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 - 나무위키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41
편집(編輯) 요청(要請)
편집(編輯) 권한(權限)이 부족(不足)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使用者)(이(李))여야 합니다. 해당(該當) 문서(文書)의 ACL 탭 을 확인(確認)하시기 바랍니다.

편집(編輯) 권한(權限)이 부족(不足)한 경우(境遇) 아래의 '편집(編輯) 요청(要請)' 버튼으로 편집(編輯) 요청(要請)을 생성(生成)할 수 있습니다. [편집(編輯) 요청(要請) 도움말]
토론(討論) 역사(歷史)
다른 뜻 아이콘  
WHO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다른 의미(意味)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Who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
世界保健機構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세계보건기구기
설립(設立)
본부(本部)
가입국(加入國)
193개국(個國)
협력기구(協力機構)
유엔 (UN)
목표(目標)
The attainment by all people of the highest possible level of health [1]
모든 사람들의 가능(可能)한 한(限) 최고(最高) 수준(水準) 건강(健康) 상태(狀態) 달성(達成)
총재(總裁)
링크
홈페이지 아이콘 | X Corp 아이콘(블랙) | 인스타그램 아이콘 | 페이스북 아이콘 | 유튜브 아이콘 | LinkedIn 아이콘
1 . 개요(槪要) 2 . 역사(歷史) 3 . 조직(組織) 4 . 활동(活動) 5 . 역대(歷代) 사무총장(事務總長) 6 . 비판(批判)
6.1 . 사무총장(事務總長)들의 자질(資質) 및 지나친 친중(親中)&친일(親日) 논란(論難) 6.2 . 코로나19 심각성(深刻性) 은폐(隱蔽) 및 확산(擴散) 책임(責任)
7 . 관련문서(關聯文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WHO
WHO의 상징(象徵)인 뱀과 지팡이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 ( ), 약칭(略稱)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보건(保健)·위생(衛生) 분야(分野)의 국제적(國際的)인 협력(協力)을 위하여 설립(設立)된 유엔 체제(體制) 하(下)의 정부(政府) 간(間) 기관(機關)이다.

1946년(年)에 설립(設立)이 허가(許可)되었으며 1948년(年) 4월(月) 7일(日) 에 정식(正式)으로 발족(發足)하였다.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가 정식(正式)으로 발족(發足)한 날은 매년(每年) '세계(世界) 보건(保健)의 날'로 기념(記念)되고 있고, 대한민국(大韓民國)도 이날을 '보건(保健)의 날'로 지정(指定)하였다. WHO는 크게 두 가지의 직무(職務)를 맡고 있다. 그 직무(職務)들은 다음과 같다.
  • 국제(國際) 보건사업(保健事業)의 지도(地圖)와 조정(調整)
  • 회원국(會員國) 간(間)의 기술원조(技術援助) 장려(奬勵)

2. 역사(歷史) [편집(編輯)]

1830년(年) 콜레라 가 유럽 전역(全域)을 휩쓸자 전염병(傳染病)에 대(對)한 국제적(國際的) 공조(共助)의 필요성(必要性)이 높아져갔다. 이에 1851년(年) 최초(最初)의 근대적(近代的) 국제보건회의(國際保健會議)가 프랑스 파리 에서 개최(開催)됐고, 1892년(年) 국제보건헌장(國際保健憲章)이 제정(制定)됐다.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의 전신(前身)은 셋으로, 우선(于先) 1902년(年) 미국(美國) 워싱턴 에 범미보건기구(汎美保健機構)(PAHO)가 설치(設置)됐고, 1907년(年)에는 프랑스 파리에 국제공공위생사무소(國際公共衛生事務所)(OIHP) [2] 가 설치(設置)됐으며, 스위스 제네바 에는 국제연맹(國際聯盟) 산하(傘下) '보건기구(保健機構)'가 있었다.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는 2차대전(次大戰) 이전(以前)까지 위 세 기구(器具)가 맡던 제반업무(諸般業務)를 모두 계승(繼承)하기 위해 설립(設立)됐다. 다른 전신(全身)들은 모두 법인상(法印象) 해산(解散)됐으나, 범미보건기구(汎美保健機構)는 WHO의 북미지역(北美地域) 지부(支部) 역할(役割)을 맡으며 살아남았다.

3. 조직(組織) [편집(編輯)]

WHO는 세가지 주요기관(主要機關)(총회(總會), 이사회(理事會), 사무국(事務局))을 통하여 업무(業務)를 수행(遂行)한다. WHO 본부(本部)는 스위스 제네바 에 있고, 조직(組織) 특성상(特性上) 세계(世界) 각지(各地)에 6개(個) 지역(地域) 기구(機構)로 분산(分散)되어 있으며 지역(地域) 기구(機構)마다 지역위원회(地域委員會)와 지역사무국(地域事務局)으로 구성(構成)된다.

세계(世界) 보건총회(保健總會)는 통상적(通常的)으로 제네바 에서 매년(每年) 5월(月)에 개최(開催)되며, 각국(各國) 대표(代表)가 모두 참가(參加)한다. 주요(主要) 직무(職務)는 2년제(年制) 프로그램 예산(豫算)을 승인(承認)하는 것과 주요(主要) 정책(政策)에 관련(關聯)된 문제(問題)를 결정(決定)하는 것이다. 보건총회(保健總會)는 최종(最終) 결정(決定) 과정(過程)이다.

역대(歷代) 사무총장(事務總長) 중(中) 제(第)6대(代) 사무총장(事務總長)으로 2006년(年) 5월(月) 22일(日) 뇌출혈(腦出血) 로 타계(他界)한 대한민국(大韓民國) 국적(國籍)의 의료인(醫療人), 일명(一名) '아시아의 슈바이처 '라 불린 이종욱 사무총장(事務總長)이 유명(有名)하다. 그 뒤를 이어 2006년(年) 11월(月) 9일(日) 총회(總會)를 통해 당선(當選)된 마가렛 챈 박사(博士) 가 선임(選任)되었다가 2017년(年) 7월(月)에 아프리카 출신(出身)으로는 에티오피아 아드하놈 전(前) 보건(保健)·외무(外務) 장관(長官)이 취임(就任)했다. 이종욱 전(前) 사무총장(事務總長)이 모국(母國)인 한국(韓國)뿐만 아니라 국제적(國際的)으로도 찬사(讚辭)를 받을 정도(程度)로 모범적(模範的)인 활동(活動) [3] 을 펼친 것과 비교(比較)하면, 친중주의(親中注意), 친일주의(親日注意) 의혹(疑惑) 등(等) 강대국(强大國)에 약(弱)한 모습에 의혹(疑惑)이 끊이지 않고 있는 이후(以後) 사무총장(事務總長)들은 더욱 호된 비판(批判)을 받고 있다. 반대(反對)로 말하자면, 이종욱 사무총장(事務總長) 시절(時節)이 사실상(事實上) WHO의 마지막 리즈 시절(時節) 이다.

4. 활동(活動) [편집(編輯)]

특히(特히) 전(全) 세계적(世界的)인 전염병(傳染病) 예방(豫防)과 퇴치(退治)에 큰 노력(努力)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努力)의 결과(結果)로 1980년(年) 유사(有史) 이래(以來) 최초(最初)로 천연두(天然痘) 를 완전박멸(完全撲滅) 하는데 성공(成功)하였다. 천연두(天然痘)와의 전쟁(戰爭) 과정(過程)에서 전(全) 세계(世界)에 걸친 연락(連絡) 체계(體系)를 수립(樹立)하였고, 현재(現在)도 작동(作動)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는 이후(以後)로도 말라리아 , 홍역(紅疫) , 소아마비(小兒痲痹) 등(等) 수많은 전염병(傳染病)을 퇴치(退治)하기 위해서 노력(努力)하고 있으며, 범유행전염병(汎流行傳染病) (팬데믹)에 항상(恒常) 주의(注意)를 기울이고 있다. 에볼라 , 조류독감(鳥類毒感) , 사스 , 메르스 등(等) 신종전염병(新種傳染病)이 등장(登場)할 때마다 뉴스에 가장 많이 등장(登場)하는 곳이다. 하지만 2010년(年)에 들어 WHO가 추구(追求)하던 활동(活動)의 목적(目的)과 방향성(方向性) 등(等)이 변질(變質)되면서 이런 얘기는 점차(漸次) 옛날 얘기가 되어가고 있는 추세(趨勢)다. 2020년대(年代)에는 코백스 퍼실리티 를 통해 전(全) 세계(世界)에 백신을 균등(均等) 배분(配分)하는 활동(活動)을 진행(進行) 중(中)이다.

현재(現在) WHO가 지정(指定)한 전염병(傳染病) 유행단계(流行段階)는 아래의 표(表)와 같다.
1
동물(動物)에 한정(限定)된 감염(感染) [5]
2
동물(動物) 간(間) 전염(傳染)을 넘어 소수(少數)의 사람에게 감염(感染) [6]
3
인체(人體) 감염(感染)이 발생(發生)했지만, 사람 간(間) 접촉(接觸)으로 감염(感染)되는 위험(危險)이 낮음 [8]
4
사람 간(間) 감염(感染)이 확산(擴散) [9]
5
사람 간(間) 감염(感染)이 널리 확산(擴散) [10]
6
팬데믹 단계(段階), 대륙(大陸) 간(間) 전염(傳染)이 확산(擴散) [12]

5. 역대(歷代) 사무총장(事務總長) [편집(編輯)]

6. 비판(批判) [편집(編輯)]

하지만 2010년대(年代)에 들어 WHO가 본래(本來) 취지(趣旨)를 상실(喪失)하고 있다는 비판(批判)을 듣고 있다. 무엇보다도 WHO는 최고(最高)의 의사(意思)들이 모인 집단(集團)이 아니라, 각국(各國) 대표(代表)들이 참석(參席)하여 의결(議決)을 진행(進行)하는 집단(集團)이다. 그래서 정작 심각(深刻)한 사태(事態)에 대(對)해서는 손 놓고 있다는 비판(批判)은 물론(勿論), 별(別) 쓸데없는 증상(症狀)에 불필요(不必要)하게 질병(疾病) 코드를 부여(附與)한다는 비판(批判)도 받고 있다. 즉(卽) 이름값 을 못하고 있다는 것. [13]

독신(獨身) 및 동성애자(同性愛者)를 장애인(障礙人) 으로 분류(分類)한다고 한다. ??: 이 뭔 개소리야 ? # 그런데 WHO는 이미 오래 전(前)에 동성애(同性愛) 를 정신질환(精神疾患)이 아니라고 공표(公表)했기에 모순(矛盾)되는 행보(行步) 아니냐는 것이다. [14] 그러나 여기서의 장애인(障礙人) 분류(分類)는 아이를 원(願)하는 동성(同性)커플의 시험관(試驗管) 시술(施術) 우선권(優先權)을 위한 것이라 한다. 즉(卽), 동성(同性) 커플의 자녀(子女) 양육(養育)을 사실상(事實上) 인정(認定)하는 상황(狀況)에서 나온 것이다. 독신(獨身)을 번식(繁殖)에 관(關)한 한 장애(障礙)로 분류(分類)한 것도 같은 맥락(脈絡)으로 해석(解釋)할 수 있다. 결국(結局) 동성애(同性愛), 독신(獨身)에 대(對)한 장애(障礙) 분류(分類) 논란(論難)은 장애(障礙) 질환(疾患) 을 뭉뚱그려 생각한 데에서 나온 오해(誤解)다. 실제로(實際로)도 사고(事故)로 인한 장애(障礙) 등(等) 질환(疾患)에 기인(起因)하지 않은 장애(障礙)는 흔하다. 결론적으로 동성애(同性愛)를 무슨 병(病)으로 본 건 아니였으나.... 2019년(年) WHO가 게임 이용(利用) 장애(障礙)를 질병(疾病)으로 규정(規定)하면서부터 스스로 "장애(障礙) 또한 질병(疾病)으로 봐야 한다" 며 혼란(混亂)만 더 키웠다. 그런데 아니나다를까 코로나19 사태(事態)로 팬데믹 선언(宣言)을 한 뒤에는 18개(個) 국내외(國內外) 게임관련(關聯) 회사(會社)들과 함께 게임을 통해서 사회적(社會的) 거리(距離)를 두자고 주장(主張)하며 앞뒤가 안맞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기오염(大氣汚染) 관련(關聯) 기준(基準)을 너무 선진국(先進國) 을 중심(中心)으로 하여 나머지 개발도상국(開發途上國) 에서 많은 불만(不滿)이 나오고 있다. 가장 좋은 건 국제(國際) 기준(基準)은 국제(國際) 기준(基準)대로 하되 각(各) 나라에서는 참고자료(參考資料)로만 활용(活用)하고 자신(自身)들의 실정(實情)에 맞게끔 잘 조절(調節)하는 방향(方向)일 것이다.

콩고민주공화국(民主共和國)에서 에볼라가 창궐(猖獗)한 틈을 타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와 주요(主要) NGO 구호(救護) 활동가(活動家)들이 현지(現地) 여성(女性)들을 상습적(常習的)으로 성착취(性搾取)했다는 의혹(疑惑)이 제기(提起) 되었고 , 조사결과(調査結果) 사실(事實)로 밝혀지면서 사무총장(事務總長)이 사과(謝過)했다. #

아프리카에 대대적(大大的)인 포경수술(包莖手術) 을 통해 에이즈 와의 전쟁(戰爭)을 하고 있는데, 이들의 성병(性病) 예방(豫防) 효과(效果)에 대(對)한 회의적(懷疑的)인 의견(意見)도 적지 않다. 오히려 아프리카 지역(地域) 국가(國家)들을 대상(對象)으로 콘돔 보급(普及)과 위생교육(衛生敎育), 위생시설(衛生施設) 확충(擴充)을 하는 것이 훨씬 장기적(長期的)으로 긍정적(肯定的)이지 않느냐는 비판(批判)을 받고 있다. WHO의 포경수술(包莖手術) 사업(事業)에 대(對)해서 유럽권(圈)의 대다수(大多數) 의사(醫師) 협회(協會)가 지속적(持續的)인 비판(批判)과 반대(反對) 의견(意見)을 내고 있는데, WHO가 2007년(年) 진행(進行)한 질병(疾病) 예방(豫防) 효과(效果) 연구(硏究)조차도 항바이러스제(抗바이러스劑)나 위생교육(衛生敎育)을 함께 실시(實施)한 정황(情況)이 포착(捕捉)되어 포경수술(包莖手術)의 효과(效果)가 왜곡(歪曲) 내지(乃至)는 지나치게 과장(誇張)됐다는 의견(意見)이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항목(項目) 참조(參照)

6.1. 사무총장(事務總長)들의 자질(資質) 및 지나친 친중(親中)&친일(親日) 논란(論難) [편집(編輯)]

이 국제(國際) 기구(機構)는 대체(大體) 누구를 위해 존재(存在)하는 건지 비난(非難)이 끊이질 않습니다.

WHO는 미국(美國)으로부터 막대(莫大)한 금액(金額)의 돈을 받고 있지만 아주 중국(中國) 중심적(中心的)이다.

2010년대(年代)부터 WHO가 본래(本來) 취지(趣旨)를 상실(喪失)했다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始作)했는데 이는 제(第)7대(代) 총장(總長) ' 마가렛 찬 (Margaret Chan)'과 제(第)8대(代) 총장(總長) ' 아드하놈 (중국어(中國語) 정식(正式) 이름은 탄(彈)더싸이 )'의 행동(行動) 때문이다. 그 원인(原因)이 중국(中國) 의 친중(親中) 간섭(干涉) 강요(强要)에 의(依)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疑惑)이 강(剛)해지고 있다. 친일(親日) 논란(論難)도 나오고 있는데, 2020년(年) 3월(月) 7일(日), WHO가 한국(韓國) 지도(地圖)의 독도(獨島)·울릉도(鬱陵島)를 삭제(削除)하고 일본(日本) 지도(地圖)에만 독도(獨島)·울릉도(鬱陵島)를 표기(表記)했으며 , 3월(月) 11일(日)에는 일본(日本)의 아베 신조(新潮) 총리(總理)가 WHO에 " 한국(韓國) , 이탈리아, 이란과 같은 취급(取扱) 말라"는 항의(抗議)에 코로나 우려국(憂慮國)에서 일본(日本)을 제외(除外)하였다.

이처럼 WHO가 특정(特定) 국가(國家)에 휘둘려 막장으로 변(變)해버리자 China Health Organization (CHO, 중국보건기구(中國保健機構) ) [15] 라는 멸칭(蔑稱)까지 등장(登場)했다.

4월(月) 7일(日) 트럼프 대통령(大統領)이 'WHO에 지원(支援)을 중단(中斷)할 수도 있다'고 주장(主張)한 데 대(對)해 8일(日) 아드하놈 더 많은 시체(屍體) 포대(砲隊)(body bags)를 보려면 그렇게 하라 는 발언(發言)을 하여 여론(輿論)을 한층(한層) 더 악화시키고 말았다.

결국(結局) 4월(月) 15일(日) 트럼프 대통령(大統領)은 WHO 자금지원(資金支援) 중단(中斷)을 지시(指示)했다. 로이터통신(通信) 등(等)에 따르면 미국(美國)의 지난해 WHO 분담금(分擔金)은 4,900억(億) 원 으로 가장 많았고, 중국(中國)은 537억(億) 원 수준(水準)이다.

5월(月) 19일(日) 트럼프 대통령(大統領)은 WHO에 한 달 안에 중국(中國)에서 독립(獨立)된 기구(機構)라고 증명(證明)하지 않으면 영원히(永遠히) 탈퇴(脫退)한다고 밝혔다. # # 이에 WHO측(側)은 추후(追後)에 입장(立場)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

5월(月) 30일(日) 결국(結局) 트럼프 대통령(大統領)이 WHO와의 모든 관계(關係)를 끊겠다고 선언(宣言)했다. # 쿠바 는 WHO를 지원(支援)한다고 밝혔고 미국(美國)을 비판(批判)했다. #

6월(月) 5일(日) 브라질 보우소나루 대통령(大統領)도 미국(美國)을 따라 탈퇴(脫退)할 의향(意向)이 있다고 밝혔다. #

7월(月) 6일(日) 미국(美國)은 공식적(公式的)으로 WHO를 탈퇴(脫退)한다고 선언(宣言)하였다. 미국(美國)은 WHO에 막대(莫大)한 분담금(分擔金)을 지불(支拂)하는 국가(國家)이다. 따라서 미국(美國)의 탈퇴(脫退)가 확정(確定)되면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는 막대(莫大)한 타격(打擊)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WHO에서 미국(美國)이 탈퇴(脫退)하는 것은 아직 확정(確定)된 것은 아니며, 조 바이든 대통령(大統領)의 취임(就任) 즉시(卽時) 미국(美國)은 WHO 탈퇴(脫退)를 번복(飜覆)하게 되었다.

친중(親中)과 친일(親日) 관련(關聯)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마가렛 찬 ,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 탄(彈)더싸이 ) 사무총장(事務總長) 문서(文書) 참고(參考).

6.2. 코로나19 심각성(深刻性) 은폐(隱蔽) 및 확산(擴散) 책임(責任) [편집(編輯)]

Preliminary investigations conducted by the Chinese authorities have found no clear evidence of human-to-human transmission of the novel #coronavirus (2019-nCoV) identified in #Wuhan, #China????.

중국(中國) 당국(當局)의 사전(事前) 조사(調査) 결과(結果) 이 바이러스의 인간(人間) 대(對) 인간(人間) 전염(傳染)에 대(對)한 증거(證據)는 없다.

- WHO의 공식(公式) 트위터 # (2020.1.14)
기침 , 발열(發熱) , 호흡곤란(呼吸困難) 증상(症狀)이 없다면 마스크 를 쓸 필요(必要)는 없다. 마스크를 쓴다고 바이러스 감염(感染)으로부터 보호(保護)를 받는다는 증거(證據)는 없다.

- WHO의 공식(公式) 유튜브 영상(映像) Can masks protect against the new coronavirus infection? (2020.2.5)
2020년(年) 7월(月) 8일(日) 코로나19 '공기(空氣) 감염(感染)' 가능성(可能性)…WHO "새 증거(證據) 인정(認定)"
그동안 WHO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기침 재채기 등(等)에서 나온 비말(飛沫) 로 전파(傳播)된다고 주장(主張)하였다.

2020년(年) 1월(月), 코로나19 사태(事態) 때 테워드로스 총장(總長)은 입국금지(入國禁止) 자제(自制) 호소(呼訴) 경보단계(警報段階) 발령(發令) 늦장 등(等) 노골적(露骨的)으로 중국(中國) 감싸기에 급급(汲汲)했고, 3월(月) 들어 중국(中國)에서 확산세(擴散勢)가 잡혀가는 와중(渦中)에 오히려 전세계적(全世界的)으로 바이러스가 퍼지게 되면서 WHO 본연(本然)의 역할(役割)에 대(對)한 신뢰성(信賴性)에 논란(論難)을 자초(自招)했다. 코로나19 사태(事態)서 소외(疏外)되는 WHO…세계(世界) 각국(各國)이 대놓고 무시(無視)

결국(結局) 4월(月) 2일(日) 미국(美國)의 정보당국(情報當局)에서는 "중국(中國) 측(側)에서 의도적(意圖的)으로 코로나19 관련(關聯) 정보(情報)를 은폐(隱蔽)한 것"으로 결론(結論)나게 되면서 의회(議會)에서도 WHO 또한 은폐(隱蔽)를 도(度)왔단 의심(疑心)을 가지고 조사(調査)에 들어가야 한단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

7월(月) 11일(日) 홍콩 을 탈출(脫出)한 옌리멍(?麗夢) 박사(博士) [16] 폭로(暴露)에 의(依)하면 , 중국공산당(中國共産黨) 과 WHO는 바이러스의 사람 간(間) 전파(電波) 사례(事例)가 2019년(年) 12월(月) 말(末)에 이미 보고(報告)돼 심각성(深刻性)을 일찍이 알았음에도 은폐(隱蔽)했다고 한다. # 또한 이 바이러스는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인민해방군(人民解放軍) 박쥐 바이러스 변형(變形) 시(詩)킨 생화학무기(生化學武器) 이자 생물병기(生物兵器)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주장(主張)하였다. 이에 대(對)한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SARS-CoV-2/발생(發生) 원인(原因) 문서(文書) 참고(參考).

코로나19의 기원(起源)에 대(對)한 조사(調査)를 진행(進行)하기 위해 중국(中國)을 방문(訪問)한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WHO) 조사(調査)팀이 정작 발원지(發源地)인 우한은 방문(訪問)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부실조사(不實調査) 의혹(疑惑)이 나왔다. # 이에 향후(向後) 중국(中國)에 파견(派遣)할 국제(國際) 전문가(專門家)팀을 위(爲)한 사전(事前) 작업차(作業車) 방문(訪問)한 선발대(先發隊)라고 설명(說明)했다. #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WHO) 과학자(科學者)들이 일부(一部) 최상위(最上位) 기부국(寄附國)의 코로나19 대응(對應)에 좌절(挫折)하기도 했지만, 이를 공개적(公開的)으로 지적(指摘)하는 것은 꺼린 것으로 나타났다. #

게다가 중국(中國)이 자신(自身)들이 아닌 외부(外部)설로 돌릴려고 하자 이에 장단 맞추는 실정(實情)이다.

이처럼 중국(中國) 목소리에 맞추면서, 진원지(震源地) 조사(調査)는 못하고 있는 실정(實情)이다. # 2021년(年) 1월(月) 14일(日)이 돼서야 우한에 도착(到着)해서 2주(週) 격리(隔離) 후(後) 2주(週) 동안 현장(現場) 조사(調査)를 진행(進行)한다. #

2021년(年) 2월(月) 6일(日)(현지시간(現地時間)), WHO에서 발원조사(發源調査) 중(中)에 우한시(市) 화난 수산시장(水産市場)에서 중요(重要)한 단서(端緖)를 발견(發見)했다고 보도(報道)했다. # 하지만, 그 이후(以後) '증거(證據)가 없다'는 식(式)의 WHO의 발표(發表)가 나오자 비난(非難) 여론(輿論)이 커지고 있다. # 당장(當場) 6일(日)날 발표(發表)에서는 중요(重要)한 단서(端緖)를 발견(發見)했다고 보도(報道)했으면서 증거(證據)가 없다는 식(式)으로 나오니 어찌 보면 매우 당연(當然)한 현상(現象).

2021년(年) 3월(月) 30일(日), 코로나 기원(起源)이 중국(中國) 우한이 아닐 수 있다고 발표(發表)했다. # 이에 대(對)해 미국(美國) 정부(政府)는 "보고서(報告書) 내용(內容)이 코로나19 대유행(大流行)이 세계(世界)에 미친 영향(影響)의 수준(水準)에 걸맞지 않다면서 중요(重要)한 정보(情報)에 대(對)한 접근성(接近性)과 투명성(透明性)이 부족(不足)했다"며 WHO을 비판(批判)했다.

세계보건기구(世界保健機構)(WHO)의 중국(中國) 현지조사(現地調査) 보고서(報告書)에 코로나19 '중국(中國) 기원설(起源說)'을 파악(把握)할 수 있는 자료(資料)가 담겼지만 제대로 조사(調査)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주장(主張)이 나왔다. #

7. 관련문서(關聯文書) [편집(編輯)]

[1] 출처(出處):CONSTITU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2] 프랑스어(프랑스語) "Office international d'hygiene publique"의 약칭(略稱) [3] 심지어(甚至於) 상기 언급(言及)된 이종욱 사무총장(事務總長)의 사인(死因)인 뇌출혈(腦出血)은 다름아닌 과로(過勞) 로 인한 것이었다. 다음 사무총장(事務總長)들의 업무능력(業務能力)과 태만함을 보면 더욱 아쉽게 기억(記憶)될 부분(部分). [A] 전염병(傳染病) 확인(確認)(Inter-Pandemic Period) [5] No new influenza virus subtypes have been detected in humans. An influenza virus subtype that has caused human infection may be present in animals. If present in animals, the risk of human disease is considered to be low. [6] Now new influenza virus subtypes have been detected in humans. However, a circulating animal influenza virus subtype poses a substantial risk of human disease. [B] 광범위(廣範圍)한 감염(感染)(Pandemic Alert Period) [8] Human infection(s) with a new subtype, but no human-to-human spread, or at most rare instances of spread to a close contact. [9] Small cluster(s) with limited human-to-human transmission but spread is highly localized, suggesting that the virus is not well adapted to humans. [10] Larger cluster(s) but human-to-human spread still localized, suggesting that the virus is becoming increasingly better adapted to humans, but may not yet be fully transmissible (substantial pandemic risk). [C] 범유행전염병(汎流行傳染病)(Pandemic Period) [12] Pandemic phase: increased and sustained transmission in general population. [13] 상위(上位) 기구(機構)인 UN 역시(亦是) 비슷한 비판(批判)을 받고 있다. [14]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동성애(同性愛)/논쟁(論爭) 문서(文書)를 참조(參照). [15] 전세계(全世界)에서 WHO의 친중(親中) 행위(行爲)를 풍자(諷刺)하며 쓰이는 신조어(新造語). 자매품(姊妹品)(?)으로 'Worst Health Organization(최악보건기구(最惡保健機構))', ' Winnie Happy Organization( 시진핑 푸 행복(幸福) 기구(器具))', 'Wuhan Health Organization(우한보건기구(保健機構))', 'Wu Han Organization(우한기구(機構))', 'World Hell Organization(세계(世界) 지옥(地獄) 기구(器具))' 등(等)의 멸칭도(蔑稱度) 있다. [16] 옌 박사(博士)는 지난해 12월(月) 말(末)부터 홍콩대 WHO 참고(參考) 실험실(實驗室) 주임(主任) 레오 푼(潘烈文) 박사(博士)의 요청(要請)으로 중국(中國) 대륙(大陸)에서 퍼진 유사(類似) 사스( SARS ) 바이러스를 연구(硏究)했고, 자신(自身)이 세계(世界) 최초(最初)로 우한 폐렴(肺炎) 을 연구(硏究)한 과학자(科學者) 중(中) 한 명(名)이라고 설명(說明)했다. 홍콩보안법(保安法) 과 더불어 중국공산당(中國共産黨) 으로 부터 암살(暗殺) 위험(危險)을 받고 있어서 홍콩 을 탈출(脫出), 미국(美國) 으로 망명(亡命)하여 FBI 의 신변보호(身邊保護)를 받고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