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와이트 섬 - 나무위키

와이트 섬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1000px-Flag of t... 와이트 섬 관련(關聯)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 제도(制度)나 열도(列島), 섬의 일부(一部)만 점유(占有)하거나 통제(統制)하고 있는 경우(境遇)
  
1: 범주(範疇) 내(內)에서 면적(面積)이 가장 큰 섬이나 제도(制度)
제주도(濟州道) 1 · 거제도(巨濟島) · 진도(珍島) · 강화도(江華島) · 남해도(南海島) · 영종도(永宗島) · 안면도(安眠島) · 완도(莞島) · 울릉도(鬱陵島) · 돌산도(突山島) · 거금도 · 창선도(昌善島) · 자은도(慈恩島) · 압해도(押海島) · 교동도(喬桐島) · 고금도(古今島) · 임자도(荏子島) · 백령도(白翎島) · 용호도 · 비금도(飛禽島) · 도초도 · 석모도(席毛島) · 청산(淸算)도 · 보길도(甫吉島) · 암태도(巖泰島) · 신지도(薪智島) · 금호도(金湖島) · 나로도 · 장산도(長山島) · 노화도(蘆花島) · 영흥도(靈興島) · 가덕도(加德島) · 덕적도(德積島) · 하의도(荷衣島) · 흑산도(黑山島) · 한산도(閑山島) · 욕지도(欲知島) · 독도(獨島) · 백마(白馬)도 · 선유도(仙遊島) · 밤섬 · 여의도(汝矣島) · 노들섬 · 서래(瑞來)섬 · 당정섬 · 남이섬(南怡섬) · 뱀섬 · 영도(影島) · 붕어섬 · 금구도 · 대부도(大阜島) · 제부도(濟扶島) · 풍도(馮道) · 국화(菊花)도 · 격렬비열도(列島) · 저도 · 오륙도(五六島) · 조약(條約)도 · 생일도(生日島) · 여서도(麗瑞島) · 소록도(小鹿島) · 사량도 · 소매물도(小每勿島) · 좌사리제도(制度) · 칠천도(七川島) · 오동도(梧桐島) · 지심도(只心島) · 외도(外道) · 망산도 · 을숙도(乙淑島) · 추자도 · 차귀도 · 비양도 · 범섬 · 우도(右島) · 고군산군도(古群山群島) · 어청도(於靑島) · 십이동파도(十二東波島) · 금란도(金襴度) · 대청도(大淸島) · 가의도(賈誼島) · 실미도(實尾島) · 팔미도(八尾島) · 운염도(韻鹽度) · 안마(按摩) 군도(群島) · 굴업도 · 자월도(紫月島) · 신시모도(新詩茅島) · 관매도(觀梅島) · 여자(女子)도 · 해금강(海金剛) · 우도(右島)(창원(昌原)) · 대저(大著)도 · 눌차도 · 둔치도(度) · 고파도 · 외연도(外煙島) · 우무도 · 원산도(元山島) · 유부도 · 녹도(鹿島) · 삽시도(揷矢島) · 덕(德)도 · 동백섬 · 맥(脈)도 · 명지(名紙)도 · 중사(中士)도 · 진우(軫憂)도 · 다려도 · 가파도(加波島) · 마라도(馬羅島) · 사수도 · 토끼섬 · 형제섬 · 노랑섬 · 대무의도(大舞衣島) · 매도(賣渡)랑 · 물치도(勿雉島) · 볼음도(乶音島) · 증도(證道) · 관매도(觀梅島) · 거문도(巨文島) · 가우도 · 가거도 · 고이도(古耳島) · 금오도(金鰲島) · 노력(努力)도 · 눌옥도 · 도초도 · 모황도 · 삼학도(三鶴島) · 소안도(所安島) · 영산도(永山島) · 우이도 · 지죽도(支竹島) · 탄도(彈道) · 홍도(紅島) · 금란도(金襴度) · 무녀도(巫女圖) · 위도(緯度) · 빙도 · 문갑도 · 미법도 · 신시도(新侍島) · 시루섬 · 서검도 · 사렴도(蛇廉度) · 사승봉도(社昇鳳島) · 선갑도 · 선재도 · 세어도 · 소(小)무의도 · 소청도(小靑島) · 수수(收受)떼기 · 승봉도(昇鳳島) · 아암도 · 연평도(延坪島) · 이작도 · 잠진도 · 장봉도(長峯島) · 조름섬 · 주문(注文)도 · 팔미도(八尾島) · 해녀(海女)도 · 하의도(荷衣島) · 하태도(河態度) · 우도(右島)(서해(西海) 5도(度)) · 장고도(長古島) · 고구마섬 · 고하도(高下島) ·
영국(英國)의 전례주(前例週)
[ 펼치기 · 접기 ]
런던
광역주(廣域週)
주(週)
도시주(都市州)
주(週)

도시주(都市州)
주(週)
각(各) 주(州)들의 자세(仔細)한 위치(位置) 정보(情報)는 잉글랜드 , 스코틀랜드 , 웨일스 , 북아일랜드(北아일랜드)의 지역(地域) 틀을 참조(參照) 바람
컴브리아, 이스트서식스, 그레이터런던, 그레이터맨체스터, 머지사이드, 노스요크셔, 사우스요크셔, 웨스트 미들랜즈, 웨스트서식스, 웨스트요크셔는 공식(公式) 깃발(旗발)이 없어 의회(議會) 깃발(旗발)(council flag)로 대체함(代替函)
스코티시보더스, 이스트렌프루셔는 공식(公式) 깃발(旗발)도, 의회(議會) 깃발(旗발)도 없어 의회(議會) 로고로 대체함(代替函)
[ 펼치기 · 접기 ]
지역(地域)
전례주(前例週) * 의 구성(構成)
* 도시주(都市州)(녹색(綠色), 6개(個)) , 비도시주(非都市週)(청색(靑色), 28개(個)) , 단일(單一) 자치주(自治州) 및 기타(其他)(흑색(黑色)/다크모드에서는 백색(白色), 14개(個)) 로 구분(區分)된다.
** 노스요크셔 주의(注意) 미들즈브러, 레드카 클리블랜드, 스톡턴온티즈의 남부(南部)는 노스이스트 잉글랜드에 속(屬)한다.
*** 링컨셔 주의(注意) 노스 링컨셔, 노스이스트 링컨셔는 요크셔험버에 속(屬)한다.
컴브리아, 이스트서식스, 그레이터런던, 그레이터맨체스터, 머지사이드, 노스요크셔, 사우스요크셔, 웨스트 미들랜즈, 웨스트서식스, 웨스트요크셔는 공식(公式) 깃발(旗발)이 없어 의회(議會) 깃발(旗발)(council flag)로 대체함(代替函).
The Isle of Wight

1 . 설명(說明) 2 . 역사(歷史)

1. 설명(說明) [편집(編輯)]

영국(英國) 잉글랜드 남부(南部)의 섬.

잉글랜드 에서 (본토(本土)를 제외(除外)한) 가장 넓은 섬 [1] 이고, 두 번째(番째)로 인구(人口)가 많은 섬이다. [2] 구어(口語)로 그 섬 (The Island)으로 불리기도 한다. 면적(面積) 384 km2에 2018년(年) 기준(基準) 인구(人口) 약(約) 11만(萬)이다. 경관(景觀)이 다양하여 "잉글랜드의 축소판(縮小版)(England in miniature)"이라 불린다. [3]

행정구역상(行政區域上)으로는 1890년(年) 이래(以來) 아일오브와이트 주(主)를 이루고 있으며, 주도(州都)는 인구(人口) 25,000명(名)의 섬 중앙(中央)에 있는 뉴포트(Newport). 다만 인구(人口)가 가장 많은 도시(都市)는 동북쪽(東北쪽) 해안(海岸)에 있는 항구(港口) 라이드(Ryde, 인구(人口) 3만(萬))으로 여기는 본토(本土) 항구(港口)들로 가는 항로교통(航路交通)의 중심지(中心地)다. 본토(本土)와 다리는 연결(連結)되어 있지 않다.

The Isle of Wigh...
라이드에서 출발(出發)해 섬의 동해안(東海岸)을 잇는 철도(鐵道) 1개(個) 노선(路線) 13.7 km가 아직 남아있다. [4] 주도(主導) 뉴포트에서는 1966년(年) 노선(路線)이 폐업되어 철도(鐵道)가 지나지 않는다. 섬 내부(內部) 철도(鐵道)에는 2021년(年) 대규모(大規模) 리뉴얼 사업(事業)과 함께 런던 지하철(地下鐵) 1938년산(年産) 중고차(中古車) [5] 가 운행(運行) 중단(中斷) 되며 # 2021년(年) 11월(月) 기준(基準)으로는 영국철도(英國鐵道) 484형(型) 기존(旣存) D형(型) 전동차(電動車)를 리뉴얼한 전동차(電動車)로 대체(代替)되고 있다. 런던 지하철(地下鐵)의 쓰레기통(쓰레기桶)

잉글랜드 남쪽(南쪽) 해안(海岸)에 있어 기후(氣候)가 온난(溫暖)하고 경치(景致)가 좋아 빅토리아 여왕(女王) 시대(時代) 이후(以後) 휴양지(休養地)로 개발(開發)되었다. 이 때에 참여(參與)한 건축가(建築家)로 정글북 의 작가(作家) 키플링 의 아버지 존 록우드 키플링(John Lockwood Kipling)과 영국(英國) 지배(支配) 하(下)의 인도(印度)에서 가장 유명(有名)한 건축가(建築家) 중(中) 하나였던 바이 람 싱(Bhai Ram Singh)의 협업자(協業者)이자 멘토이기도 했다. 이 둘이 함께 만든 작품(作品)이 와이트 섬에 있던 빅토리아 여왕(女王)의 피서용(避暑用) 별장(別莊) 오즈번 하우스(Osborne House)의 제후접견실(第後接見室)(Durbar room)이다. 한편(한便) 본토(本土)와 떨어진 섬이라는 점(點)을 이용(利用)해 교도소(矯導所) 2곳(Albany, Parkhurst)이 들어서 있으며 [6] 중세(中世) 왕조(王朝) 시기(時期)에도 정치범(政治犯)과 죄수(罪囚)들의 유배지(流配地)로도 사용(使用)되었다.

공룡(恐龍) 화석(化石)의 산지(産地)로도 유명(有名)한데 이구아노돈 , 바리오닉스 , 힙실로포돈 , 폴라칸투스 , 네오베나토르 , 발도사우(社友)루스 같은 백악기(白堊紀) 전기(電氣) 시대(時代)에 번성(蕃盛)하던 공룡(恐龍)의 화석(化石)들이 이 섬의 백악기(白堊紀) 전기(電氣) 지층(地層)에서 출토(出土)되었다.

2. 역사(歷史) [편집(編輯)]

칠왕국(七王國) 시대(時代)에 와이트 섬에는 본래(本來) 주트족(族)(유트족(族))이(李) 세운 '위(位)흐트와라(Wihtwara)'라는 독자적(獨自的)인 왕국(王國)이 존재(存在)했다. 이 왕국(王國)의 이름과 와이트 섬이라는 이름은 로마 시대(時代)에 이 섬을 웩티스(Vectis, 지레)라고 부른 데서 유래(由來)됐는데, 앵글로색슨 연대기(年代記)에선 다른 민간어원(民間語源)을 제시(提示)한다. 위(位)흐트가르(Wihtgar)라는 사람이 왕국(王國)의 초대(初代) 국왕(國王)인데, 위흐트와라라는 이름도 위(位)흐트가르의 백성(百姓)들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앵글로색슨 연대기(年代記)에선 위(位)흐트가르가 스투프(Stuf)라는 자(者)와 공동왕(共同王)이었고, 웨식스 체르디치 의 조카들이었다고 전(傳)해진다. 베다 의 『앵글인(人)의 교회사(敎會史)』에선 그들이 512년(年)부터 왕(王)이었다고 하고, 앵글로색슨 연대기(年代記)에선 534년(年)에 킨리(里)치 에게 땅을 받았다고 한다.

다른 앵글로색슨 왕국(王國)들처럼 와이트 섬의 기독교화(基督敎化)는 좀 늦었는데, 661년(年) 머시아 의 왕(王) 울프헤레(Wulfhere)가 웨식스 를 정벌(征伐)하면서 이 섬을 빼앗았고, 속국(屬國)이었던 서식스 의 왕(王) 애델웨알흐(Æðelwealh)에게 주어 와이트인(人)들을 기독교(基督敎)로 개종(改宗)시켰다고 한다. 하지만 울프헤레가 떠나자 추방(追放)되었던 캐드왈라 가 군대(軍隊)를 모아 서식스를 침략(侵略)해 애델웨알흐를 죽이고 섬이 다시 해방(解放)되자 그들은 오딘 을 섬기는 게르만 신화(神話) 로 돌아갔고 20여년(餘年) 뒤 완전히(完全히) 멸망(滅亡)하는 그 순간(瞬間)까지도 신앙(信仰)을 유지(維持)했다.

마침내 7세기(世紀) 후반(後半) 머시아 웨식스 의 경쟁자(競爭者)들을 모두 무찌르고 웨식스 의 유일(唯一)한 왕(王)이 된 캐드왈라 는 베다의 기록(記錄)에 따라 곧 686년(年) 서식스 켄트 를 정복(征服)하고 와이트 섬을 침략(侵略)하여 멸망시켰다. 섬의 주민(住民)들은 모두 살해당했고, 마지막 군주(君主)인 아르왈드는 처형(處刑)되었으며 도주(逃走)했던 그의 두 형제(兄弟)도 본토(本土)에서 발각(發覺)되어 주살당했다. 대신(代身) 아르왈드의 누이가 살아남았다고 하는데, 이름이 전(傳)해지지 않지만 그녀(그女)는 켄트 의 왕(王) 에그버트 1세(歲)(Ecgberht I, 에즈베르흐트)와 결혼(結婚)하여 후대(後代) 왕(王) 위흐트레드(Wihtred)를 낳아 모후(母后)가 되었다고 추측(推測)되는데, 위흐트레드는 알프레드 대왕(大王) 의 가까운 조상(祖上)이다.

[1] 사실(事實) 땅넓이론 맨 섬 이 더 넓지만, 애초(애初)에 맨 섬은 잉글랜드 가 아니라 별개(別個)의 왕실령(王室令) 이다. 항목(項目)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해외(海外) 영토(領土)같이 두기에 맨 섬에 사는 영국인(英國人)이 본토(本土)로 이주(移住)한다면 외국인(外國人) 귀화(歸化)하듯이 여러 절차(節次)를 거쳐야 한다. 와이트 섬은 그런 거 없다. [2] 가장 인구(人口)가 많은 섬은 해협(海峽) 맞은편(맞은便) 포츠머스 시(時)에 위치(位置)한 포트시(視)(Portsea) 섬 [3] 스코틀랜드 의 축소판(縮小版)으로 불리는 곳은 애런 섬 (Isle of Arran) [4] 이 철도(鐵道)도 내셔널 레일 소속(所屬)이다. [5] Class 483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6] 아쉽게도(?) 보안등급(保安等級)은 1990년대(年代) 이후(以後)로는 두 군데 다 B등급(等級)이다.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문서(文書)의 r116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以前) 역사(歷史)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다른 문서(文書)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文書)의 r116 ( 이전(以前) 역사(歷史) )
문서(文書)의 r ( 이전(以前) 역사(歷史)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