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예멘인(人) - 나무위키

예멘인(人)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예멘인(人) 관련(關聯)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표시(標示)가 된 것은 사라진 민족(民族)
* 남셈계(系)로 추정(推定)되지만 확실(確實)하지 않다
독립국(獨立國)
비(非)아랍권(圈)
독립국(獨立國)
아랍권(圈)
자치(自治) 지역(地域) 및 다수(多數) 거주지(居住地)
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 다수(多數) 거주국가(居住國家)
언어(言語) 및 문화(文化)
언어(言語)
사상(史上)
신화(神話)
아랍 신화(神話) | 유대 신화(神話) | 메소포타미아 신화(神話) (아카드 신화(神話)) | 바빌로니아 신화(神話) (칼데아 신화(神話)) | (아시리아 신화(神話)) | 가나안 신화(神話) (아람 신화(神話))| 페니키아 신화(神話) (카르타고 신화(神話))


1 . 개요(槪要) 2 . 종교(宗敎) 3 . 민족(民族) 4 . 언어(言語) 5 . 오해(誤解)
5.1 . 예멘인(人)들은 피부색(皮膚色)이 짙다 5.2 . 예멘인(人)들은 이슬람 광신도(狂信徒)
6 . 여담(餘談) 7 . 목록(目錄)
7.1 . 남성(男性) 7.2 . 여성(女性)
8 . 같이 보기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아랍어(아랍語) 예멘 방언(方言)을 사용(使用)하는 사람들 및 여타(餘他) 예멘 내(內) 고유(固有) 언어(言語)를 사용(使用)하는 부족(部族)들을 포괄(包括)하는 개념(槪念)이다.

예멘 아라비아반도(半島) 서남부(西南部)에 있는 나라로 해안지대(海岸地帶)에서 내륙(內陸)으로 들어가면 해발(海拔) 1500~2500m에 이르는 고원(高原) 산악지대(山岳地帶)가 나오는데 이 지역(地域)에서는 아라비아반도답지(半島答紙) 않게 비가 많이 내려서 인구(人口) 부양력(扶養力)이 높았고 비옥(肥沃)한 농경지(農耕地)가 많아 아라비아반도(半島)의 여타(餘他) 지역(地域)과는 다른 문명(文明)이 번창(繁昌)하였다. 예멘은 지중해(地中海)와 홍해(紅海), 인도양(印度洋)을 잇는 교통(交通)의 요지(要地)에 위치(位置)하기 때문에 역사상(歷史賞) 동서교류(東西交流)에서 중요(重要)한 중계자(中繼者) 역할(役割)을 했다. 따라서 예멘인(人) 사회(社會)에는 다양한 인종(人種)과 문화(文化)가 혼재(婚材)되어 있다.

아랍 - 이슬람 화(禍) 이전(以前)에는 사바 왕국(王國) 과 그 이후(以後)에 힘야르 왕국(王國) 이라는 유대교(유대敎) 왕국(王國)을 건설(建設)했으며 에티오피아 의 셈족과 형제(兄弟) 관계(關係)였다. 그들은 원래(元來) 성경(聖經) , 쿠란 에서 사바인(人) 으로 불리었다. 8세기(世紀)에 이슬람이 전파(傳播)되기 전(前)에 유대교(유대敎)가 성행(盛行)했으며 이스라엘이 건국(建國)되기 전(前)까지 예멘에 유대인(유대人) 들이 종종(種種) 살았다. [1]

2. 종교(宗敎) [편집(編輯)]

99%가 이슬람이지만 수니파(수니派) 자이드파(派) 로 양분(兩分)되어 있으며 아랍의 봄 이후(以後) 내전(內戰) 을 치르고 있다.

수니파(수니派)는 주로(主로) 샤피이파(異派) 마드하(下)브를 따른다.

예멘의 자이드파는 시아파(시아派) 의 일파(一派)로 12이맘파(派) 에 비해 수니파(수니派)와 좀 더 타협(妥協)을 중시(重視)하는 온건(穩健) 성향(性向)이다. [2] 오늘날 예멘 내전(內戰)은 종파(宗派) 차이(差異)도 있겠지만 더 근본적(根本的)인 원인(原因)은 예멘의 빈곤(貧困)의 부족간(部族間) 적대(敵對) 관계(關係)다.

3. 민족(民族) [편집(編輯)]

대다수(大多數)가 아랍인(人) 이지만 소코트라인(人) , 하드라미인 , 마흐라인 이라는 소수민족(少數民族) 이 있다.

아크담족(淡族) 이라는 예멘 흑인(黑人) 이 있으며 예멘 영내(領內) 소말리인(人) 도 있다.

jewish children ...
  • 예멘 유대인(유대人) 어린이들. 이목구비(耳目口鼻)를 보면 백인(白人) 외형(外形)이 강(剛)해보이는 어린이들 외(外)에도 흑인(黑人) 외형(外形)이 강(剛)해 보이는 어린이들이 보인다. 실제로(實際로) 오늘날 예멘 유대인(유대人)들 중(中)에서는 피부색(皮膚色)이 짙거나 아예 이목구비(耳目口鼻) 자체(自體)가 이웃 에티오피아나 소말리아 사람들과 유사(類似)한 사람들이( 예시(例示)1 예시(例示)2 ) 드물지는 않다.

4. 언어(言語) [편집(編輯)]

대다수(大多數)가 아랍어(아랍語) 를 구사(驅使)하지만 소코트라어 , 메흐라어 , 라지흐어 라는 소수(少數) 언어(言語)가 있다. 예멘 통일(統一) 과 그에 따른 사회(社會) 혼란(混亂) 등(等)의 여파(餘波)로 아랍권(圈)에서 문맹(文盲) 퇴치(退治)가 가장 지지부진(遲遲不進)한 지역(地域) 중(中) 하나다. [3]

5. 오해(誤解) [편집(編輯)]

5.1. 예멘인(人)들은 피부색(皮膚色)이 짙다 [편집(編輯)]

/image/091/2011/...
예멘난민1
대중(大衆) 매체(媒體)에서 등장(登場)하는 예멘인(人)
한국(韓國)에 입국(入國)한 예멘 난민(難民)들
인도(印度)/브라질처럼 사람마다 다르다. 과거(過去) 예멘은 해상(海上) 교통(交通)의 요지(要旨)였고 다양한 민족(民族)들이 오고갔다.

대중(大衆) 매체(媒體)에 등장(登場)하는 예멘인(人)들은 대개(大槪) 적도(赤道) 근처(近處)에 위치(位置)한 예멘의 일조량(日照量), 육체노동(肉體勞動)에 종사(從事)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皮膚)가 많이 탄 상태(狀態)다. 위 사진(寫眞) 속 예멘 난민(難民)들이 피부색(皮膚色)이 밝은 이유(理由)는 고학력(高學歷) 전문직(專門職) 종사자(從事者)라 햇볕 에서 일하는 경우(境遇)가 없었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脈絡)에서 19세기(世紀)에 말에서 20세기(世紀) 초반(初盤) 미국(美國)으로 이민한(移民韓) 예멘인(人) 이민자(移民者)들의 후손(後孫)들은 백인(白人)에 동화(同化)되었다.

예멘에서 피부색(皮膚色)이 짙은 사람은 대개(大槪) 아크담족(淡族) 이나 소말리인(人) 과 통혼(通婚)한 예멘 아랍인(人) 이지만 이들이 다수(多數)를 차지하지 않는다. 여담(餘談)으로 2018년(年) 제주(濟州) 난민(難民) 사태(事態) 당시(當時) 몇 안 되는 여성(女性) 난민(難民) 중(中) 한 명(名) 이상(以上)이 아크담족(淡族) 출신(出身)이라고 한다.
2018년(年) 제주(濟州) 난민(難民) 사태(事態) 당시(當時) 돌았던 루머인데 역사적(歷史的)으로 예멘은 와하브파 가 집권(執權)한 적이 없었고 현재(現在)까지도 신정(神政) 국가(國家)가 아니다. 원래(元來) 예멘의 시아파(시아派)는 이란의 시아파(시아派)에 비하면 상당히(相當히) 온건(穩健)한 성향(性向)이다.

문제(問題)는 현대(現代) 예멘의 문맹률(文盲率)로 1994년(年)에는 전채(前菜) 인구(人口) 중(中) 37.1%만이 글을 읽고 쓸 줄 알았고 2007년(年)에도 58.9%에 불과(不過)했다. 예멘이 석유(石油) 가 많이 나지만 자원(資源)으로 벌어들인 돈을 족장(族長)들을 비롯한 소수(少數)가 차지하기 때문에 경제력(經濟力)이 좋지 못하고 빈부격차(貧富隔差)도 심(甚)하다 보니 타 아라비아 국가(國家)들보다 평균적(平均的)으로 공교육(公敎育)이 부실(不實)해서 인습(因習) 문제(問題)가 불거질 수밖에 없다. 대표적(代表的)으로 예멘의 일부(一部) 씨족(氏族)들 사이에서 잔존(殘存)한 여성할례(女性割禮) 가 이슬람 광신(狂信)의 근거(根據)라는 사람이 있지만 예멘에서 여성할례(女性割禮) 비율(比率)은 23% 정도(程度)이며 오히려 예멘보다는 더 세속주의(世俗主義) 가 성행(盛行)하는 인도네시아 가 여성할례(女性割禮) 문제(問題)가 더 심각(深刻)하다. [4]

6. 여담(餘談) [편집(編輯)]

오사마 빈 라덴 의 부계(父系) 가문(家門)이 예멘인(人)이다. 정확히(正確히)는 예멘에 거주(居住)하는 하드라미인 이다.

7. 목록(目錄) [편집(編輯)]

하드라미인 도 목록(目錄)에 포함(包含)됨
※ 예멘계(界) 유대인(유대人)은 현재(現在) 이스라엘 국적(國籍)이기 때문에 목록(目錄)에 포함(包含)되지 않음

7.1. 남성(男性) [편집(編輯)]

7.2. 여성(女性) [편집(編輯)]

8. 같이 보기 [편집(編輯)]

[1] 현재(現在) 예멘의 유대인(유대人)들은 대부분(大部分) 이스라엘 로 이민(移民)갔으며 예멘에 남은 사람은 400명(名)밖에 되지 않는다. [2] 대신(代身) 해당(該當) 종파(宗派)는 순(順)니파에게 온건(穩健)한 것과는 별개(別個)로 반유대주의(反유대主義) 성향(性向)이 강(强)한 종파(宗派)이기도 했다. [3] 비교(比較)할 만한 나라로는 서아프리카(西아프리카)의 아랍어권(아랍語圈) 국가(國家)인 모리타니 정도(程度)가 있다. [4] 제주(濟州) 난민(難民)을 둘러싼 가짜(假짜)뉴스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