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소닉 컬러즈 - 나무위키

소닉 컬러즈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닌텐도 DS판(版)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소닉 컬러즈(닌텐도 DS)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리마스터판(版)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소닉 컬러즈 얼티밋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로고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일람(一覽)
[ 펼치기 · 접기 ]
1세대(世代)
2D


2세대(世代)
3D

2D
가정용(家庭用) : 소닉 더 헤지혹 4 · 소닉 매니아 ( DLC )

3세대(世代)
3D
2D
외전(外傳)





모바일

서비스 종료(終了) : 소닉 러너즈
미분류(未分類)
미디어
믹스



소닉 컬러즈
ソニック カラ?ズ
SONIC COLORS
SONIC COLOURS
소닉컬러즈
개발(開發)
유통(流通)
프로듀서
디렉터
시나리오 구성(構成)
켄 폰탁(濁), 워렌 그라프 [1] , 오오타케 야스시
사운드
오오타니 토모야
플랫폼
장르
플레이 인원수(人員數)
1명(名)
출시일(出市日)
공식(公式) 홈페이지

1 . 개요(槪要) 2 . 특징(特徵) 3 . 등장(登場) 위스프 및 컬러 파워 4 . 스테이지 모음 5 . BGM 모음 6 . 스토리 7 . 에그맨의 안내방송(案內放送) 8 . OST 9 . 평가(評價) 10 . 소닉 컬러즈 라이즈 오브 더 위스프 11 . 이식(移植) 및 리마스터판: 소닉 컬러즈 얼티밋 12 . 여담(餘談) 13 . 둘러보기

1. 개요(槪要) [편집(編輯)]



2010년(年) 11월(月) Wii 전용(專用) 타이틀로 발매(發賣)된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딤프스 와의 합작(合作)인 소닉 더 헤지혹 4 와는 다르게 이쪽은 소닉 팀 이 100% 제작(製作).

닥터 에그맨 플래닛 위스프 를 포함(包含)한 행성(行星)들을 연결(連結)한 다음 궤도(軌道) 엘리베이터 로 지구(地球)에 묶어놓은 유원지(遊園地) '에그 플래닛 파크'를 무대(舞臺)로 하고 있다.

소닉 메인 시리즈 중(中)에서는 바뀐 미국(美國) 성우(聲優)들이 처음으로 녹음(錄音)한 작품(作品) [2] 이며 누계(累計) 판매량(販賣量) 200만장(萬張)을 돌파(突破)했다고 한다. 특히(特히) 소닉 어드벤처 2 이후(以後) 소닉팀이 제작(製作)한 게임 중(中) 오랜만에 게임스팟과 IGN에서 8점대(點臺) 점수(點數)를 받았다는 것은 이례적(異例的). [3]

접(接)해본 플레이어들의 전체적(全體的)인 평(評)은 플레이타임이 짧다는 것. 그래도 포시즈 보다는 낫지 않은가 그래픽이 좋지 않다며 까는 반응(反應)도 있지만, 사실(事實) Wii 특성상(特性上) 당시(當時)의 현세대기(現世代機)만큼은 낼 수 없다. 기껏해야 니드 포(抛) 스피드 프로 스트리트 정도(程度)에서 현세대기(現世待機)에 가까운 정도(程度)로 그쳤을 뿐이다. 게다가 컬러즈의 그래픽은 당시(當時) 기준(基準)으로도 나쁜 편(便)은 아니었기 때문에 Wii로 뽑아낸 게임 그래픽이 이 정도(程度)면 대단한 것이다.

이후(以後) 스토리가 소닉 제너레이션즈 로 이어진다. 타임 이터 문서(文書) 참조(參照). ( 스포일러 주의(注意))

2. 특징(特徵) [편집(編輯)]

소닉 언리쉬드 의 시스템을 어느 정도(程度) 기초(基礎)로 했는데, 전체적(全體的)으로 XBOX 360/PS3판(板) 언리쉬드와 유사(類似)하다. 다만, 조작법(操作法)에 어느 정도(程度) 차이(差異)가 있다. 달라진 조작법(操作法)은 아래와 같다.
행동(行動)
소닉 컬러즈 (Wii)
퀵 스텝
달리면서 LB 또는 RB
특정(特定) 구간(區間)을 달리는 동안 ← 또는 →
그라인드 스텝
그라인드 중(中)에 LB 또는 RB
그라인드 중(中)에 ← 또는 →
드리프트
달리면서 LT 또는 RT
특정(特定) 구간(區間)을 달리는 동안 ←→ + 부스트 버튼
록온 중(中)에 부스트 버튼
록온 중(中)에 점프 버튼

전작(前作)과 달리 퀵 스텝과 드리프트를 쓸 수 있는 장소(場所)가 지정(指定)되어있고 다른 곳에서는 절대(絶對) 쓸 수 없다. 또한 드리프트를 사용(使用)하는 일부(一部) 구간(區間)에서는 부스트를 쓸 수 없게 되는 등(等), 각종(各種) 제약(制約)이 많아졌다. 그 외(外)의 조작(造作)은 대부분(大部分) 전작(前作)과 유사(類似)하다.

속도감(速度感) 높은 스테이지를 중심(中心)으로 개발(開發)한 듯하나 부스트 게이지가 매우 짠데다 강제(强制) 진행(進行) 구간(九干)이 많아서 속도(速度)를 낼 수 있는 구간(區間)은 그다지 많지 않다. 오히려 컬러 파워를 계속(繼續) 써야 하는 구간(區間)이 많아 속도(速度)를 내기 힘들다. 게다가 컬러 파워를 안 쓰고 가면 코스를 돌아간다던가 낙사(樂事)하기 적당(適當)한 곳이 엄청 나오기 때문에, 속도감(速度感)은 기대(期待)하기 힘들다.

각(各) 액트마다 여러 종류(種類)의 위스프가 꾸준히 등장(登場)하여, 컬러 파워에 맞춰 디자인된 아기자기한 스테이지를 돌파(突破)하며 말 그대로 '색(色)'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한편(한便) 특전(特典)으로 스테이지의 스페셜 링을 모두 모으고 게임 랜드를 모두 클리어하면 옵션 설정(設定)을 통해 일반(一般) 스테이지에서 슈퍼 소닉 을 사용(使用)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경우(境遇) 화이트 위스프를 통(通)해 부스트 게이지를 채우는 것은 가능(可能)하되 컬러 파워는 일절(一切) 사용(使用)할 수 없고, 맵의 구조(構造)가 살짝 달라진다.

특정(特定) 장소(場所)에서는 컬러 파워를 이용(利用)해 앞쪽의 로봇 무리(無理)를 한 번(番)에 싹쓸이하면 볼링핀 맞추는 소리와 함께 스트라이크 판정(判定)으로 싹쓸이 점수(點數)를 받을 수 있고, 버튼 액션 패널을 통해 날아가면 5번(番)에 걸친 버튼 액션을 통해 더 먼 거리(距離)를 이동(移動)할 수 있고 얻는 점수(點數)도 소소(小小)하게 많아진다. [4]

클리어 화면(畵面)에서도 소닉을 조작(操作)할 수 있다. 클리어 랭크가 A랭크면(面) 위에서 1UP 아이템이 1개(個) 떨어지고 S랭크면(面) 1UP 아이템이 3개(個) 떨어지는데, 직접(直接) 접촉(接觸)해서 이를 획득(獲得)할 수 있다. 위의 점수(點數)를 쳐서 점수판(點數板)을 부술 수도 있는데, 거기에서 1UP 아이템이나 얻어도 별(別) 효과(效果) 없는 링이 나오기도 한다. [5] 이는 스태프 롤에서도 이어져 컬러 파워까지 동원(動員)해 글자(글字)들을 부숴서 링이 나오게 하는 형식(形式)을 취(取)한다. 반면(反面) 링 카운트를 100대(代)까지 올려도 1UP이 되지 않는 몇 안 되는 작품(作品)이다. [6]

참고(參考)로 3D 소닉 게임 중(中)에서는 최초(最初)로 닥터 에그맨 이 최종(最終) 보스인 작품(作品)이다. 다만 Wii 버전에만 해당(該當)되며, Wii 버전의 스토리가 DS 버전의 스토리에서 잘린 내용(內容)이라고 생각한다면 이 타이틀은 다음 작품(作品) 으로 넘어간다. 에그맨이 최종(最終) 보스 못하는 것도 이젠 클리셰 수준(水準)이다

3. 등장(登場) 위스프 및 컬러 파워 [편집(編輯)]

소닉 컬러즈에서는 외계(外界) 생명체(生命體) 위스프 의 힘을 이용(利用)할 수 있다. 이 작품(作品) 이후(以後)의 시리즈에서도 꾸준히 등장(登場)하는 것을 보면 나름 성공(成功)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參考)로 테일즈가 마일즈 일렉트릭 을 번역기(飜譯機)로 개조(改造)하기 전(前)까지는 다들 위스프를 에일리언이라고 불렀다.

각(各) 존마다 2종류(種類)로 한정(限定)되어있는 DS판(版)과는 달리, Wii판(版)은 각(各) 스테이지마다 비교적(比較的) 다양한 위스프가 배치(配置)되어있으며, 사용(使用) 가능(可能)한 컬러 파워의 종류(種類)도 더 많다.

특정(特定) 장소(場所)마다 위스프가 들어있는 캡슐 모양(模樣)의 실루엣이 색깔(色깔)로 표시(標示)되는데, 이는 해당(該當) 위스프가 등장(登場)하는 액트를 클리어하면 해금(解禁)된다.

컬러 파워는 아무 곳에서나 쓸 수 있는 것이 아닌데, 대부분(大部分)의 퀵 스텝 구간(區間)처럼 컬러 파워를 쓸 수 없는 곳에서는 부스트 게이지 왼쪽에 표시(標示)된 눈 뜨고 있던 현재(現在) 위스프 아이콘의 눈이 감기고 ZZZ 표시(標示)가 나기 때문에 이를 통(通)해 확인(確認)할 수 있다.
  • 화이트 위스프 (ホワイトウィスプ) → 화이트 부스트 (ホワイト?ブ?スト/White Boost)
    스테이지에서 특정(特定) 구조물(構造物) 혹은(或은) 적(敵)을 파괴(破壞)할 때 화이트 위스프를 얻을 수 있다. 획득(獲得)한 화이트 위스프는 소닉과 융합(融合)하며 부스트 게이지를 채워준다.
  • 얘커 (ヤッカ―/Yacker)
    사실상(事實上) 주연급(主演級) 위스프. 로딩 화면(畵面)에 등장(登場)해 귀여운 움직임으로 사람들의 눈을 달래주지만, 해설(解說) 역할(役割)을 맡고 있다. 기본적(基本的)으로 화이트 위스프 중(中) 하나지만 머리에 더듬이가 하나 나 있으며, 액션 스테이지에 등장(登場)하지는 않는다. 스테이지에서 부스트 게이지를 충전(充電)해주는 화이트 위스프들은 에그맨에게 붙잡힌 얘커의 형제(兄弟)들.
  • 시안 위스프 (シアンウィスプ) → 시안 레이저 (シアン?レ?ザ?/Cyan Laser)
    트레일러에서 속도감(速度感) 넘치는 간지폭풍(干支暴風) 을 몰고 등장(登場)해 많은 팬들을 설레게 한 위스프. 트로피컬 리조트 Act 3부터 등장(登場). 오프닝 영상(映像)에서도 나왔듯이, 빛의 형태(形態)로 빠르게 움직인다. 컬러 파워 발동(發動) 시(時) 이동(移動) 경로(經路)가 점선(點線)으로 표시(標示)되며, 플레이어가 직접(直接) 이동(移動) 방향(方向)을 바꿀 수 있다. 건드리지 않으면 그냥 보는 방향(方向)으로 간다. 이동(移動) 경로(經路)는 제미니 레이저 처럼 반사(反射) 경로(經路)이며, 이동(移動) 경로(經路)에 ◇ 형태(形態)의 프리즘이 존재(存在)하면 프리즘을 통해 정(定)해진 방향(方向)으로 굴절(屈折)되어 움직인다. 또한 이동(移動) 경로(經路)에 케이블이 존재(存在)하면, 케이블이 설치(設置)된 경로(經路)를 통해 빛의 속도(速度)로 이동(移動)한다. 그 외(外)에 이동(移動) 중(中)에 수면(水面)에 닿으면 반사(反射)되는데, 이는 물 속에서도 마찬가지라서 지상(地上)과 수중(水中)을 오갈 수는 없다.
  • 옐로 위스프 (イエロ?ウィスプ) → 옐로 드릴 (イエロ??ドリル/Yellow Drill)
    스위트 마운틴 Act 1부터 등장(登場). 드릴로 변신(變身)해서 땅 속이나 물 속을 비교적(比較的) 자유롭게 이동(移動)할 수 있는데, 일반적(一般的)인 흙보다 단단한 땅에는 파고들어갈 수 없다. 대신(代身) 수중(水中)에서도 비교적(比較的) 자유롭게 이동(移動)할 수 있다는 점(點)이 포인트. 드디어 소닉이 수영(水泳)을 배웠어!! 참고(參考)로, 수중(水中)은 괜찮더라도 땅 속에서 변신(變身)이 풀리면 사망(死亡)하니 요주의(要注意). 특정(特定) 버튼을 눌러 가속(加速)할 수 있다.
  • 오렌지 위스프 (オレンジウィスプ) → 오렌지 로켓 (オレンジ?ロケット/Orange Rocket)
    스위트 마운틴 Act 3부터 등장(登場). 로켓으로 변(變)해 수직(垂直) 상승(上昇)한다. 컬러 파워 게이지가 떨어질 때까지 상승(上昇)하고, 변신(變身)이 풀리면 천천히 낙하(落下)한다. 버튼으로 빠르게 하강(下降)할 수 있다. 기능(機能)이 너무너무 단순(單純)해서 설명(說明)할 만한 요소(要素)가 별로(別로) 없다. 참고(參考)로 특수(特需) 큐브를 부술 수 있다.
  • 블루 위스프 (ブル?ウィスプ) → 블루 큐브 (ブル??キュ?ブ/Blue Cube)
    스타라이트 카니발 Act 1부터 등장(登場). 컬러 파워 발동(發動) 버튼을 누를 때마다 변신(變身)한 다음, 바닥으로 떨어져 충격파(衝擊波)를 일으키고 원래(元來)대로 돌아온다. 게이지가 없어질 때까지는 몇 번(番)이고 변신(變身)할 수 있다. 충격파(衝擊波)가 일어날 때마다 블루 블록을 블루 링으로, 블루 링을 블루 블록으로 바꾼다. 블루 블록은 발판(발板)으로 쓸 수 있으며, 블루 링은 건드려서 없애버릴 수 있다. 또한 지면(紙面)에 착지(着地)할 때 발생(發生)하는 충격파(衝擊波)는 주위(周圍)의 적(敵)이나 특수(特殊) 큐브를 파괴(破壞)할 수 있다. 왠지 이 녀석이 등장(登場)하는 액트는 테크니컬한 부분(部分)이 많다. 바닥이 없는 곳에서 발동(發動) 하면 그대로 낙사(落仕)할 수 있으므로 주의(注意)가 필요(必要)하다.
  • 그린 위스프 (グリ?ンウィスプ) → 그린 호버 (グリ?ン?ホバ?/Green Hover)
    스타라이트 카니발 Act 5부터 등장(登場). 발동(發動) 시(時) 이동(移動) 속도(速度)가 매우 느려지지만 낙하(落下)하는 속도(速度) 역시(亦是) 감소(減少)하고, 점프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상승(上昇)한다. 또한 부스트에 쓰이는 버튼을 누르면 링이 놓인 경로(經路)를 따라 이동(移動)하는 '링 대시'를 사용(使用)할 수 있다.
  • 핑크 위스프 (ピンクウィスプ) → 핑크 스파이크 (ピンク?スパイク/Pink Spike)
    플래닛 위스프 Act 1부터 등장(登場). 발동(發動) 시(時) 몸을 둥글게 말고 가시가 돋아난 공(共) 형태(形態)로 변(變)한다. 변신(變身) 중(中)에는 벽(壁)이나 천장(天障)에 붙은 채로도 굴러다닐 수 있으며, 어디에 붙어있기만 하면 점프와 호밍 어택이 가능(可能)하다. 또한 점프 대시와 부스트에 쓰이는 버튼을 누르면 스핀 대시 와 유사(類似)한 '대시 이동(移動)'이 가능(可能)하지만, 대시 이동(移動) 중(中)에는 컬러 파워 게이지가 빠르게 소모(消耗)된다. 이 녀석도 벽(壁)이나 천장(天障)에 붙어 이동(移動)하는 경우(境遇)가 많아, 낙사(落仕)할 가능성(可能性)이 높으니 주의(注意)할 것.
  • 퍼플 위스프 (パ?プルウィスプ) → 퍼플 프렌지 (パ?プル?フレンジ?/Purple Frenzy)
    애스터로이드 코스터 Act 1부터 등장(登場). 괴물(怪物) 형상(形象)으로 변(變)해서 부술 수 있는 모든 오브젝트를 집어삼킨다. 기둥, 일반(一般) 박스, 적(敵) 로봇, 특수(特需) 큐브 등(等), 못 먹는게 없다. 소닉아 마시쩡? 먹다 보면 점점(漸漸) 덩치가 커지고, '거대화(巨大化)'하면 주변(周邊)의 링을 끌어당기는 능력(能力)이 생긴다. Wii판(版) 소닉 컬러즈에서 등장(登場)하는 모든 컬러 파워들 중(中)에 가장 컨트롤이 어렵다. 기본적(基本的)으로 약간(若干) 자기(自己) 멋대로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데다 특히(特히) 점프 조작(造作) 이 거지같아서, 능숙(能熟)하게 사용(使用)하려면 연습(練習)이 필요(必要). 안 그래도 조작(造作)감 나쁜 위모(威貌)콘 + 눈처크 조작(造作)에 한 줄기 절망(絶望)이 되어준다. 참고(參考)로 이 컬러 파워를 부여(附與)하는 퍼플 위스프는 다크 위스프 의 한 종류(種類)다.
  • 슈퍼 소닉
    스페셜 링을 모두 모으고 게임 랜드를 모두 클리어하면 옵션 새틀라이트를 통해 '슈퍼 소닉' 옵션을 ON/OFF할 수 있다. ON으로 설정(設定)했을 경우(境遇), 스테이지에서 다른 컬러 파워의 사용(使用)이 완전히(完全히) 봉인되는 대신(代身) 링을 50개(個) 이상(以上) 모아 슈퍼 소닉으로 변신(變身)할 수 있다. 이 때 컬러 파워의 봉인(封印)으로 인(因)해 스테이지의 구조(構造)가 살짝 바뀐다.
    변신(變身) 중(中)에는 무한(無限) 부스트 가 가능(可能)하여 스테이지에 따라 상당(相當)한 속도감(速度感)을 맛볼 수 있다. 슈퍼 소닉 부스트로 특수(特需) 큐브를 격파(擊破)하는 것도 가능(可能). 참고(參考)로 변신(變身) 중(中)에는 2초(秒)마다 보너스 점수(點數)가 2000점(點)씩 주어진다.
  • 파이널 위스프 블래스터 (ファイナルウィスプブラスタ?/Final Color Blaster)
    최종(最終) 보스 에그 네가 위스프의 내부(內部)에서 빠져나온 위스프의 파워를 이용(利用)한 공격(攻擊). 7종류(種類)의 위스프에게 둘러싸인 상태(狀態)로 소닉이 강력(强力)한 호밍 어택 을 시전(時前)한다. 이것을 명중(名中)시키면 에그 네가 위스프로부터 에그 모빌 이 분리(分離)되어 날아가버린다.

4. 스테이지 모음 [편집(編輯)]

이 문서(文書)에 스포일러 가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文書)가 설명(說明)하는 작품(作品)이나 인물(人物) 등(等)에 대(對)한 줄거리, 결말(結末), 반전(反轉) 요소(要素) 등(等)을 직(職)·간접적(間接的)으로 포함(包含)하고 있습니다.

사실상(事實上) 스토리가 가볍다 못해 플롯이 없는 수준(水準)이다.

에그맨이 웬일로 일반인(一般人) 대상(對象)의 놀이공원(놀이公園) 을 지었다는 소식(消息)을 들은 소닉 일행(一行)은 궤도(軌道) 엘리베이터 끝에 위치(位置)하는 '에그 플래닛 파크'로 이동(移動)한다. 예상(豫想) 외(外)로 본격적(本格的)인 분위기(雰圍氣)에 소닉 도 놀랐지만, 에그맨의 로봇들이 잡으려고 하는 정체불명(正體不明)의 외계인(外界人)들 을 만나면서 이야기가 시작(始作)된다.

테일즈 자신(自身)의 컴퓨터 를 개조(改造)하여 만든 번역기(飜譯機)를 통해 소닉은 외계인(外界人)들의 이야기를 조금씩 알아듣게 되고, 총(總) 3개(個)의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에그맨이 이 '위스프'라 불리는 외계인(外界人)을 이용(利用)해 무슨 일을 꾸미고 있는지 조금씩 드러난다. 위스프들의 체내(體內)에 저장(貯藏)된 에너지 'Hyper Go-on'을 동력(動力)으로 하는 마인트 컨트롤 캐논 을(乙) 지구(地球)에 발사(發射)하는 것이 그의 최종(最終) 목표(目標). 실제로(實際로) 테일즈가 이것에 한 번(番) 당(當)해서 소닉을 공격(攻擊)할 뻔했으나, 에그 모빌 에 저장(貯藏)된 에너지가 부족(不足)하여 금방(今方) 해제(解除)되고 끝났다. 참고(參考)로 체내(體內)에서 에너지를 추출(抽出)당한 위스프는 다크 위스프 (북미(北美)에서는 네가 위스프)라는 돌연변이(突然變異)가 되며, 퍼플 위스프와 바이올렛 위스프가 이에 해당(該當)한다. [7]

이러한 에그맨의 계획(計劃)을 막기 위해 소닉은 일단(一旦) 모든 놀이공원(놀이公園)에 붙어있는 제너레이터를 파괴(破壞)하기로 마음먹는다.

나중에 번역기(飜譯機)의 도움을 받아 더 알아낸 정보(情報)에 의(依)하면, 플래닛 위스프를 포함(包含)한 에그 플래닛 파크의 행성(行星)들은 전부(全部) 머나먼 우주(宇宙)에서 에그맨이 통째로 소환(召喚)한 것. 각(各) 행성(行星)의 제너레이터는 각(各) 행성(行星)을 연결(連結)하는 체인 빔을 유지(維持)하는 역할(役割)을 하며, 이를 파괴(破壞)하면 행성(行星)들은 정상(正常)으로 돌아갈 수 있는 것이다. [8]

이후(以後) 소닉은 애스터로이드 코스터의 중심부(中心部)에서 위스프들의 에너지를 추출(抽出)하는 공장(工場)을 발견(發見)하고, 보스를 격파(擊破)하여 마지막 제너레이터를 정지시킨다. 그러나 에그맨은 이미 마인드 컨트롤 캐논의 에너지를 충분히(充分히) 확보(確保)하였고, 결국(結局) 지구(地球)를 향(向)해 발사(發射)하는 손잡이를 작동(作動)시킨다. 그런데 캐논은 소닉이 트로피컬 리조트에서 격파(擊破)한 첫 번째(番째) 보스 [9] 의 팔이 박혀 망가진 상태(狀態)였다. 결국(結局) 포신(砲身)이 폭발(爆發)함에 따라 세뇌(洗腦) 광선(光線)은 지구(地球)로 발사(發射)되지 않았으며, 캐논의 에너지는 달을 비롯한 주변(周邊)의 천체(天體)로 흩어진다. 이 때 에그 플래닛 파크 역시(亦是) 에너지의 폭발(爆發)에 말려들기 시작(始作)한다.

소닉과 테일즈는 지구(地球)로 돌아가기 위해 궤도(軌道) 엘리베이터로 향(向)하지만, 닥터 에그맨이 그들의 앞을 가로막는다. 소닉은 테일즈를 궤도(軌道) 엘리베이터에 태워 지구(地球)로 먼저 보낸 뒤, 위스프들의 에너지가 충전(充電)된 에그맨의 메카 '에그 네가 위스프'를 격파(擊破)한다. 이후(以後) 마인드 컨트롤 캐논이 일으킨 에너지의 폭발(爆發)에 휩쓸리는데, 위스프들이 소닉을 지구(地球)로 데려다 준 덕분(德分)에 생존(生存).

참고(參考)로 소닉이 제너레이터를 정지시키는 판국(판局)에 에그맨이 마인드 컨트롤 캐논을 완충(緩衝)할 수 있었던 것은 위스프들의 창조주(創造主)인 마더 위스프 를 잡아 그녀(그女)의 거대(巨大)한 에너지를 탈취(奪取)했기 때문이다. 에그맨이 완전히(完全히) 격파(擊破)된 시점(時點)에서 다크 위스프로 돌변(突變)한 그녀(그女)가 소닉과 테일즈 앞에 나타나고, 마침 카오스 에메랄드 를 모두 가지고 있던 소닉은 슈퍼화(化)하여 그녀(그女)를 원래(元來)대로 돌려놓는다. 이후(以後) 본모습(本모습)으로 돌아온 마더 위스프는 자식(子息)들을 데리고 본래(本來) 살던 곳으로 돌아가며 게임은 막(幕)을 내린다. 이 이벤트는 DS판(版)에서만 나오며 Wii판에서는 언급(言及)되지 않는다.
문서(文書) 참조(參照). 에그맨의 개그성(性)을 엿볼 수 있다.
엔딩 곡(曲)인 Speak with your Heart.

주제(主題)가 겸(兼) 오프닝 곡(曲)은 Cash Cash 의 멤버인 장 폴 마클루프가 부른 Reach for the Stars , 엔딩 곡(曲)은 'Speak With Your Heart'이며, 이를 포함(包含)한 OST 대부분(大部分)이 전반적(全般的)으로 평(評)이 좋다.

참고(參考)로 보컬이 있는 테마곡(曲)이 쓰인 게임은 2016년(年)까지 이 작품(作品)이 마지막이었다. 후속작(後續作)인 소닉 제너레이션즈 는 게임 특성상(特性上) 따로 제작(製作)된 테마곡(曲)이 없으며, [10] 소닉 로스트 월드 의 주제곡(主題曲)은 보컬이 없는 연주곡(演奏曲)이다. 그러다가 2017년(年) 신작(新作)인 소닉 포시즈 에서 마침내 보컬 테마곡(曲)이 부활(復活)했다.

9. 평가(評價) [편집(編輯)]


2세대(世代) 모던 소닉의 대표(代表) 명작(名作)(당시(當時) 3세대(世代)) 으로, 이후(以後)에 소닉 시리즈로서는 흔치 않은 리마스터 까지 나오고, 나오기 전(前)에도 Dolphin 등(等)으로 하는 사람도 많은 등(等) 엄청난 인기(人氣)를 구가(謳歌)하는 게임이다.

소닉 언리쉬드 는 극강의 속도(速度)를 자랑하지만 나이트타임 스테이지 나 잦은 QTE, 높은 난이도(難易度) 등(等)으로 평가(評價)가 아주 좋지는 않았다. 하지만 소닉 컬러즈는 위스프 를 새롭게 도입(導入)해 레벨 디자인이 매우 뛰어나다. 위스프들 모두가 이동(移動)과 관련(關聯)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길을 찾거나 수집요소(蒐集要素)인 레드 스타 링 [11] 을 모을 수 있으며, 결정적(決定的)으로 지금(只今)까지는 없었던 위스프와 조화(調和)되나 강요(强要)하지는 않는 레벨 디자인 덕(德)에 플레이하는 맛이 잘 살게 되었다. 소닉 시리즈답게 속도감(速度感)도 뛰어나고 [12] 전작(前作) 소닉 언리쉬드 나 후속작(後續作) 소닉 제너레이션즈 에 비해 스피드와 플랫포(脯)밍 구간(區間)이 확실히(確實히) 분리(分離)된 구조(構造) 덕분(德分)에 암기식(暗記式) 플레이 없이도 시원한 속도감(速度感)을 맛 볼 수 있어 부스트 소닉의 입문작(入門作)으로 많이 추천(推薦)받는 작품(作品)이기도 하다. [13]

그래픽과 OST 또한 컬러즈가 고평가(高評價)받는 이유(理由)이다. 그래픽이 낮은 편(便)에 속(屬)하는 닌텐도 Wii 임에도 불구(不拘)하고 꽤나 잘 뽑혔으며, 오프닝 컷신은 소닉 언리쉬드 와 비견(比肩)될 정도(程度)로 수준급(水準級) 퀄리티를 자랑한다. OST는 소닉 시리즈답게 매우 뛰어난 편(便)인데, 메인 테마곡(曲) Reach for the Stars 는 지금(只今)까지도 회자(膾炙)되는 명곡(名曲)이며, 각(各) 맵의 테마마다 잘 맞는 스테이지 음악(音樂)들 덕분(德分)에 플레이 내내 귀가 전혀(全혀) 심심하지 않다. 특히(特히) 최종(最終) 보스전(展) 의 2페이즈는 매인 테마곡(曲)을 오케스트라로 웅장(雄壯)하게 리메이크하여 리마스터 발매(發賣) 년도(年度)인 2021년(年) 기준(基準)으로도 매우 뛰어나다는 평(評)이 많다.

플레이타임이 짧은 건 사실(事實)이지만 그 플탐(貪)을 매꾸기 위해 수집요소(收集要素) 레드 스타 링을 추가(追加)하였고, 이 레드 스타 링을 다 모으면 무려(無慮) 슈퍼 소닉 을 주기 때문에 파고들기 요소(要素)로도 매우 뛰어나다.

다만 문제점(問題點)도 있다, 우선(于先) 2D파트가 매우 많기때문에 속도감(速度感)이 줄고 결정적(決定的)으로 소닉이 잘 안보이게 된다. [14] 이는 적응(適應)하면 문제(問題) 없으나 몇몇 스테이지는 소닉과 색(色)이 비슷해 잘 안보이는 경우(境遇)도 있어서 집중(集中)을 많이 요구(要求)한다.

또한 스토리 작가(作家)의 교체(交替)로 인해 조금씩 캐릭터 붕괴(崩壞)의 조짐(兆朕)이 보인다는 점(點)이 본작(本作)의 숨겨진 단점(短點). 그래도 이 작품(作品)은 작정(作定)하고 의식해야 보이는 수준(水準)인지라 캐릭터 붕괴(崩壞)가 크게 다가오지도 않고, 신규(新規) 캐릭터인 큐봇 미친 존재감(存在感) 으로 작품(作品) 자체(自體)가 개그 분위기(雰圍氣)를 반(半)쯤 깔고 들어가기 때문에 혹평(酷評)이 크게 번지진 않는 편(便)이다.

위 문제(問題) 외(外)에 가끔 지적(指摘)되는 단점(短點)이 있다면 게임이 초당(秒當) 30프레임으로 돌아간다는 것. [15] 이 때문에 성능(性能)이 받쳐주는 컴퓨터가 있는 사람은 Dolphin 을 이용(利用)해 60프레임으로 플레이하기도 한다. (60FPS 게임플레이 영상(映像)) [16]
본 게임의 리마스터 버전인 소닉 컬러즈 얼티밋 을 베이스로 한 2부작(部作)의 애니메이션이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해당(該當) 문서(文書) 참고(參考).

11. 이식(移植) 및 리마스터판: 소닉 컬러즈 얼티밋 [편집(編輯)]

12. 여담(餘談) [편집(編輯)]

  • 호주(濠洲)에서만 한정판(限定版) 피규어 세트가 발매(發賣)되었다. 기종(機種) 마다 위스프 피규어가 다르다. Jazwares답(答)게 내구성(耐久性)이 처참(悽慘)하다
소닉 메인 시리즈
소닉 컬러즈
[1] 앞의 2명(名)은 해피 트리 프렌즈 의 스토리 작가(作家)이기도 하다. [2] 로저 크레이그 스미스 케이트 히긴스 가 각각(各各) 소닉과 테일즈의 목소리를 맡게 되었고 2005년(年)부터 닥터 에그맨의 목소리를 담당(擔當)하던 마이크 폴록 만은 교체(交替)되지 않았다. 한편(한便), 스핀오프나 외전(外傳) 등(等)까지 고려(考慮)할 경우(境遇) 소닉 프리 라이더즈 가 새 성우진의 데뷔작(데뷔作)이다. [3] 참고(參考)로 딤프스가 제작(製作)한 휴대용(携帶用) 소닉 시리즈( 소닉 어드밴스 , 소닉 어드밴스 2 , 소닉 어드밴스 3 , 소닉 러시 , 소닉 러시 어드벤처 )는 소닉 팀이 죽(粥)쒔을 때도 평점(評點) 8점대(苫臺)의 점수(點數)를 꾸준히 받았다. [4] 슈퍼화(火) 상태(狀態)에서 버튼 액션을 하면 한 번(番)에 최고(最高) 판정인(判定人) 어메이징이 뜬다. [5] 아쿠아리움 파크 맵에서는 클리어 화면(畵面)이 물이라 조작감(造作感)이 나쁘다. [6] 반면(反面) DS판에서는 정상적(正常的)으로 1UP한다. [7] DS판에서는 애스터로이드 코스터 돌입(突入) 직전(直前)에 바이올렛 위스프를 하나 만나는데, 언어(言語) 계통(系統)까지 일반(一般) 위스프와 달라져 테일즈의 번역기(飜譯機)가 먹히지 않는다. [8] 소닉 CD 에서도 아주 작은 사이즈이긴 했지만 행성(行星)인 리틀 플래닛 을 통째로 가져와 호수(湖水) 위에 연결(連結)한 전적(戰績)이 있긴 있었다. [9] Wii판에서는 빅 보이(Big Boy), DS판에서는 글로보트론(Globotron). [10] 소닉 어드벤처 의 Open Your Heart나 소닉 어드벤처 2 Live & Learn , Escape from the City 등(等), 기존(旣存) OST의 리믹스는 다수(多數) 존재(存在)한다. [11] 이때는 스페셜 링이라고 불렸다. [12] 예외적(例外的)으로 퍼플 위스프는 3D 부분(部分)의 조작감(造作感)이 매우 힘들어서 평(評)이 그닥 좋지 않다. [13] 조작감(造作感)만 놓고 보면 언리쉬드, 제너레이션즈보다도 무겁다는 평(評)이 많지만, 레벨 디자인에서 조작(造作)감 때문에 부조리(不條理)가 발생(發生)하는 구간(區間)이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치명적(致命的)으로 다가오지 않는 편(便)이다. [14] 소닉 1,2,cd,3&k같은 클래식 시리즈야(野) 2D에 집중(集中)했기에 문제(問題)가 없지만 이 게임은 3D가 매인(每人)이라서 2D로 전환(轉換)할 시(時) 소닉이 잘 안보인다. [15] 소닉 어드벤처 2 이후(以後)로 3D 소닉 게임은 60프레임으로 돌아가는 게임도 있었다. [16] 하지만 에뮬레이터를 사용(使用)해도 여전히(如前히) 프레임 드랍(臘)과 렉을 종종히(種種히) 발견(發見)할 수 있다. 새 게임을 시작(始作)한 직후(直後) 첫 스테이지에 돌입(突入)할 때도 프레임 드랍(臘)이 나온다. [17] 여담(餘談)으로 가이아 메모리와 컬러 파워에 공통(共通)으로 있는 로켓의 경우(境遇), 가이아 메모리의 로켓이 컬러 파워의 로켓보다 발음(發音)이 세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