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안타(打)나스 스메토나 - 나무위키

안타(打)나스 스메토나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리투아니아 제(第)1·4대(代) 대통령(大統領)
안타(打)나스 스메토나
Antanas Smetona
Antanas Smetona
출생(出生)
사망(死亡)
1944년(年) 2월(月) 9일(日) (향년(享年) 69세(歲))
직업(職業)
재임기간(在任期間)
초대(初代) 대통령(大統領)
제(第)4대(代) 대통령(大統領)
서명(署名)
안타나스 스메토나 서명
1 . 개요(槪要) 2 . 생애(生涯)
2.1 . 학창(學窓) 시절(時節) 2.2 . 초기(初期) 활동(活動) 2.3 . 독재(獨裁) 2.4 . 망명(亡命)
3 . 평가(評價)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리투아니아 의 정치가(政治家)이자 독립운동가(獨立運動家)로 리투아니아 제(第)1공화국(共和國) 독재자(獨裁者) 이다. 20세기(世紀) 초반(初盤) 리투아니아의 역사(歷史)를 다룰때 빼놓을 수 없는 중요(重要)한 인물(人物)이다.

2. 생애(生涯) [편집(編輯)]

2.1. 학창(學窓) 시절(時節) [편집(編輯)]

1874년(年) 8월(月) 10일(日) 러시아 제국(帝國) 치하(致賀) 리투아니아의 우(禹)크메르케라는 빌뉴스 [1] 북서쪽(北西쪽), 카우나스 [2] 북동쪽(北東쪽)의 두 도시(都市) 사이에 있는 마을에서 태어났다. 1885년(年) 아버지를 여의고 가정(家庭) 형편(形便)이 안 좋았음에도 가족(家族)의 지원(支援)과 교육(敎育)을 받았다. 한때 가족(家族)의 바램으로 카우나스의 사(社)모기티아 신학교(神學校)에 다녔으나 결국(結局) 현(現) 라트비아의 옐가바에 있는 고등학교(高等學校)로 전학(轉學)을 갔다.

고등학교(高等學校)에서 만난 요나스 야블론스키스 , 빈차(賓次)스 쿠디르카 와 함께 비밀(祕密) 리투아니아 학생회(學生會)라는 리투아니아 민족주의(民族主義) 반(反)차르주의(注意) 학생회(學生會)에 가입(加入)하여 활동(活動)하다가 반정부(反政府) 단체(團體)에서 활동(活動)하였다는 이유(理由)로 퇴학(退學)당한 후(後) 상트페테르부르크 제(第)9고등학교(高等學校)로 편입(編入)하여 졸업(卒業)했다. 1897년(年)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大學校) 법학부(法學部)에 입학(入學)하고 나서 리투아니아 민족주의(民族主義) 단체(團體)에 가입(加入)하여 리투아니아어(語) 서적(書籍)을 출간(出刊)하다가 단기간(短期間) 옥살이(獄살이)를 하게 되었다. 1902년(年) 대학(大學)을 졸업(卒業)하고 빌뉴스 농업(農業) 은행(銀行)에서 일하면서 1904년(年) 소피야(野) 호(號)다카우스카이테(Sofija Chodakauskait?)와 결혼(結婚)했다.

2.2. 초기(初期) 활동(活動) [편집(編輯)]

리투아니아 민주당(民主黨)의 빌뉴스 당(黨) 대표(代表)가 되었다. 1904년(年)부터 1907년(年)까지 리투아니아어(語) 신문(新聞) '빌뉴스 신보(信保)( Vilniaus ?inios )'의 부사장(副社長)을 맡았으며 1905년(年)에서 1906년(年)까지 주간지(週刊誌) '리투아니아 농민(農民)( Lietuvos ?kininkas )'을 편집(編輯)하였다.

1914년(年) 제(第)1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 발발(勃發)하자 리투아니아 구호(口號) 협회(協會) 중앙위원회의(中央委員會議) 부서기장(副書記長), 후(後)에 서기장(書記長)이 되었고 독일(獨逸) 동부전선(東部戰線) 사령관(司令官)에게 리투아니아의 자주(自主) 국가(國家)로서의 권리(權利)를 주장(主張)하는 문서(文書)를 전달(傳達)하였다. 1917년(年) '리투아니아의 메아리( Lietuvos aidas )'라는 신문(新聞)을 발행(發行)하여 리투아니아의 독립의지(獨立意志)를 고취(鼓吹)하였다.

1917년(年) 러시아 제국(帝國)의 패색(敗色)이 짙어지고 혁명(革命) 으로 혼란(混亂)한 상황(狀況) 속에서 1917년(年) 9월(月) 18일(日)부터 22일(日)까지 열린 빌뉴스 국가(國家) 평의회(評議會)에 참석(參席)했는데 1919년(年)까지 의장직(議長職)을 맡았다. 1918년(年)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條約) 으로 괴뢰(傀儡) 리투아니아 왕국(王國) 이 성립(成立)되는 동안 그는 독일(獨逸), 스칸디나비아 국가(國家)들을 돌며 리투아니아 독립(獨立)의 필요성(必要性)을 역설(力說)했고 1919년(年) 독일(獨逸) 제국(帝國)이 몰락(沒落)하자 귀국(歸國)해 리투아니아 국가평의회(國家評議會)에서 초대(初代) 대통령(大統領)으로 선출(選出)되어 리투아니아 독립(獨立) 전쟁(戰爭) 동안 대통령(大統領)을 지내고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 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2.3. 독재(獨裁) [편집(編輯)]

1926년(年) 쿠데타 를 일으켜 3대(代) 대통령(大統領) 카지스 그리뉴스 를 몰아낸 데 이어 권한대행(權限代行)을 맡은 스툴긴스키스마저 몰아내고 리투아니아의 4대(代) 대통령(大統領)으로 재취임(再就任)했다. 대통령(大統領)의 권한(權限)을 강화(强化)하는 신헌법(新憲法)을 제정(制定)하고 1929년(年) 총리(總理)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Augustinas Voldemaras)까지 몰아내어 절대권력(絶對權力)을 손에 쥐었다. 1936년(年) 국민(國民)들의 요구(要求)로 허수아비 의회(議會)를 세울 때까지는 의회(議會)도 없이 전권(全權)을 휘둘렀다.

국가주의자(國家主義者)로서 폴란드어(語) 학교(學校)들을 폐쇄(閉鎖)하고 폴란드인(人) 들의 강제(强制) 동화(同化)를 밀어붙였고 러시아인(人) 들의 재산(財産)을 몰수(沒收)하였지만 늘어나는 국내(國內) 불안(不安), 메멜란트 반환(返還)을 지속적(持續的)으로 요구(要求)하는 나치 독일(獨逸) , 그리고 공업화(工業化)로 성장(成長)한 소련(蘇聯) 의 위협(威脅)은 소국(小國) 리투아니아가 감당(堪當)하기에는 너무나도 벅찼다. 1938년(年) 메멜란트를 독일(獨逸)에 반환(返還)하고 국가비상사태(國家非常事態)를 선언(宣言)한 후(後) 잠시(暫時) 권력(權力)을 유지(維持)했으나 리투아니아는 결국(結局) 발트 3국(國) 점령(占領) 으로 소련(蘇聯)에 병합(倂合)되었다.

2.4. 망명(亡命) [편집(編輯)]

소련(蘇聯)의 리투아니아 병합(倂合)이 가시화(可視化)되자 독일(獨逸) 동프로이센 주(週)로 건너가 나치 독일(獨逸) 정부(政府)의 허가(許可)를 받아 베를린 에 정착(定着)했지만 독소(毒素) 불가침조약(不可侵條約) 을 의식(意識)한 독일(獨逸) 정부(政府)에 의(依)해 모든 정치적(政治的) 활동(活動)을 금지당했고 다른 리투아니아 인사(人士)들과의 접촉(接觸)도 매우 경계(警戒)받았다. 이에 독일(獨逸)의 미국(美國) 대사관(大使館)에 연락(連絡)하여 미국(美國)으로의 망명(亡命) 허가(許可)를 요청(要請)하였고 미국(美國) 정부(政府)는 민간(民間)인 자격(資格)으로 입국(入國)한다는 조건(條件) 하(下)에 이를 승인(承認)하였다.

그는 이를 받아들여 베른 , 리스본 , 리우데자네이루 를 거쳐 뉴욕 에 도착(到着)했지만 현지(現地)의 리투아니아 교민(僑民)들과 리투아니아 외교관(外交官)들은 권력(權力)을 잃은 독재자(獨裁者) 에게 더 이상(以上) 호감(好感)을 가지지 않았고 결국(結局) 클리블랜드 에 정착(定着)했다.

1944년(年) 보일러 과열(過熱)로 집에 화재(火災)가 발생(發生)했을 때 유독(有毒)가스로 인해 사망(死亡)했다.

3. 평가(評價) [편집(編輯)]

독립운동가(獨立運動家)로서 리투아니아의 독립(獨立)에 이바지하였고 초대(初代) 대통령(大統領)을 지냈으나 후(後)에 독재자(獨裁者) 로 변질(變質)되었다는 점(點)에서 한국(韓國)의 이승만(李承晩) 과 꽤 흡사(恰似)하다. [3] 하지만 독재자(獨裁者)로서 정적(政敵)들을 탄압(彈壓)하고 국가주의자(國家主義者)로서 비(非)리투아니아계(系)들도 탄압(彈壓)하였으며 권력욕(權力慾)에 눈이 멀어 [4] 공업화(工業化), 경제(經濟) 발전(發展)이나 해외(海外) 투자(投資) 등(等)을 제한(制限)하여 1940년(年) 리투아니아가 멸망(滅亡)할 때까지 리투아니아는 경제적(經濟的)으로 크게 변(變)하지 않았고 억압적(抑壓的)인 독재(獨裁) 때문에 현(現) 리투아니아인(人)들의 평가(評價)는 그리 좋지만은 않다.

아이러니하게도 후(後)에 자신(自身)이 독립시킨 나라를 소련(蘇聯) 에 팔아먹은 안타(打)나스 스녜츠쿠스 와 이름이 같다.

[1] 당시(當時) 명칭(名稱)은 '빌나'. [2] 당시(當時) 명칭(名稱)은 '코브노(盧)'. [3] 이승만(李承晩) 1875년(年) 생(生)이고 스메토나는 1874년(年) 생으로(生으로) 한 살 차이(差異)다. [4] 당시(當時) 리투아니아는 농업국가(農業國家)였고 스메토(土)나의 주(株) 지지층(支持層)도 농민(農民)들이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