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연암대학교(燕巖大學校) - 나무위키

연암대학교(燕巖大學校)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연암대학교 엠블럼 연암대학교(燕巖大學校) 관련(關聯)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천안시 CI White 천안시(天安市) 의 대학(大學)
[ 펼치기 · 접기 ]
각(各) 대학(大學)의 제(第)1캠퍼스(본교(本校))는 캠퍼스를 표기(表記)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二元化))부터 "OO대학교(大學校)(AA캠퍼스)"과 같이 표기(表記)함. 분교(分校)는 캠퍼스명(名) 표시(標示)에서 OO대학교(大學校) AA캠퍼스로 괄호(括弧) 없이 표시(標示)함.
연암대학교(燕巖大學校)
Yonam College
연암대학교 엠블럼
분류(分類)
2/3년제(年制) 전문대학(專門大學)
국가(國家)
개교(個校)
1974년(年) 연암축산고등기술학교(燕巖畜産高等技術學校)
재단(財團)
학교법인(學校法人) LG연암학원(燕巖學院)
총장(總長)
육근열
대학기본역량진단(大學基本力量診斷)
일반재정지원(一般財政支援) 선정대학(選定大學) (2021년(年))
주소(住所)
충청남도(忠淸南道) 천안시(天安市) 서북구(西北區) 성환읍 연암(燕巖)로 313
웹 사이트
홈페이지 아이콘

1 . 개요(槪要) 2 . 주요(主要) 연혁(沿革) 3 . 학과(學科)
3.1 . 스마트축산계열(畜産係熱)
3.1.1 . 스마트축산전공(畜産專攻) 3.1.2 . 낙농한우전공(酪農韓牛專攻) 3.1.3 . 양돈양계전공(養豚養鷄專攻) 3.1.4 . 축산산업전공(畜産産業專攻) 3.1.5 . 학과특색(學科特色)
3.2 . 스마트원예계열(園藝系列)
3.2.1 . 스마트팜전공(專攻) 3.2.2 . 원예전공(園藝專攻) 3.2.3 . 환경조경전공(環境造景專攻) 3.2.4 . 플로리스트리(리) 전공(專攻) 3.2.5 . 가드닝 전공(專攻) 3.2.6 . 스마트원예산업전공(園藝産業專攻) 3.2.7 . 학과(學科) 특색(特色)
3.3 . 동물보호계열(動物保護系列)
3.3.1 . 동물보건학과(動物保健學科) 3.3.2 . 반려동물학과(伴侶動物學科) 3.3.3 . 학과(學科) 특색(特色)
3.4 . 축산학과(畜産學科)(전공심화(專攻深化))
3.4.1 . 학과(學科) 특색(特色)
3.5 . 스마트원예학과(園藝學科)(전공심화(專攻深化))
3.5.1 . 학과(學科) 특색(特色)
3.6 . 동물보호학과(動物保護學科)(전공심화(專攻深化))
3.6.1 . 학과(學科) 특색(特色)
3.7 . 스마트축산(畜産) 전문기술석사과정(專門技術碩士課程)
3.7.1 . 과정(過程) 특색(特色)
3.8 . 스마트원예(園藝) 전문기술석사과정(專門技術碩士課程)
3.8.1 . 과정(過程) 특색(特色)
4 . 관련(關聯) 문서(文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LG그룹 산하(傘下)의 전문대학(專門大學)이다. 연암(燕巖)은 LG의 창업주(創業主) 구인회(九人會) 회장(會長)의 호(號)다. 1973년(年) 12월(月) 학교법인(學校法人) 연암학원(燕巖學院)이 연암축산고등기술학교(燕巖畜産高等技術學校)로 설립인가(設立認可)를 받아 1974년(年) 개교(開校)한 전문대학(專門大學)이다. 1977년(年) 연암축산전문학교(燕巖畜産專門學校)로 승격(昇格)했고 1979년(年) 연암축산전문대학(燕巖畜産專門大學)으로 개편(改編)되었다. 1996학년도(學年度) 교육부(敎育部) 종합평가(綜合評價) 우수대학(優秀大學)으로, 1997~1999학년도(學年度) 교육평가(敎育評價) 특성화부분(特性化部分) 우수대학(優秀大學)으로 선정(選定)되었다. 1982년(年) 연암축산원예전문대학(燕巖畜産園藝專門大學)으로 교명(校名) 변경(變更) 후(後), 1998년(年) 연암축산원예대학(燕巖畜産園藝大學), 2003년(年) 천안연암대학(天安燕巖大學), 2016년(年) 3월(月) 연암대학교(燕巖大學校)가 되었다.

2. 주요(主要) 연혁(沿革) [편집(編輯)]

1973년(年) 학교법인(學校法人) LG연암학원(燕巖學院) 설립(設立)
1974년(年) 연암축산고등기술학교(燕巖畜産高等技術學校)(현(現), 연암대학교(燕巖大學校)) 개교(個校)
2012년(年) 전문대학(專門大學) 기관평가인증대학(機關評價認證大學) 선정(選定)(2012~2016)
2013년(年) 세계적수준의전문대학(世界的水準醫專門大學)(WCC) 선정(選定)
2014년(年) 특성화전문대학육성사업(特性化專門大學育成事業)(SCK) 선정(選定)
2016년(年) 농대(農大) 영농창업특성화사업(營農創業特性化事業) 선정(選定)
2016년(年) 연암대학교(燕巖大學校)로 교명(校名) 변경(變更)
2017년(年) 2주기(周忌) 전문대학(專門大學) 기관평가인증대학(機關評價認證大學) 선정(選定)(2017~2021)
2018년(年) 학사(學事) 직제(職制) 통합(統合)(축산계열(畜産係熱), 스마트원예계열(園藝系列), 동물보호계열(動物保護系列))
2018년(年) 대학기본역량진단(大學基本力量診斷) 자율개선대학(自律改善大學) 선정(選定)
2019년(年) 전문대학(專門大學) 혁신지원사업(革新支援事業) 자율협약형(自律協約型)(1유형(類型)) 선정(選定)
2019년(年) 대학(大學) 중장기(中長期) 발전계획(發展計劃) ‘YONAM SMART 2023’ 수립(樹立)
2019년(年) 농업계학교(農業界學校) 실습장(實習場) 지원사업(支援事業) 선정(選定)
2019년(年) 사회(社會)맞춤형(型) 산학협력(産學協力) 선도전문대학(先導專門大學)(LINC+) 육성사업(育成事業) 선정(選定)
2019년(年) 전문대학(專門大學) 혁신지원사업(革新支援事業) 후진학선도형(後進學先導型)(3유형(類型)) 선정(選定)
2019년(年) 매치업(Match業) 사업(事業) 선정(選定)
2020년(年) 비대면(非對面) 긴급지원사업(緊急支援事業) 선정(選定)
2021년(年) 신산업분야(新産業分野) 특화(特化) 선도전문대학(先導專門大學) 지원사업(支援事業) 선정(選定)
2021년(年) 대학기본역량진단(大學基本力量診斷) 일반재정지원대학(一般財政支援大學) 선정(選定)
2021년(年)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 양성기관(養成機關) 평가인증(評價認證) 선정(選定)
2022년(年) 농업계학교(農業界學校) 실습장(實習場) 지원사업(支援事業) 선정(選定)
2022년(年) 3주기(周忌) 전문대학(專門大學) 기관평가인증대학(機關評價認證大學) 선정(選定)(2022~2026)
2022년(年) 농업계학교(農業界學校) 교육지원사업(敎育支援事業) 선정(選定)
2022년(年) 매치업(Match業) 사업(事業) ‘지능형(知能型) 농장(農場)(스마트팜)’ 선정(選定)
2022년(年) 3단계(段階) 산학연협력(産學硏協力) 선도전문대학(先導專門大學) 육성사업(育成事業)(LINC 3.0) 선정(選定)
2022년(年) 2023학년도(學年度) 전문대학(專門大學) 전문기술석사과정(專門技術碩士課程) 인가(스마트 원예(園藝) 및 스마트 축산(畜産) 전문기술석사과정(專門技術碩士課程))

3. 학과(學科) [편집(編輯)]

아래 내용(內容)은 각(各) 학과별(學科別) 사이트에서 발췌(拔萃)한 것이다.

3.1. 스마트축산계열(畜産係熱) [편집(編輯)]

Division of Smart Animal Husbandry
급변(急變)하는 시대(時代)에 발 맞추어 축산자원(畜産資源)을 개발(開發)하고, 스마트축산(畜産)을 지향(志向)하며 축산(畜産)의 생산(生産), 가공(加工), 유통(流通) 및 경영(經營)에 이르는 실무(實務) 교육(敎育)을 통하여 글로벌 시대(時代)에 적합한 축산업(畜産業)의 전후방(前後方) 연관산업(聯關産業)의 현장전문가(現場專門家)를 양성(養成)을 목표(目標)로 한다.

3.1.1. 스마트축산전공(畜産專攻) [편집(編輯)]

Major of Smart Animal Husbandry
취업(就業), 진학(進學) 및 창업(創業)을 목표(目標)로 하는 학생(學生)이 선택(選擇)하는 전공(專攻)으로 축산(畜産) 전(全) 분야(分野)에 대(對)한 이론(理論)과 기술(技術)을 체득(體得)할 수 있다. 축종별(軸種別) 사양관리(辭讓管理), 번식(繁殖) 관련(關聯) 기술(技術), 축사(祝辭) 시설(施設) 및 환경관리(環境管理), 가축질병관리(家畜疾病管理), 경영(經營) 및 축산물(畜産物) 유통(流通) 등(等)의 이론(理論)과 실무(實務)를 교육(敎育)한다. 또한 ICT 융복합(複合) 등(等) 첨단(尖端) 축산교육(畜産敎育)을 실시(實施)하여 축산업(畜産業)의 전후방(前後方) 연관산업(聯關産業)의 현장전문가(現場專門家)를 양성(養成)한다.

3.1.2. 낙농한우전공(酪農韓牛專攻) [편집(編輯)]

Major of Dairy and Korean Beef Cattle
고품질(高品質) 우유(牛乳) 및 목장형(牧場型) 유제품(乳製品) 생산(生産)과 한우(韓牛) 고급육(高級肉) 생산기술(生産技術)을 습득(習得)하여 젖소와 한우(韓牛) 생산(生産)의 최고(最高) 축산(畜産) 경영인(經營人) 양성(養成)을 목표(目標)로 한다. 젖소와 한우(韓牛)의 사양관리(辭讓管理), 번식(繁殖), 개량(改良), 질병(疾病), 시설환경(施設環境), 가공(加工), 유통(流通) 및 경영(經營)에 이르는 이론(理論)과 실무(實務)를 겸비(兼備)한 현장(現場) 축산(畜産) 전문가(專門家)를 양성(養成)한다.

3.1.3. 양돈양계전공(養豚養鷄專攻) [편집(編輯)]

Major of Swine and Poultry
고품질(高品質) 돈육(豚肉) 생산(生産) 및 유통(流通)과 안전(安全)하고 신선(新鮮)한 계란(鷄卵) 및 닭고기 생산(生産) 및 유통(流通)에 관(關)한 기술(技術)을 습득(習得)한다. 저문적(著聞的)이고 체계적(體系的)인 양돈(養豚)과 양계(兩界)의 개량(改良), 번식(繁殖), 생리(生理), 영양(營養), 질병(疾病), 사양관리(辭讓管理), 시설환경(施設環境), 유통(流通), 경영(經營) 등(等) 다양한 교과목(敎科目)의 이론(理論)과 실무(實務)를 겸비(兼備)한 현장(現場) 축산전문가(畜産專門家)를 양성(養成)한다.

3.1.4. 축산산업전공(畜産産業專攻) [편집(編輯)]

Major of Livestock Industry
축산산업전공(畜産産業專攻)은 대학자체(大學自體)(경력직(經歷職))전형(銓衡) 입학생(入學生)을 대상(對象)으로 일(一) 학습(學習) 병행방식(竝行方式)으로 금요일(金曜日) 및 토요일(土曜日) 수업(授業)을 실시(實施)하며, 축산업(畜産業)의 전후방(前後方) 연관사업(聯關事業)의 현장전문가(現場專門家)를 양성(養成)한다.

3.1.5. 학과특색(學科特色) [편집(編輯)]

1. 최근(最近) 3년간(年間) 취업률(就業率) 85.1%(대학정보공시(大學情報公示) 기준(基準))
2. 농림축산식품부(農林畜産食品部) 주관(主管) “농대(農大) 영농창업특성화사업(營農創業特性化事業)” 운영학과(運營學科)(전문대(專門大)ㆍ사립대(私立大) 유일(唯一))
3. 국제(國際) 수준(水準)의 실습농장(實習農場)으로 농림축산식품부(農林畜産食品部) 지정(指定) 전국대표실습장(全國代表實習場) 운영(運營)
- 축산분야(畜産分野) 전국(全國) 대표실습장(代表實習場) 지정(指定) ( 2009년(年) )
- 축산(畜産) 첨단기술공동실습장(尖端技術共同實習場) 지정(指定) ( 2015년(年) )
- 농식품(農食品) ICT 융복합(複合) 교육농장(敎育農場) 지정(指定) (축산(畜産) 양돈(養豚)) ( 2015년(年) )
4. 해외(海外) 실습학기제(實習學期制) 운영(運營) 학과(學科)( 호주(濠洲) , 일본(日本) , 덴마크 , 네덜란드 등(等))
5.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家畜衛生防疫支援本部) 방역직(防疫職)(7급(級)) 15명(名) 최종합격(最終合格)( 2017년(年) , 2020년(年) )
6. 2021년(年) , 신산업분야(新産業分野) 특화(特化) 선도전문대학(先導專門大學) 지원사업(支援事業)으로 작물재배(作物栽培) 및 가축사양(家畜飼養) 데이터 기반(基盤) 스마트팜 분야(分野) 인재(人材) 양성(養成)을 위한 ’스마트팜 융합(融合) 전공(專攻)’ 운영(運營)

3.2. 스마트원예계열(園藝系列) [편집(編輯)]

Division of Smart Horticulture
스마트원예계열(園藝系列)은 국내(國內) 최고(最高)의 스마트 식물전문가(植物專門家)(스마트팜 운영관리(運營管理), 식물생산(植物生産), 식물관리(植物管理), 식물(植物)디자인, 영농창업(營農創業)) 양성(養成)을 목표(目標)로 실습(實習) 중심(中心)의 교육과정(敎育課程)을 운영(運營)하고 있으며, 6개(個)의 전공(專攻)(스마트팜, 원예(園藝), 환경조경(環境造景), 플로리스트리(리), 가드닝, 스마트원예산업(園藝産業))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3.2.1. 스마트팜전공(專攻) [편집(編輯)]

Major of Smart Farming
최첨단(最尖端) 복합환경제어(複合環境制御)시스템을 갖춘 스마트팜 시설(施設)을 이용(利用)하여 첨단원예작물재배(尖端園藝作物栽培), 작물(作物) 생육(生育)모니터링, 온실(溫室) 내(內) 빅데이터 관리(管理), 정보통신기술(情報通信技術)(ICT) 및 농업(農業)바이오(Green-Bio) 분야(分野)의 실질적(實質的)인 실습교육(實習敎育)을 통하여 4차(次) 산업혁명(産業革命) 시대(時代)의 농산업분야(弄産業分野)가 요구(要求)하는 전문(專門) 농업(農業) 인력(人力) 양성(養成)을 목표(目標)로 한다.

3.2.2. 원예전공(園藝專攻) [편집(編輯)]

Major of Horticulture
원예작물재배(園藝作物栽培)에 관련(關聯)된 체계적(體系的)인 이론교육(理論敎育)과 농산업(農産業) 현장(現場) 중심(中心)의 실무교육(實務敎育)을 통해 고품질(高品質) 원예작물(園藝作物)의 생산(生産), 종자(種子) 육종(育種), 수확(收穫) 후(後) 산물(産物) 관리(管理)와 유통(流通), 농촌체험(農村體驗), 서비스 분야(分野)에서 성공적(成功的)으로 취업(就業)과 창업(創業)할 수 있는 직무능력(職務能力)을 갖춘 우수(優秀) 농업(農業) 인재(人材) 양성(養成)을 목표(目標)로 한다.

3.2.3. 환경조경전공(環境造景專攻) [편집(編輯)]

Major of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인간(人間)과 자연(自然)의 공존(共存)과 조화(調和)를 도모(圖謀)하는 조경(造景)은 정원(庭園), 공원(公園), 녹지(綠地)를 근간(根幹)으로, 도시(都市)에서 산림(山林)과 하천(河川) 공간(空間)으로 그 대상(對象)과 범위(範圍)를 확장(擴張)하고 있다. 이에 우리 대학(大學)은 18만(萬) 평(坪)의 캠퍼스를 조경실무(造景實務) 실습교육장(實習敎育場)으로 활용(活用)하고, 조경시공(造景施工) 및 조경수(造景樹) 생산(生産) 관리(管理) 분야(分野)에 특화(特化)된 교육과정(敎育課程)을 도입(導入)하여 조경산업현장(造景産業現場)에서 요구(要求)하는 직무능력(職務能力)과 자격(資格)을 갖춘 조경기술자(造景技術子) 양성(養成)을 목표(目標)로 하고 있다.

3.2.4. 플로리스트리(리) 전공(專攻) [편집(編輯)]

Major of Floristry
꽃을 디자인하여 재창조(再創造)하는 전문직업인(專門職業人)인 플로리스트(Florist)를 양성(養成)하는 전공(專攻)이다. 플로리스트리전공(리전功)은 졸업(卒業) 후(後) 화원(花園)을 경영(經營)하면서 절화(折花), 분화(噴火), 가공화(加工化), 조화(調和) 등(等)을 이용(利用)한 화훼(花卉)장식물을 제작(製作)하여 판매(販賣)하고, 실내외(室內外) 공간(空間)의 다양한 화훼(花卉)디자인 연출(演出)과 결혼식(結婚式), 파티, 공연(公演) 등(等)의 행사(行事)를 위한 화훼(花卉)디자인, 전시(展示)를 위한 플로랄 디스플레이, 실내정원(室內庭園) 조성(造成), 플라워디자인 테라피, 플라워 아카데미 강사(講師) 등(等)의 일을 할 수 있도록 교육(敎育)한다.

3.2.5. 가드닝 전공(專攻) [편집(編輯)]

Major of Gardening
전(全) 국민(國民)의 가드닝을 돕는 ‘가든디자이너’, ‘가드너’를 비롯하여 ‘가든센타’, ‘가든카페’ 등(等)에 종사(從事)하는 전문(專門) 직업인(職業人)을 양성(養成)하는 전공(專攻)이다. 주택정원(住宅庭園)을 비롯한 다양한 정원(庭園)(식물원(植物園), 수목원(樹木園), 관광농원(觀光農園)) 관련(關聯) 디자인, 조성(造成), 관리(管理),유통(流通), 서비스업(서비스業) 등(等)에 취업(就業)하거나 가든센터, 가든디자인업(業), 상업적(商業的) 정원(定員)을 창업(創業), 경영(經營)할 수 있도록 교육(敎育)한다. 특히(特히) 수준(水準) 높은 초화(草花) 디자인에 초점(焦點)을 맞추어 교육(敎育)한다.

3.2.6. 스마트원예산업전공(園藝産業專攻) [편집(編輯)]

Major of Smart Horticulture Industry
스마트원예산업전공(園藝産業專攻)은 대학자체(大學自體)(경력자(經歷者))전형(銓衡) 입학생(入學生)을 대상(對象)으로 일(一)?학습(學習) 병행방식(竝行方式)으로 금요일(金曜日) 및 토요일(土曜日) 수업(授業)을 실시(實施)하여 현업(現業)과 직결(直結)된 전문적(專門的)인 지식(知識) 및 기술(技術)을 습득(習得)한다.

3.2.7. 학과(學科) 특색(特色) [편집(編輯)]

1. 최첨단(最尖端) 스마트팜(유리온실(琉璃溫室)/플라스틱온실(溫室)/수직농장(垂直農場)/수경재배(水耕栽培) 채소온실(菜蔬溫室)) 시설(施設) 및 국내(國內) 최초(最初) 스마트팜 전공(專攻) 운영(運營)(네덜란드 와게닝겐대학교와 협약(協約))
2. 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과 스마트팜 전문(專門) 인력양성(人力養成) 및 기술교류(技術交流) 업무협약(業務協約) 체결(締結)
3. 국제기능(國際技能)올림픽 조경분야(造景分野) 3회(回) 연속(連續) 국가대표(國家代表) 출전(出典) 및 우수상(優秀賞) 수상(受賞)(제(第)38회(回), 제(第)39회(回), 제(第)40회(回))
4. 화훼(花卉)디자인 전문가(專門家)의 체계적(體系的) 실습지도(實習指導) 및 해외연수(海外硏修)를 통(通)한 트렌드 학습(學習), 해외취업(海外就業) 기회(機會) 제공(提供), 화훼(花卉)장식 관련(關聯) 경진대회(競進大會) 다수(多數)의 입상(入賞) 실적(實績)
5. 우수(優秀)한 가드닝 교육(敎育)으로 유명(有名) 가든디자인 공모전(公募展) 다수(多數) 입상(立像)(경기정원문화박람회(京畿庭園文化博覽會), 서울정원문화박람회(定員文化博覽會), 국립수목원(國立樹木園) 생활정원(生活庭園) 컨테스트, 순천만(順天灣) 가든페스티벌, 고양(高陽)꽃박람회(博覽會) 등(等))
6. 2021년(年) 신산업분야(新産業分野) 특화(特化) 선도전문대학(先導專門大學) 지원사업(支援事業)으로 작물재배(作物栽培) 및 가축사양(家畜飼養) 데이터 기반(基盤) 스마트팜 분야(分野) 인재(人材) 양성(養成)을 위한 ’스마트팜 융합(融合) 전공(專攻)’ 운영(運營)
7. 3단계(段階) 산학연협력(産學硏協力) 선도전문대학(先導專門大學) 육성사업(育成事業)(LINC 3.0) 운영(運營)을 통한 협약산업체(協約産業體) 채용(採用) 연계(連繫) 기반(基盤) 주문식교육과정(注文式敎育課程) 지원(支援)
8. 2022년(年)부터 산업현장(産業現場)에서 문제(問題)를 발견(發見)하고 공유(共有)?협업(協業) 과정(過程)을 통해 해결(解決) 방법(方法)을 찾는 ‘연암(燕巖)리빙랩’ 교육(敎育)모델을 운영(運營)하고 있음
※ 연암(燕巖)리빙랩은 산업현장(産業現場)의 문제(問題)를 학생(學生)의 자기주도적(自己主導的) 참여(參與)를 통해 교수(敎授)?산업체(産業體)와 함께 학습(學習), 해결(解決)을 지향(志向)하는 현장(現場) 중심(中心) 문제해결(問題解決) 교육체계(敎育體系)임

3.3. 동물보호계열(動物保護系列) [편집(編輯)]

Division of Animal Care
실무형(實務型) 최고(最高) 반려동물(伴侶動物) Total Pet Care 전문가(專門家), BIO동물(動物) 산업체(産業體)가 요구(要求)하는 전문인력(專門人力)을 양성(養成)한다.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가 중심(中心)인 4개(個)의 대표직무(代表職務) 트랙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 반려동물행동교정전문가(伴侶動物行動矯正專門家), 반려동물미용사(伴侶動物美容師), BIO실험실(實驗室) 연구보조원(硏究補助員))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으며,동물보건사를 위한 동물보건학과(動物保健學科)와 그 외(外) 동물산업(動物産業)을 위한 반려동물학과(伴侶動物學科)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3.3.1. 동물보건학과(動物保健學科) [편집(編輯)]

Major of Animal Care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 양성기관(養成機關) 인증(引證) 학과(學科)이며, 동물(動物)의 생리연구(生理硏究), 위생관리(衛生管理) 및 동물보건(動物保健)을 위한 영양학(營養學), 내(內) 외과학(外科學), 질병학(疾病學), 영상학(映像學), 약무학(約舞鶴), 공중보건학(公衆保健學)을 기반(基盤)으로 대표직무인(代表職無人) 동물병원(動物病院) 동물보건사(動物保健史)를 양성(養成)하고 있다. 수의학(獸醫學),동물보건학(動物保健學) 관련(關聯) 지식(知識)을 습득(習得)하여 최고(最高)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 전문인(專門人) 양성(養成)을 목표(目標)로 하고 있다. 대표직무(代表職務) 간(間) 융합(融合)을 통해 행동교정도(行動矯正度) 할 수 있는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 반려동물(伴侶動物) 미용(美容)도 할 수 있는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 연구(硏究)도 할 수 있는 동물보건사(動物保健史)를 양성(養成)하고 있다.

3.3.2. 반려동물학과(伴侶動物學科) [편집(編輯)]

Major of Pets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를 제외(除外)한 동물산업(動物産業)의 실무(實務)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하고 있다. 인류(人類)의 건강(健康)을 위해 필수(必須)인 BIO동물연구(動物硏究) 분야(分野), 도시화(都市化) 및 핵가족화(核家族化)에 따른 인간(人間)의 소외감(疏外感)에 따른 불안감(不安感)을 해소(解消)시키기 위하여 각광(脚光)을 받고 있는 반려동물(伴侶動物) 산업(産業)(2022년(年) 기준(基準) 반려동물산업(伴侶動物産業) 매출(賣出)이 6조(兆)원 돌파(突破)) 분야(分野)의 최고(最高)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하고 있다. 특히(特히) 반려동물(伴侶動物) 분야(分野)는 반려인(伴侶人)의 교육(敎育)부터 반려동물(伴侶動物) 관련(關聯) 실용적(實用的)인 산업가치(産業價値) 창출(創出)까지 인간(人間)의 삶에 풍요(豐饒)와 안정감(安定感)을 한층(한層) 더 하게 하는 반려동물(伴侶動物) 전문기술인(專門技術人)을 양성(養成)하고 있다.

3.3.3. 학과(學科) 특색(特色) [편집(編輯)]

1. 수의내과(囚衣內科), 수의외과(囚衣外科), 수의공중보건(囚衣公衆保健), 동물임상병리학(動物臨床病理學) 수의사(獸醫師), 수의약리독성학(囚衣藥理毒性學) 전공(專攻) 동물실험전문가(動物實驗專門家), 반려동물훈련전문가(伴侶動物訓鍊專門家) 등(等)의 전임교수진(專任敎授陣)이 풍부(豐富)한 현장(現場) 경험(經驗)을 바탕으로 교육(敎育), 계열(系列) 내(內) 수의사(獸醫師) 전임교수(專任敎授) 5명(名) 재직(在職)
2.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 실습교육(實習敎育) 및 양성(養成)을 위한 동물보건실습(動物保健實習)센터 설립(設立) 운영(運營), 2022년(年) 2월(月) 27일(日) 실시(實施)한 제(第)1회(回)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 자격시험(資格試驗)에서 재학생(在學生) 기준(基準) 합격률(合格率) 95.3% 달성(達成)
3.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 국가자격증(國家資格證) 및 훈련(訓鍊) 자격검정(資格檢定) 대회(大會), 자격증(資格證)을 취득(取得)할 수 있도록 지원(支援)
4. 국내(國內) 최초(最初) 국제대회(國際大會) 규격(規格)을 갖춘 실내(室內) 반려견(伴侶犬) 훈련(訓鍊)센터 및 교육관(敎育觀)을 신축(新築)하고, 국내(國內) 최고(最高) 수준(水準)의 야외(野外) 훈련장(訓鍊場)을 확보(確保)하여 최고(最高)의 반려동물(伴侶動物) 교육환경(敎育環境)을 갖춤
5. 다양(多樣)한 동아리 활동(活動) 지원(支援)
- 반려동물(伴侶動物) 핸들러 동아리 : 국내(國內) 도그쇼에 출전(出戰)하여 40회(回) 이상(以上)의 수상(受賞) 실적(實績)은 물론(勿論), 필리핀 국제(國際) 도그쇼(~2020년(年)), 태국(泰國) 국제(國際) 도그쇼(2022년(年))에 참가(參加)하여 24개(個) 대회종목(大會種目)에서 30개(個) 이상(以上)의 국제대회(國際大會) 수상(受賞) 실적(實績) 보유(保有)(국내(國內) 대학(大學) 유일(唯一))
- 반려동물(伴侶動物) 훈련(訓鍊) 동아리 : 매년(每年) 국내(國內) 애견(愛犬) 훈련(訓鍊) 경기(競技) 대회(大會)에 참가(參加)하여 40회(回) 이상(以上) 대상(對象) 및 우수상(優秀賞) 수상(受賞)하였으며, 훈련(訓鍊) 분야(分野)로는 복종(服從), 어질리티, 프리스비로 구성(構成)
- 반려동물(伴侶動物) 미용(美容)/반려동물(伴侶動物) Pet Food/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실험동물(實驗動物) 동아리 활동(活動) 및 자격증(資格證)을 취득(取得)할 수 있도록 지원(支援)

3.4. 축산학과(畜産學科)(전공심화(專攻深化)) [편집(編輯)]

Dept. of Animal Husbandry
실무(實務) 중심(中心)의 전문학사(專門學士) 교육과정(敎育課程)에서 부족(不足)한 전문(專門) 기반지식(基盤知識)을 보강(補强)하여 현장(現場)의 문제(問題) 해결(解決) 능력(能力) 및 취(取)·창업(創業) 경쟁력(競爭力)을 높이고, 우수(優秀) 산업체(産業體) 및 농장(農場) 등(等)을 벤치마킹함으로써 새로운 기술(技術)과 정보(情報)를 습득(習得)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敎育課程)을 편성(編成)

3.4.1. 학과(學科) 특색(特色) [편집(編輯)]

? 최근(最近) 5년간(年間) 취업률(就業率) 90.1%(대학정보공시(大學情報公示) 기준(基準))
? 농림축산식품부(農林畜産食品部) 주관(主管) ‘농대(農大) 영농창업특성화사업(營農創業特性化事業)’ 운영학과(運營學科)
? 해외실습학기제(海外實習學期制) 운영학과(運營學科)(덴마크 및 네덜란드 2018년(年)과 2019년(年) 운영(運營))
- 2023년(年) 국내외현장실습(國內外現場實習)(하계(夏季), 동계(冬季))으로 추진(推進) 예정(豫定)
? 2020년(年) 제(第)10회(回) 축산물품질평가대회(畜産物品質評價大會) 대상(大賞) 수상(受賞)
- 축산학과(畜産學科) 4학년(學年) 학생(學生)(송영우, 이오름, 임유빈, 전준형, 한무경(韓茂景))
? 일학습병행과정(學習竝行過程) 운영(運營)(금요일(金曜日)(19시(時)~)과 토요일(土曜日) 2일(日) 수업(授業))
? 유연(柔軟)한 교육과정(敎育課程) 운영(運營)(야간(夜間), 주간(週間), 주말(週末), 계절학기(季節學期) 운영(運營))
? 금요일(金曜日) 수업(授業)은 야간(夜間)에 원격수업(遠隔授業)으로 진행(進行)함.

3.5. 스마트원예학과(園藝學科)(전공심화(專攻深化)) [편집(編輯)]

Dept. of Smart Horticulture
스마트팜으로 대표되는 스마트농업(農業) 시대(時代), 현장(現場) 요구(要求)에 부응(副應)하는 실용적(實用的), 실무형(實務型) 인재(人材) 양성(養成)을 목표(目標)로 현장(現場) 미러형(型) 기반(基盤) 인프라(스마트팜 비닐온실(溫室), 스마트팜 유리온실(琉璃溫室), 스마트팜 수직농장(垂直農場), 컨테이너형(型) 수직농장(垂直農場))을 구축(構築)하였으며, 이를 현장직무기반(現場職務基盤)의 교육장(敎育場)으로 적극(積極) 활용(活用)하여 국내(國內) 최고(最高)의 스마트 농업(農業) 전문(專門) 인재(人材)를 양성(陽性)

3.5.1. 학과(學科) 특색(特色) [편집(編輯)]

? 종자(種子)(산업(産業))기사(記事), 식물보호(植物保護)(산업기사(産業記事))기사(記事), 유기농업(有機農業)(산업(産業))기사(記事),농산물품질관리사(農産物品質管理社), 조경(造景)(산업(産業))기사(記事) 등(等)의 농업(農業)+IT 자격증(資格證) 취득(取得)을 위한 자격증반(資格證半) 운영(運營)
? 연암대학교(燕巖大學校) 만(萬)의 독특(獨特)한 직무중심(職務中心) 비교과(非敎科) 프로그램인 연암(燕巖) LTE(Listening(들어보기), Training(체험(體驗)하기), Experience(경험(經驗)하기)) 프로그램의 일환(一環)으로 선도(先導) 산업체(産業體) 견학(見學), 전문가(專門家) 특강(特講) 등(等) 체험(體驗)과 경험(經驗)의 범위(範圍)를 확대(擴大)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세부(細部) 프로그램 운영(運營)

3.6. 동물보호학과(動物保護學科)(전공심화(專攻深化)) [편집(編輯)]

Dept. of Animal Care
반려동물산업(伴侶動物産業)이 급성장(急成長)함에 따라 전문화(專門化), 세분화(細分化) 되고 있는 산업(産業) 현장(現場)의 빠른 직무변화(職務變化)와 급증(急增)하는 반려동물(伴侶動物) 창업(創業) 수요(需要)에 대응(對應)하고, 전문가(專門家) 수준(水準)의 숙련(熟鍊)된 기술(技術)과 실무(實務) 역량(力量)(반려동물(伴侶動物) 사육관리(飼育管理), 미용(美容), 훈련(訓鍊), 창업(創業), 연계(連繫) 실무(實務) 등(等)) 개발(開發)을 위한 심화과정(深化課程)을 교육(敎育). 반려동물(伴侶動物) 산업(産業)과 관련(關聯)된 전문기술(專門技術)을 익히고, 고객가치(顧客價値) 창출(創出)을 위한 경영(經營) 실무(實務)를 익힘으로써 “Total Pet Care 전문(專門) 경영인(經營人)”을 양성(陽性)

3.6.1. 학과(學科) 특색(特色) [편집(編輯)]

? 동아리(반려동물훈련(伴侶動物訓鍊)동아리, 반려동물미용(伴侶動物美容)동아리, 반려동물(伴侶動物)핸들링동아리, 프리스비동아리, 펫푸드동아리,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동아리, 실험동물(實驗動物) 동아리) 운영(運營)
? 연암대학교(燕巖大學校) 만(萬)의 독특(獨特)한 직무중심(職務中心) 비교과(非敎科) 프로그램인 연암(燕巖) LTE(Listening(들어보기), Training(체험(體驗)하기), Experience(경험(經驗)하기)) 프로그램의 일환(一環)으로 선도(先導) 산업체(産業體) 견학(見學), 전문가(專門家) 특강(特講), 전공(專攻) 경진대회(競進大會), 캡스톤 디자인 등(等) 다양한 세부(細部) 프로그램 운영(運營)
? 동물보건사(動物保健社), 반려동물(伴侶動物) 훈련사(訓鍊師), 반려동물미용사(伴侶動物美容師), 반려동물(伴侶動物)핸들러,반려동물재활훈련사(伴侶動物再活訓鍊社), 실험동물기술원(實驗動物技術院) 등(等) 반려동물(伴侶動物) 관련(關聯) 자격증취득(資格證取得)을 위한 자격증반(資格證半) 운영(運營)

3.7. 스마트축산(畜産) 전문기술석사과정(專門技術碩士課程) [편집(編輯)]

Master Degree of Smart Animal Husbandry
스마트축산(畜産) 전문기술석사과정(專門技術碩士課程)은 축산산업체(畜産産業體) 3년(年) 이상(以上)의 경력자(經歷者)를 위한 고숙련(高熟鍊) 축산전문기술(畜産專門技術)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하는 것을 목표(目標)로 단기직무과정(短期職務過程), 전문학사과정(專門學士過程) 및 전공심화과정(專攻深化過程)(학사(學事))과 연계(連繫)하여 운영(運營)
국내(國內) 유일(唯一)의 축산분야(畜産分野) 전문과정(專門課程)으로서 전문학사과정(專門學士過程)(축산계열(畜産係熱)) 및 전공심화과정(專攻深化過程)(학사(學事),
축산학과(畜産學科))과 연계(連繫)하여 국내(國內) 최고(最高)의 축산전문가(畜産專門家)로 육성(育成)

3.7.1. 과정(過程) 특색(特色) [편집(編輯)]

? 일학습병행과정(學習竝行過程) 운영(運營)(수요일(水曜日) 1일(日) 수업(授業))
? 산업체전문가(産業體專門家) 및 교수(敎授)가 함께 참여(參與)하는 축산현장(畜産現場) 중심(中心) 교육과정(敎育課程) 운영(運營)
? 스마트축산(畜産) 분야(分野) 단기직무과정(短期職務過程) 운영(運營)
? 비정규과정(非正規課程)으로 축산(畜産) 관련(關聯) 자격증(資格證) 취득(取得) 프로그램 운영(運營)
? 국제(國際) 수준(水準)의 실습농장(實習農場) 운영(運營)
- 축산분야(畜産分野) 전국대표실습장(全國代表實習場) 지정(指定)(2009년(年))
- 축산첨단기술공동실습농장(畜産尖端技術共同實習農場) 지정(指定)(2015년(年))
- 농식품(農食品)ICT융복합(融複合) 교육농장(敎育農場)(축산(畜産) 양돈(養豚)) 지정(指定)(2015년(年))
? 스마트축산(畜産) 실습장(實習場) 운영(運營)
- 스마트양돈(養豚) 실습장(實習場)(네덜란드 PTC+돈사(豚舍)), 스마트양계(養鷄) 실습장(實習場) (다단식(多段式) 평사(平射)), 스마트낙농(酪農) 실습장(實習場)(로봇착유(搾乳)실) 등(等)
? 학위(學位) 취득(取得) 요건(要件)
- 24학점(學點) 취득(取得) 및 논문(論文), 특허(特許), 현장애로기술(現場隘路技術) 개발(開發) 실적(實績), 공동(共同) 프로젝트 실적(實績), 보유(保有) 기술(技術) 상용화(商用化)(실용화(實用化)) 중(中) 1가지 실적(實績)이 있어야 함

3.8. 스마트원예(園藝) 전문기술석사과정(專門技術碩士課程) [편집(編輯)]

Master Degree of Smart Horticulture
스마트원예(園藝) 전문기술석사과정(專門技術碩士課程)은 원예(園藝) 관련(關聯) 분야(分野) 3년(年) 이상(以上)의 경력자(經歷者)를 위한 고숙련(高熟鍊) 전문기술(專門技術)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하는 것을 목표(目標)로 단기직무과정(短期職務過程), 전문학사과정(專門學士過程) 및 전공심화과정(專攻深化過程)(학사(學事))과 연계(連繫)하여 운영(運營)
‘국내(國內) 최고(最高)의 차세대농업기술(次世代農業技術) 선도대학(先導大學)’의 대학(大學) 비전하(下)에 스마트팜분야(分野)의 특성화(特性化)를 추진(推進)하는 국내(國內) 유일(唯一)의 스마트팜 전문과정(專門課程)으로서 전문학사과정(專門學士過程)(스마트원예계열(園藝系列)) 및 전공심화과정(專攻深化過程)(학사(學事), 스마트원예학과(園藝學科))과 연계(連繫)하여 국내(國內) 최고(最高)의 스마트팜 전문가(專門家)를 육성(育成)

3.8.1. 과정(過程) 특색(特色) [편집(編輯)]

? 현장전문가(現場專門家)를 학과(學科) 교수(敎授)의 60% 이상(以上)으로 구성(構成)
? 스마트팜 분야(分野) 고숙련(高熟鍊) 전문기술인재(專門技術人材) 양성(養成)을 위한 직무(職務) 중심(中心)의 고도화(高度化)된 교육과정(敎育課程) 운영(運營)
? 스마트팜 현장친화적(現場親和的) 교육환경(敎育環境) 구축(構築)
- 유리온실(琉璃溫室) / 비닐온실(溫室) / 수직농장(垂直農場) / 컨테이너형(型) 수직농장(垂直農場)
? 일·학습(學習) 병행(竝行) 과정(過程) 운영(運營)(주중반(週中盤), 주말반(週末班))
? 유연(柔軟)한 학사제도(學事制度) 운영(運營)
- 산업체경력자(山業體經歷者)(재직자(在職者)), 성인학습자(成人學習者)를 위한 모듈형학기제(型學期制), 집중이수제(集中利水劑), 다학기제(多學期制), 원격수업제(遠隔授業第), 단기직무능력학점인정제(短期職務能力學點認定第), 선행학습경험인증제(先行學習經驗認證制) 도입(導入) 운영(運營)
? 전문기술석사과정(專門技術碩士課程)을 통해 석사학위(碩士學位) 취득(取得) 및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 특수대학원(特殊大學院) 박사학위과정(博士學位課程) 입학(入學) 가능(可能)
? Project 기반(基盤) 혁신적(革新的) 교수법(敎授法) 활용(活用) 수업(授業) 진행(進行)
- 스마트팜 리빙랩, PBL 등(等)
? 주(株) 6시간(時間)의 교육(敎育)(온라인강좌(講座), 주말강좌(週末講座) 등(等) 가능(可能))
? 원격수업제(遠隔授業第) 탄력적(彈力的) 운영(運營)
- 일학습병행(學習竝行) 학생(學生)의 특성(特性)을 고려(考慮) 원격수업(遠隔授業)(온라인강좌(講座))의 탄력적(彈力的) 운영(運營)

4. 관련(關聯) 문서(文書) [편집(編輯)]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