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아루나찰(札)프라데시 - 나무위키

아루나찰(札)프라데시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민족(民族)
(한족)
티베트버마
서 티베트버마
중앙(中央) 티베트버마
동(桐) 티베트버마
기타 티베트버마
국가(國家) 및 지역(地域)
독립국(獨立國)
자치(自治) 지역(地域) 및 다수(多數) 거주지(居住地)
사회문화(社會文化)
언어(言語)
신화(神話)
외교(外交), 사상(史上)
??????? ??????
아루나찰(札)프라데시 | Arunachal Pradesh
아루나찰프라데시
문장(文章)
위치(位置)
국가(國家)
면적(面積)
83,743km²
인구(人口)
151만(萬) 명(名)
인구밀도(人口密度)
18명(名)/㎢ [1]
종교(宗敎)
주도(主導)
언어(言語)
차량(車輛)코드
AR
HDI
0.658 (24위(位))
주지사(州知事)
카이왈(曰)리아 트리위크람 파르나이크 (Kaiwalya Trivikram Parnaik)
주총리(朱總理)
페마 칸두 (Pema Khandu)
주부총리(朱副總理)
초(秒)나 메인 (Chowna Mein)
external/upload....
1 . 개요(槪要) 2 . 역사(歷史) 3 . 주민(住民) 및 종교(宗敎) 4 . 관광(觀光)
4.1 . 국립공원(國立公園)(보호구역(保護區域)) 및 관광지(觀光地)
5 . 영토분쟁(領土紛爭) 6 . 관련(關聯)글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아루나찰프라데시는 인도(印度) 동북쪽(東北쪽) 끝의 주(株)이며, 북쪽(北쪽)은 중국(中國) 티베트 자치구(自治區) , 서쪽(西쪽)은 부탄 남쪽(南쪽)은 아삼 나갈랜드 , 미얀마 와 접(接)한다. 중국(中國)과 인도(印度)의 영토(領土) 분쟁(紛爭)의 초점(焦點)의 기점(起點)인 지역(地域)으로, 인도(印度)는 해당(該當) 지역(地域)을 아루나찰 프라데시라는 행정구역(行政區域)으로 인도(印度)의 하나의 주(週)로 간주(看做)하는 중(中)이다.

주도(州都)는 이타(利他)나가르(Itanagar)이다. 면적(面積)은 83,743km²로 남한(南韓)보다 약간(若干) 작고 인구(人口)는 1,382,611명(名) [2] 이다.

아루나찰프라데시는 '새벽빛의 땅'이란 뜻으로, 해 뜨는 땅이라는 별명(別名)도 있다.

2. 역사(歷史) [편집(編輯)]

역사적(歷史的)으로 아삼 지역(地域)과 티베트 의 영향(影響)을 동시(同時)에 받았다. 청나라(淸나라) 에 속(屬)하기도 했으며 동부는 윈난성(윈난省) 으로, 서부(西部)는 티베트의 일부(一部)로 여겨졌다. 근세(近世) 이래(以來) 북부(北部) 일부(一部)는 달라이 라마 의 지배(支配)를 받고 있었는데, 티베트 왕국(王國) 이 1912년부(年賦)로 실질적(實質的)으로 독립(獨立)하자 당시(當時) 인도(印度)를 식민(植民)지배하고 있던 영국(英國) 이 티베트와의 협정(協定)을 통해 맥마흔 라인 국경(國境)을 확정(確定)한 이래(以來) 북동국경특별행정구역(北東國境特別行政區域)(North East Frontier Agency ·NEFA)으로 1987년(年) 2월(月) 20일(日) 주(州)로 승격(昇格)되었다.

3. 주민(住民) 및 종교(宗敎) [편집(編輯)]

주민(住民)들은 대개(大槪) 중국(中國)티베트어족(語族) 계열(系列)로 애니미즘 을 믿는 미(美)슈미(美), 아디, 아카, 아파타니, 아싱, 부군(夫君), 갈로(葛盧), 코냑, 니시, 타긴, 완초(莞草) 등(等)의 부족(不足)과 티베트 불교(佛敎) 를 믿는 축파, 캄바, 로바, 멤바, 몬파, 셰르둑펜, 창(窓)라, 제(第)크링 등(等)과 대승불교(大乘佛敎) 를 믿는 차(車)크마, 아이톤, 캄티, 캄양(量), 파케, 싱포(抛) 등(等)과 힌두교(힌두敎) 를 믿는 미키르, 미싱 등(等)처럼 82개(個) 부족(部族)들로 이루어져 있고 50개(個)의 방언(方言)이 쓰이며 각(各) 지역(地域)마다 민족(民族)과 종교(宗敎)에 따라 특색(特色)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지역(地域) 안에서 기독교(基督敎) (30%), 힌두교(힌두敎) (29%), 애니미즘 (26%), 불교(佛敎) (12%), 이슬람교(이슬람敎) 가 혼재(婚材)되어 있다. 유명(有名)한 도시(都市)로는 타왕(他王)(Tawang)과 지로(Ziro)가 있다.

둘 다 홍천군(洪川郡) 의 면적(面積)에 인구(人口) 1만(萬)의 작은 도시(都市)지만 타왕(他王)의 경우(境遇) 6대(代) 달라이라마 창양(瘡瘍) 갸초(初)(??????????????????,Tsangyang Gyatso)를 배출(輩出)한 곳으로 지금(只今)도 달라이 라마 출생지(出生地)가 사원(社員)으로 보존(保存)되어 있으며, 도시(都市) 중심(中心)의 타왕(他王) 사원(社員)은 북동(北東) 인도(印度)에서 가장 큰 티베트 불교(佛敎) 사원(寺院)이다. 주민(住民)은 대부분(大部分) 티베트불교(佛敎)를 신봉(信奉)하는 티베트계(系) 몬파족(派族) [3] 으로 티베트 망명정부(亡命政府)에서도 종종(種種) 타왕(他王)에 들러 설법(說法)을 하기도 한다. 2017년(年) 4월(月)에는 14대(代) 달라이라마가 타왕(他王)을 방문(訪問)했는데 중국(中國) 국경(國境)과 가까운만큼 매번(每番) 중국(中國)이 태클을 걸고 있다.

아삼의 브라마푸트라강(江) 이 발원(發源)하여 동(洞) 히말라야를 관통(貫通)하여 만든 많은 비경(祕境)을 간직한 곳으로 이 지역(地域) 동부(東部)의 산(山)들은 2차대전(次大戰) 당시(當時) 험프(Hump)라 불리던 중국행(中國行) 수송로(輸送路)의 일부(一部)였다. 동남부(東南部)는 힌두교(힌두敎) 문화권(文化圈)으로 힌두교(힌두敎) 성지(聖地) 파슈람쿤드가 있고, 브라마푸트라강(江)이 발원(發源)하는 곳으로 힌두교(힌두敎) 베다 성전(聖戰)에도 언급(言及)되어 있으며, 전설(傳說)에 의(依)하면 현자(賢者) 파트라슈마(魔)가 이곳을 도끼로 내려치자 바위가 갈라지며 강(江)이 생겼다고 한다.

4. 관광(觀光) [편집(編輯)]

아루나찰프라데시는 변경지역(邊境地域)으로 인도인(印度人)이라도 외지인(外地人)의 경우(境遇) 주정부(州政府)로 부터 내부(內部)라인허가(許可)(Inner Line Permit ·ILP)를 받아야 하며 외국인(外國人)의 경우(境遇) 제한구역허가(制限區域許可)(Restricted Area Permit ·R.A.P)를 받아야 가능(可能)한데 인도시민(印度市民)과 달리 제한(制限)된 지역(地域)만 관광(觀光)이 가능(可能)하다.

내국인(內國人)의 경우(境遇) E-ILP # 를 통해 손쉽게 발급(發給)이 가능(可能)하지만 외국인(外國人) [4] 의 경우(境遇) 아삼주 구와하(舊瓦下)티나 서벵골주 콜카타에 위치(位置)한 Deputy Resident Commissioner’s Office에서 대면(對面) 신청(申請)을 해야 한다.

4.1. 국립공원(國立公園)(보호구역(保護區域)) 및 관광지(觀光地) [편집(編輯)]

  • 물링 국립공원(國立公園)(Mouling National Park)
  • 남다파 국립공원(國立公園)(Namdapha National Park) : 인도(印度) 최동단(最東端)에 위치(位置)한 국립공원(國立公園)으로 미얀마와 접(接)하며 호랑이(虎狼이) 보호(保護) 구역(區域)으로도 지정(指定)되어 있다.
영토(領土) 분쟁(紛爭)
영유권(領有權) 주장(主張)

중국(中國) 과 인도(引渡)의 영토분쟁(領土紛爭) 지역(地域)으로 중국(中國)은 이 지역(地域)의 대부분(大部分)이 티베트 자치구(自治區) 산난시(山亂視) (山南市) 산하(傘下) 현급행정구(現級行政區)인 춰나현(?那?), 룽쯔현(隆子?)과 린즈시 (林芝市)의 현급행정구(現級行政區)인 모퉈현(墨??), 차위현(次委縣)(察隅?)에 속(屬)한다면서 남티베트(藏南, 짱난)로 일컬으며 중국(中國) 영토(領土)로 주장(主張)하고 있다. [5] 영유권(領有權)을 주장(主張)하는 근거(根據)는, 영토(領土) 편입(編入)의 근거(根據)가 되는 심라 협정(協定)이 중화민국(中華民國) 북양정부(北洋政府)의 승인(承認) 없이 영국(英國)과 티베트 양자간(兩者間)에 체결(締結)되었으므로, 독립국(獨立國)이 아닌 티베트와 영국(英國) 간(間)에 중국(中國)의 승인(承認) 없이 일방적(一方的)으로 체결(締結)된 협정(協定)은 무효(無效)라는 것이다. 이 주의(注意) 북쪽(北쪽) 국경(國境)이 그 유명(有名)한 맥마흔 라인 이다.

중국(中國)이 중인전쟁(中人戰爭) 을 틈타 차지한 황무지(荒蕪地)인 악(惡)사이친(親) 과 달리 이 지역(地域)은 인구(人口)도 많고, 지역(地域) 주민(住民) 대다수(大多數)도 인도(印度) 통치(統治)를 지지(支持)하고 있고, 매우 풍요로운 곳이다. 덕분(德分)에 해외(海外) 관광지(觀光地)로도 제법 알려져 있고 인도(印度)에서도 종종(種種) 신혼여행(新婚旅行) 을 올 정도(程度)다. 그래서, 인도(印度)는 실효지배(實效支配)하고 있는 이 곳을 방어(防禦)하기 위해 대규모(大規模) 병력(兵力)을 배치(配置)하고 있고, 중국(中國)도 이에 맞서 병력(兵力)을 배치(配置)하고 있기는 하지만 큰 충돌(衝突)은 벌어지지 않고 있다. 중국(中國)이 영유권(領有權)을 주장(主張)하고는 있지만, 아무리 국가(國家) 간(間)의 영토분쟁(領土紛爭)도 타국(他國)이 실효지배(實效支配)하고 있는 지역(地域)을 대놓고 합병(合倂)하기 위한 전쟁(戰爭)을 일으킨다는 것은 현대(現代) 사회(社會)에서는 러시아 의 2022년(年)의 사례(事例) 와 같이 국제고립(國際孤立)을 각오(覺悟)하지 않고는 거의 불가능(不可能)하다.

인도(人道)에서 인구(人口)가 가장 적은 구(區)(District)가 위치(位置)하고 있다. 이 주(州) 동북부(東北部)의 아디(Adi)어(語)를 사용(使用)하는 디방 밸리(Dibang Valley) 구(區)의 인구(人口)는 7,948명(名)으로 인구(人口)가 가장 적다. 한편(한便) 이 주(州) 동남부(東南部) 일부(一部) 지역(地域)인 창랑(滄浪), 티랍(臘)은 중국(中國)이 영유권(領有權)을 주장(主張)하지 않는다.

2017년(年) 인도(印度)와 중국(中國)은 아루나찰프라데시의 지명(指名)을 놓고 갈등(葛藤)을 빚고 있다. # 그리고 모디 총리(總理) 가 아루나찰프라데시를 방문(訪問)하자 중국(中國) 정부(政府)는 반발(反撥)했다. #

EBS 세계(世界)테마기행(紀行) 에서 아루나찰프라데시편이 방송(放送)되었다. # #2

2019년(年) 2월(月) 9일(日) 인도(印度)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總理) 가 예고(豫告)없이 이 지역(地域)을 방문(訪問)하였다. #

중국(中國)은 이 지역(地域) 태생(胎生)의 인도(印度) 국민(國民)이 중국(中國)에 입국(入國)할 경우(境遇)에는 이들을 자국민(自國民)처럼 취급(取扱)해 비자를 발급(發給)하지 않고 별도(別途)의 종이 통행증(通行證)을 발급(發給)받아 여권(旅券)에 부착(附着)하도록 하고 있다. 인도(印度) 정부(政府)는 이러한 정책(政策)에 대(對)한 항의(抗議)의 표시(表示)로 자국(自國) 국민(國民)이 중국(中國)의 통행증(通行證)을 발급(發給)받은 상태(狀態)에서 출국(出國)하는 것을 금지(禁止)하고 있는데,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당시(當時) 이 문제(問題)로 아루나찰(札)프라데시 태생(胎生)의 인도(印度) 선수(選手) 3명(名)의 출국(出國)이 거부되어 아시안게임에 참가(參加)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發生)했다. 인도(印度)는 항의(抗議)하였으나 중국(中國) 정부(政府)는 해당(該當) 선수(選手)들의 입국(入國)을 거부(拒否)한 적이 없다고 반박(反駁)했다. #

방탄소년단(防彈少年團) 소속사(所屬社) 에서 방탄소년단(防彈少年團) 의 실적보고서(實績報告書)를 공개(公開)했을 때, 아루나찰프라데시가 인도(印度) 땅으로 표기(表記)되어있다는 이유(理由)로 중국(中國) 분청 , 우마오당(牛馬梧堂) 들이 비난(非難)을 가(加)한 바 있다. #

이러한 영토분쟁(領土紛爭)은 제(第) 2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을 다루는 게임 Hearts of Iron IV 에도 구현(具現)되어있다. 중화민국(中華民國)은 '맥마흔 라인 재설정(再設定)' 중점(重點)을 통(通)해 아루나찰(札)프라데시 지역(地域)에 대(對)해 영유권(領有權)을 주장(主張)할 수 있다.

6. 관련(關聯)글 [편집(編輯)]

[1] 인도(印度)에서 가장 인구밀도(人口密度)가 희박(稀薄)한 주(州)에 속(屬)한다. [2] 2011년(年) 기준(基準). [3] 중국(中國)에도 7천여명(千餘名)이 거주(居住)하는데 중국(中國)에서는 문파족(門派族)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티베트인(人) , 서 히말라야 라다크 라다크인(人) 과 같은 언어(言語)를 공유(共有)한다. [4] 중국(中國), 중국대만(中國臺灣), 파키스탄 국적(國籍) 제외(除外) [5] 물론(勿論) 대만(臺灣)으로 간 중화민국(中華民國) 역시(亦是) 이 곳을 명목상(名目上)의 강역(江域)에 포함(包含)시키고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