학(單科大學)을 중국(中國)에서는 ?院 ( xueyuan ) (학원(學院)), 일본(日本)에서는 ?部 ( がくぶ ) ( 학부(學部) )라고 부른다. [13] 여기서 학부(學部) 란 '종합대학(綜合大學) 내(內)의 단과대학(單科大學)'을 말하며, 일본(日本)에는 의학부(醫學部) 하나밖에 없거나 교양학부(敎養學部) 하나밖에 없는 학부(學部) 하나로만 이루어진 대학(大學) ― 한국(韓國)으로 치면 일부(一部) 신학대학(神學大學) 이나 교육대학(敎育大學) 처럼 단과대(單科大)가 하나뿐인 대학(大學) ― 이 꽤 많은데, 이런 류(類)의 대학(大學)을 ?科大? ( たんかだいがく ) (단과대학(單科大學))라고 부른다.

일본(日本)에서 '대학교(大學校)'라 칭(稱)하는 경우(境遇)는 대학(大學)이 아닌 교육훈련시설(敎育訓鍊施設)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러한 '대학교(大學校)'에 관(關)해 규정(規定)하는 법령(法令)은 없기 때문에 학위(學位)라든가 교육과정(敎育課程)도 일정하지 않다. 예컨대 방위대학교(防衛隊學校) , 기상대학교(氣象大學校), 수산대학교(學校), 자동차대학교(自動車大學校) 등(等)이 있다. 조선대학교(朝鮮大學校) (일본(日本) 도쿄 소재(所在))의 경우(境遇)도 대학(大學)이 아니고 일본(日本) 교육법상(敎育法上) 각종학교(各種學校)에 해당(該當)된다.

한국(韓國)의 대학교(大學校)를 중화권(中華圈)이나 일본(日本)에서 대학(大學)으로 바꾸는 경우(境遇)가 많이 있지만 한국(韓國) 측(側)에서 쓰는 표기(表記)를 존중(尊重)할 경우(境遇) 대학교(大學校)로 그대로 기재(記載)한다.

[1] 중학교(中學校),고등학교(高等學校)처럼 School이 붙은 곳은 ○○학교(學校)로, University는 소학(小學) 으로부터 시작(始作)해 대학(大學)(경전(經典)) 으로 마무리되는 유교(儒敎) 경전(經典)의 흐름에서 모든 교육(敎育)의 종착(終着)이라는 의미(意味)에서 대학(大學)으로 번역(飜譯)했다. [2] 다만 당시(當時)의 구제전문학교(救濟專門學校) 소학교(小學校) ( 초등학교(初等學校) 에 해당(該當)) 및 5년제(年制) 구제중학교(救濟中學校) (현행(現行) 중학교(中學校) ~ 고등학교(高等學校) 과정(過程)에 해당(該當))를 졸업(卒業) 하고 나서 진학(進學)하는 곳으로서 미국식(美國式) 학제(學制) 를 따른 오늘날의 한국(韓國) 에서는 대학교(大學校)에 해당(該當)하며 영어(英語) 로는 College 로 번역(飜譯)되기도 했다. 구제고등학교(救濟高等學校) 3년(年)을 거쳐 진학(進學)하는 구제대학(救濟大學) 은 오늘날 미국식(美國式) 대학(大學)보다는 프랑스의 그랑제꼴 에 가까운 곳이었다. [3] 관공립(官公立) 전문학교(專門學校)로 출발(出發)한 도쿄고등상업학교(高等商業學校), 도쿄고등사범학교(高等師範學校), 도쿄고등공업학교(高等工業學校) 등(等)은 도쿄대학과 별도(別途)로 각기(各其) 도쿄상과대학(商科大學)( 히토쓰바시대학(大學) ), 도쿄교육대학(敎育大學)( 쓰쿠바대학 ), 도쿄공업대학(工業大學) 등(等)으로 발전(發展)하였다. [도시락] [수원농전(水原農展)] [6] 경성대학을 가리킨다 [7] 10월(月) 16일(日) 에 국대안에 따르면 새롭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法科大學) 이 된 경성법과대학(京城法科大學)(舊경성법전(京城法典))에서 모(某) 교수(敎授)가 첫 수업(授業)을 실시(實施)했으나 사실상(事實上) 휴교(休校) 로 돌입(突入)했다고 한다. [8] 그래서 서울대는 1975년(年) 관악캠퍼스로 종합화(綜合化)될 때까지 종합대학(綜合大學)이라기 보다는 연합대학(聯合大學)처럼 운영(運營)되었고 막강(莫强)한 단과대학(單科大學)의 파워에 비해 대학본부(大學本部)의 힘은 미약(微弱)한 수준(水準)이었다. 어르신들도 '서울공대(工大)', '서울상대', '서울사대(師大)'라고 부른다. 종합대학(綜合大學)으로서 '서울대(서울大)'(과거(過去)에는 주로(主로) 문리과대학(文理科大學)만을 의미했다고 한다)라는 정체성(正體性) 이 형성(形成)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라고... 대학연합(大學聯合)으로서 서울대의 단면(斷面)을 볼 수 있는 사례(事例)는 단과대학(單科大學)에서 총장(總長) 을 날려버리고, 이사회(理事會)를 폐지(廢止)시켜 단과대학장(單科大學長) 회의(會議)로 대체(代替)해버린 문리과대학(文理科大學)-법과대학(法科大學) 강의실(講義室) 분쟁사건(紛爭事件) 을 참조(參照). [미국식(美國式)] [유럽식(式)] [11] 사실(事實) 경찰대(警察隊)는 교명(校名)을 바꾸려면 '경찰대학(警察大學) 설치법(設置法)'을 바꿔야 한다. [12] 구(區) 학제(學制)에서 고등학교(高等學校)는 대학(大學) 예과(豫科)에 해당(該當)되는 고등교육기관(高等敎育機關)이었다. 1949년(年)에 중학교(中學校)(6년(年))를 중학교(中學校)(3년(年))+고등학교(高等學校)(3년(年))으로 분리(分離)하면서 생긴 고등학교(高等學校)가 지금(只今)의 중등교육기관(中等敎育機關)이다. [13] 다만 일본(日本)에서 단과대학(單科大學)을 학부(學部)로 부른 건 1919년(年)부터다. 그전(그前)까지는 지금(只今) 한국(韓國)에서 부르듯 '대학(大學)'으로 불렀다. 가령(假令) 도쿄제국대학(帝國大學) '문학부(文學部)/법학부(法學部)'도 1897년(年)부터 1918년(年)까지는 도쿄제국대학(帝國大學) '문과대학(文科大學)/법과대학(法科大學)', 1897년(年)까지는 '제국대학(帝國大學) 문과대학(文科大學)/법과대학(法科大學)'으로 불렸다. 1897년(年) 이전(以前)에는 교명(校名)이 그냥 '제국대학(帝國大學)'이었다가 1897년(年) 교토제국대학(帝國大學)의 개교(個校)로 제국대학(帝國大學) 간(間)의 구별(區別)이 필요(必要)해져 도쿄제국대학(帝國大學)으로 교명(校名)을 변경(變更)했다.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문서(文書)의 r572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以前) 역사(歷史)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다른 문서(文書)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文書)의 r572 ( 이전(以前) 역사(歷史) )
문서(文書)의 r564 ( 이전(以前) 역사(歷史)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