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양양군(襄陽郡) - 나무위키

양양군(襄陽郡)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분류(分類)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자치군(自治群)
양양군 CI
양양군(襄陽郡)
襄陽郡
Yangyang County
군청(郡廳) 소재지(所在地)
양양읍 군청(郡廳)길 1 (군행리)
광역자치단체(廣域自治團體)
하위(下位) 행정구역(行政區域)
면적(面積)
630.08㎢
인구(人口)
27,608명(名) [1]
인구밀도(人口密度)
43.81명(名)/㎢ [2]
군수(郡守)
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
군의회(郡議會)
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
5석(席) [3]
zsdkl3gasdg
1석(席) [4]
1석(席) [5]
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
1석(席) [6]
국회의원(國會議員)
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
상징(象徵)
군화(軍靴)
군목(軍牧)
군조
033
홈페이지 아이콘?|? 페이스북 아이콘?|? 인스타그램 아이콘
1 . 개요(槪要) 2 . 역사(歷史) 3 . 지리
3.1 . 인구(人口)
4 . 언어(言語) 5 . 교통(交通) 6 . 경제(經濟) 7 . 관광(觀光)
7.1 . 서핑 클럽 의 성지(聖地)
8 . 특산물(特産物) 9 . 생활문화(生活文化)
9.1 . 교육(敎育) 9.2 . 치안(治安) 9.3 . 소방(消防)
10 . 정치(政治) 11 . 군사(軍事) 12 . 하위(下位) 행정구역(行政區域) 13 . 나무위키 에 등록(登錄)된 출신(出身) 인물(人物)
13.1 . 가상(假想) 인물(人物)

1. 개요(槪要) [편집(編輯)]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의 군(軍). 북쪽(北쪽)으로는 속초시(束草市) , 남쪽(南쪽)으로는 강릉시(江陵市) , 백두대간(白頭大幹) 너머로 홍천군(洪川郡) , 인제군(麟蹄郡) 과 인접(隣接)해 있다.

속초시와 가까워서 속초시의 영향(影響)을 많이 받는 지역(地域)인데, 애초(애初)에 속초시가 원래(元來) 양양군(襄陽郡) 속초읍 이었다. 양양소방서(襄陽消防署)가 2016년(年) 개서 전(前)까지 속초소방서(束草消防署)가 양양도(襄陽度) 담당(擔當)했고, 현재(現在)도 자체(自體) 경찰서(警察署)와 교육지원청(敎育支援廳)이 없고, 속초경찰서(束草警察署) 와 강원도속초양양교육지원청(江原道束草襄陽敎育支援廳)이 담당(擔當)하고 있다. [7] 그나마 경찰서(警察署)의 경우(境遇)는 2024년(年) 12월(月) 준공(竣工)을 목표(目標)로 신설(新設) 사업(事業)이 잘 추진(推進)되고 있지만 # 교육지원청(敎育支援廳)의 경우(境遇) 강원특별법(江原特別法)에서 해당(該當) 특례(特例)가 빠진 상태(狀態)라 추진(推進)에 난항(難航)을 겪고 있다. # 지금(只今)은 2015년(年)에 개관(開館)한 속초양양교육지원청(束草襄陽敎育支援廳) 산하(傘下) 양양교육지원(襄陽敎育支援)센터에 의존(依存)해야 하는 처지(處地)이다.

여담(餘談)으로 전국(全國)의 지방자치단체(地方自治團體) 중(中) 이름을 한글로 썼을 때 똑같은 글자(글字)만으로 이루어진 유일(唯一)한 곳이다.

2. 역사(歷史)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양양군(襄陽郡)/역사(歷史)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양양군옛로고
1985년(年) 당시(當時) 양양군(襄陽郡)
1980년대(年代) 당시(當時) 양양읍

고려(高麗)에서 조선(朝鮮) 초기(初期)까지 '양주(洋酒)(襄州) [8] '였다가, 조선(朝鮮) 태종(太宗) 때 이름이 '주(週)(州)'로 끝나는 고을의 대부분(大部分)을 '양(量)(陽)', '천(千)(川)', '산(山)' 등(等)으로 바꾸라는 어명(御命)을 내리면서 '양양(襄陽)(襄陽)'으로 바뀌어 오늘날에 이른다.
강원도(江原道) 영동(嶺東) 지방(地方)에 위치(位置)해 있으며 동쪽(東쪽)으로는 동해(東海) 바다와 인접(隣接)하고 서쪽(西쪽)으로는 한계령(寒溪嶺) 설악산(雪嶽山) 등(等)을 사이로 인제군(麟蹄郡) 과 인접(隣接)하며 남쪽(南쪽)으로는 강릉시(江陵市) 와 인접(隣接)하고 북쪽(北쪽)으로는 속초시(束草市) 설악산(雪嶽山) 이 인접(隣接)해 있다.

동쪽(東쪽)을 제외(除外)한 서남북이 내륙(內陸)으로 구성(構成)되어있고 동쪽(東쪽)의 경우(境遇) 동해안(東海岸)과 접(接)하고 있어서 해수욕장(海水浴場)이나 항구(港口)나 포구(浦口) 등(等)이 있다. 서쪽(西쪽)의 경우(境遇) 한계령(寒溪嶺) 설악산(雪嶽山) 등(等) 산지(山地)가 많다. 양양남대천(襄陽南大川) 이 동해(東海)로 흐른다.

지리적(地理的)인 영향(影響)으로 겨울에 굉장히(宏壯히) 이 많이 오는 편(便)이며 연평균(年平均) 기온(氣溫)은 11.8℃, 1월(月) 평균(平均) 기온(氣溫)은 -2.2℃, 8월(月) 평균(平均) 기온(氣溫)은 24.3℃이고, 역대(歷代) 최고(最高) 기온(氣溫)은 1939년(年) 7월(月) 에 기록(記錄)된 39.2℃, 역대(歷代) 최저(最低) 기온(氣溫)은 1944년(年) 2월(月) 에 관측(觀測)된 -19.0℃였으며 연평균(年平均) 강수량(降水量)은 1,400mm이다.

3.1. 인구(人口) [편집(編輯)]

양양군 CI 강원도(江原道) 양양군(襄陽郡) 인구(人口) 추이(推移)
(1966년(年)~현재(現在))
1966년(年) 50,390명(名)
1970년(年) 47,355명(名)
1975년(年) 44,627명(名)
1980년(年) 42,209명(名)
1985년(年) 36,484명(名)
1990년(年) 35,643명(名)
1995년(年) 31,063명(名)
2000년(年) 30,141명(名)
2005년(年) 29,132명(名)
2010년(年) 27,929명(名)
2015년(年) 27,479명(名)
2020년(年) 27,946명(名)
2024년(年) 4월(月) 27,608명(名)
인구(人口)는 현재(現在) 행정구역(行政區域)이 아닌 해당(該當) 연도(年度) 행정구역(行政區域) 기준(基準), 그래프 최대(最大) 값은 5만(萬) 명(名)
1966-2005: 통계청(統計廳) 인구총조사(人口總調査), 2008-현재(現在):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주민등록인구통계(住民登錄人口統計)
읍면별(邑面別) 인구(人口) 통계(統計)
[ 펼치기 · 접기 ]
양양읍 12,489명(名)
강현면 4,602명(名)
현남면 3,017명(名)
서면(書面) 2,716명(名)
현북면 2,632명(名)
손양면 2,294명(名)
2023년(年) 9월(月) 기준(基準)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주민등록인구통계(住民登錄人口統計) , 그래프 최대(最大) 값은 1.3만(萬) 명(名)
과거(過去)엔 철광(鐵鑛)이 있었기 때문에 인구(人口)가 5만명(萬名)에 달(達)할 때도 있었지만, 광업(鑛業)에 의존(依存)하는 바람에 폐광(廢鑛) 이후(以後) 인구(人口)가 급격히(急激히) 감소(減少)해서 현재(現在)는 2만명대(萬名臺)로 줄었다. 강릉시(江陵市) 속초시(束草市) 사이에 끼어 있어 별다른 존재감(存在感)이 없으며, 다른 도시(都市)로의 인구(人口) 유출(流出)이 심각(深刻)할 정도(程度)로 위상(位相)이 많이 낮아졌다.

2018년(年) 들어서 16년(年)만에 인구(人口)가 증가세(增加勢)로 접어들었다. 꾸준히 인구(人口)가 감소(減少)하다가 서울양양고속도로(襄陽高速道路) 개통(開通)의 효과(效果)로 다시 증가세(增加勢)로 돌아선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대규모(大規模) 아파트 단지(團地) 입주(入住)가 끝난 2023년(年)부터는 다시 감소(減少) 추세(趨勢)에 접어든 상태(狀態)이다. # 대신(代身) 서퍼들의 천국(天國)으로 불릴 정도(程度)로 서핑 이 흥(興)하는 지역(地域)이라 체류인구(滯留人口) 비중(比重)이 전국(全國) 1위(位)로 조사(調査)되었다. 무려(無慮) 주민등록상(住民登錄上) 인구(人口)의 절반(折半)(47.6%)에 가까운 체류인구(滯留人口)가 존재(存在)한다고 한다. #

4. 언어(言語) [편집(編輯)]

양양(襄陽)은 영동(嶺東) 지방(地方)인지라 영동(嶺東) 방언(方言) 중(中) 영동(嶺東) 북부(北部) 방언권(方言圈)에 속(屬)해 있다. 당연히(當然히) 양양(襄陽) 사투리를 사용(使用)하는데, 강릉(江陵)하고는 또 다른 사투리를 사용(使用)한다. 다만, 현남면 전(全) 지역(地域)의 경우(境遇) 강릉(江陵) 사투리를 사용(使用)한다. 왜냐하면 이 지역(地域)은 삼팔선(三八線) 이남(以南)으로는 양양군(襄陽郡)으로 수복(收復)되지 않고 명주군(溟州郡) (현재(現在)의 강릉시의 읍면지역(邑面地域))으로 수복(收復)되었기 때문이다.

특이(特異)한 점(點)은 너/네 라는 의미(意味)의 자기(自己) 라는 말을 사용(使用)한다. 속초(束草)도 그러하다. 당연히(當然히) 영동(嶺東) 방언(方言)의 대표적(代表的)인 의문형(疑問形) 어미(語尾)인 -나? 를 제법 많이 사용(使用)한다. [9] [10] 그렇지만 영서(嶺西) 방언(方言)과 동일(同一)한 점(點)도 발견(發見)되는 게 양양(襄陽) 사투리의 특징(特徵)인데, -니? 라는 표현(表現)을 사용(使用)한다. [11]

속초(束草)와도 방언(方言)이 약간(若干) 다른데, 속초(束草)는 함경(咸鏡) 방언(方言) 이 제법 섞인듯한 사투리를 쓴다. 그래서 속초(束草)가 양양(襄陽)보다 지역색(地域色)이 좀 더 강(强)한 편(便)이고, 양양(襄陽)의 경우(境遇)는 영동(嶺東) 지방(地方)에서 가장 사투리가 약(弱)하다는 특징(特徵)이 있다. 그래도 이 지역(地域)은 바닷가와 인접(隣接)해 있다는 인상(印象)처럼 대체로(大體로) 사람들이 말을 많이 억세고 사납게 하는 편(便) [13] 이니 주의(注意)하자.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양양군(襄陽郡)/교통(交通)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6. 경제(經濟) [편집(編輯)]

강릉시(江陵市)와 속초시(束草市) 사이에 인접(隣接)되어 있음에도 불구(不拘)하고 교통망(交通網) 낙후(落後)로 크게 발전(發展)되지 못했지만 양양읍(襄陽邑)에 포월농공단지(蒲月農工團地)와 제2그린농공단지가 들어서 있다.

또한 속초항(束草港)과 동해항(東海港) 의 무역항(貿易港) 역할분담등(役割分擔等) 차원(次元)에서 손양면 여운포리에 양양항(襄陽港) 조성(造成) 하려고 했으나 진척(進陟)된것이 없다.

7. 관광(觀光) [편집(編輯)]


속초(束草) 강릉(江陵) 처럼 해변(海邊)과 트래킹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속초(束草)와 강릉(江陵) 사이에 껴서 다소(多少) 존재감(存在感)이 희미(稀微)했으나 2020년대(年代) 들어 인지도(認知度)가 크게 상승(上昇)했다.

설악산(雪嶽山) 국립공원(國立公園)(오색지구(五色地球))가 있다. 설악산(雪嶽山) 정상(頂上)인 대청봉(大靑峯) 은 양양군(襄陽郡)에 가장 많이 걸쳐 있다(강현면 둔전리, 서면 오색리(五色痢)). # 한계령(寒溪嶺)과 오색약수터(藥水터)를 기점(起點)으로 하는 등산(登山) 코스는 남설악 등반(登攀)의 핵심(核心)이다. 사실(事實) 대청봉(大靑峯)을 오를때 최단(最短) 코스가 바로 이 오색(五色)코스이다.

오색계곡(五色溪谷)을 갈 때 알아두면 좋은 것이 도로(道路)에서 빠져서 계곡(溪谷)으로 들어갈 때 주차장(駐車場) 직원(職員)들이 수신호(手信號)를 하는데 여긴 1시간(時間)에 5천(千)원을 받는다. 근데 조금 들어가면 계곡(溪谷)이랑 약수터(藥水터)가 훨씬 가까운데 무료(無料)인 주차장(駐車場)이 2곳이나 더 있다.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경우(境遇)엔 어쩔 수 없지만 아닐 때엔 낚이지 말고 무료주차장(無料駐車場)으로 가는 것이 좋다. 오색계곡(五色溪谷) 자체(自體)도 간단히(簡單히) 발담그기도 좋고 약수(藥水)도 있으나 탄산(炭酸)이 센 편(便)이고 철분(鐵分) 함량(含量)이 높아 쇠맛이 난다고 느낄 수가 있어 호불호(好不好)가 있다. 오색리(五色痢)의 오색약수는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제(第)529호(號)로 오색약수는 성국사 뒤뜰에서 자라던 오색화(五色化)로 인(因)해 붙인 이름이다. 철분(鐵分) 함유(含有)가 많아 특이(特異)한 맛과 색(色)을 지니고 있다.

한계령(寒溪嶺)에서 출발(出發)하는 설악산(雪嶽山) 주전골(용소계곡(龍沼溪谷)) 코스 [14] 는 평지(平地) 위주(爲主)의 트레킹 코스로 3.2km 길이의 경사(傾斜)가 급(急)하지 않은 코스를 여유롭게 걸으며 기암절벽(奇巖絶壁)을 즐길 수 있다. 사철(四철) 모두 아름답지만 가을 단풍(丹楓)시즌이 절정(絶頂)이라고 불린다. 왕복(往復)으로 2시간(時間) 정도(程度) 소요(所要)된다.

관동팔경(關東八景) 의 하나로 유명(有名)한 낙산사(洛山寺) 낙산해수욕장 , 하조대해수욕장(海水浴場)( 하조대 ) 등(等)이 유명(有名)하며, 손양면 오산리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新石器) 시대(時代) 유적(遺跡)이 있다.( 오산리선사유적박물관(先史遺跡博物館) ) 강현면 둔전리에 있는 진전사지(陳田寺地) 3층(層) 석탑(石塔) 역시(亦是) 신라(新羅) 하대(下代)의 석탑(石塔) 양식(樣式)의 대표격(代表格)인 유물(遺物)로 한국사(韓國史)를 배우다 보면 문화사(文化史) 파트에서 단골로 등장(登場)하는 유물(遺物) 중(中) 하나이다. 그리고 양양계곡(襄陽溪谷) 및 오색(五色)허브농원도(農園度) 들를 만한 장소(場所). 해수욕장(海水浴場)은 북한(北韓) 과 가깝다는 특성상(特性上) 여름 외(外)의 계절(季節)에는 출입(出入)을 통제(統制)하는 곳이 있으며, 해안(海岸) 지역(地域) 상당수(相當數)가 북한군(北韓軍) 침투(浸透)를 막기 위해 철책(鐵柵)이 쳐져 있다. 하지만 요즘은 철책(鐵柵)을 서서히(徐徐히) 철거(撤去)해 나가는 추세(趨勢)이다.

하조대해수욕장(海水浴場) 옆에 있는 중광정해수욕장(重匡正海水浴場)은 서핑 하기 딱 좋은 서피비치 로 유명(有名)하다. 그러나 이 중광정해수욕장(重匡正海水浴場) 앞에 군부대(軍部隊) 가 들어서 있어서 경치(景致)를 깎아먹고 있다. 해당(該當) 군부대(軍部隊)를 타 위치(位置)로 이전(移轉)하려고 양양군(襄陽郡)과 강원도(江原道)가 그렇게 노력(努力)을 하고 있으나 대한민국(大韓民國) 국방부(國防部) 와의 협의(協議)가 지지부진(遲遲不進)하다. 그리고 중광정해수욕장(重匡正海水浴場) 맞은편(맞은便)에 국가철도공단(國家鐵道公團) 의 인재개발원(人材開發院)을 짓고 있다.

송창식 의 노래로 유명(有名)한 고래사냥 에서 언급(言及)되는 "자(者), 떠나자! 동해(東海) 바다로!" 의 실제(實際) 배경(背景)이 양양군(襄陽郡)의 남애항(南涯港)이다. # 그 외(外) 물치항(港), 수산항(水産港) 등(等)이 주요(主要) 어항(漁港)이다.

양양읍내(襄陽邑內) 전통시장(傳統市場)에서는 매월(每月) 4와 9로 끝나는 날에 오일장(五日場)이 열린다.

2017년(年)에 포켓몬 GO 한국(韓國) 버전이 정식(正式) 출시(出市) 되기 이전(以前)에도 한국(韓國)에서 포켓몬 GO 플레이가 가능(可能)한 지역(地域) 중(中) 한 곳이었다. 덕분(德分)에 포켓몬 GO를 플레이하러 오면서 관광객(觀光客)들이 늘었던 적이 있었다.

설해원 Prince 팀명(名)의 유래이자(由來利子) 메인 스폰서인 골프리조트 설해원 도 양양군(襄陽郡)에 있다.
2021년(年) 코로나19 시국(時局) 끝자락부터 이미지가 일변(一變)했다. 서핑 클럽 의 성지(聖地)로 떠오르며 젊은 세대(世代)들에게 매우 각광(脚光)받고 있다. 해변가(海邊가) 도로(道路)를 따라가다 보면 낮에는 서핑을 하는 사람들로 북적거리며, 밤에는 해수욕장(海水浴場) 주변(周邊)에 깔려있는 술집, 클럽 등(等)에서 밤문화(文化)를 즐기는 사람들로 북적거린다. 특히(特히) 2022년(年) 부터는 20대(臺)를 중심(中心)으로 한국(韓國)의 이비사 라는 말까지 나오며 훌륭한 지방(脂肪) 특화(特化) 사례(事例)로 떠오르고 있다. 숏박스 에서도 "헌팅 = 양양(襄陽)" 이라는 동영상(動映像)을 내놓기도 했다. #


이런 이미지 변화(變化)에는 라온서피리조트의 박준규(朴浚圭) 대표(代表)가 큰 역할(役割)을 했다. 영상(映像) 속 장소(場所)는 중광정해수욕장(重匡正海水浴場)에 조성(造成)된 서피비치 로 양양(襄陽)에서 가장 유명(有名)한 해변(海邊) 중(中) 하나이다. 그 외(外)에 인구해변(人口海邊)과 양리단(良吏段)길이라 불리는 일대(一帶)도 유명(有名)하다.

양양군(襄陽郡) 측(側)은 이런 관광객(觀光客) 증가세(增加勢)에 맞춰 2023년(年) 6월(月) 고고양양(襄陽) 이라는 자체(自體) 관광(觀光) 지원(支援) 앱을 출시(出市)했다. 군(軍) 내(內) 서핑샵, 숙박(宿泊), 맛집, 카페, 체험(體驗) 등(等)을 예약(豫約)하고 현장(現場) 구매(購買)도 할 수 있으며, 군(軍) 내(內) 900여(餘) 개(個) 관광지(觀光地)와 주차(駐車), 편의시설(便宜施設) 등(等) 각종(各種) 정보(情報)를 제공(提供)하고, 길 안내(案內) 서비스, 택시 호출(呼出) 서비스 및 외국인(外國人)을 위한 영어(英語)·중국어(中國語)(간체(簡體)) 서비스도 지원(支援)한다.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

특히(特히) 서핑 이 목표(目標)라면 유용(有用)한 앱인데, 이 앱에는 서핑샵 예약(豫約) 시스템뿐만 아니라 13개(個) 해변(海邊)에 설치(設置)된 고화질(高畫質) 웹캠으로 파도(波濤) 컨디션과 해변(海邊) 혼잡도(混雜度)를 실시간(實時間)으로 알려주는 서비스도 탑재(搭載)했으며, 이 서비스를 이용(利用)하면 바람과 파도(波濤), 물때 정보(情報) 등(等) 서핑 에 필요(必要)한 정보(情報)를 직접(直接) 가보지 않고도 알 수 있다. 또한 도보여행(徒步旅行)덕후를 위한 모바일 스탬프 투어 도 탑재(搭載)되어있다.

한편(한便) 오버투어리즘 이 일어나고 있다는 지적(指摘)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원래(元來) 한적(閑寂)한 어촌(漁村)이었던 곳이라 감당(堪當)이 안 된다는 듯. # # #

8. 특산물(特産物) [편집(編輯)]

특산품(特産品)으로는 연어(鰱魚) 지리적(地理的) 표시제(標示制)/대한민국(大韓民國) 임산물(林産物) 1호(號)인 양양(襄陽) 송이버섯(松耳버섯) 이 있다. 때문에 양양군(襄陽郡)에서는 매년(每年) 송이버섯축제(松耳버섯祝祭)와 연어축제(鰱魚祝祭)를 여는데 송이버섯(松耳버섯)은 물건(物件)의 가격대(價格帶)가 너무 높아서 문제(問題)고, 연어(鰱魚)는 연어잡기체험(鰱魚雜技體驗)을 빼면 이렇다할 프로그램이나 시식회(試食會) [15] 가 없어서 그다지 기대치(期待値)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편(便)이다. 그 외(外)에 다음과 같은 산물(産物)이 유명(有名)하다.

1. 표고버섯 : 겨울철 따뜻한 기온(氣溫)과 해풍(海風)으로 갓의 모양(模樣)이 두껍고 균일(均一)하여 양양(襄陽)의 대표적(代表的)인 버섯인 송이버섯(松耳버섯)과 더불어서 최고품질(最高品質)의 버섯으로 사랑받음.
2. 느타리버섯 : 현대화(現代化)된 시스템과 축적(蓄積)된 기술(技術)을 바탕으로 청정환경(淸淨環境)에서 재배(栽培)하여 풍부(豐富)하고 깊은 맛과 쫄깃쫄깃한 식감(食感)이 일품(一品)임.
3. 복숭아 : 알맞은 토양산도(土壤酸度)와 충분(充分)한 일조량(日照量)을 받고 자라 과육(果肉)이 연(軟)하고 당도(糖度)가 높으며 곰마을(용천리)이라 불리는 복숭아마을이 있을 정도(程度)로 양양(襄陽)의 대표과실(代表過失)임.
4. 낙산배(駱山倍) : 한난교차(寒暖交叉) 지점(支店)의 해양성기후대(海洋性氣候代)와 배수성(排水性)이 좋은 사양토(沙壤土)에서 생산(生産)되어 조선시대(朝鮮時代)부터 임금님에게 진상되던 고품질(高品質)의 과실(過失)임.
5. 산채(山菜): 엄(嚴)두릅은 정식명칭(正式名稱)은 음나무라고 한다. 꽃은 7~8월(月)에 피고 황록색(黃綠色)이며 열매는 핵과(核果)로 둥글며 10월(月)에 검게 익는다. 나무껍질과 뿌리는 약용(藥用)으로 쓰이며 어린잎은 식용(食用)한다.
요리(料理)에는 엄나무를 넣고 백숙(白熟)을 해먹으며 약성(藥性)은 독(毒)이 없고 신경통(神經痛), 관절염(關節炎), 노화방지(老化防止)에 효과(效果)가 있고 사포닌(Sapon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아미노산 등(等) 풍부(豐富)하며 특히(特히) 수피(樹皮)에서 추출(抽出)한 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抗酸化) 효과(效果)가 뛰어남.
6. 토종(土種) : 피나무, 음나무, 층층나무(層層나무) 등(等) 천혜(天惠)의 자연(自然) 밀원을 가지고 있는 전국(全國) 제일(第一)의 원시림(原始林) 재(再)랭봉(鳳) 사육(飼育) 보호지역(保護地域)에서 생산(生産)된 양양(襄陽)의 토종꿀(土種꿀)은 그 품질(品質)이 매우 뛰어나고 맛이 진(津)하여 소비자(消費者)로부터 큰 호응(呼應)을 얻고 있으며, 양양(襄陽) 재래봉(在來鳳) 영농조합법인(營農組合法人) 조합원(組合員)이 생산(生産)한 꿀은 군(軍)에서 입회(立會)하여 밀봉(密封)하고 “도지사(道知事) 품질인증(品質認證)”을 받고 봉인(封印)된 것만 공급(供給)한다.

먹어볼 만한 먹을거리로는 당연히(當然히) 송이버섯(松耳버섯)을 쓴 음식(飮食)들과 송천(松川) 마을의 미지(未知)떡. 오색약수터(藥水터) 근처(近處)의 산채정식도(山菜定食度) 으레 찾는 음식(飮食)이다.

9. 생활문화(生活文化) [편집(編輯)]

9.1. 교육(敎育) [편집(編輯)]

[ 펼치기 · 접기 ]
※: 자사고(自私高), ⊙: 자공고(自公高), ▣: 특목고(特目高), ◈: 특성화고(特性化高), 이외(以外) 일반고(一般高)
남자고등학교(男子高等學校)
,
여자고등학교(女子高等學校)
,
이외(以外) 남녀공학(男女共學)

9.2. 치안(治安) [편집(編輯)]

1963년(年) 속초경찰서(束草警察署)가 개청(開廳)하면서 양양경찰서(襄陽警察署)가 그대로 이관(移管)되는 바람에 현재(現在) 속초경찰서(束草警察署) 에서 속초(束草), 양양(襄陽) 두 지역(地域)의 치안(治安)을 담당(擔當)하고 있다. 양양(襄陽) 이남(以南) 일부(一部)는 강릉(江陵)과 인접(隣接)하기 때문에 강릉경찰서(江陵警察署) 강릉소방서(江陵消防署) 에서 맡는 경우(境遇)도 있다. 2024년(年)에 양양경찰서(襄陽警察署)가 다시 개청(開廳)할 예정(豫定)이다.

사실(事實) 사람이 적다 보니 일반적(一般的)으로 양양(襄陽) 주민(住民)들의 술싸움 같은 것을 빼면 별(別) 일이 없는 때가 많아서 전담(專擔) 경찰서(警察署)는 없어도 치안(治安)이 딱히 나쁜 것은 아니다.

최전방(最前方) 지역(地域) 중(中) 하나라서 그런지 속초경찰서(束草警察署) 건물(建物)에는 간첩신고(間諜申告) 번호(番號) 113 안내(案內)가 붙어 있었다.

2020년대(年代)에 들어 양리(良吏)단길(양양군(襄陽郡) 현남면 인구해수욕장(人口海水浴場) 해변(海邊) 일대(一帶)) 등(等)으로 관광객(觀光客)을 성공적(成功的)으로 유치(誘致)하여 지역(地域) 경제(經濟)가 살아났는데, 유흥(遊興) 문화(文化)가 발달(發達)하고 있다 . 유흥업(遊興業)이 발달(發達)한 만큼 숙박업(宿泊業)도 발달(發達)했다고 한다. 물론(勿論) 유흥(遊興)에 따라 치안(治安)에도 관심(關心)을 가질 필요(必要)가 있다.

9.3. 소방(消防) [편집(編輯)]

소방청 마크 양양군(襄陽郡)의 소방조직(消防組織)
소방서(消防署)
안전(安全)센터
의용소방대(義勇消防隊)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양양군(襄陽郡)/정치(政治)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11. 군사(軍事) [편집(編輯)]

육군(陸軍) 제(第)3군단(軍團) 예하(隸下) 부대(部隊)들이 위치(位置)하고 있어서 군(軍) 부대(部隊)와 군인(軍人)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해안(海岸) 경계(警戒) 를 담당(擔當)하는 제(第)22보병사단(步兵師團) 등(等)의 부대(部隊)도 3군단(軍團) 휘하(麾下). 역시(亦是) 3군단(軍團) 휘하인(麾下人) 제(第)102기갑여단(機甲旅團) 사령부(司令部)가 손양면에 있고, 해군(海軍) 제(第)1함대(艦隊) 제(第)108조기경보전대(早期警報全代) 를 비롯한 예하(隸下) 부대(部隊)도 현북면에 위치(位置)하고 있다. 참고(參考)로 이곳의 해안철책(海岸鐵柵)은 제(第)23보병여단(步兵旅團) 이 담당(擔當)하고 있다.

13. 나무위키 에 등록(登錄)된 출신(出身) 인물(人物) [편집(編輯)]

13.1. 가상(假想) 인물(人物) [편집(編輯)]

[1] 2024년(年) 4월(月) 기준(基準)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주민등록인구현황(住民登錄人口現況) [2] 2024년(年) 4월(月) 기준(基準). [3] 양양군(襄陽郡) 가선거구(選擧區) (양양읍, 서면, 강현면) : 최선남, 이종석
양양군(襄陽郡) 나선거구(選擧區)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 오세만 , 박광수
비례대표(比例代表) : 이명숙
[4] 양양군(襄陽郡) 가선거구(選擧區) (양양읍, 서면, 강현면) : 박봉균 [5] 양양군(襄陽郡) 나선거구(選擧區)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고교연(高校年) [6] 양양군(襄陽郡) 선거구(選擧區) : 진종호 (초선(初選)) [7] 원래(元來)는 다 있었으나 양양경찰서(襄陽警察署) 는 1963년(年) 속초시(束草市) 신설(新設)과 함께 양양읍(당시(當時) 양양면(襄陽面))에 있던 경찰서(警察署)가 속초시(束草市)로 이전(移轉)하고 명칭(名稱)도 속초경찰서(束草警察署)로 바뀌었으며, 양양교육청(襄陽敎育廳) 역시(亦是) 1973년(年) 속초교육청(束草敎育廳)에 통합(統合)되었다. [8] 현재(現在)의 경기도(京畿道) 양주(洋酒) 와는 한자(漢字)가 다르다. 이쪽은 '楊州'. [9] 보통(普通) 아랫사람에게 쓰는 경향(傾向)이 많다. 존댓말(尊待말)을 썼다가 물어볼 때 -나? 체를 섞어서 사용(使用)하기도 한다. [10] 가령(假令) 야 인마, 그렇다고 네가 합격(合格)하는 게 가능(可能)하겠나?/(상대방이 무응답(無應答) 시(時) 이후(以後))그렇다고 네가 합격(合格)하는 게 가능(可能)하겠냐고? 하고 사용(使用)한다. [11] 앞서 언급(言及)한 -나? 라는 표현(表現)하고 섞어서 사용(使用)하는 경향(傾向)이 크다. 가령(假令) 네가 따온 게 함박꽃 [12] 이니? (예/아니오의 답(答)을 원(願)하는 질문(質問))) 또는 영숙이네 부모님(父母님)께서 내일(來日) 과연(果然) 도착(到着)하시겠니? 이렇게 수사(搜査) 의문문(疑問文)의 형태(形態)로 사용(使用)하는 경우(境遇)가 있는데, 이때 후자(後者)의 경우(境遇) 끝을 내리는 경우(境遇)가 많다. 함경(咸鏡) 방언(方言)의 특징(特徵)이기도 해서 윗지방(脂肪)으로 가면 억양(抑揚)이 꽤 억세지지만, 무언가를 물을 때는 '~ 아이 하니?'처럼 '~니?'를 쓴다. [12] 참고(參考)로 함박꽃은 북한(北韓)에서 사용(使用)되는 사투리이자 양양(襄陽) 방언(方言)의 대표적(代表的)인 언어(言語)이기도 한데 모란 또는 목련(木蓮)을 의미(意味)한다. [13] 사실(事實) 동서남북(東西南北)을 불문(不問)하고 과거(過去) 서울과의 교류(交流)가 어려운 지역(地域)일수록 옛 언어(言語)의 습관(習慣)이 남아 있는 것에 가깝다. 예컨대 인천(仁川) 사람들은 말투(말套)가 항구(港口)쪽의 토박이(土박이)라도 서울말과 차이(差異)가 거의 없다. 그래서 본심(本心)은 나쁘지 않은 경우(境遇)가 많다. [14] 주전골이라는 명칭(名稱)은 주전골 용소폭포(龍沼瀑布) 앞에 시루떡처럼 생긴 바위가 엽전(葉錢)을 쌓아둔 모양(模樣)이라고 해서 유래(由來)했다고도 한다. [15] 심지어(甚至於) 1마리 통째로 파는 걸 빼고는 판매(販賣)도 없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