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음악가(音樂家) - 나무위키

음악가(音樂家)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분류(分類)
1 . 개요(槪要) 2 . 음악가(音樂家)의 종류(種類) 3 . 관련(關聯) 문서(文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음악(音樂) 을 업(業)으로 삼은 사람을 말한다. "-가(家)" 라는 접미사(接尾辭) 자체(自體)가 그것을 직업(職業)으로 함을 의미한다. 즉(卽) 굉장히(宏壯히) 광범위(廣範圍)하고 포괄적(包括的)인 용어(用語)(umbrella term)이다. 음악가(音樂家)는 다음과 같은 직업(職業)들을 포함(包含)하는데, 필요(必要)한 링크로 이동(移動)하여 원(願)하는 정보(情報)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직업(職業)들은 모두 음악(音樂)이라는 집합(集合)에 속(屬)해 있으므로 서로 관련성(關聯性)이 크며, 실제로(實際로) 많은 음악가(音樂家)는 두 개(個) 이상(以上)에 동시(同時)에 해당(該當)되기도 한다. 대중음악(大衆音樂)의 사례(事例)에서는 싱어송라이터가 있고, 클래식 쪽에서는 지휘자(指揮者)가 동시(同時)에 연주자(演奏者)이기도 하다.

작사가(作詞家)는 음악가(音樂家)라기보다는 글짓는 작가(作家)에 더 가깝고, 안무가(按舞家)나 피겨 스케이트 선수(選手)도 음악(音樂)이 중요(重要)하긴 하지만 몸의 움직임이 더 중요(重要)한 체육인(體育人)에 가깝기에 이들은 보통(普通) 음악가(音樂家)라고 하지 않는다.

2. 음악가(音樂家)의 종류(種類) [편집(編輯)]

자신(自身)의 목소리로 음악(音樂)을 연주하는 사람. 음악(音樂) 시간(時間) 수행평가(遂行評價)에도 빠지지 않는 평가(評價) 과목(科目) 중(中) 하나가 가창(歌唱) 평가(評價)다. 음악가(音樂家) 중(中)에서는 가장 유명(有名)한 연예인(演藝人)들이 많은 직업(職業)이다. 일반(一般) 가수(歌手)뿐만 아니라 성악가(聲樂家) , 성우(聲優) 일부(一部), 국악인(國樂人) 중(中) 판소리를 하는 소리꾼, 래퍼 모두 장르만 다를 뿐이지 넓게 보면 모두 가수(歌手)다.

성악가(聲樂家)의 경우(境遇)에는 오페라 , 팝페라 뮤지컬 분야(分野)에 많다. [1] 흔히 SATB라 하는 소프라노 , 알토 , 테너 , 베이스 구성(構成)은 학교(學校)나 각종(各種) 단체(團體)에서 합창(合唱) 공연(公演)을 할 때 자주 편성(編成)되므로 일반인(一般人)들에게도 익숙하지만, 성악(聲樂)에 필요(必要)한 발성(發聲) 자체(自體)는 오랜 훈련(訓鍊)이 필요(必要)하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해당(該當) 항목(項目) 참고(參考).
음악(音樂)을 작곡(作曲) 하는 사람. 음악(音樂) 시간(時間)에 줄곧 배우는 것은 바로크 음악(音樂) , 고전주의(古典主義) , 낭만주의(浪漫主義) , 근대(近代) 혹은(或은) 현대음악(現代音樂) 클래식 작곡가(作曲家)들이지만, 현대(現代)에도 뛰어난 실력(實力)의 작곡가(作曲家)들이 대중음악계(大衆音樂界)에서 활발히(活潑히) 활동(活動)하고 있으며 가수(歌手)를 병행(竝行)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흔히 말하는 싱어송라이터. 물론(勿論) 현대(現代)에도 클래식의 전통(傳統)과 명맥(命脈)을 따라 작곡(作曲)하는 목소리로 음악(音樂)을 하는 사람이다. 한국(韓國)에서는 김형석 이(李) 대표적(代表的)인 작곡가고(作曲家高), 싱어송라이터에는 김동률 이 유명(有名)하다.
악기(樂器)를 다루어서 곡(曲)을 표현(表現)하는 사람. 악사(樂士)(樂士)라고도 부른다. 영어(英語)에서는 그 사람이 전문적(專門的)으로 다루는 악기(樂器) 이름 뒤에 -ist 혹은(或은) -er 접미사(接尾辭)를 붙여서 단어(單語)를 만들고, 국내(國內)에서도 그렇게 만들어진 단어(單語)를 수입(輸入)해서 쓰고 있다. 어떤 악기(樂器)의 프로가 되려면 그에 필요(必要)한 교육과정(敎育課程) 및 사사(師事)를 거쳐야 하는 경우(境遇)가 대부분(大部分)이며, 인접(隣接)한 다른 악기(樂器)에 대(對)해서도 어느 정도(程度) 이상(以上)의 연주(演奏)가 가능(可能)하기도 하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해당(該當) 항목(項目) 참고(參考).
주로(主로) 관현악단(管絃樂團) 에서 전체(全體) 연주(演奏)를 통일(統一)시키고 자신(自身)이 생각하는 최상(最上)의 해석(解釋)을 음악적(音樂的) 표현(表現)에 적용(適用)하여 작품(作品)을 재창조(再創造)하는 연주자(演奏者). 따라서 어찌보면 연주자(演奏者) 의 한 종류(種類)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강마(講磨)에 가 말했듯이 일반(一般) 단원(團員)들이 자기(自己) 악기(樂器)를 연주한다면 지휘자(指揮者)는 단원(團員)들 전체(全體), 즉(卽) 오케스트라를 악기(樂器)로 연주하는 것.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해당(該當) 항목(項目) 참고(參考).

3. 관련(關聯) 문서(文書) [편집(編輯)]

[1] 물론(勿論) 성악(聲樂) 창법(唱法)을 쓰지 않는 뮤지컬도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