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우거지 - 나무위키

우거지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분류(分類)
1 . 개요(槪要) 2 . 시래기와 차이(差異) 3 . 우거지 요리(料理) 4 . 우거지상(우거지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우거지는 푸성귀류(類) 채소(菜蔬)의 걷어내진 윗부분(윗部分)이나 겉부분(部分)을 가리킨다. 어원(語源)에 의거(依據)하여 설명(說明)하자면 '웃+걷(다)+-이'가 되며, 따라서 우거지는 '웃자란 것이나 위에 있는 것을 거둔 것'이라는 의미(意味)를 지닌다. 그래서 거의 사멸(死滅)한 표현(表現)이지만, 원래(元來) 장(腸)이나 젓갈의 과발효(過發效)된 윗부분(윗部分)을 걷어낸 것도 우거지라고 불렀다.

섬유질(纖維質)이 풍부(豐富)하며, 우거지를 통해 칼슘과 비타민 A, C, B1, B2 등(等)의 영양소(營養素) 를 섭취(攝取)할수 있다.

2. 시래기와 차이(差異) [편집(編輯)]

우거지와 시래기 는 각각(各各) 채소(菜蔬)의 자투리 부분(部分)을 따로 활용(活用)한다는 공통점(共通點)이 있으나, 시래기는 무청 혹은(或은) 배추 겉잎 부분(部分)을 생(生)으로 아니면 삶은후 말린 형태(形態)이고 우거지는 푸성귀류(類), 예(例)를 들어 배추를 손질하며 나온 겉잎 부분(部分) 자체(自體)를 뜻한다. 그러나 실제(實際) 용례(用例)를 보면 무청 말린 것은 시래기, 배춧잎 겉대 말린 것을 우거지라고 구분(區分)하여 사용(使用)하고 있다.

3. 우거지 요리(料理) [편집(編輯)]

주로(主로) 탕, 국물요리(料理)에 많이 활용(活用)된다. [1]

4. 우거지상(우거지相) [편집(編輯)]

묵사발(묵沙鉢) 과 비슷한 속어며 잔뜩 찌푸린 얼굴의 모양(模樣)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1] 기본적(基本的)으로 말린 것인지라 아무래도 그냥 먹기는 힘들고 물에 불려서 먹어야 하기 때문인 듯.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