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식용(食用) 버섯 - 나무위키

식용(食用) 버섯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22
편집(編輯) 요청(要請)
편집(編輯) 권한(權限)이 부족(不足)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使用者)(이(李))여야 합니다. 해당(該當) 문서(文書)의 ACL 탭 을 확인(確認)하시기 바랍니다.

편집(編輯) 권한(權限)이 부족(不足)한 경우(境遇) 아래의 '편집(編輯) 요청(要請)' 버튼으로 편집(編輯) 요청(要請)을 생성(生成)할 수 있습니다. [편집(編輯) 요청(要請) 도움말]
토론(討論) 역사(歷史)
분류(分類)
※본 문서(文書)는 식용(食用)이 가능(可能)하다고 공식적(公式的)으로 인정(認定)된 버섯 의 종류(種類)에 대(對)해 설명(說明)하는 문서(文書)입니다. 제한적(制限的)으로 식용(食用)이 가능(可能)한 독버섯(毒버섯) 제한적(制限的) 식용(食用) 버섯 문서(文書)를 참고(參考)해주십시오. 약용(藥用)으로만 쓰이는 버섯에 대(對)해서는 약용(藥用) 버섯 문서(文書)를 참고(參考)해주십시오.
※재배(栽培)가 가능(可能)한 버섯은 ★ 표시(標示).

식용(食用) 버섯 들은 거의 모두 익혀먹는 것 을 전제(前提)로 하고 식용(食用)으로 재배(栽培)되고 판매(販賣)된다. 가열(加熱)하면 휘발(揮發)되거나 파괴(破壞)되는 독(毒) 을 가지고 있는 경우(境遇)가 많고 [1] 유해(有害)한 세균(細菌)이 덩달아 배양(培養)되는 경우(境遇) [2] 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勿論) 생식(生殖)을 해도 괜찮은 것도 있겠지만 [3] 가능(可能)하면 익혀서 먹어야 한다.

당연(當然)하지만 이 문서(文書)를 보고 버섯을 채취(採取)하여 먹는 것은 절대로(絶對로) 하면 안 된다. 식용(食用) 버섯과 외양(外樣)이 매우 흡사(恰似)한 독버섯(毒버섯)은 얼마든지 있으므로 자격(資格)을 소지(所持)한 버섯 전문가(專門家)가 아니라면 야생(野生) 버섯은 절대로(絶對로) 손대선 안 된다.

1 . ㄱ
1.1 . 가(街)송이 1.2 . 가죽밤그물버섯 1.3 . 솔방울버섯(갈색(褐色)솔방울버섯) 1.4 . 개암다발(多發)버섯★ 1.5 . 검은비늘(檢銀비늘)버섯★ 1.6 . 갈색먹물버섯(褐色먹물버섯) 1.7 . 고무버섯 1.8 . 국수버섯 1.9 . 굴털이 1.10 . 그물버섯 1.11 . 그물버섯아재비 1.12 . 기와버섯(청(靑)버섯) 1.13 . 고동색우산버섯(古銅色雨傘버섯) 1.14 . 긴대안장버섯(긴대鞍裝버섯) 1.15 . 꽃버섯(붉은산꽃버섯) 1.16 . 꽃송이버섯 1.17 . 꾀꼬리버섯 1.18 . 끈적긴뿌리버섯 1.19 . 깔때기버섯
2 . ㄴ
2.1 . 노란(虜亂)구름벚꽃버섯(흑갈색(黑褐色)벚꽃버섯) 2.2 . 냉이무당버섯(수원(水原)무당버섯) 2.3 . 난(難)버섯 2.4 . 노란(虜亂)달걀버섯 2.5 . 노랑난(難)버섯 2.6 . 노랑창싸리버섯 2.7 . 넓은주름긴뿌리버섯 2.8 . 노란(虜亂)길민(民)그물버섯
2.8.1 . 청변민(靑邊民)그물버섯
2.9 . 노랑느타리버섯 2.10 . 노랑망태(網태)버섯 2.11 . 낭피버섯(참낭피버섯) 2.12 . 노루궁뎅이★ 2.13 . 느타리버섯 2.14 . 능이버섯(能耳버섯)
3 . ㄷ
3.1 . 다람쥐눈물버섯 3.2 . 달걀버섯 3.3 . 댕구알버섯 3.4 . 덕다리버섯
3.4.1 . 붉은덕다리버섯
3.5 . 동충하초(冬蟲夏草) 3.6 . 독송(讀誦)이 3.7 . 두엄먹물버섯 3.8 . 땅송이 3.9 . 떡버섯
4 . ㅁ
4.1 . 마른산(山)그물버섯 4.2 . 만(萬)가닥버섯★ 4.3 . 말불버섯 4.4 . 맛젖버섯 4.5 . 말징버섯 4.6 . 맛버섯(나도팽나무버섯) 4.7 . 망태(網태)버섯★ 4.8 . 무리우산버섯(無理雨傘버섯) 4.9 . 모래배꼽버섯 4.10 . 목이버섯(木耳버섯) 4.11 . 민달(敏達)갈버섯 4.12 . 밀버섯
5 . ㅂ
5.1 . 바다말미잘버섯 5.2 . 방추(方錐)광대버섯 5.3 . 밤버섯 5.4 . 븕은그물버섯 5.5 . 다색벛꽃버섯 5.6 . 밤꽃그물버섯 5.7 . 배젖(胚젖)버섯 5.8 . 버터애기버섯 5.9 . 볏짚버섯 5.10 . 북방처녀(北方處女)버섯 5.11 . 붉은꾀꼬리버섯 5.12 . 붉은창(殷昌)싸리버섯 5.13 . 붉은민그물버섯 5.14 . 뽕나무버섯부치 5.15 . 붉은목이 5.16 . 비단(緋緞)그물버섯 5.17 . 뿔나팔(喇叭)버섯
6 . ㅅ
6.1 . 새송이버섯 6.2 . 살구버섯 6.3 . 색시졸각(卒各)버섯 6.4 . 석이버섯(石耳버섯) 6.5 . 세발버섯 6.6 . 선녀낙엽(仙女落葉)버섯 6.7 . 소혀버섯 6.8 . 솔버섯 6.9 . 산(山)느타리 6.10 . 솜귀신(鬼神)그물버섯(귀신(鬼神)그물버섯) 6.11 . 쓴맛그물버섯 6.12 . 송이버섯(松耳버섯) 6.13 . 송로버섯 6.14 . 싸리버섯
7 . ㅇ
7.1 . 아위버섯★ 7.2 . 아교(阿膠)뿔버섯 7.3 . 안장버섯(鞍裝버섯) 7.4 . 애주름버섯 7.5 . 양송이버섯(洋松栮버섯) 7.6 . 영지버섯(靈芝버섯) 7.7 . 옥수수깜부기버섯 7.8 . 우산(雨傘)광대버섯 7.9 . 잎새버섯★ 7.10 . 오렌지껄껄이버섯 7.11 . 왕(王)잎새버섯 7.12 . 왕송이버섯(王松耳버섯)(다발(多發)왕송이)
8 . ㅈ
8.1 . 자주국수버섯 8.2 . 자주졸각(卒各)버섯 8.3 . 접시껄껄이그물버섯 8.4 . 잦버섯 8.5 . 좀말불버섯 8.6 . 좀노란창싸리버섯 8.7 . 좀목이 8.8 . 잿빛만(萬)가닥버섯 8.9 . 젖버섯아재비 8.10 . 족제비눈물버섯 8.11 . 좀나무싸리버섯 8.12 . 졸각(卒角)버섯 8.13 . 좀나무싸리버섯 8.14 . 자주(自主)방망이버섯아재비
9 . ㅊ
9.1 . 참부채(負債)버섯 9.2 . 찹쌀떡버섯 9.3 . 처녀(處女)버섯 9.4 . 청머루(靑머루)무당버섯 9.5 . 침비늘버섯 9.6 . 치마버섯★
10 . ㅋ
10.1 . 큰갓버섯 10.2 . 큰눈물버섯 10.3 . 큰낙엽(落葉)버섯 10.4 . 큰마개(個)버섯 10.5 . 큰비단(緋緞)그물버섯
11 . ㅌ
11.1 . 턱수염(턱鬚髥)버섯 11.2 . 털목이(털木耳) 11.3 . 턱받이포도(葡萄)버섯★ 11.4 . 털밤그물버섯
12 . ㅍ
12.1 . 팽이버섯 12.2 . 표고버섯 12.3 . 포도(葡萄)무당버섯 12.4 . 참송이버섯 12.5 . 남보라젖버섯(푸른우유(牛乳)버섯) 12.6 . 푸른끈적버섯 12.7 . 푸른주름무당버섯 12.8 . 풀버섯 12.9 . 풍선(風船)끈적버섯 12.10 . 피즙(汁)갈색깔대기버섯
13 . ㅎ
13.1 . 황금무당(黃衿武幢)버섯 13.2 . 황소비단(緋緞)그물버섯 13.3 . 황금씨(黃金氏)그물버섯 13.4 . 흰달걀버섯 13.5 . 하늘색깔대기(色깔待機)버섯 13.6 . 흰우단버섯 13.7 . 흰우산광대버섯 13.8 . 흰굴뚝버섯 13.9 . 흰주름버섯 13.10 . 흰주름젖버섯 13.11 . 혹깔때기버섯
14 . 기타
14.1 . ''다윈노랑종양(種量)버섯'(가칭(假稱))

1.1. 가(街)송이 [편집(編輯)]

Tricholoma bakamatsutake

송이와 매우 유사(類似)하나 더 작다. 맛과 향(香)도 비슷. 학명(學名)에서도 일본어(日本語)로 바보+송이란 뜻으로 바카마츠타케이다. 황철석(黃鐵石)을 바보금(金)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네이밍.

국내(國內)에서는 조선(朝鮮) 때부터 기록(記錄)되어 있었지만, 학술적(學術的)으로 발견(發見)된 것은 2015년(年)이다. #

1.2. 가죽밤그물버섯 [편집(編輯)]

가죽밤그늘버섯

여름 부터 가을 사이에 발생(發生)하는 버섯 이다. 활엽수(闊葉樹) 림, 혼합림(混合林) 등(等) 에서 자생(自生)한다. 갓은 불그스름한 갈색(褐色) 이다. 향기(香氣) 가 부드럽다. 성장(成長) 초기(初期)에는 모양(模樣)이 동그랗지만, 다 자라면 표피(表皮)가 국화(國花) 꽃처럼 갈라진다. 살은 연(軟)한 노란색(노란色) 인데 공기(空氣) 에 닿으면 푸른색(푸른色) 으로 변(變)한다.

1.3. 솔방울버섯(갈색(褐色)솔방울버섯) [편집(編輯)]

갈색솔방울버섯

송이버섯(松耳버섯) 과의 버섯 이다. 균모(菌帽)의 지름 은 8~23 mm로 처음 약간(若干) 둥근 산모양(山模樣)에서 편평(扁平)하게 되며 나중에 가운데가 약간(若干) 볼록하게 변(變)한다. 표면(表面)은 매끄럽고 연(軟)한 황갈색(黃褐色) 또는 갈색(褐色) 인데 마르면 연(軟)한 색(色)이 된다. 주름살은 올린주름살로 백색(白色)이고 밀생(密生)한다. 자루의 길이는 2.5~5 cm이고 굵기는 1~2.5 mm로 균모(菌帽)보다 연(軟)한 백색(白色)이며 백색(白色) 가루 같은 것이 덮여 있으며 근부(根部)에 하얗고 긴 털이 있다. 포자(胞子)의 크기는 3.55×2.55 ㎛로 타원형(楕圓形)이고 아미로이드반응(反應) [4] 이며 포자문(胞子文)은 백색(白色)이다. 식용(食用)한다. 발생(發生)은 늦가을에서 겨울 사이 숲 속에 묻힌 솔방울 에서 나는 부후균으로 맛솔방울버섯과 같이 군생(群生)한다. 한국(韓國) 에서는 한라산(漢拏山) , 광릉 , 무등산(無等山) 등(等)과 북반구(北半球) 온대(溫帶) 이북(以北)에 분포(分布)한다.

1.4. 개암다발(多發)버섯★ [편집(編輯)]

개암다발버섯

예전에는 이름이 ' 개암버섯 '이었다. 가을 에 발생(發生)하며, 각종(各種) 수목(樹木)의 그루터기에 공생(共生) 기생(妓生) 한다. 씹는 맛이 좋아서 ' 산(山)의 쇠고기 '라는 별명(別名)이 있고, 조개 와 함께 을 끓이거나 고기 와 같이 볶는 데 이용(利用)된다.

비슷한 이름과 생김새, 그리고 과속(過速)을 가진 노란(虜亂)개암버섯 독버섯(毒버섯) 이므로 헷갈리지 말자. 기사(記事) . 한국(韓國)에서 독버섯(毒버섯)으로 인(因)한 사망사고(死亡事故)의 대부분(大部分) 을 차지한다. 구별(區別)을 하자면, 노란다발(虜亂多發)버섯의 구별법(區別法)으로 특징적(特徵的)인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란다발(虜亂多發)버섯은 균모(菌帽)의 지름이 1~5 cm 정도(程度)로 둥근 모양(模樣)에서 점차(漸次) 직선(直線)으로 변(變)하지만 표면(表面)이 고르지 못하다. 그리고 노란색(노란色) 버섯들 속에 황갈색도(黃褐色度) 같이 있다면 의심(疑心)해 보아야 한다. 초기(初期) 노란다발(虜亂多發)버섯은 노란색(노란色) 이지만 이후(以後) 황갈색(黃褐色)으로 서서히(徐徐히) 변(變)한다. 또한 맛은 매우 쓰며, 가장자리 쪽에 내피막이 흡사(恰似) 거미집 처럼 부착(附着)하는 것도 있긴 하지만 금방(今方)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노란다발(虜亂多發) 버섯의 자루의 길이는 2~12 cm 정도(程度)이며 굵기는 2~7 mm 정도(程度) 되는 원통형(圓筒形)이다. 맛으로는 개암버섯과 차이(差異)가 심(甚)할 정도(程度)로 쓴맛이 나는 것으로 구별(區別)이 가능(可能)하다.

1.5. 검은비늘(檢銀비늘)버섯★ [편집(編輯)]

검은비늘버섯

봄에서 가을에 걸쳐 활엽수(闊葉樹)의 고목나무(古木나무)에 군생(群生)한다. 갓은 8~12 cm 크기인데 황색(黃色)으로 중앙부(中央部)는 황갈색(黃褐色)으로 대략(大略) 삼각형(三角形) 모양(模樣)의 갈색(褐色) 인편(人便)이 가득하며 갓 끝에는 백색(白色)인피가 있다. 원뿔형(圓뿔形)에서 반원형(半圓形)으로 핀다. 표면(表面)은 점성(粘性)을 갖고 있으며 건조(建造) 시(時)에 광택(光澤)이 생긴다. 대(臺)는 소실성(消失性)의 턱받이가 있고 턱받이 밑에 갓과 같은 모양(模樣)의 인편(人便)이 있고 점성(粘性)이 있다.

인공재배(人工栽培)가 가능(可能)하며, 지방질(脂肪質)이나 담백한 요리(料理) 등(等)에 어울린다. 요리(料理)하면 노란 즙(汁)이 나오는 특성(特性)이 있다.

1.6. 갈색먹물버섯(褐色먹물버섯) [편집(編輯)]

stop right there...
해석(解釋): 갈색먹물버섯(褐色먹물버섯)은 내(內) 최애(最愛)의 버섯이다. 그게 전부(全部)다.
어린버섯은 먹을 수 있다. 그레이비 소스로 만들면 좋고, 술과 먹으면 안 된다.
고무버섯pic

학명(學名)은 Bulgaria inquinans . 두건(乾)버섯목 참고(參考)무버섯과 고무버섯속에 속(屬)하는 버섯 으로 여름 이나 가을 에 활엽수(闊葉樹)나 그루터기 등(等)에 군생(群生)한다. 자낭반(子囊斑)은 두껍고 탄력(彈力)이 있으며 건조(乾燥)하면 가죽질(質)이 된다. 외면(外面)에 비듬상(上)의 인편(人便)이 있다. 자실층인(子實層人) 윗면(윗面)은 약간(若干) 오목하고 흑갈색(黑褐色)이며 아랫면은 농갈색(濃褐色)이다. 포자문(胞子文)은 갈색(褐色)이다.

유럽인(人)들에게는 구황작물(救荒作物) 중(中) 하나 로 여겨지며, 데쳐서 겉껍질을 벗겨내고 요리(料理)한다.

표고버섯 을 재배(栽培)할 때 해(害)를 끼친다. 기사(記事)
국수버섯

국수버섯과에 속(屬)하는 버섯 .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국수같이 생겼다. 가을에 활엽수림(闊葉樹林)이나 숲속의 흙 또는 부식물(副食物)이 많은 야외(野外)에서 다발 또는 무리지어 발생(發生)한다. 겉은 하얗지만 나중엔 연(軟)한 노랑색(色)으로 변(變)하며, 살은 연(軟)해서 쉽게 부서지는 편(便)이다. 한국(韓國)과 일본(日本)을 비롯하여 전(全) 세계(世界)에 널리 분포(分布)하며, 식용(食用)이 가능(可能)한 버섯이다.
굴털이pic

학명(學名)은 Lactarius piperatus . 굴털이젖버섯이라고 하기도 한다. 젖버섯( Lactarius volemus )과는 구분(區分)한다. 무당버섯과 젖버섯속에 속(屬)하는 버섯 으로, 여름과 가을 사이에 혼합림(混合林) 내(內)에 무리지어 발생(發生)한다. 갓은 흰색(흰色)으로, 처음에는 둥근 산(山) 모양(模樣)이고 가운데가 파여 있다가 나중에는 깔때기 모양(模樣)으로 변(變)한다. 표면(表面)은 주름이 있고 미끄러우며 처음에는 흰색(흰色)이다가 나중에 연(軟)한 노란색(노란色)이 되며 노란색(노란色)이나 황갈색(黃褐色) 얼룩이 생긴다. 상처(傷處)가 나면 우유(牛乳)와 같은 흰 젖을 분비(分泌)하는데 여기에 매운맛 이 있다. 식용(食用) 가능(可能)하지만 맛이 매워서 생식(生殖)하지 않으며, 버섯의 유액(乳液)은 구토(嘔吐) 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유액(乳液)을 씻은 후(後) 조리(調理)해야 한다. 이 버섯이 갖고 있는 매운맛은 식물(植物) 기름으로 볶거나 염장하면 없어진다.

북한(北韓)에서는 흙쓰개젖버섯이라고 한다.
그물버섯pic

보통(普通) 이탈리아 이름인 포르치(値)니(Porcini)로 많이 불린다. 고기와 비슷한 씹는 맛이 특징(特徵). 이름이 그물버섯인(人) 이유(理由)는 보통(普通) 버섯 은 갓 하단(下端) 주름이 기둥을 중심(中心)으로 방사형(放射形)으로 난 반면(反面), 그물버섯은 그물처럼 구멍이 촘촘하게 난 모양(模樣)이기 때문이다. 이점(利點)은 보통(普通) bolete 계열(系列) 버섯들의 특징(特徵)이기도 한데, 실제로(實際로) 보면 그물보다는 흡사(恰似) 스펀지와 느낌이 비슷하다. 강(强)한 버섯향(香)이 일품(一品)으로 서구권(西歐圈)에서는 곰보버섯, 송로버섯 , 꾀꼬리버섯들과 함께 많은 사랑을 받는 버섯이다.

1.11. 그물버섯아재비 [편집(編輯)]

그물버섯과 다르다. 맛도 매우 좋다.

1.12. 기와버섯(청(靑)버섯) [편집(編輯)]

기와버섯

특이(特異)한 초록색(草綠色)을 가진 버섯이지만 그 맛이 좋은 식용(食用)버섯으로 미국인(美國人)들도 무당버섯속 버섯 가운데 가장 향(香)과 맛이 좋은 버섯으로 여긴다. 단백질(蛋白質), 인(人), 칼슘, 철, 유황(硫黃)과 티아민이 있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활엽수림(闊葉樹林) 숲 속 땅 위에 여기저기 소수(少數)가 산(山)생하기 때문에 채취(採取)하여 모으기 쉽지 않다. 또 곰보버섯과 마찬가지로 조리(調理)할 때 소량(少量)의 히드라진 유도체(誘導體)(hydrazine derivatives)를 방산(放散)한다고 하니 많이 먹는 것은 삼가야 좋다. 미국(美國) 동부지역(東部地域)과 멕시코 및 유라시아에서 많이 돋는 버섯이다.

1.13. 고동색우산버섯(古銅色雨傘버섯) [편집(編輯)]

1.14. 긴대안장버섯(긴대鞍裝버섯) [편집(編輯)]

1.15. 꽃버섯(붉은산꽃버섯)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꽃송이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1.17. 꾀꼬리버섯 [편집(編輯)]

꾀꼬리버섯pic

프랑스어(프랑스語): 샹테렐(chanterelle)

한국(韓國)에서는 잘 먹지 않지만 프랑스 에서는 고급(高級) 식재료(食材料) 취급(取扱)을 받는 버섯이다. 이 고급(高級) 식용(食用)버섯을 따로 지롤(Girolle) 이라고 한다. 다만, 독버섯(毒버섯) 인(人) 할로윈 호박색(琥珀色) 화경버섯(火鏡버섯)의 유균 모습이랑 비슷 하니 주의(注意)할 것. 특징(特徵)으로는 버섯육이(六二) 스트링치즈처럼 섬유(纖維)가 찢어지며, 살에서 살구 냄새가 나서 살구버섯이라고도 부른다. 핀란드어로는 칸타렐라 라고 한다.

1.18. 끈적긴뿌리버섯 [편집(編輯)]

1.19. 깔때기버섯 [편집(編輯)]

2.1. 노란(虜亂)구름벚꽃버섯(흑갈색(黑褐色)벚꽃버섯) [편집(編輯)]

노란구름벚꽃pic

벚꽃버섯과에 속(屬)하는 버섯. 가을에 침엽수(針葉樹), 활엽수림(闊葉樹林)의 땅에 무리지어 자란다. 갓의 표면(表面)은 암회색(暗灰色) 혹은(或은) 흑회색(黑灰色)을 띠고 있으며, 축축할 때 점성(粘性)이 있다. 흑갈색(黑褐色)벚꽃버섯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르기도 한다. 식용(食用)이 가능(可能)한 버섯이나 개체(個體) 수(數)가 적고 발견(發見)하기 어려운 탓에 채취량(採取量)이 적어서 잘 알려져 있지는 않다. 심지어(甚至於) 버섯을 오랜 시간(時間) 동안 연구(硏究)한 사람들도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희귀종(稀貴種)이라고 한다.

2.2. 냉이무당버섯(수원(水原)무당버섯) [편집(編輯)]

2.3. 난(難)버섯 [편집(編輯)]

2.4. 노란(虜亂)달걀버섯 [편집(編輯)]

노란달걀버섯pic

달걀버섯과 비슷하지만 색깔(色깔)이 노란색(노란色)이다. 독버섯(毒버섯) 이란 독버섯(毒버섯)은 죄다 있다는 광대버섯과이고, 색깔(色깔)까지 노란색(노란色)+주황색(朱黃色)으로 화려(華麗)하며, 이와 비슷하게 생긴 독버섯(毒버섯)도 많기 때문에 오히려 무서운 버섯 이다. 때문에 자주 독버섯(毒버섯)과 헷갈린다. 특히(特히) 개나리광대버섯 과 외형상(外形上) 거의 비슷하다. 물론(勿論) 두 버섯을 구분(區分)하는 특징(特徵)이 있긴 하지만, 괜히 이 버섯을 따는 것은 가급적(可及的) 피(避)하도록 하자. 개나리버섯을 먹을 경우(境遇) 최대(最大) 사망(死亡)에 이를 수 있다. 기사(記事) . 애초(애初)에 노란(虜亂)달걀버섯은 보호종(保護種)이기 때문에 손도 대지 말자.

2.5. 노랑난(難)버섯 [편집(編輯)]

노랑난버섯pic

주름버섯목 난(難)버섯과 난(難)버섯속

봄에서 가을에 걸쳐 활엽수(闊葉樹)의 고목(古木)에 군생(群生) 또는 속생(束生)한다. 북반구(北半球) 일대(一帶)에 분포(分布)한다.

갓은 2~6 cm이고 선황색이며, 표면(表面)은 평활(平闊)하고, 습(濕)할 시(詩) 갓 주변(周邊)에 방사상(放射狀) 조선(朝鮮)이 나타난다. 갓의 조직(組織)은 얇고 황색(黃色)~선황색이다.
주름은 떨어진형이며 빽빽하며 처음에는 백색(白色)이나 후(後)에 살색이 된다. 대(臺)는 황백색(黃白色)으로 섬유상(纖維狀), 회색(灰色)의 인편(鱗片)이나 섬유문(纖維門)이 있다. 그다지 풍미(風味)가 있는 버섯은 아니나 계절감(季節感)을 맛볼 수 있다.

2.6. 노랑창싸리버섯 [편집(編輯)]

2.7. 넓은주름긴뿌리버섯 [편집(編輯)]

2.8. 노란(虜亂)길민(民)그물버섯 [편집(編輯)]

2.8.1. 청변민(靑邊民)그물버섯 [편집(編輯)]

노란(虜亂)길민(民)그물버섯과 똑 닮았다. 노란(虜亂)길민(民)그물버섯의 변종(變種)이다. 문지르면 청록색(靑綠色)이 된다.(phylloporus cyanscens)

2.9. 노랑느타리버섯 [편집(編輯)]

느타리버섯처럼 생겼으며, 특징(特徵)도 버섯이 노란색(노란色)이라는 것을 제외(除外)하면 느타리버섯과 거의 같다. 혈관(血管) 질환(疾患) 예방(豫防)에 굉장히(宏壯히) 좋다고 한다. 기사(記事)

2.10. 노랑망태(網태)버섯 [편집(編輯)]

독성(毒性)이 있다고 하지만 사실(事實)은 거짓말이다. 식용(食用) 가능(可能)하지만 망태(網태)버섯 보단 떨어진다.

2.11. 낭피버섯(참낭피버섯) [편집(編輯)]

2.12. 노루궁뎅이★ [편집(編輯)]

노루궁뎅이

학명(學名)은 Hericium erinaceum Pers. 영미권(圈)에서는 Lion's mane (사자(獅子)갈기) 라고 불리는, 산호(珊瑚)침버섯속 노루궁뎅이과(科)에 속(屬)하는 버섯으로, 정식(正式) 명칭(名稱)은 노루궁뎅이이다. 이름처럼 노루 엉덩이 부분(部分)의 복슬복슬한 흰 털을 닮았으며, 식용(食用)과 약용(藥用) 으로 두루 쓰인다. 자연산(自然産)은 매우 비싼 편(便)이며, 2010년(年)에 재배(栽培)가 가능(可能)하게 되었다. 하지만 시중(市中)에 팔리는 노루궁뎅이버섯 또한 다른 버섯에 비해 비싸다.

노루궁뎅이는 결이 살아있는 식감(食感) 때문에 고기 대용(代用)으로 이용(利用)하는 버섯 중(中) 하나기도(祈禱) 하다. 보통(普通) 찌개나 국에 넣어 끓여먹거나, 썰어서 고기처럼 프라이팬에 살짝 볶은 후(後) 기름장(醬)에 찍어먹는다. [5] 이 버섯은 양념에 재우거나 튀김옷을 입혀 튀겨먹을 수도 있다. 다른 방법(方法)으로는 버터 를 녹여 달군 프라이팬에 빠르게 볶아서 먹으면 좋다.

21세기(世紀) 들어 효능(效能)이 점차(漸次) 주목(注目)받는 버섯이기도 하다. 영미권(圈)의 속설(俗說)에 의(依)하면 건망증(健忘症)에 좋다는 설(說)이 존재(存在)하는데 정말로(正말로) 여기서 뽑은 물질(物質) 중(中) 헤리세논 에리나신(裸身) 이라는 성분(成分)은 치매(癡呆)에 효과(效果)가 있다고 한다. 누트로픽 에서도 자주 언급(言及)되는 편(便).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느타리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능이버섯(能耳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일(日) 능(陵)이 이 표고(標高) 삼(三) 송이 "라는 헛소문(헛所聞) [6] 덕분(德分)에 유명(有名)해진 버섯. 향(香)이 매우 진(津)해서 향(香)버섯이라고도 부른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능이버섯(能耳버섯) 문서(文書) 참고(參考).

능이버섯(能耳버섯) 역시(亦是) 송이 버섯만큼은 아니지만 야생(野生)에서 꽤나 구(求)하기 어려운 버섯이며, 국내(國內)에서는 생장(生長) 환경(環境)의 기후(氣候), 습도(濕度), 온도(溫度)가 유기적(有機的)으로 맞아야 자랄 수 있기 때문에 재배(栽培)하는 것은 불가능(不可能)하다.

능이버섯(能耳버섯)은 향(香)이 매우 독특(獨特)하며, 식감도(式感度) 다소(多少) 강(强)한 편(便)이다. 능(陵)이 버섯의 향(香)과 맛을 제대로 즐기려면 말리지 않은 능(陵)이 버섯을 소금물에 데친 뒤 찢어서 한 번(番) 더 살짝 데치는 것이(일명 능이버섯(能耳버섯) 회(回)) 좋다. 하지만 이렇게 먹으면 한 번(番)에 많은 양(量)을 먹게 되므로 대부분(大部分) 탕(湯)이나 국(國)의 형태(形態)로 먹는데, 능이버섯(能耳버섯)으로 국물을 내면 검은빛 국물이 나온다. 능이버섯(能耳버섯)의 향(香)이 상당히(相當히) 강(剛)하기 때문에 국물에 소량(少量)만 넣어도 능이버섯(能耳버섯)의 향(香)이 국물에 깊게 배어든다.

능이버섯(能耳버섯)은 가을에만 채취(採取)할 수 있기 때문에 생(生)으로 된 능이버섯(能耳버섯)은 제한(制限)된 기간(期間) 동안 그것도 산지(山地)에서만 맛볼 수 있는 것이 보통(普通)이다. 생(生) 능이버섯(能耳버섯)은 급속(急速) 냉동(冷凍)하거나 말려서 보관(保管)한다.

또한 능이버섯(能耳버섯)은 식용(食用) 버섯이지만, 생으로(生으로) 먹을 경우(境遇)에는 미량(微量)의 독소(毒素)로 인(因)해서 현기증(眩氣症)이나 안면(顔面) 홍조(紅潮) 등(等)의 증상(症狀)이 올 수 있으니 어린이나 노인(老人)들은 생식(生食)해서는 안된다. 독버섯(毒버섯)인 화경(火鏡)솥밭버섯 과도(過度) 비슷하므로 주의(注意). 다만, 화경(火鏡)솥밭버섯 은 느타리와 다르게 기부(寄附)에 점(點)이 있고 밤이 되면 주름살에서 인광(燐光)이 나온다.

3.1. 다람쥐눈물버섯 [편집(編輯)]

달걀버섯

학명(學名)은 Amanita Hemiphabia. 생긴 것도 광대버섯같고 실제로(實際로)도 광대버섯속( Amanita )이지만 놀랍게도 독버섯(毒버섯) 이 아닌 식용(食用) 버섯 이다. [7] 심지어(甚至於) 맛도 굉장히(宏壯히) 좋아 진미(眞味) 취급(取扱)을 받는다. 기사(記事) . 근연종(近緣種)인 민(民)달걀버섯( A. caesarea )의 경우(境遇) 고대(古代) 로마 황제(皇帝) 네로 가 좋아해서 같은 무게의 금(金)과도 교환(交換)할 정도(程度)였다. [8] 기사(記事) , 기사(記事) 2 . 향(香)이 독특(獨特)한 편(便)으로 여기서 호불호(好不好)가 많이 갈리며, 건강(健康)한 개체(個體)일수록 향(香)이 강(剛)하다. 표고(標高) 등(等) 상품화(商品化)된 맛있는 버섯이 많은 현대(現代)엔 평범(平凡)하게 먹을 만한 버섯 정도(程度)인듯. 하긴 나름 흔한 버섯인데 정말(正말) 진미급(眞味級)이었다면 송이버섯(松耳버섯) 처럼 활발(活潑)하게 상품화(商品化)되었을 것이다. 제주도(濟州道) 에서도 자랄 정도(程度)로 의외로(意外로) 한국(韓國)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버섯이다.

갓이 확실(確實)하게 다 피지 않은 달걀버섯은 절대로(絶對로) 따지 말자. 광대버섯과의 광대버섯 들과 성장범위(成長範圍)와 균사범위(菌絲範圍)가 겹치고, 갓이 다 피기 전(前)의 광대버섯과 버섯들을 구분(區分)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 대(臺)를 보고 구분(區分)할 수 있으나 어중간한 지식(知識)으로는 쉽지 않으며 무엇보다 맹독버섯(猛毒버섯)이 가장 많은 광대버섯에 속(屬)하는 그룹인 만큼 확실히(確實히) 구분(區分)하지 않고 먹었다가는 요단강을 건너거나 은팔찌(銀팔찌) [9] 를 찰 수 있다. 아니, 애초(애初)에 광대버섯을 확실히(確實히) 구분(區分)할 수 없다면 건드리지 말아야 한다. 기사(記事) . 천하(天下)의 생존왕(生存王)인 베어 그릴스 도 야생(野生)의 버섯은 먹지 않고, 버섯은 보고도 그냥 지나치거나, 뜯어서 불쏘시개로나 쓴다. [10] 기사(記事)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댕구알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3.4. 덕다리버섯 [편집(編輯)]

덕다리버섯

영어속명(英語俗名) Chicken of the Woods 또는 Sulfur Shelf.

학명(學名)은 Laetiporus sulphureus . 속명(俗名)(屬名) Laetiporus 라틴어(語) 로 '많은 관공(官公)(a wealth of pores)'이라는 뜻이고, 종명(宗名)(種名) sulphureus 란 '유황색(硫黃色) 또는 밝은 황색(黃色)인'이라는 뜻으로 이 버섯 의 색깔(色깔)이나 냄새를 가리킨다. 왜냐하면 이 버섯에서 나는 냄새가 썩은 달걀냄새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 버섯의 냄새와 맛을 내는 화학성분(化學成分)이 40가지가 넘는다고 한다.

냄새는 다소(多少) 역(逆)하여도 그 맛은 마치 닭고기 맛과 비슷하다고 하여 영어속명(英語俗名)이 Chicken of the Woods(숲 속의 닭고기)이다. 닭고기 맛과 비슷하다보니 서양(西洋)에서는 대체육(代替肉) 관련(關聯)으로 연구(硏究) 되고 있다.

3.4.1. 붉은덕다리버섯 [편집(編輯)]

덕다리버섯의 변종(變種)이다. 덕다리버섯보다 붉고, 새우 맛이 난다.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동충하초(冬蟲夏草)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3.6. 독송(讀誦)이 [편집(編輯)]

이름과 다르게 식용(食用)이 쉽다.

3.7. 두엄먹물버섯 [편집(編輯)]

두엄먹물버섯

학명(學名)은 Coprinopsis atramentaria . 먹물버섯과(먹물버섯科)에 속(屬)하는 버섯 . 두엄흙물버섯 이라고 하기도 한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정원(庭園), 화전지(花箋紙), 목장(牧場), 부식질(腐植質)이 많은 밭 등(等)에 홀로 자라거나 무리지어 자란다. 갓은 지름 5~8 cm 정도(程度)로 달걀 모양(模樣)이다가 점차(漸次) 원뿔(圓뿔) 혹은(或은) 종(鐘) 모양(模樣)으로 변(變)하며, 가운데가 작은 비늘껍질로 덮여 있다가 후(後)에 평편(平便)하고 미끌미끌해진다. 표면(表面)은 흰색(흰色), 회색(灰色) 또는 엷은 회색빛(灰色빛)을 띤 갈색(褐色)으로 변(變)하며, 가장자리에는 방사상(放射狀)의 홈으로 된 줄과 주름이 있다. 주름은 처음에는 흰색(흰色)이지만 차차(次次) 자줏빛(紫朱빛)을 띤 회색(灰色)에서 검은색(검은色)으로 변(變)한다. 포자(胞子)가 성숙(成熟)하면 액화(液化)하여 없어지면서 대만 남게 된다. 대(代)의 길이는 5~20 cm 정도(程度)이고 백색(白色)을 띠며, 대(臺) 가운데에 불완전(不完全)한 턱받이의 흔적(痕跡)이 있다. 대의 속은 비어 있다.

식용(食用)은 가능(可能)하나, 버섯 에 들어있는 코프린(coprine)이라는 성분(成分)이 있어서 주의(注意). 왜냐하면, 이 성분(成分)이 알코올 해독(解毒) 작용(作用)을 방해(妨害)하기 때문이다. 코프린은 가수분해(加水分解) 하여 생긴 1-아미노시크로프로파놀이 혈액(血液)속의 에탄올이 산화(酸化)된 아세트알데히드가 알데히드디하이드로제(第)네이즈(알데히드탈수소효소(脫水素酵素))의 작용(作用)을 방해(妨害)하여 체내(體內)로 배출(排出)되는 것을 막기 때문에 혈액(血液) 속에 알데히드 농도(濃度)가 남아 독작용(毒作用)에 의(依)한 심(甚)한 숙취증상(宿醉症狀)을 보이게 한다. 그래서 이 버섯을 섭취(攝取)하기 4~5일(日) 전(前)에 알코올을 마시거나 혹은(或은) 알코올을 마신 뒤 버섯을 섭취(攝取)하면 30분(分)~1시간(時間) 이내(以內)에 중독(中毒) 증상(症狀)이 나타난다. [11] 증상(症狀)으로는 선술한(韓) 숙취(宿醉) 증상(症狀)인 홍조(紅潮), 수족(手足) 마비(痲痹), 구토(嘔吐), 현기증(眩氣症), 메스꺼움, 오한(惡寒), 심박상승(心搏上昇) 등(等)이며, 심(甚)할 경우(境遇)에는 혼수(昏睡) 상태(狀態)나 호흡곤란(呼吸困難)을 겪을 수도 있다. 이러한 증상(症狀)들은 일반적(一般的)으로는 2~4일(日) 이내(以內)에 회복(回復)된다. 쉽게 말해 저 버섯을 먹으면 알콜 분해(分解)가 안돼서 독(毒) 성분(成分)이 사라질때까지 하루 종일(終日) 평소(平素) 숙취(宿醉) 상태(狀態)보다 더 한 상태(狀態)로 지내야 한다는 것. 이것을 '항주성(恒住性)' 이라고 하는데, 4시간(時間) 정도(程度)면 회복(回復)되지만 술을 지나치게 많이 마셨거나 노약자(老弱者)라면 죽을 수도 있다. 기사(記事) . 옛날엔 남편(男便)의 과음(過飮)하는 습관(習慣)을 없애기 위해 아내들이 안주(按酒)에 두엄먹물버섯을 조금씩 넣어서 학(鶴)을 떼게 만들어 술을 끊게 했다고 한다.
땅송이

주름버섯목 송이과(松耳科) 송이속

학명(學名)은 Tricholoma terreum (Schaeff.) P. Kumm. 여름 가을 , 때로는 초(超) 겨울 까지 침엽수림(針葉樹林)의 지상(地上)에 발생(發生)한다. 갓은 볼록평반구형이 된다. 갓표면(表面)은 암회색(暗灰色)으로 섬유상(纖維狀)~펠트상(上)~인편상(鱗片狀)이다. 중앙부(中央部)는 거의 흑색(黑色)이다.

주름은 회색(灰色)으로 조금 성기다.

대(臺)는 백~회색(灰色)으로 속은 차있다. 원통형(圓筒形)~약간(若干) 곤봉형(棍棒形)이다. 다른 유사(類似)한 독버섯(毒버섯)들과 식별(識別)에 주의(注意)하여야 한다.

4.1. 마른산(山)그물버섯 [편집(編輯)]

마른산그물버섯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해그물버섯속

학명(學名)은 Xerocomus chrysenteron . 여름과 가을에 걸쳐 활엽수림내(闊葉樹林內) 지상(地上)에 발생(發生)한다. 북반구일대(北半球一帶)에 분포(分布)한다.

갓은 지름 3~10 cm로 편평형(便坪型)이며 비(非)로등상(等賞)으로 올리브갈색(褐色)~적갈색(赤褐色)으로 가끔 갈라져 담홍색(淡紅色)의 조직(組織)이 노출(露出)된다.

관공(官公)은 홈형(型)~약간(若干) 내린형이고 담황색(淡黃色)~녹황색(綠黃色)으로 청변성(靑變聲)이 있다.

대(臺)는 혈적색(血跡色)~암적색(暗赤色)으로 종(種)으로 섬유문(纖維門)이 있다. 속은 차있다.

4.2. 만(萬)가닥버섯★ [편집(編輯)]

만가닥버섯

송이과(松耳科)의 하나로 여름과 가을철 느릅나무 등(等)의 말라 죽은 활엽수(闊葉樹)나 그루터기에서 다발로 무리를 지어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5~15㎝이며 처음에 둥근 단추 모양(模樣) 또는 반구(半球) 모양(模樣)으로 자란다. 종류(種類)로는 갈색(褐色)과 흰색(흰色)이 있다.

작고 동그란 생김새는 마치 팽이버섯 같기도 하고, 굵기나 갓 색깔(色깔)은 느타리버섯과도(度) 닮은 버섯이다. 초기(初期)의 갓 표면(表面)은 짙은 갈색(褐色)을 띠다가 자라면서 차차(次次) 옅어진다. 날씨가 건조(乾燥)해지면 갓의 표면(表面)이 갈라져 거북의 등처럼 생긴 무늬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特徵)이다.

수많은 가닥이 한 다발로 자란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기도하며 45일(日)이면 다 자라는 일반(一般) 버섯과 달리 재배(栽培) 기간(期間)이 100일(日) 이(二)나 돼 '백일송이', '백만(百萬)송이'라는 별칭(別稱)도 붙기도 한다. 그래도 재배(栽培)에도 성공(成功)한 덕(德)인지 마트에서도 잘 팔리는 편(便)이기도 하다. 식감(食感) 자체(自體)는 괜찮은 편(便)이며, [12] 볶음이나 샤브샤브 에 주로(主로) 쓰인다.

일본(日本)에서는 한국(韓國)에서 상품화(商品化)되기 이전(以前)부터 시메지(地)(しめじ)라는 이름으로 오랫동안 식용해(食用海) 왔으며, 스마트폰 에서 쓰이는 일본어(日本語) 입력기(入力機) 어플 simeji 가 이 버섯에서 이름을 따 왔다.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

학명(學名)은 Lycoperdon perlatum . 영어(英語) 속명(俗名)은 Puff Ball. 먼지버섯(Puff Mushroom)이라고 하기도 한다.

여름과 가을에 각종(各種) 숲속이나 도로변(道路邊) 땅에 군생(群生)한다.

자실체(子實體)는 2~8 cm로 구형(球形) 또는 원추형(圓錐形)으로 포자(胞子)를 형성(形成)하는 두부(豆腐)와 포자(胞子)를 형성(形成)치 않는 기부(寄附)로 되어 있다. 윗부분(윗部分)에 원추형(圓錐形)의 돌기(突起)가 많으며 성숙후(成熟後)에는 공구(工具)가 열려 포자(胞子)를 배출(輩出)한다.

유균시(市)는 백색(白色)이나 성숙후(成熟後)에는 황색(黃色)~갈색(褐色)이 된다. 좀말불버섯과(말불버섯科) 유사(類似)하나 동(桐)버섯은 썩은 나무나 고목(古木)에서 자라는 점(點)이 상이(相異)하다. 백색(白色) 유균일(日) 때 식용(食用)한다.

광대버섯 유균(有菌)이 이것과 비슷하기 때문에 조심(操心)해야 한다. 연구(硏究)

4.6. 맛버섯(나도팽나무버섯) [편집(編輯)]

학명(學名)은 Pholiota microspora . 진득기름갓버섯이라고 하기도 한다. 늦은 여름 ~ 가을 에 너도 밤나무 등(等) 활엽수(闊葉樹)의 고목(枯木) 등(等)에 발생(發生)한다. 한국(韓國), 일본(日本) 등(等)에 분포(分布)한다.

갓은 3~8 cm로 유균은 반구형(半球形)으로 점질상(粘質上)의 막(膜)에 덮여 있다.막은 갓이 편평(扁平)해지면서 파괴(破壞)되어 갓의 주변(周邊)과 조실성의(祖室誠意) 턱받이로 대(代)의 상부(上部)에 남는다.

주름은 빽빽하고 갈회색(褐灰色)이다. 대(代)에는 젤라틴질의(質疑) 턱받이가 있으며 그상부(上部)는 백색(白色)이다. 하부(下部)는 담황갈색(淡黃褐色)으로 점액(粘液)으로 덮여 있다.

일본(日本)에서는 나메코(なめこ, ナメコ, 滑子)라 부르며 인기(人氣)가 있는 버섯 으로 재배(栽培)버섯으로 다량(多量) 소비(消費)되고 있으며, 국물이 잘 우러나 장국(醬국)으로 많이 애용(愛用)되고 있다. 찌게, 전골류(前骨瘤) 등(等)에 넣어도 좋다. 나도팽나무버섯을 이용(利用)하여 나메코란 컵스프를 만들어 팔고있다.

4.7. 망태(網태)버섯★ [편집(編輯)]

망태버섯
말뚝버섯과에 속(屬)하는 버섯 으로, 이명(耳鳴)은 비단우산버섯(緋緞雨傘버섯).

여름부터 가을까지 주로(主로) 대나무 숲이나 잡목림(雜木林)에서 홀로 혹은(或은) 흩어져서 자란다. 버섯대는 하얗고 높이가 10~20 cm 정도(程度) 되며, 속은 비어 있다. 갓의 모양(模樣)은 주름이 잡힌 삿갓 모양(模樣)이며, 여기서 강(强)한 악취(惡臭) 가 난다. 이 강(强)한 냄새가 곤충(昆蟲)을 유인(誘引)하는 것이다. 그리고 저 둘은 망태(網태) 색깔(色깔)뿐만 아니라 서식지(棲息地)에서도 차이(差異)가 난다. 하얀색(하얀色)은 대나무숲에서, 노란색(노란色)은 잡목림(雜木林)에서 주로(主로) 볼 수 있다.

이 버섯의 가장 큰 특징(特徵)은 마치 그물수세미를 연상(聯想)케하는 망사(網紗) 모양(模樣)의 망태(網태) 가 땅 위까지 확 내려와서 레이스를 쓴 것과 같이 된다는 것이다. 이렇듯 화려(華麗)한 외모(外貌)를 지녀서 ' 버섯의 여왕(女王) ', '숲 속의 귀부인(貴婦人)'이라고도 부르며, 서양(西洋)에서는 신부(新婦)가 입는 드레스와 같다고 해서 ' 드레스 버섯 '이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식용(食用)과 약용(藥用) 둘다 가능(可能)하며, 약용(藥用)으로 쓸 경우(境遇) 혈압(血壓), 콜레스테롤 저하(低下)에 효과(效果)가 있다고 한다. 특히(特히) 중국(中國)에서는 말린 망태(網태)버섯을 '죽(粥)손' [13] 이라고 부르며, 고급(高級) 요리(料理)에 사용(使用)될 정도(程度)로 매우 진귀(珍貴)한 요리(料理) 재료(材料)라고 한다. 조리(調理)할 때는 망태(網태) 부분(部分)과 악취(惡臭)가 나는 갓 부분(部分)을 제거(除去)한 후(後) 데쳐야 한다.

한국(韓國)에서는 전북(全北) 무주(茂朱)에서 재배(栽培)에 성공(成功) 했다.

4.8. 무리우산버섯(無理雨傘버섯) [편집(編輯)]

nano hoedown
독버섯(毒버섯)이라고 잘못 기재(記載)된 문현이 많다. [14]

4.9. 모래배꼽버섯 [편집(編輯)]

모래배꼽버섯

버섯목 송이과(松耳科) 버섯속

백합(百合)배꼽버섯, 혹얼룩배꼽버섯, 흰볼록버섯으로도 불리며, 늦봄부터 늦여름에 발생(發生)한다. 주로(主로) 혼합림(混合林), 정원(庭園) 등(等)에 소수(少數) 군생(群生)한다. 식용(食用)으로 하기에는 불쾌(不快)한(?) 냄새가 강(剛)하고 풍미(風味)가 떨어져 참기름과 함께 베이컨볶음, 카레나 마늘을 이용(利用)한 요리(料理) 등(等)에 이용(利用)할 수 있으나 비위(脾胃)가 약(弱)하면 메스꺼움을 느낄 수 있다.

갓은 3.4-7.8 cm, 자루길이 3.5-8.5 cm, 자루굵기 5-9 mm이다.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목이버섯(木耳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4.11. 민달(敏達)갈버섯 [편집(編輯)]

달걀버섯과 비슷하지만 중앙(中央) 부분(部分)만 붉은색(붉은色)이고 둘레는 노랗다. 노란(虜亂)달걀버섯과는 다르다.
amanita caesarea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밀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5.1. 바다말미잘버섯 [편집(編輯)]

바다말미잘버섯
그리고 세발버섯 과 비슷하게 오래 살지 못한다. 그리고 알 상태(狀態) 일때만 식용(食用)할 수 있다. 성숙(成熟)한 포자(胞子)는 썩는 고기 냄새가 난다.

그리고 이 모습 때문인지 영어권(英語圈)에서 악마(惡魔)의 버섯(Devil's finger), 문어대(文魚臺)곰보버섯(Octopus Stinkhorn)이라고도 불린다. 이름과 매우 비슷하게 생겼다.

5.2. 방추(方錐)광대버섯 [편집(編輯)]

유사종(類似種)인 뱀껍질광대버섯과 혼동(混同)하기 쉽다. 광대버섯과(科)에 있으면서도 식용(食用)이 가능(可能)한 버섯이다.
Calocybe gambosa

학명(學名)은 Calocybe gambosa . 옛 서적(書籍)에는 간혹(間或) Tricholoma gambosum 으로 표기(表記) 된 걸 볼 수 있다. 영어(英語) 이름은 St. George's Mushroom이며 직역(直譯)하자면 성(性) 제(第)오르지오 의 버섯이다. 주(週) 분포(分布) 지역(地域)인 영국(英國) 에서 제(第)오르지오의 축일(祝日)인 4월(月) 23일(日) 이 버섯이 처음으로 나온다 해서 이렇게 불린다고 한다.

밤버섯속에 속(屬)한 식용(食用) 버섯. 하얀색(하얀色)이며, 넓은 풀밭에서 주로(主로) 자란다. 지름은 5~15 cm. 버섯에서 밀가루 냄새와 맛이 난다 카더라. 주(週) 분포(分布) 지역(地域)은 스칸디나비아 반도(半島) 를 뺀 유럽 본토(本土)의 석회암(石灰巖) 이 많은 풀밭이며, 영국(英國) 같은 섬에서도 많이 발견(發見) 할 수 있는 종(種)이다.

유럽에서는 꽤 인기(人氣)가 있는 버섯이다. 영국(英國)에서는 버터 에 구워 먹고 독일(獨逸) 을 포함(包含)한 유럽 본토(本土)에서는 계란(鷄卵) 이나 베이컨 과 함께 볶아 먹는다고. 참고(參考)로, 이 지방(地方)에서 밤버섯을 찾아서 먹으려면 똑같은 환경(環境)에서 자라는 땀버섯 '(Inocybe erubescens')' 나 외대(外大)버섯( Entoloma sinuatum )과 헷갈리지 말도록. 셋이 비슷하게 생겼다고 한다

5.4. 븕은그물버섯 [편집(編輯)]

5.5. 다색벛꽃버섯 [편집(編輯)]

한국(韓國) 에서 흔히 밤버섯이라 하는 다색벚꽃버섯(茶色벚꽃버섯) (학명(學名) Hygrophorus russula )이다. 다색벚꽃버섯(茶色벚꽃버섯)은 한국(韓國)의 활엽수(闊葉樹) 침엽수(針葉樹) 가 많은 야산(野山)에서 주로(主로) 발견(發見)되며, 지름은 5~12 cm에 암적색(暗赤色)을 띈다. 이 버섯도 식용(食用)이 가능(可能)하며, 특유(特有)의 향(香)이 있다. 주로(主로) 데친 뒤 소금에 절인 것을 볶아서 먹는다.

5.6. 밤꽃그물버섯 [편집(編輯)]

Boletus pulverulentus Opat

그물버섯속에 속(屬)한 버섯으로 갈색(褐色)이며 숲의 지상부에서 난다.

상처(傷處)가 나면 상처(傷處) 부위(部位)가 파란색(파란色)으로 변(變)하는 특성(特性) 때문에 독버섯(毒버섯) 으로 오해(誤解)를 받기 쉽지만 식용(食用)버섯이다.

5.7. 배젖(胚젖)버섯 [편집(編輯)]

배젖버섯

다른 이름으론 젖버섯이라고 알려져 있다. 육수(肉水)를 내면 맛이 좋아진다.

5.8. 버터애기버섯 [편집(編輯)]

버터애기버섯

고소한 맛이 난다.
볏짚버섯

독청버섯과에 속(屬)하는 버섯으로, 여름~가을 사이에 정원(定員), 숲속의 땅, 길가 등(等)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갓은 처음엔 둥근산모양(筋疝模樣)이었다가 점점(漸漸) 편평(扁平)하게 펴지며, 암백색(癌白色), 황백색(黃白色) 또는 암황색(暗黃色)을 띠고, 습기(濕氣)가 찰 경우(境遇)에는 암갈색(暗褐色)으로 변(變)한다. 표면(表面)은 매끄럽고 털이 없으며, 성숙(成熟)해지면 거북이의 등(等)처럼 터져서 갈라진다.

씹는 맛이 좋아 볶음이나 조림 요리(料理)에 좋다고 한다.

5.10. 북방처녀(北方處女)버섯 [편집(編輯)]

북방처녀버섯

처녀(處女)버섯목에 속(屬)하는 북방처녀(北方處女)버섯. 여름과 겨울 사이에 무리지어 자란다. 갓의 지름은 1~4.5 cm로 둥근산모양에서 둔(鈍)한 둥근산모양으로 되지만 거의 편평(扁平)하게 된다. 표면(表面)은 밋밋하고 흡수성(吸收性)이며, 싱싱할 때 유백색(乳白色)에서 거의 분필색(粉筆色)으로 되고, 건조(乾燥) 시(市) 중앙(中央)은 보통(普通) 연(軟)한 노란색(노란色)에서 황갈색(黃褐色)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물결 모양(模樣)으로 되며, 투명(透明)한 줄무늬선(線)이 있다. 살은 백색(白色)으로 중앙(中央)은 약간(若干) 두껍고 연(軟)하며 냄새와 맛은 불분명(不分明)하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對)하여 홈파진(破陣)주름살 또는 내린주름살로 백색(白色)이며 약간(若干) 성기고 폭(幅)은 좁고 주름살들은 얽힌다. 자루의 길이는 2~9 cm, 굵기는 3~8 mm로 백색(白色)이며, 위아래가 같은 굵기이지만, 간혹(間或) 아래로 가늘어지는 것도 있다. 자루의 속은 비었거나 스펀지상(賞)이다. 이 버섯 역시(亦是) 식용(食用) 가능(可能)하다.

5.11. 붉은꾀꼬리버섯 [편집(編輯)]

말 그대로 꾀꼬리버섯 레드에디션 이다.

5.12. 붉은창(殷昌)싸리버섯 [편집(編輯)]

학명(學名)은 Clavulinopsis miyabeana . 싸리버섯과(싸리버섯科)에 속(屬)하는 버섯 . 가을 에 숲속의 땅 위에 몇 개(個)씩 또는 10여개(餘個) 씩이 다발(多發)로 나며 자실체(子實體)는 막대 모양(模樣) 이다.

맛이 별로(別로)라 일본(日本)에서는 관상용(觀賞用)으로만 쓰이며, 무엇보다 그 악명(惡名)높은 붉은사슴뿔버섯 과 혼동(混同)할 가능성(可能性)이 높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기사(記事)

5.13. 붉은민그물버섯 [편집(編輯)]

5.14. 뽕나무버섯부치 [편집(編輯)]

뽕나무버섯부치

꿀밀(꿀蜜)버섯 이라고 하기도 한다. 뽕나무버섯과 매우 유사(類似)하다. 역시(亦是) 식용(食用) 가능(可能)하나 소화(消化)가 잘 되지 않으므로 과식(過食)은 삼가는 것이 좋다. 기사(記事) . 주로(主로) 한약(韓藥) 재료(材料)로 이용(利用)한다. 뽕나무버섯과 구별(區別)하는 방법(方法)은 턱받이의 유무(有無)인데, 뽕나무버섯부치는 턱받이가 없다.

5.16. 비단(緋緞)그물버섯 [편집(編輯)]

5.17. 뿔나팔(喇叭)버섯 [편집(編輯)]

뿔나팔버섯

학명(學名)은 Craterellus cornucopioides . 꾀꼬리버섯과에 속(屬)하는 버섯 . 여름과 가을 사이에 숲 속의 부식질(腐植質)이 많은 땅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이름처럼 균모(菌帽) 부분(部分)이 나팔(喇叭) 모양(模樣)이다. 게다가 갓 색깔(色깔)이 회색(灰色), 흑색(黑色)에 가까워서 영어(英語) 속명(俗名)이 'Black Trumpet', 즉(卽) '검은 트럼펫'이다. 그리고 까만 나팔(喇叭)같은 생김새여서 그런지 프랑스 에서는 'Trompet de mort', 즉(卽) '죽음의 나팔(喇叭)'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그리고 학명(學名)은 그리스 신화(神話)에 나오는 '풍요(豐饒)의 뿔(Cornucopia)'에서 유래(由來)한 것이다. 그래서 또 다른 명칭(名稱)이 'Horn of plenty'이다.

식감도(式感度) 좋고 맛도 좋은 식용(食用)버섯이며, 특히(特히) 말린 버섯에는 단백질(蛋白質) 이 굉장히(宏壯히) 많이 들어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항종양(項腫瘍) 효과(效果)도 뛰어나고, 여러 가지 분해(分解) 효소(酵素)의 생산(生産)이 가능(可能)하다는 장점(長點)이 있어서 의학적(醫學的), 상업적(商業的)으로도 응용(應用)할 수 있다.

깔때기뿔나팔(喇叭)버섯 (Craterellus tubaeformis, 속명(俗名) Funnel chantere)도 식용(食用)이 가능(可能)하다.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새송이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새송이 버섯은 상표명(商標名)이고 실제로(實際로)는 느타리버섯의 일종(一種)이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새송이버섯 문서(文書) 참고(參考).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살구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3대(代)가 덕(德)을 쌓아야 얻을 수 있을 정도(程度)로 희귀(稀貴)한 버섯이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살구버섯 문서(文書) 참고(參考).

6.3. 색시졸각(卒各)버섯 [편집(編輯)]

고사리 맛이 난다.

6.4. 석이버섯(石耳버섯) [편집(編輯)]

석이버섯

목이버섯(木耳버섯)과는 종류(種類)도 다르고 서식처(棲息處)도 바위지만 비슷하게 음식(飮食)에 사용(使用)되는 버섯이다. 사실(事實) 석이(石耳)는 지의류(地衣類) 의 일종(一種)이다. 자라는 데 매우 오랜 기간(期間)이 걸리는데, 보통(普通) 1년(年)에 1~2mm 정도(程度) 자란다고 한다. 기사(記事) . 한 번(番) 채취(採取)를 끝낸 지역(地域)은 20여(餘) 년(年)이 흘러야 다시 채취(採取)할 수 있다. 기사(記事) . 이쪽은 궁중(宮中) 요리(料理)에도 올라가는 고급(高級) 식재료(食材料)다. 살짝 불리고 실처럼 가늘게 채썰어서 장식(裝飾)으로 조금만 올린다. (한 접시당(當) 쓰는 양(量)은 많아야 100원짜리 동전(銅錢) 정도(程度) 크기?) 인공(人工) 재배(栽培)가 안 되는 만큼 값도 비싸서, 2024년(年) 기준(基準) 100그램에 2만(萬)원 이상(以上) 한다.

여담(餘談)으로 음식디미방 에 요리법(料理法)이 수록(收錄)되어 있는 석이떡(石耳떡) 의 경우(境遇)에는 양반집(兩班집) 요리법(料理法)이라 그런지 몰라도 맵쌀 1말(末)+찹쌀 2되 기준(基準)으로 석이버섯(石耳버섯)을 1말씩이나 들여 쪄내는 떡으로 기록(記錄)되어 있다. 기사(記事)

값이 비싸서 가정집(家庭집)에선 구경하기 힘들지만, 한식조리기능사자격증(寒食調理技能士資格證)에서는 고명으로 자주 나오는 버섯인지라 한식조리기능사자격증(寒食調理技能士資格證)을 취득(取得)하려 실습중(實習中)인 사람들에게는 자주 보는 버섯이다.

식감(食感)은 버섯 자체(自體)가 원채(原채) 얇기에 씹는맛은 예민(銳敏)한 사람이 아닌이상(以上) 잘 느껴지지 않으며 맛도 강(剛)하지 않다. 물론(勿論) 향(香)은 꽤 되는편.
세발버섯
말뚝버섯과에 속(屬)하는 버섯. 알에서 깨어나서 시들기까지의 기간(期間)이 6시간(時間)에서 7시간(時間)으로 매우 짧다. 말뚝버섯과 답게, 특유(特有)의 악취(惡臭)로 포자(胞子)를 옮긴다. 알일(日) 경우(境遇) 식용(食用) 가능(可能)하지만 악취(惡臭) 때문에 잘 안 먹는다.

6.6. 선녀낙엽(仙女落葉)버섯 [편집(編輯)]

소혀버섯

말 그대로 처럼 생긴 버섯 . 생으로(生으로) 저며서 먹으면 쇠고기 육회(肉膾) 와 질감(質感)이 비슷하다고 한다. 기사(記事) . 뜨거운 물로 추출(抽出)하면 항암물질(抗癌物質) 살균(殺菌) 성분(成分)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사진(寫眞)의 버섯은 어린 자실체(子實體)로 향(香)이 짙은 이탈리안 파슬리와 강(强)한 드레싱을 곁들여 먹으면 맛있다. 혹은(或은) 올리브유(올리브油)에 튀기거나 스튜에 약간(若干)만 넣어도 맛이 뛰어나게 변(變)한다. 게다가 항산화작용도(抗酸化作用度) 있다.
솔버섯

식용(食用)이며, 이걸 이용(利用)해 천에 물을 들이기도 한다.

6.9. 산(山)느타리 [편집(編輯)]

6.10. 솜귀신(鬼神)그물버섯(귀신(鬼神)그물버섯) [편집(編輯)]

학명(學名)은 Strobilomyces floccopus . 겉모습으로 보면 독버섯(毒버섯) 같지만, 엄밀히(嚴密히) 말하자면 식용(食用)버섯이다.

6.11. 쓴맛그물버섯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송이버섯(松耳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소나무 에서 자라나는 버섯. 특유(特有)의 향(香) 때문에 진미(眞味) 취급(取扱)을 받고 있는 버섯이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송이버섯(松耳버섯) 문서(文書) 참고(參考)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트러플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떡갈나무 숲속 땅 밑에서 자라나는 버섯. 땅 밑에서 자라기 때문에 후각(嗅覺)이 뛰어난 돼지 개(個) 를 동원(動員)하여 찾는다. 종류(種類)는 일반적(一般的)으로 검은색(검은色) 송로버섯( 트러플 )과 하얀색(하얀色) 송로버섯(화이트 트러플) 두 가지가 있다.
싸리버섯

모양(模樣)이 싸리빗자루처럼 생겼고 여름철에서 가을철에 거쳐 나무 숲속에서 발생(發生)한다. 섬유소(纖維素) 함량(含量)이 많아 혈중(血中)콜레스테롤을 낮추어서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 예방(豫防)에 도움이 된다. 다만 붉은싸리버섯 등(等) 비슷한 독버섯(毒버섯) 들이 많으니 주의(注意). 기사(記事) . 또한 생식(生殖)도 금물(禁物)이다.

사실(事實) 싸리버섯류(類)의 식용여부(食用與否)를 따지는 건 큰 의미(意味)가 없다. 식용(食用)으로 알려진 일반(一般) 싸리버섯도(度) 어느정도(程度) 독(毒) 을 갖고 있어 소금물에 오랜 시간(時間) 우려내어 독(毒)을 제거(除去)해야 먹을 수 있으며, 독버섯(毒버섯) 인(人) 붉은싸리버섯과 노랑싸리버섯 역시(亦是) 같은 방법(方法)으로 독(毒)을 제거(除去)하고 식용(食用)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야생(野生) 버섯 이므로 마트에서 판매(販賣)하진 않지만 가끔 노점(露店)이나 전통시장(傳統市場)에서 파는 걸 볼 수 있다.

7.1. 아위버섯★ [편집(編輯)]

Ferula Oyster Mushroom /

새송이버섯 근연종(近緣種) 되는 버섯 으로, 원산지(原産地)는 중국(中國) . 이명(耳鳴)은 아위(阿魏)느타리버섯 혹은(或은) 백(百)송이(버섯). 원래(元來) 중국(中國) 산간지방(山間地方)의 아위(阿魏) (흥거(興渠))가 피어있는 곳에서 자생(自生)한다고 한다. 한국(韓國)에서도 인공재배(人工栽培)에 시도(試圖) , 결국(結局) 성공(成功)했으며 인공재배한(人工栽培韓) 개량종(改良種) 아위(阿魏)버섯과 그 개량종(改良種) 머쉬마루버섯이 유통(流通)되고 있다.

시판(市販)에서 유통(流通)되는 아위(阿魏)버섯이나 머쉬마루버섯의 생김새 는 버섯대(代)가 얇아진 새송이 혹은(或은) 크기를 새송이처럼 뻥튀기시키고 버섯대(臺)를 좀 더 굵게 만든 만(萬)가닥버섯 비스무레하다. 맛의 경우(境遇) 새송이 근연종(近緣種)인만큼 육질(肉質)이 단단해 쫄깃한 편(便)이라고 한다.

다른 버섯들의 경우(境遇)처럼 이 버섯도 날것으로 먹지 말 것. 생으로(生으로) 먹어본 자(者)의 증언(證言)에 따르면, 입술이 저리고 감각(感覺)이 잠시(暫時) 없어지면서 매운 맛이 느껴지고 배 속이 잠깐 뜨거워진다고 한다.

7.2. 아교(阿膠)뿔버섯 [편집(編輯)]

아교뿔버섯
붉은목이목에 속(屬)하는 작은 버섯이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침엽수(針葉樹) 고사목(枯死木) 사이에서 볼 수 있다. 왠지 귀엽게 생겼다!

예전에 나무위키에 환각(幻覺)버섯 이라고 되어있었는데, 그걸 본 국내(國內)의 한 유튜버가 찾아본 결과(結果) 독(毒)이 없다고 나왔다. [15]

7.3. 안장버섯(鞍裝버섯) [편집(編輯)]

7.4. 애주름버섯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양송이버섯(洋松栮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일상(日常)에서 흔하게 접(接)하는 식용(食用)버섯.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양송이버섯(洋松栮버섯) 문서(文書) 참고(參考).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영지버섯(靈芝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일반(一般) 식용(食用)보다는 약재(藥材)로 더 알려진 버섯. 하지만 식약처(食藥處)에 의(依)해 약효(藥效)가 크지 않다고 건강식품(健康食品)으로 재분류(再分類)되었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영지버섯(靈芝버섯) 문서(文書) 참고(參考).

7.7. 옥수수깜부기버섯 [편집(編輯)]

시각적(視覺的)인 느낌상(上) 링크로 대체(代替) . 옥수수에 버섯 이 피어 있다.

옥수수 의 수꽃, 암꽃의 알맹이 또는 줄기나 뿌리 부분(部分) 등(等)에 기생(寄生)하는 버섯 이다. 일부(一部)는 버섯이고 일부(一部)는 옥수수의 조직(組織)으로 이루어진 커다란 혹인 셈. 수꽃에 기생(寄生)하는 것은 포도송이(葡萄송이)같이 여러 개(個)가 엉켜 붙은 모양(模樣)이며, 암꽃에 기생(寄生)하는 것은 일부(一部)의 알맹이가 불규칙(不規則)한 큰 덩어리 모양(模樣)으로 자란다. 특히(特히) 암수술(癌手術) 부분(部分)에 생긴 것이 특별히(特別히) 더 크다고 한다. 처음에는 흰색(흰色)이지만 성숙(成熟)해지면 와인색(色)을 거쳐 검은색(검은色)으로 변(變)한다. 호밀(胡밀) 등(等)에 기생(寄生)하는 맥각균과는 달리 독성(毒性)이 없고 맛이 좋아 진미(珍味)로 여겨진다고 한다. 그러나 저 깜부기버섯이 난 옥수수는 판매(販賣)하지 못하므로 옥수수를 재배(栽培)하는 농부(農夫)들에게는 그저 '저 버섯은 해(害)로운 버섯이다!' 일지도...?

멕시코 에서는 '위틀라코체(體)'(huitlacoche)라고 불리우며, 다른 이름으로는 '멕시칸 트러플'이라고 불리운다. 항균(抗菌) 및 항암(抗癌) 작용(作用) 이 뛰어나고, 지혈제(止血劑)나 수렴제(收斂劑)로도 사용(使用)하기도 한다. 그리고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 성분(成分)도 있고, 섬유질(纖維質) 과 단백질(蛋白質)도 풍부(豐富)하여 영양식(營養食)으로도 훌륭하다. 맛은 진(津)한 옥수수 향(香)이 느껴지고 감칠맛이 상당(相當)하다고 한다. 하지만 시각적(視覺的)으로 곰팡이 가 핀것과 유사(類似)하여 처음 보는 사람에게 강(剛)한 거부감(拒否感)을 줄 수 있다.

고대시대(古代時代)부터 중남미(中南美)에서 먹었다고 전(傳)해진다. 이 버섯 을 어떤 경위(經緯)로 중남미(中南美) 원주민(原住民)들이 먹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대기근(大飢饉)과 관련(關聯)되어 있다고 한다. 고대시대(古代時代)에는 이 버섯을 옥수수신(神)이 내린 저주(詛呪)라고 생각했던 원주민(原住民)들이 많았다. 옥수수 곰팡이 핀 것에 가깝다보니 처음에는 당연히(當然히) 멀쩡한 옥수수를 못먹게 되었다고 생각했을 것이고 정말(正말) 심(甚)하게 굶기 전(前)까지는 감자역병(疫病) 처럼 주식(株式) 작물(作物)을 전부(全部) 버려야하는 재난(災難)처럼 여겼을 것이다.

주의(注意)할점은 버섯이 피고나서 2~3주(主)된게 최고(最高)의 맛이고 그 이후(以後)는 포자(胞子)가 많아지면서 쓴맛이 강(剛)해진다고한다.

계절별(季節別)로 쓴맛의 정도(程度)가 다르다. 지나치게 큰것은 별로(別로) 맛이 좋지않고 크기가 작은것이 최상품(最上品)이라고 한다.

심지어(甚至於) 이걸로 만든 통조림(桶조림) 까지 판매(販賣)하고 있을 정도(程度)로 멕시코에서는 흔히 먹는다. 기사(記事)

7.8. 우산(雨傘)광대버섯 [편집(編輯)]

비슷하게 생긴 긴골광대버섯아재비나 턱밭이광대버섯과 매우 비슷하니 헷갈리지 않도록. 기사(記事)

7.9. 잎새버섯★ [편집(編輯)]

잎새버섯

구멍장이버섯과에 속(屬)하는 버섯. 북한(北韓)에서는 '춤버섯'으로도 부른다. 여름과 가을에 활엽수(闊葉樹)의 밑동에 무리지어 자란다. 사진(寫眞)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은 버섯갓이 무수히(無數히) 많이 모여 집단(集團)을 이루는 복잡(複雜)하고 큰 덩어리의 모양(模樣)을 한 버섯이다. 갓은 폭(幅) 2~5 cm, 두께 2~4 mm이며 반원(半圓) 또는 부채 모양(模樣)이다. 표면(表面)은 처음에는 검은색(검은色)이었다가 짙은 재색(재色) 또는 회갈색(灰褐色)으로 변(變)한다. 살은 육질(肉質)이고 흰색(흰色)을 띠며, 건조(乾燥)하면 단단해지고 부서지기 쉽다. 백색부후군(白色腐朽軍)으로 나무에 부패(腐敗)를 일으킨다. 참나무 톱밥을 이용(利用)하여 인공(人工)으로 재배(栽培) 하기도 한다.

맛과 향기(香氣)가 좋아서 식용(食用)할 수 있다. 차(次), 환(圜), 분말(粉末), 엑기스 등(等)으로 가공(加工)한 상품(商品)들도 있다. 항암(抗癌), 성인병(成人病), 다이어트, 혈당(血糖) 저하(低下) 등(等)에 탁월(卓越)한 효능(效能)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10. 오렌지껄껄이버섯 [편집(編輯)]

7.11. 왕(王)잎새버섯 [편집(編輯)]

7.12. 왕송이버섯(王松耳버섯)(다발(多發)왕송이) [편집(編輯)]

1송이 무게가 13kg 남짓하는 자이언트 버섯이다!

8.1. 자주국수버섯 [편집(編輯)]

자주국수버섯

이름대로 자주색(紫朱色)을 띤 국수버섯이다.

8.2. 자주졸각(卒各)버섯 [편집(編輯)]

자수정(紫水晶) 색(色)의 예쁜 버섯이다!

8.3. 접시껄껄이그물버섯 [편집(編輯)]

숙회(宿懷)로 요리(料理)하면 맛이 일품(一品)이다.
사람에 따라 중독(中毒)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조심(操心)하자. 쓴맛이 나서 데쳐 먹어야 한다.

8.5. 좀말불버섯 [편집(編輯)]

말불버섯의 친척(親戚)이다. 나무에서 자라고, 맛은 맵지만 좋다.

8.6. 좀노란창싸리버섯 [편집(編輯)]

평소(平素)에는 죽은 겉 같이 말라 보이다가 비가 오면 탱글탱글해진다,

8.8. 잿빛만(萬)가닥버섯 [편집(編輯)]

8.9. 젖버섯아재비 [편집(編輯)]

8.10. 족제비눈물버섯 [편집(編輯)]

8.11. 좀나무싸리버섯 [편집(編輯)]

8.12. 졸각(卒角)버섯 [편집(編輯)]

04 졸각버섯

작지만 맛이 좋다.

8.13. 좀나무싸리버섯 [편집(編輯)]

8.14. 자주(自主)방망이버섯아재비 [편집(編輯)]

9.1. 참부채(負債)버섯 [편집(編輯)]

참부채버섯

9.2. 찹쌀떡버섯 [편집(編輯)]

찹쌀떡버섯

말불버섯과(말불버섯科)에 속(屬)하는 버섯.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초원(草原)이나 공터(空터) 등(等)에 무리지어 발생(發生)한다. 이름 및 생김새에서 알 수 있듯이, 찹쌀떡 과 정말(正말) 비슷하게 생겼다. 어린 버섯일 때 식용(食用) 가능(可能)하다.

9.3. 처녀(處女)버섯 [편집(編輯)]

벚꽃버섯과에 속(屬)하는 버섯. 가을철 숲 속이나 풀밭의 땅에 1개(個)씩 자란다. 갓은 지름 2~5 cm이고 처음에는 가운데가 봉긋한 둥근 산(山) 모양(模樣)이지만 나중에는 거의 편평(扁平)해지며 흰색(흰色)이다. 주름살은 내린주름살이고 성기며 주름이 서로 이어져 있다. 버섯대(臺)는 굵기 3~7 mm, 길이 3~4 cm이고 뿌리부근(附近)이 가늘며 하얗다. 식용(食用)할 수 있다.

9.4. 청머루(靑머루)무당버섯 [편집(編輯)]

Russula cyanoxan...

국물을 우렸을 때 깊은 맛을 낸다. 링크

9.5. 침비늘버섯 [편집(編輯)]

9.6. 치마버섯★ [편집(編輯)]

치마버섯

나무 같은 곳에 곰보처럼 피어있는 버섯. 식용(食用)으로도 쓰이고 약(約) 으로도 쓰이는 좋은 버섯 이다. 기사(記事) . 사람 몸에서 난 적이 있는 것으로도 유명(有名)한 버섯이다. 생긴 것도 좀 치마 모양(模樣)같이 특이(特異)한 편(便). 나뭇잎 모양(模樣)과 유사(類似)하다. 주로(主로) 한국(韓國), 유럽 , 북아메리카(北아메리카) 등(等) 전(全) 세계(世界)에 분포(分布)한다.

민간(民間)에서 치마버섯을 말렸다가 약재(藥材)로 사용(使用)하거나 달여내(餘內) 차(次) 형태(形態)로 섭취(攝取)한다.

치마버섯은 영문(英文)으로 Split gill, 중국어(中國語)로는 白?菌, 裂褶菌, 白花, 白蔘, 天花菌, 八?柴 그리고 일본어(日本語)로는 スエヒロタケ(스에히로타케, '부채(負債)버섯')로 불리우고 있으며, 기타(其他) 각(各) 나라에서는 쿠락딩 (Kurakding fungi, 필리핀), Kanglayen, Pasi (인도(印度)), Jamur grigit, Dan Cubit, Tihau Tikus, Keho Talade, Ngawate, Kulat Diceng (인도네시아), Het Bee(태국(泰國)) 등(等)으로 불린다. 미국(美國)이나 유럽 가이드북에는 먹을 수 없다고 표기(表記)되기도 하나, 이는 버섯 에 독성(毒性)이 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치마버섯의 거친 식감(食感) 때문이다.

한국(韓國)에서 발행(發行)된 버섯 관련(關聯) 도감(圖鑑)인 “식용(食用) 버섯Ⅱ” 에서는 치마버섯의 용도(用途)로 자실체(子實體)의 경우(境遇) 식용(食用) 또는 약용(藥用) 으로 쓰이며, 향기(香氣)와 맛이 좋은 식용(食用) 버섯이고 인공(人工) 재배(栽培)가 가능(可能)하고 균사체(菌絲體) 심층(深層) 발효(發效) 배양(培養)을 통하여 개발(開發)할 수도 있다고 기재(記載) 되어 있다. 약용(藥用)으로 쓸 때 민간(民間)에서는 백대하(白帶下)에 응용(應用)하고 자양강장(滋養强壯)에 탕제(湯劑)로 사용(使用)되고 있다고 나와 있다.

향기(香氣)와 맛이 좋은 식용(食用) 버섯이고 인공(人工) 재배(栽培)가 가능(可能)하다.

민간(民間)에서는 백대하(白帶下)에 응용(應用)하고 자양강장(滋養强壯)에 탕제(湯劑)로 응용(應用)하며 항암물질(抗癌物質)이 포함(包含)되어 있다. 중국(中國)에서는 건강(健康)에 매우 좋다 하여 백삼(百三)이라 한다.
큰갓버섯
말똥 에서 나오는 버섯 의 일종(一種)이며 말똥버섯이라고 하기도 한다. 제주도(濟州道) 에서는 이 버섯이 별미(別味)라고도 한다. 단(單),식(式)독불명(不明)의 유사(類似) 버섯(망(網)토큰갓버섯) 이 발견(發見)되었기 때문에 주의(注意) 해야 한다. 먹더라도 익혀서 먹어야 한다. 링크

독버섯(毒버섯) 인(人) 독(毒)흰갈대버섯(흰독큰갓버섯) 과 비슷하게 생겼고 하필(何必)이면 서로 어우러져서 자라기 때문에 사고(事故)가 많아 구별(區別) 이 필요(必要)하다.

10.2. 큰눈물버섯 [편집(編輯)]

한국(韓國)의 모(某) 유튜버가 이 버섯을 라면에다가 넣어먹었을 때 국물이 깊은 맛이 난다고 했다.

10.3. 큰낙엽(落葉)버섯 [편집(編輯)]

10.4. 큰마개(個)버섯 [편집(編輯)]

황소비단(緋緞)그물버섯과 공생(共生)한다. 둘이 같이 먹을 수 있어서 일석이조(一石二鳥) 다.

10.5. 큰비단(緋緞)그물버섯 [편집(編輯)]

11.1. 턱수염(턱鬚髥)버섯 [편집(編輯)]

턱수염버섯

과일 향이(香餌)난다.

11.2. 털목이(털木耳) [편집(編輯)]

11.3. 턱받이포도(葡萄)버섯★ [편집(編輯)]

Stropharia rugosoannulata

과거(過去) 이름은 독청(毒廳)버섯아재비 로, 독청버섯과는 달리 재배(栽培)가 간편(簡便)하고 매우 맛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이름 때문에 독버섯(毒버섯) 으로 착각(錯覺)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지 이름이 바뀌었다.

적송이버섯(松耳버섯)이라고 하기도 한다.

갓의 색깔(色깔)이 와인색(色)이라서 Wine-cap 또는 Burgundy-cap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기사(記事)

11.4. 털밤그물버섯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팽이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일상(日常)에서 자주 먹는 식용(食用)버섯. 사실(事實) 생으로(生으로) 먹으면 빈혈(貧血)을 유발(誘發)하는 독버섯(毒버섯) 이므로 제한적(制限的) 식용(食用) 버섯 에 들어가야 할 것 같지만 한두 개(個) 먹는 정도(程度)로는 죽지는 않으며 위에 서술(敍述)했듯이 '식용(食用) 버섯'은 그 자체(自體)로 익혀먹는 것을 전제(前提)로 한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팽이버섯 문서(文書) 참고(參考).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표고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사람들이 자주 먹는 식용(食用)버섯.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표고버섯 문서(文書) 참고(參考).

12.3. 포도(葡萄)무당버섯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참송이버섯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표고버섯의 변종(變種)이다.

12.5. 남보라젖버섯(푸른우유(牛乳)버섯) [편집(編輯)]

Lactarius indigo

시퍼런 색깔(色깔)이 특징(特徵)인 버섯. 화려(華麗)한 색깔(色깔) 때문에 척 봐도 먹으면 안 될 것 같아 보이지만 보기와는 다르게 식용(食用)이 가능(可能)하다. 링크
푸른우유(牛乳)버섯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실제(實際) 학명(學名)은 "남보라젖버섯(Lactarius indigo)"이다.

12.6. 푸른끈적버섯 [편집(編輯)]

12.7. 푸른주름무당버섯 [편집(編輯)]

학명(學名) Volvarlella volvacea . [16] 볏짚에서 자라서 볏짚버섯, 또는 남자(男子)의 음경(陰莖) 을 연상시키는 묘(妙)한 생김새 때문에 숫총각(숫總角) 버섯 으로 알려졌다. 이런 특이(特異)한 모양(模樣)인 이유(理由)는 식용상태(食用狀態)의 풀버섯은 아직 버섯대(代)가 대주머니 안에서 나오기 전(前)에 바로 수확(收穫)하기 때문이다. 단면도(斷面圖) 참고(參考). 그대로 자라게 놔두면 평범(平凡)한 버섯 모양(模樣) 으로 자란다. 중국(中國)에선 초고(超高)버섯이라고도 부른다. 맛이 좋아 널리 유통(流通)되며, 국내(國內)에서 염장 통조림(桶조림)의 형태(形態)로 유통(流通)하기도 한다. [17] 중화(中華) 요리(料理)나 동남아(東南亞) 요리(料理)에 들어가는 특이(特異)하게 생긴 버섯이 바로 이것이다.

12.9. 풍선(風船)끈적버섯 [편집(編輯)]

12.10. 피즙(汁)갈색깔대기버섯 [편집(編輯)]

20210826 164414
[18]
학명(學名)은 Hydnellum peckii .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는 처음 발견(發見)될 당시(當時) 통용(通用)되는 이름이 없었기 때문에 '잇몸출혈(出血)버섯'( Bleeding Tooth Fungus ), '피흘리는 버섯' 등(等)으로 불렸다가 '피즙갈색(汁褐色)깔때기버섯' 또는 '피즙(汁)깔때기버섯'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비슷한 버섯으로 향기갈색(香氣褐色)깔때기버섯이 있다. 1912~13년(年) 경(頃) 미국(美國) 균학자(菌學子) 하워드 제임스 뱅커(Howard James Banker) 가 처음 기록(記錄) 했다.

갈색(褐色)깔때기버섯속에 속(屬)하는 종(種)으로 모양(模樣)이 특이(特異)하면서 혐오(嫌惡)스러운 버섯 이다. 마치 마시멜로가 녹아 있는 듯한 흰색(흰色) 바탕에 핏덩이 같은 검붉은 돌기(突起)가 알알히 박혀 있고 듬성 듬성 빨간 액체(液體)가 흘러 나오는 외형(外形)을 하고 있어 몹시 징그럽다 . 구글 이미지 검색결과(檢索結果) . [19] 절대로(絶對로) 검색(檢索)해서는 안 될 검색어(檢索語) 에 Hydnellum peckii라는 이름으로 위험도(危險度) 2 로 등재(登載)되었다. 위험도(危險度) 2면(面) 불쾌감(不快感)을 받을 수 있는 내용(內容)이 있다는 뜻.

보통(普通) 북아메리카(北아메리카)에 많이 서식(棲息)하고 유럽에서도 자라지만 영국(英國)에서는 스코틀랜드에서만 주로(主로) 발견(發見) 되었는데 유라시아 대륙(大陸)에서도 발견(發見)되었다고도 한다. 2008년(年) 이란, 심지어(甚至於)는 선술했듯이 2010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도 발견(發見)된 바 있으며, 광릉숲 에서 조사(調査) 되었다. 특이(特異)한 모양(模樣) 때문에 '악마(惡魔)의 이빨'( Devil's Tooth ), '악마(惡魔)의 주스', '피흘리는 버섯', ' The Strawberries and Cream (Fungus) ' 등(等) 별칭(別稱)이 있다.

빨간 피즙(汁)같은 액(液)에는 아트로멘틴(atromentin)이라는 항응혈(項凝血) 성분(成分)이 있는데 헤파린의 항응혈(項凝血) 작용(作用)이 비슷하다. 또한 항균(抗菌) 성분(成分)도 있다. 기사(記事)

주로(主로) 여름 가을 발생(發生) 한다.

기괴(奇怪)한 비주얼 과는 달리 독(毒)이 없어 먹어도 별(別) 문제(問題)는 없으나 매우 쓴맛 이 나서 맛으로 먹지는 않는다고 한다. 링크 , 영상(映像)

13.1. 황금무당(黃衿武幢)버섯 [편집(編輯)]

황금무당버섯

무당버섯과에 속(屬)하는 버섯으로,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활엽수림(闊葉樹林)이나 침엽수림(針葉樹林) 내(內)의 땅 위에서 홀로 자란다. 갓은 처음엔 반구형(半球形)을 띠나 점점(漸漸) 자라면서 오목편평형(五目便坪型)으로 된다. 표면(表面)은 적황색(赤黃色) 또는 연황색(軟黃色)을 띠고 있으며, 습기(濕氣)가 있으면 점성(粘性)이 나타난다. 맹독(猛毒) 버섯인 회흑색(灰黑色)광대버섯과 구분(區分) 해야 한다.

13.2. 황소비단(緋緞)그물버섯 [편집(編輯)]

황소비단그물버섯

큰마개버섯과 공생(共生)하고,이는 세계(世界)의 몇 안 되는 서로 공생(共生)하는 버섯들이다! 산뜻한 맛이 나고, 좋은 향(香)이 난다.

13.3. 황금씨(黃金氏)그물버섯 [편집(編輯)]

13.4. 흰달걀버섯 [편집(編輯)]

흰달걀버섯

광대버섯과(科)에 속(屬)하는 버섯. 달걀버섯, 노란(虜亂)달걀버섯과 비슷하지만, 흰색(흰色)이다. 맛과 향(香)이 좋은 것으로도 유명(有名)하지만 다만 이 버섯은 맹독버섯(猛毒버섯)인 흰알광대버섯과 죽음의 천사(天使)라는 별명(別名)이 붙여진 맹독(猛毒)버섯 과 매우 비슷하게 생겼으므로 먹지 말자. 기사(記事) . 흰우산버섯도(흰雨傘버섯度) 이에 해당(該當)되므로 백색(白色)의 야생(野生) 버섯은 절대(絶對) 먹지 말자. 핀란드에서도 흰색(흰色) 버섯은 무조건(無條件) 피(避)한다. 기사(記事)

13.5. 하늘색깔대기(色깔待機)버섯 [편집(編輯)]

토미카혼다인사이트

13.6. 흰우단버섯 [편집(編輯)]

흰우단버섯

송이버섯과에 속(屬)하는 버섯. 여름~가을 사이에 숲속의 낙엽(落葉)이 쌓인 땅에 군생(群生)한다. 균모(菌帽)의 지름은 7~25 cm로 어떤 것은 거의 40 cm에 달(達)하는 것도 있다. 처음은 둥근 산모양(山模樣)이나 차차 편평(扁平)해지며, 중앙(中央)이 들어가서 깔때기형인(形人) 것도 있다. 표면(表面)은 백색(白色) 혹은(或은) 크림색(色)을 띤다. 비단(緋緞)과 같은 광택(光澤)이 있고 밋밋하지만 나중에 미세(微細)한 부스럼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처음에 아래로 말리고 오래되면 찢어지는 것도 있다. 살은 백색(白色)이며 조직(組織)이 치밀(緻密)하고, 강(强)한 밀가루 냄새가 난다. 대(臺)는 5~12 cm 정도(程度)이고 속은 꽉 차 있고 백색(白色)을 띠고 있다.

미량(微量)의 독성분(毒成分) 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식용(食用) 가능(可能)하다. 생육(生育)이 빠르므로 채취(採取) 시기(時期)를 놓치지 않도록 유의(留意). 냄새가 있으므로 버섯 특유(特有)의 향(香)이 싫을 땐 삶아서 물을 버리고 이용(利用)하면 된다. 감기(感氣) 몸살에 걸렸을 때 생강(生薑)과 이 버섯의 절편을 물에 달여서 복용(服用)하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13.7. 흰우산광대버섯 [편집(編輯)]

흰우산버섯

맹독성인(猛毒性人) 독우산(毒雨傘)광대버섯과 흡사(恰似)해 주의(注意)가 필요(必要)하다.

13.8. 흰굴뚝버섯 [편집(編輯)]

굽더더기, 굽디디기 등(等) 많은 별명(別名)이 있지만 '굽더더기 버섯' 으로 흔히 알려져 있다.

13.9. 흰주름버섯 [편집(編輯)]

유해성(有害性) 불명(不明)의 나온 버섯과는 다르다.양송이와 친척(親戚) 관계(關係)다.

13.10. 흰주름젖버섯 [편집(編輯)]

13.11. 혹깔때기버섯 [편집(編輯)]

14.1. ''다윈노랑종양(種量)버섯'(가칭(假稱)) [편집(編輯)]

Cyttaria darwini...

Cyttaria darwinii라고 부른다. 이 버섯은 주로(主로) 남반구(南半球)에 분포(分布)한다. 식용(食用)이 가능(可能)하다.

[1] 조리(調理)하지 않은 양송이버섯(洋松栮버섯) 은 휘발성(揮發性) 독(毒) 이 있다. 그리고 조리(調理)하지 않은 팽이버섯 에는 단백질계(蛋白質系) 독소(毒素)인 플라뮤톡신(神)(Flammutoxin)이 들어 있으며, 이 성분(成分)은 용혈(溶血) 현상(現象)을 유발(誘發)할 수 있다. 플라뮤톡신(神)은 가열(加熱)하면 분해(分解)되기에 익혀먹으면 문제(問題)없다. [2] 팽이버섯 은 보관(保管), 취급(取扱)에 따라 식중독균(食中毒菌)인 리스테리아균도(菌度)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절대(絶對) 생으로(生으로) 먹어서는 안된다. [3] 가령(假令) 화이트 트러플 은 가열(加熱)하면 고유(固有)의 향(香)이 날아가기 때문에 반드시 날로만 먹어야 한다. [4] 전분반응(澱粉反應)이라고도 한다. 녹말(綠末)과 요오드가 만나면 색(色)이 청남색(靑藍色)으로 바뀌는 반응(反應)이라 한다. [5] 그냥 생(生)으로 썰어서 기름장(醬)에 찍어먹기도 한다. [6] 현실(現實)은 "일(日) 송이 , 이 표고(標高) , 삼(三) 느타리"였다. 능이버섯(能耳버섯)이 식용(食用)이 가능(可能)하다고 널리 알려진 것은 최소(最小) 1960년대(年代) 후반(後半) 부터다. [7] 사실(事實) 광대버섯과가 독우산(毒雨傘)광대버섯 등(等)의 맹독(猛毒)버섯 들로 악명(惡名)높아서 그렇지, 찾아보면 의외로(意外로) 식용(食用) 가능(可能)한 버섯들이 꽤 많다. 예(例)를 들면 (당연(當然)하겠지만 익히거나 데쳐먹는다는 전제(前提)에 하(下)에. 팽이버섯도(度) 날것에는 독(毒)이 있다.) 맛광대버섯, 붉은점박이광대버섯, 암회색(暗灰色)광대버섯아재비, 방추(方錐)광대버섯, 우산(雨傘)광대버섯, 흰우산광대버섯, 흰가시광대버섯(명확하진 않음)이라던지. 꽤 많은데? 심지어(甚至於) 이 과의 대표격(代表格)인 광대버섯도(度) 데쳤을 때 식용(食用)이 가능(可能)하다. 다만 구분(區分)이 어렵고 맹독버섯(猛毒버섯)이나 아직 식용여부(食用與否)가 밝혀지지 않은 종도 그만큼 많다 보니 전문가(專門家)가 아니라면 웬만하면 건드리지 않는 게 좋다. [8] 그래서인지 Caesar's Mushroom(황제(皇帝)의 버섯)이란 별명(別名)도 붙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말고, 로마 황제(皇帝)에게 붙는 호칭(呼稱)인 카이사르를 말하는 것이다. [9] 화경버섯(火鏡버섯) 은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이라서 은팔찌(銀팔찌)를 차게 된다. [10] 버섯 중(中)에는 위의 느타리버섯처럼 물이 굉장히(宏壯히) 많은 경우(境遇)도 있지만, 보통(普通)은 불이 굉장히(宏壯히) 잘 붙는 경우(境遇)가 많아서 불쏘시개가 필요(必要)한 상황(狀況)에서 장갑(掌匣)을 끼고 자주 따서 쓰는 경우(境遇)가 많았다. [11] 그래서 일부(一部) 도감(圖鑑)들은 이 버섯 을 이것 때문인지 독버섯(毒버섯) 으로 판단(判斷) 하기도 한다. 다른 도감(都監)에서 이 버섯이 독버섯(毒버섯)으로 나올 때 오해(誤解)하지 않도록. [12] 새송이처럼 육질(肉質)이 단단한 편(便)에 속(屬)해서 그냥 막 볶거나 그래도 모양(模樣)이 잘 망가지지 않는다. [13] 竹蓀. 혹은(或은) 竹孫 [14] 비슷한 독버섯(毒버섯)인 노란(虜亂)개암버섯 때문일 거다. [15] 환각(幻覺)버섯/종류(種類) r84 판 에서 환각(幻覺)은 구라라고 적혀있었다. [16] 영칭(英稱)은 Straw Mushrooms. [17] 식자재(食資材)마트 가면 있는 초고(草稿)버섯 통조림(桶조림)이 바로 그것. [18] 이는 춘천시(春川市) 에서 찍힌 사진(寫眞)이다. [19] 의인화(擬人化)한 팬아트가 가끔 보이긴 한다.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문서(文書)의 r90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以前) 역사(歷史)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다른 문서(文書)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文書)의 r90 ( 이전(以前) 역사(歷史) )
문서(文書)의 r1223 ( 이전(以前) 역사(歷史)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