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제진역(猪津驛) - 나무위키

제진역(猪津驛)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이 문서(文書)는 현재(現在) 운행(運行)이 중단(中斷)된 노선(路線)을 다룹니다.

이 문서(文書)에서 서술(敍述)하는 도로(道路), 철도(鐵道), 버스, 항공(航空), 선박(船舶) 등(等)의 노선(路線)은 현재(現在) 무기한(無期限) 또는 특정(特定) 기간(期間)에 한하여 운행(運行)이 중단(中斷)되었습니다.
이 교통(交通) 시설(施設) 또는 노선(路線)은 개통(開通)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文書)에는 현재(現在) 설계(設計), 계획(計劃)이나 공사(工事) 등(等)의 이유(理由)로 개통(開通)되지 않은 교통(交通) 시설(施設) 또는 노선(路線)에 대(對)한 정보(情報)가 서술(敍述)되어 있습니다.
폐역(肺疫)
제진역(猪津驛)
다른 문자(文字) 표기(表記)
Jejin
猪津
チェジン
주소(住所)
관리역(管理役) 등급(等級)
운영(運營) 기관(機關)
개업(開業)일
2006년(年) 3월(月) 15일(日)
2027년(年) 예정(豫定)
철도거리표(鐵道距離標)
기점(起點)
동해선(東海線)
제(第) 진(陣)
(계획중(計劃中))
종점(終點)
폐지(廢止)된 철도노선(鐵道路線) 보기

1 . 개요(槪要) 2 . 역(逆) 정보(情報)
2.1 . 특징(特徵) 2.2 . 국내(國內) 철도망(鐵道網)과의 연결(連結)
3 . 역(驛) 주변(周邊) 정보(情報) 4 . 승강장(乘降場)
4.1 . 평화열차(平和列車) 강행(强行) 설치(設置) 논란(論難)
5 . 기타 6 . 둘러보기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제진역
18588706 1201111...
동해북부선(東海北部線) 철도역(鐵道驛) . 대한민국(大韓民國)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고성군(固城郡) 현내면 사천리 소재(所在).

현(現) 시점(時點) 남한(南韓)의 최북단(最北端) 철도역(鐵道驛)으로 [2] 현재(現在)는 폐역(肺疫) 초구역(超區域) 과 마찬가지로 민통선(民統線) 이북(以北)에 있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최북단(最北端) 동해북부선(東海北部線) 철도역(鐵道驛)
금강산청년선(金剛山靑年善)의 남한(南韓) 유일(唯一) 정차역(停車驛)
제진역(猪津驛)은 동해(東海)(북부(北部))선(選)의 철도역(鐵道驛)이자 금강산청년선(金剛山靑年善)의 남한(南韓) 유일(唯一) 정차역(停車驛)이기도 하다. 2006년(年) 3월(月) 15일(日) 동해선(東海線) 복원(復元) 사업(事業)에 따라 2006년(年) 남북출입사무소(南北出入事務所)가 준공(竣工)되었다. 2000여(餘) 평(坪)에 지하(地下) 1층(層) 지상(地上) 2층(層) 규모(規模)의 남북출입사무소(南北出入事務所)의 안에 들어선 기차역(汽車驛). 그 역사(歷史)의 명칭(名稱)은 제진역(猪津驛)이다. 2007년(年) 남북철도연결구간(南北鐵道連結區間) 열차(列車) 시범운행(示範運行)이 있었던 역사적(歷史的)인 장소(場所)이다. 민통선(民統線)을 지나가야 만날 수 있는 역사(歷史), 때문에 역사(歷史) 안 열차(列車) 시간표(時間表)와 여객(旅客) 운임표(運賃表)는 텅 비워진 채다. 그러나 기차(汽車)와 선(線)로는 언제든지 출발(出發)할 수 있도록 준비(準備)가 되어있다.

국가철도공단(國家鐵道公團) 공식(公式) 소개(紹介) 문구(文句)

2. 역(逆) 정보(情報) [편집(編輯)]

2000년(年) 6.15 남북(南北) 공동(共同) 선언(宣言) 에 따라 남북출입사무소(南北出入事務所) 를 설치(設置)하는 과정(過程)에서 역(驛)이 생겼다. 2006년(年) 3월(月) 15일(日) 완공(完工). 제진역(第震域)에서 북한(北韓) 감호역(監護驛) 까지 열차(列車) 시험운행(試驗運行)이 동년(同年) 6월(月) 1일(日) 에 예정(豫定)되어 있었으나 북한(北韓) 측(側)에서 일방적(一方的)으로 거부의사(拒否意思)를 전달(傳達), 2007년(年) 5월(月) 17일(日) 이 되어서야 경의선(京義線) 과 함께 2007년(年) 남북열차(南北列車) 시험운행(試驗運行) 이 이루어졌다. 향후(向後) 동해선(東海線) 강릉(江陵)-제진(猪津) 구간(區間)이 2027년(年) 완공(完工)될 예정(豫定)이다.

2.1. 특징(特徵) [편집(編輯)]

역명(逆名)은 猪津이나 실제(實際) 발음(發音)은 '저진'이 아니다. 한자(漢字) ' '의 본래(本來) 훈음(勳音)은 '돼지 저'이나 뒤에 있는 '진(陳)' 때문에 ㅣ 역행(逆行) 동화(童話) 가 일어나서 현재(現在)는 '제진(猪津)'이라고 읽는다. [3] 원래(元來) 한글 역명(逆名)도 '저진'이었으나 주민(住民)들의 요청(要請)으로 인(因)해 '제진(猪津)'으로 바꾸게 되었다고 한다. 기사(記事)

현재(現在)는 북한(北韓) 방향(方向)으로만 선로(線路)가 나 있다. 6.25 전쟁(戰爭) 동해북부선(東海北部線) 양양역(襄陽驛) ~ 초구역(超區域) 구간(區間)이 초토화(焦土化)되어버렸기 때문. [4] 다른 곳으로 선로(線路)가 이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당연히(當然히) 열차(列車)는 운행(運行)하지 않으며, 시험운행(試驗運行)을 했던 열차(列車)는 약(約) 2년(年) 정도(程度) 제진역(猪津驛)에 머무르다가 2008년(年) 6월(月) 3일(日) 묵호항역(墨湖港驛) 으로 끌려갔다.

복구(復舊)가 된다면 금강산청년선(金剛山靑年善) 과 접속(接續)될 것이다. 하지만 열차(列車)가 다니지 않으면서 관리(管理) 상태(狀態)도 엉망진창이 되어버려 선(線)로는 녹(綠)이 슬었고, 특히(特히) 관리(管理) 자체(自體)가 불가능(不可能)한 비무장지대(非武裝地帶) 구간(區間)은 잡초(雜草)까지 무성(茂盛)하게 자라고 있다. 그래도 북한(北韓) 측(側) 구간(區間)인 노후화(老朽化)된 금강산청년선(金剛山靑年善) 에 비할 바는 아니다. 북한(北韓) 방향(方向)으로는 휴전선(休戰線) 에 막혀 움직이지 못하고 남한(南韓) 방향(方向)으로는 선로(線路)가 없어서 움직이지 못하는, 그야말로 고립(孤立)된 역(驛)이다.

이 역(役)부터 감호역(監護驛) 까지의 거리(距離)는 11.1km, 금강산청년역(金剛山靑年役) 까지의 거리(距離)는 26km이다.

2020년(年) 9월(月)에 드디어 제진역(猪津驛)에도 13년(年) 만에 열차(列車)가 들어오게 되었다. 내구연한(耐久年限) 만료(滿了)로 운용(運用)이 끝난 7329호(號) 디젤기관차(機關車)와 무궁화호(無窮花號) 폐객차(肺客車)가 제진역(猪津驛) 승강장(乘降場)에 유치(誘致)되었다. [5] 2021년(年) 3월(月) 개장(開場)을 목표(目標)로 열차(列車) 내(內) 시설보수(施設補修) 등(等)을 거쳐 전시관(展示館) 형태(形態)로 개장(開場)되었으며, 강원도교육청(江原道敎育廳)에서 운영(運營)하고 있다. 다만 아직 개인(個人) 관람(觀覽)은 불가능(不可能)하고 사전(事前) 예약(豫約)을 통한 학교(學校) 단체(團體) 관람(觀覽)만 가능(可能)하다.

비록 실제로(實際로) 운행(運行)되는 열차(列車)는 아니지만 제진역(猪津驛) 승강장(乘降場)에 정차(停車)한 "남측(南側)" 열차(列車)로는 이 열차(列車)가 최초(最初)다. [6] 실제(實際) 운행열차(運行列車)가 제진역(猪津驛)에 올라오기까지는 오랜 시간(時間)이 걸리겠지만 평화(平和) 전시관(展示館) 으로서 제진역(猪津役)이 손님들을 다시 맞을 날이 머지 않았다.

2.2. 국내(國內) 철도망(鐵道網)과의 연결(連結) [편집(編輯)]

2018 제(第)1차(次) 남북정상회담(南北頂上會談) 에서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과 김정은(金正恩) 국무위원장(國務委員長)이 동해선(東海線) 복구(復舊)에 대(對)해 합의(合意)를 보았기에 강릉역(江陵驛) 과 연결(連結)되어 이미 선로(線路)가 깔렸던 북한(北韓) 쪽 감호역(監護驛) 을 통해 금강산청년선(金剛山靑年善) - 평라선 과 연결(連結)될 가능성(可能性)이 커졌다.

2018년(年) 7월(月) 말(末), 남북(南北) 합동(合同) 조사(調査)팀의 조사(調査)가 끝나고 강릉역(江陵驛)까지 연결(連結) 복구(復舊)가 결정(決定)되었는데, 남북(南北) 간(間) 수복(收復)이고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 인접(隣接) 지역(地域)이라는 특수성(特殊性)으로 관련(關聯) 기관(機關)과 국회(國會)의 동의(同意)를 얻어 예비(豫備) 타당성(妥當性) 조사(調査), 환경(環境) 영향(影響) 평가(評價) 등(等) 단계(段階)를 면제(免除)하고 진행(進行)하게 될 것 같다고 한다. 104km 구간(區間)을 복구(復舊)할 사업비(事業費) 2조(兆) 3,000억(億) 원 조달(調達) 또한 문제(問題)이나, 평창(平昌)올림픽을 대비(對備)해 예산(豫算)을 급편성(級編成)하고 공사(工事)를 진행(進行)해서 원주(原州)-강릉(江陵) 고속선(高速船)을 단기간(短期間)에 놓았던 전례(前例)가 있어 큰 어려움은 없을 것 같다. 일단(一旦)은 단선(單線)으로 복구(復舊)한다고 한다. [7]

2020년(年) 기준(基準)으로 아직 예비타당성조사(豫備妥當性調査)의 벽(壁) [8] 을 넘지 못한 것으로 예상(豫想)되었으나, 강원도(江原道)는 동해북부선(東海北部線)을 제(第)4차(次) 국가철도망구축계획(國家鐵道網構築計劃)에 추가(追加)하여 예타(豫妥) 면제(免除)를 신청(申請)할 예정(豫定)이다.

또한 21대(代) 총선(總選) 후(後) 대북사업(對北事業)이 탄력(彈力)을 받는 가운데, 4월(月) 27일(日)에 동해북부선(東海北部線) 추진(推進) 기념식(記念式)이 통일부(統一部)와 국토교통부(國土交通部) 주관(主管)으로 [9] 이루어질 예정(豫定)이다. 동해북부선(東海北部線) 사업(事業)이 남북교류협력사업(南北交流協力事業)으로 지정(指定)될 시(時)에는 예비타당성조사(豫備妥當性調査)가 면제(免除)되어 당장(當場) 삽을 뜰 수 있게 된다. 코로나19로 인한 전세계(全世界) 공황(恐慌) 때문에 국내(國內)에서도 대규모(大規模) 경기부양책(景氣浮揚策)이 확실시(確實視)되고 90조(兆) 원이 넘는 추경안(追更案)까지 공개(公開)되는 가운데, 사상(史上) 유례(類例)없는 슈퍼 3차(次), 4차(次) 추가경정예산안(追加更訂豫算案)까지 예고(豫告)되고 있어서 동해북부선(東海北部線) 공사(工事)도 지역(地域) 경기부양(景氣浮揚) 차원(次元)에서 공사(工事)가 추진(推進)될 확률(確率)이 커지고 있다. 이 와중(渦中)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南北共同連絡事務所) 폭파(爆破) 사건(事件) 이 터지면서 추진(推進)이 어려워질 뻔 했지만, 2020년(年) 8월(月) 기준(基準) 환경영향평가(環境影響評價)와 기본계획(基本計劃) 수립(樹立) 에 착수(着手)하였고, 2021년(年) 말(末)부터 착공(着工)에 들어간다.


2022년(年) 1월(月) 5일(日), 강원도(江原道) 동해선(東海線) 철도(鐵道) 강릉(江陵)~제진(猪津) 구간(區間) 철도건설사업(鐵道建設事業)의 착공식(着工式)이 이루어졌다. 이 사업(事業)은 강릉시(江陵市) 남강릉신호장(南江凌晨戶長)에서 고성군(固城郡) 제진역간(猪津力諫) 111.74km 구간(區間)을 단선(單線) 철도(鐵道)로 연결(連結)하는 것으로, 2027년(年) 개통(開通) 예정(豫定)이다.

이번(이番)에 착공(着工)되는 동해선(東海線) 강릉(江陵)~제진(猪津) 구간(區間)이 개통(開通)되면, 부산(釜山)~울산(蔚山)~포항(浦項) 구간(區間), 2024년(年) 개통(開通) 예정(豫定)인 포항(浦項)~삼척선(三陟線)과도 연결(連結)되어 제진(猪津)에서 포항(浦項)·울산(蔚山)·부산(釜山)을 한 번(番)에 갈 수 있다. 또한 제진(猪津)에서 원주(原州)~춘천(春川)을 통해 서울까지도 철로(鐵路)가 이어진다. 국토부(國土部)에 따르면, 서울에서 제진(猪津)까지 약(約) 3시간(時間), 부산(釜山)에서 제진(猪津)까지 3시간(時間) 30분(分) 만에 이동(移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따라서 한반도(韓半島) 통합철도망(統合鐵道網)의 가장 긴 축(軸)인 부산(釜山)에서 나진(羅津)까지의 동해축(東海軸)이 완성(完成)되는 것이며 시베리아 횡단철도(橫斷鐵道) 와 같은 대륙철도망(大陸鐵道網)과도 연계(連繫)될 수 있다.

3. 역(驛) 주변(周邊) 정보(情報) [편집(編輯)]

역세권(驛勢圈) 이라고 할 것이 DMZ박물관(博物館) 하나밖에 없다.

동해고속도로(東海高速道路) 속초(束草)~고성(固城) 구간(區間) 계획(計劃)에서 제진역(猪津驛)까지 고속도로(高速道路) 를 연장(延長)하는 방안(方案)이 포함(包含)되어 있다.

4. 승강장(乘降場) [편집(編輯)]

2
1



외선(外線) 방향(方向)으로 대피선(待避線)이 있는 구조(構造)의 1면(面) 4선(選)의 섬식(式) 승강장(乘降場)으로 신촌역 , 지축역 , 송파나루역(松坡나루驛) 등(等)과 비슷한 구조(構造)이다. 다만 옆에 있는 간이(簡易) 검(檢)수고와 화물홈 등(等)을 포함(包含)하면 선로(線路)가 더 있기는 하다.

4.1. 평화열차(平和列車) 강행(强行) 설치(設置) 논란(論難) [편집(編輯)]


7329호(號) 디젤기관차(機關車)와 무궁화호(無窮花號) 객차(客車)는 감호(監護) 방면(方面)을 향(向)해 2021년(年) 4월(月)부터 1번(番) 홈에 평화통일열차(平和統一列車)로 유치(留置)되어있다. 그런데 이를 강원도교육청(江原道敎育廳) 이 별도(別途)의 전시(展示) 공간(空間)이 아닌 영업(營業) 선로(線路)에 설치(設置)를 강행(强行)한 것이 문제(問題)가 되어 국가철도공단(國家鐵道公團) 동해북부선(東海北部線) 공사(工事)를 위해 지장물인(支障物人) 평화열차(平和列車)를 철거(撤去) 또는 이전(移轉)할 것을 통보(通報)했다. 50억(億) 원을 들여 운영(運營)을 시작(始作)했는데 불과(不過) 2년(年) 만에 옮기거나 철거(撤去)해야 할 상황(狀況)에 몰린 것이다.

남측(南側)으로 연결(連結)된 선로(線路)도 없어 철도수송(鐵道輸送)은 불가능(不可能)하기에 육로수송(陸路輸送)이 불가피(不可避)하며, 이 경우(境遇) 내부시설(內部施設)을 모두 챙겨 옮길 경우(境遇) 6억(億) 5천만(千萬) 원, 내부(內部) 시설(施設)을 다 떼고 철거(撤去)해도 2억(億) 5천만(千萬) 원이 비용(費用)이 소모(消耗)되는 것으로 추산(推算)되었다. 결국(結局) 영업(營業) 중(中)인 철로(鐵路) 위에 강원도교육청(江原道敎育廳) 이 설치(設置)를 강행(强行)하는 바람에 추가(追加) 비용(費用)만 더 물게 되었다.

5. 기타 [편집(編輯)]


제진역(猪津役)을 배경(背景)으로 1MILLION DANCE STUDIO 와 통일부(統一部)가 콜라보(콜라보) 영상(映像)을 촬영(撮影)했다.

6. 둘러보기 [편집(編輯)]

[ 펼치기 · 접기 ]
실효통치지역(實效統治地域)
최북단(最北端)
최남단(最南端)
최동단(最東端)
최서단(最西端)
최고점(最高點)
최저점(最低點)
[ 각주(各州) 펼치기 · 접기 ]
[1] 선로(線路)가 북쪽(北쪽)으로만 나 있어 영업중지(營業中止) 상태(狀態)이나 2027년(年) 남쪽(南쪽)으로의 철도(鐵道)가 완공(完工) 예정(豫定)이다. [2] 현재(現在) 공사(工事)로 인해 2024년(年)까지 실질(實質) 운행역(運行役) 기준(基準)으로는 연천역 이다. 단(單), 13번(番) 버스 로 접근(接近)은 가능(可能)하다. 2024년(年) 경원선(京元線) 복원(復元) 시(時) 월정리역 이 최북단(最北端) 역(逆)이 된다. [3] 2024년(年) 경전선(慶全線) 신노선 개통(開通) 시(時) 강진역(强震驛) 이 최남단(最南端) 역(逆)이 된다. [4] 동해선(東海線) 영덕(盈德)-삼척(三陟) 구간(區間) 개통(開通) 시(時) 평해역(評海域) 이 최동단(最東端) 역(逆)이 된다. [5] 여객영업철도역(旅客營業鐵道驛) 기준(基準)이다. 동해선(東海線) 영덕(盈德)-삼척(三陟) 구간(區間) 개통(開通) 시(時) 평해역(評海域) 이 최동단(最東端) 역(逆)이 된다. 현재(現在)는 디젤동차 폐차(廢車)로 포항역~영덕역(盈德驛) 구간(區間)의 운행(運行)이 중단(中斷)되어 실질(實質) 운행역(運行役) 기준(基準)으로는 북울산역(北蔚山驛) 이다. [6] 해발고도(海拔高度) 기준(基準)이다. 2029년(年) 서울 7호선(號線) 청라국제도시역(靑羅國際都市驛) 개통(開通) 시(時) 청라국제도시역(靑羅國際都市役)이 최저점(最低點) 역(逆)이 된다. [7] 지표면(地表面) 기준(基準)이다. [8] 단(單) 북한(北韓) 정권(政權)에서 공식적(公式的)으로 이 역(役)의 깊이를 발표(發表)한 적은 없다.
[1] 강릉(江陵)-제진(猪津) 노선도(路線圖)에서 추정(推定)한 역간거리(力諫距離) [2] 하지만 영업중지(營業中止) 상태(狀態)이기 때문에 실제로(實際로) 운영(運營) 중(中)인 최북단(最北端) 역(驛)은 연천역 이고, 경원선(京元線) 일시(一時) 영업중지(營業中止) 구간(區間)을 포함(包含)하면 백마고지역(白馬高地驛) 이다. [3] 제육볶음(제肉볶음) 도 같은 이유(理由)로 저육(豬肉)볶음이 아닌 제육(第六)(猪肉)볶음이라고 쓴다. [4] 초구역(超區域) 은 제진역(猪津役)보다 더 북쪽(北쪽)에 있고, 아슬아슬하게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 남쪽(南쪽)에 있다. [5] 다만 선로(線路)가 끊겨 있어 을종회송(乙種回送) 형식(形式)으로 실려왔다. [6] 2007년(年) 남북열차시험운행(南北列車試驗運行) 당시(當時)에는 북측(北側)에서 올라온 열차(列車)만이 제진역(猪津驛)에 정차(停車)했다. 하지만 엄연히(儼然히) 따져 보면 제진(猪津)-금강산(金剛山) 행선(行船)판을 단 새마을호(號)도 제진역(猪津驛)에 있었다. [7] 단선(單線)으로 한다지만, 강릉(江陵)부터 부산(釜山)까지 동해선(東海線) 본선(本選)이 200km급(級) 복선(複線) 전철(電鐵)로 건설(建設)되기 때문에 노반(路盤)과 기타(其他) 시설(施設)은 복선용(複線用)으로 만들어 둘 가능성(可能性)이 크다. [8] 사업(事業) 자체(自體)로만 500억(億) 원 이상(以上)으로 예상(豫想)된다. [9] 참석(參席) 추산인원(推算人員)만 150명(名) 이상(以上)으로 대부분(大部分) 각(各) 유관기관(有關機關)의 장관(長官) 및 차관급(次官級) 수장(首長)들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最近) 변경(變更)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