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선동(煽動) - 나무위키

선동(煽動)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분류(分類)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보드게임 '벚꽃 내리는 시대(時代)에 결투(決鬪)를'의 카드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벚꽃 내리는 시대(時代)에 결투(決鬪)를/카드/신라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선동(煽動) 부분(部分)을
, 다른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선동(煽動)(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틀딱히
일반적(一般的)인 선동(煽動)의 이미지 [1]
1 . 개요(槪要) 2 . 선전(宣傳)과 선동(煽動)의 차이(差異) 3 . 인터넷상(上)의 선동(煽動)
3.1 . 단어(單語)의 남용(濫用) 문제(問題)
4 . 관련(關聯) 어록(語錄) 5 . 가상(假想) 매체(媒體)에서 선동(煽動) 6 . 관련(關聯) 문서(文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2] / instigation, agitation
  • 남을 부추겨 어떤 사상(思想)을 갖게 하거나 행동(行動)에 나서도록 함(函). ( 표준국어대사전(標準國語大辭典) )
  • 문서(文書)나 언동(言動)으로 사회(社會)·정치적(政治的) 문제(問題)에 대(對)해서 대중(大衆)의 정서적(情緖的) 반응(反應)에 호소(呼訴)함으로써 그들을 행동(行動)에 동원(動員)하는 행위(行爲)를 말한다. 대중(大衆)의 정서(情緖)를 고양(高揚)하여 행동화(行動化)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하는 것으로, 특정문제(特定問題)에 대(對)한 설명(說明)이나 이데올로기적(的) 설득(說得)을 하는 선전(宣傳)(宣傳)과는 방법(方法)과 수단(手段)은 비슷한 점(點)이 있지만 목적(目的)은 전혀(全혀) 다른 개념(槪念) 이다. ( 두산백과(百科) )

2. 선전(宣傳)과 선동(煽動)의 차이(差異) [편집(編輯)]

프로파간다 (Propaganda)는 주로(主로) 선전(宣傳) (宣傳)으로 번역(飜譯)된다. 사실(事實) 프로파간다는 선전(宣傳)보다는 조금 더 큰 개념(槪念)이지만 그런 차이(差異)를 번역(飜譯) 시(時) 구현(具現)하는 것은 힘들고 읽기도 힘들어진다. 그러나 학문(學問)에서 말고 주위(周圍)에서 쓰이는 선동(煽動)이라는 단어(單語)의 맥락(脈絡)은 주로(主로) 프로파간다 를 의미하는 경우(境遇)가 많다.

요컨대(要컨대) 선전(宣傳)은 이론(理論)을 끌어대고 논증(論證)을 사용(使用)해 자신(自身)의 주장(主張)이 옳음을 증명(證明)하는 작업(作業)이고, 선동(煽動)은 대중(大衆)의 정서(情緖)에 호소(呼訴)할 만한 팩트를 선별(選別)하여 인용(引用)한 다음 [3] 자신(自身)의 주장(主張)에 결합(結合)하는 작업(作業)이라 할 수 있으며 최종(最終) 목표(目標)는 자신(自身)의 주장(主張)을 널리 알리거나, 사람들이 자신(自身)의 주장(主張)을 따라 행동(行動)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이 차이(差異)가 모호(模糊)하기도 하고, 선동(煽動)이라는 단어(單語)의 뉘앙스가 부정적(否定的)인 느낌을 주기 때문에 굳이 구분(區分)해서 써 주는 경우(境遇)는 적으며 대부분(大部分) 광고(廣告)나 홍보(弘報) 같은 것을 선전(宣傳), 논쟁(論爭)할때 자신(自身)과 반대(反對)되는 주장(主張)을 일축(一蹴)시키기 위(爲)해 선동(煽動)이라고 표현(表現)한다.

선동(煽動) 기법(技法)은 광고(廣告), 신문(新聞)의 사설(社說) , 동기부여(動機附與), 설득(說得) 같은 것에도 잘 쓰인다. 건강(健康)/의학(醫學) 관련(關聯) 서적(書籍)이나 주장(主張)에도 자주 쓰인다. 선동(煽動) 자체(自體)가 나쁜 것이 아니라, 선동(煽動)을 나쁜 목적(目的)으로 사용(使用)하거나 거짓된 사실(事實)을 바탕으로 선동(煽動)하는 행위(行爲)가 나쁜 것이다. 그래서 형법(刑法) 에 내란선동죄(內亂煽動罪)(제(第)90조(條)의 일부(一部)), 외환(外換) · 여적 ·이적(移籍) 등(等)에 대(對)한 선동죄(煽動罪)(제(第)101조(條)의 일부(一部)), 폭발물사용선동죄(爆發物使用煽動罪)(제(第)120조(條)의 일부(一部)), 국민보호(國民保護)와 공공안전(公共安全)을 위한 테러방지법(防止法) 제(第)12조(條)(테러선동(煽動)ㆍ선전물(宣傳物) 긴급(緊急) 삭제(削除) 등(等) 요청(要請))에서 선동죄(煽動罪)는 징역(懲役) 5년(年) (출처(出處): http://www.law.go.kr/법령(法令)/국민보호와공공안전을위한테러방지법) 는 있어도 그냥 선동죄(煽動罪)는 없다.

3. 인터넷상(上)의 선동(煽動) [편집(編輯)]

현대(現代)에 와서는 선동(煽動) 기법(技法)이 매우 쉬워졌다. 많은 사람들이 커뮤 SNS 를 이용(利用)하고 굳이 SNS를 이용(利用)하지 않는다고 해도 인터넷 뉴스를 비롯한 각종(各種) 잘못된 정보(情報)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선동(煽動)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가 정보(情報)의 옳고 그름을 따져야 하며 뚜렷한 가치관(價値觀)과 소신(所信)을 갖고 좀 더 객관적(客觀的)인 입장(立場)에서 사안(事案)들을 판별(判別)해야 한다는 점(點)이 중요(重要)하다. 확증편향(確證偏向) 에 빠지지 않도록 다양(多樣)한 의견(意見)을 선입견(先入見) 없이 접(接)하는 것도 중요(重要)하다. 국민(國民)들도 합리적(合理的)인 판단(判斷)에 근거(根據)해 올바른 여론(輿論)이 형성(形成)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왜냐하면 직간접적(直間接的)으로 국민(國民)들도 정치(政治)에 영향(影響)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 상(上)에서 선동(煽動)은 빠르고 강력(强力)하지만, 떡밥 에 의존(依存)하는 경향(傾向)이 강(强)하다. 새로운 떡밥을 잘 찾고 그 떡밥을 자신(自身)의 주장(主張)에 잘 갖다붙일 수 있다면, 그리고 해당(該當) 사이트의 분위기(雰圍氣)와 성향(性向)에 맞춰 논리적(論理的) 오류(誤謬) 와 일반화(一般化), 인신공격(人身攻擊) , 정당화(正當化) 등(等)을 옳아 보이게끔 그럴듯하게 포장(包裝)할 수 있다면 선동가(煽動家)로서 합격(合格)이다. 선동(煽動)은 대상(對象) 혹은(或은) 대상(對象)의 소속(所屬) 분야(分野)가 사회적(社會的)으로 떳떳하지 못할 때 효과(效果)를 발휘(發揮)한다. 사회적(社會的)으로 물의(物議)를 빚는 일을 저질렀을 때 선동(煽動)을 당(當)하면 대상(對象)은 양치기(羊치기) 소년(少年) 처럼 사회적(社會的) 신뢰(信賴)가 손상(損傷)된다. 다르게 말하면 선동(煽動)이 효과(效果)를 발휘(發揮)할 때는 불순(不純)한 의도(意圖)와 결과(結果)의 복수(復讐)와 보복(報復)이 대상(對象)을 향(向)해 성공적(成功的)으로 진행(進行)될 수 있을 때다. 이를 인지(認知)하고 행동(行動)하는 선동(煽動)꾼과 악플러는 상대(相對)의 약점(弱點)이 드러날 때까지 잠적(潛跡)하다가 드러나는 순간(瞬間)에만 몰이용(用) 소문(所聞)을 퍼뜨려 근절(根絶)시키기 쉽지 않다.

나무위키에서는 문제점(問題點)/비판(批判)/논란(論難) 항목(項目)을 통해 어떤 것에 대(對)한 부정적(否定的) 정보(情報)를 쉽고 빠르게 퍼트릴 수 있어 몇몇 작성자(作成者)가 이를 악용(惡用)하는 경우(境遇)가 있다. 정치적(政治的)으로 대립(對立)되는 주제(主題)의 경우(境遇) 특정(特定) 성향(性向)이 우세(優勢)하도록 작성(作成)되는 경우(境遇)가 빈번(頻繁)하다. 나무위키/문제점(問題點)

3.1. 단어(單語)의 남용(濫用) 문제(問題) [편집(編輯)]

인터넷 상(上)에서 상대(相對)의 의견(意見)을 폄하(貶下)할 때 사용(使用)되는 경우(境遇)가 늘고 있다.

여기서 사용(使用)되는 의미(意味)에는 크게 두 가지인데, 자신(自身)에게 불리(不利)한 주장(主張)을 덮기 위하여 사실여부(事實與否)와 상관(相關)없이 먼저 "선동(煽動)이다!"라고 몰고 가는 진짜(眞짜) 선동(煽動), 또는 "넌 선동당해 옳지 못한 사상(思想)을 가졌기 때문에 내가 너 보다 더 깨어있다"라는 식(式)의 진영논리(陣營論理) 선민사상(選民思想) 이다. 결국(結局) 이런 발언(發言)도 상대(相對)의 주장(主張)을 깎아내리며 감정(感情)에 호소(呼訴)한다는 점(點)에서 선동(煽動) 발언(發言)에 불과(不過)하다. 인터넷을 하면서 쉽게 볼 수 있는 단어(單語)지만 가짜(假짜)뉴스 , 감성(感性)팔이 , 프로불편(不便)러 , 깨시민 , 주작(朱雀) 등(等)과 같은 문제점(問題點)을 공유(共有)하고 있는 용어(用語)이기도 한 셈이다. 최근(最近)에는 가 어떤 인물(人物)의 실책(失策)을 옹호(擁護)할때 "그 행동(行動)을 하지 않았으면 상대(相對)가 선동(煽動)했을 것"이라고 정신승리(精神勝利) 하며 옹호(擁護)할때도 쓰인다.

또한 '사실관계(事實關係)가 맞지 않는 방송(放送), 기사(記事),자료(資料)'나 '재판(裁判) 결과(結果) 거짓으로 밝혀진 사건(事件)', 사실관계(事實關係)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논란(論難) 등(等)을 보고도 "저거 선동임"이란 식(式)으로 무분별(無分別)하게 쓰이고 있다. 때때로 "나는 선동(煽動) 당(當)한 게 아니라 제대로 깨어 있는 합리적(合理的),이성적(理性的)인 사람으로서 올바른 여론(輿論)을 따르는 것이므로 내 주장(主張)이 옳은 것이며 내 주장(主張)을 비판(批判)하는 것은 모두 선동(煽動)"이라며 선동의(善同意) 여부(與否) 자체(自體)를 선민사상(選民思想)을 갖고 진영논리적(陣營論理的)으로 사용(使用)하는 모습도 자주 나온다.

4. 관련(關聯) 어록(語錄) [편집(編輯)]

대중(大衆)들은 작은 거짓말보다 큰 거짓말에 더 쉽게 속을 것이다 .

분노(憤怒)와 증오(憎惡)는 대중(大衆)을 열광(熱狂)시키는 가장 강력(强力)한 힘이다 .

선동(煽動)은 문장(文章) 한 줄로도 가능(可能)하지만 그것을 반박(反駁)하려면 수십(數十) 장(張)의 문서(文書)와 증거(證據)가 필요(必要)하다. 그리고 그것을 반박(反駁)하려고 할 때면 사람들은 이미 선동당(煽動當)해 있다 .

그러게 말이다. 뭐, 원래(元來) 배우(俳優)들 하는 한마디 한마디가 쉽고도 빠르게 전달(傳達)되거든. 모든 게 영락없는 진실(眞實)처럼 들리고 말야. 그래서 대중(大衆)의 인기(人氣)는 정말(正말) 무서운 거야 . [5]

야, 너 골수(骨髓) 빨갱이 맞잖아. 엉터리 선동(煽動) 영화(映畫)를 해서 학생(學生)들과 시민(市民)들을 속였어!

상하이 조(兆) _야인시대(野人時代) 65화(話) 中
팩트에 감정(感情) [6] 이 담겨있으면 그게 선동(煽動)이다 .

毋借公論以快私情 (무차공론(無遮公論)이쾌사정)
공론(公論)을 빌려 개인적(個人的) 감정(感情)을 만족시키지 말지니라. [7]

채근담(菜根譚) 중(中)

5. 가상(假想) 매체(媒體)에서 선동(煽動) [편집(編輯)]

6. 관련(關聯) 문서(文書) [편집(編輯)]

이 문서(文書)는
이 문단(文壇)은
토론(討論) 을 통해 광복(光復) 이후(以後)에 정치(政治) 경력(經歷)이 있는 '한국(韓國) 현대(現代) 정치(政治) 인물(人物)'은 기재(記載)할 수 없다'로 합의(合意)되었습니다. 합의(合意)된 부분(部分)을 토론(討論) 없이 수정(修正)할 시(時) 편집권(編輯權) 남용(濫用) 으로 간주(看做)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討論)들로 합의(合意)된 편집방침(編輯方針)이 적용(適用)됩니다. 합의(合意)된 부분(部分)을 토론(討論) 없이 수정(修正)할 시(時) 편집권(編輯權) 남용(濫用) 으로 간주(看做)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內容) 펼치기 · 접기 ]
토론(討論) - 광복(光復) 이후(以後)에 정치(政治) 경력(經歷)이 있는 '한국(韓國) 현대(現代) 정치(政治) 인물(人物)'은 기재(記載)할 수 없다'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2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3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4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5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6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7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8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9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10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11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12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13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14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15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16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17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18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19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20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21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22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23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24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25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26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27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28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29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30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31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32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33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34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35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36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37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38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39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40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41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42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43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44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45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46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47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48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49
토론(討論) - 합의사항(合意事項)50
[1] 사진(寫眞) 속 인물(人物)은 나치 독일(獨逸)의 아돌프 히틀러 다. [2] 動이라고 쓰기도 한다. [3] 이때 뉴스기사(記事) 등(等)의 부적절(不適切)한 맥락(脈絡)에서의 인용(引用) 및 제목(題目)만 자르기 등(等)이 동반(同伴)된다. [4] 괴벨스가 했는지 모르지만, 그렇기에 도리어 가장 괴벨스다운 말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문장(文章)을 퍼뜨린 사람은 다소(多少) 기괴(奇怪)한 방법(方法)으로 이 주장(主張)이 옳음을 증명(證明)한 것이다. [5] 아이러니하게도 본 대사(大使)의 출처(出處)인 드라마 야인시대(野人時代) 또한 백색(白色)테러 리스트 미화(美貨)로 비판(批判)받고 있다. [6] 여기서 말하는 감정(感情)은 당연히(當然히) '악감정(惡感情)'이다. [7] 실제로(實際로) 프로불편(不便)러들이 주장(主張)하는 불편(不便)함은 처음에는 개인적(個人的)인 불만(不滿)이었으나 첫 프로불편(不便)러의 주장(主張)에 공감(共感)한 사람들이 불만(不滿)을 표하면서 공론화되는 경우(境遇)가 많다. [8] 이쪽은 군중심리학(群衆心理學)의 저자(著者)로, 선동(煽動)의 메커니즘 과 결과(結果) 를 연구(硏究)한 사람. [9] 선동(煽動) 의 진짜(眞짜) 끝판왕(王)이자 세계(世界)의 역사(歷史) 를 바꾼 인류(人類) 역사상(歷史上) 최악(最惡)의 선동가(煽動家)로 평가(評價)받고 있다. 심지어(甚至於) " 괴벨스가 없었다면 아돌프 히틀러 의 집권(執權)이 없었을 수도 있다. 아니, 없었다 "는 평(評)까지 들을 지경(地境)이니 말 다했다. [10] 마오쩌둥 의 중국공산당(中國共産黨)이 장제스 국민당(國民黨) 을 대만(臺灣)으로 몰아내고 중국(中國) 본토(本土) 전체(全體)를 공산화(共産化)시키는 데는 공산당(共産黨)의 선동(煽動)이 먹혀들어간 점(點)도 있었다. 물론(勿論) 국부천대(國富千臺) 의 궁극적(窮極的)인 원인(原因)은 장제스의 국민당(國民黨)의 부패(腐敗)함와 그로 인한 민심(民心) 이반(離叛)이었지만. 남베트남 사례(事例)도 서술(敍述)되어 있었으나 베트남 전쟁(戰爭) 문서(文書)를 참조(參照)하면 알겠지만 이는 내부적(內部敵) 폐혜(廢慧)로써의 요인(要因)이 훨씬 더 크다. [11] 근대(近代) 유럽과 나치의 유대인(유대人) 혐오(嫌惡), 인종차별(人種差別) , 혐중(中) / 혐일(日) 등(等) 국가간(國家間) 혐오(嫌惡), 젠더 갈등(葛藤) 등(等)이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