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서귀포시(西歸浦市)/행정(行政) (r11 판) - 나무위키
[주의(注意)!] 문서(文書)의 이전(移轉) 버전( 에 수정(修正))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最新) 버전으로 이동(移動)
서귀포시내
서귀포읍면











1 . 구(區) 서귀포시 지역(地域)
1.1 . 대륜동 1.2 . 대천동 1.3 . 송산동 1.4 . 영천동 1.5 . 예래동 1.6 . 정방동 1.7 . 중문동 1.8 . 중앙동 1.9 . 천지동 1.10 . 효돈동
2 . 구(區) 남제주군(南濟州郡) 지역(地域)
2.1 . 남원읍 2.2 . 대정읍(大靜邑) 2.3 . 성산읍(城山邑) 2.4 . 안덕면(安德面) 2.5 . 표선면

1. 구(區) 서귀포시 지역(地域) [편집(編輯)]

이 중(中)에서 대천동, 예래동, 중문동은 옛 중문면(中門面)의 영역(領域)에 해당(該當)하며, 나머지는 옛 서귀읍(西歸邑)의 영역(領域)에 해당(該當)한다. 서귀포항(西歸浦港) 북쪽(北쪽)으로 서귀포(西歸浦) 본 시가지(市街地)가 형성(形成)되어 있으며, 서쪽(西쪽) 하논분화구(噴火口)를 넘어 서귀포(西歸浦) 신시가지(新市街地)가 형성(形成)되어 있고 신시가지(新市街地) 양(兩) 옆으로 강정택지지구(江汀宅地地球)와 서귀포(西歸浦) 혁신도시(革新都市)가 건설(建設) 중(中)에 있다.

시청(視聽)이 서귀포시내(西歸浦市內) 1청사(廳舍), 신시가지(新市街地)쪽이 2청사(廳舍)쪽에 있는데 서귀포시청(廳)은 1청사(廳舍) 위주(爲主)로 통합(統合)할 예정(豫定)이고, 2청사(廳舍)는 아직 안들어온 공기업(公企業) 2곳이 들어올 예정(豫定)이다. 서귀포시내(西歸浦市內)-신시가지(新市街地) 2트랙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방안(方案) 같은데, 방향(方向)은 맞는 방향(方向)인 것 같다. 애초(애初)에 80년대(年代) 후반(後半) 서귀포시(西歸浦市)내가 발전(發展)할줄 알고 구제주(舊濟州)-신제주처럼 신시가지(新市街地)를 개발(開發)하였는데, 갑자기 인구증가(人口增加)가 멈추고 제주시(濟州市) 쏠림현상이 심해져서 신시가지(新市街地)가 애매(曖昧)했던 것도 사실(事實)이다. (이마트, 롯데시네마 등(等)이 들어오기 전(前)인 2000년대(年代) 중반(中盤)까지 신시가지(新市街地)가 썰렁했다.) 그러나 90년대(年代) 후반(後半) 강상주시장(市長) 취임이후(就任以後) 월드컵경기장(競技場) 유치(誘致)를 통하여 신시가지(新市街地)가 호흡기(呼吸器) 달고 발전(發展)할 계기(契機)를 마련했다. 왜냐하면 월드컵 유치(誘致)를 계기(契機)로 일주동로 확장(擴張) 및 평화(平和)로 개선공사(改善公社) 등(等)이 이루어졌으며, 서귀포(西歸浦) 여러도로(道路)에서 확장공사(擴張工事)가 이루어졌다.

월드컵경기장(競技場)을 계기(契機)로, 제주(濟州)유나이티드가 제주도(濟州島)에 연고이전(軟膏移轉)하였으며, 롯데시네마 입점(入店), 서귀포시외버스(西歸浦市外버스)터미널도 월드컵경기장(競技場)을 종점(終點)으로 하여 신시가지권(新市街地卷) 사람들이 편리성(便利性)이 증진(增進)되었다. 기존(旣存) 시내(市內)버스터미널은 복층주차장(複層駐車場)으로 사용(使用). 그 이후(以後) 제주도(濟州道) 혁신도시권(革新都市卷) 유치지역(誘致地域)이 서귀포신시가지권(西歸浦新市街地圈)으로 배정(配定)되어 유입인구(流入人口)가 한층(한層) 더 증가(增加)되었으며, 강정택지개발(江汀宅地開發) 등(等)으로 유동인구도(流動人口度) 한층(한層) 더 늘어날 예정(豫定)이다. 여기에다 제주해군기지(濟州海軍基地)가 각종(各種) 논란(論難) 끝에 강정마을에 창설(創設)하여서 신시가지(新市街地) 배후권(背後圈)으로 경제활동(經濟活動)을 하고 있다. 군복(軍服) 입은 사람들이 신시가지(新市街地) 근처(近處) 이마트나 롯데시네마, 맥도날드 근처(近處)에서 제법 목격(目擊)된다.

1.1. 대륜동 [편집(編輯)]

법정동인(法廷同人) 법환동·서호동·호근동을 관할(管轄)한다. 법환동 북부(北部)와 서호동 서부(西部), 대천동의 법정동인(法定同人) 강정동 북부(北部)에 걸쳐 서귀포(西歸浦) 신시가지(新市街地)가 조성(造成)되어 있다. [1] 서귀포시청(西歸浦市廳) 2청사(廳舍) [2] , 제주도(濟州道) 감사위원회(監査委員會) 등(等) 서귀포(西歸浦) 대부분(大部分)의 공공기관(公共機關)이 위치(位置)해있고 이마트 등(等) 상업시설(商業施設)이나 제주월드컵경기장 , 시외버스(市外버스)터미널 등(等)이 신시가지(新市街地) 남단(南端)에 조성(造成)되어있다. 서귀포(西歸浦) 신시가지(新市街地)가 이 지역(地域)의 중심지(中心地) 역할(役割)을 하지만, 이곳 인구(人口)가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라서 [3] 저 엄청난 시설(施設)들이 빛을 못보는 것도 사실(事實). 특히(特히) 신시가지(新市街地)는 20여년(餘年) 지난 현재(現在)도 상업지역(商業地域)이 잘 발달(發達)하지 못해서 유동인구(流動人口)가 적으며 병의원(病醫院)도 적은 게 흠(欠)이다. [4] 하지만 고근산 등(等) 걸어다니기 좋은 곳들이 많고 썰렁함보다는 한적(閑寂)함이 느껴져 나름 괜찮은 주거지역(住居地域)으로 꼽힌다. [5] 단지(團地) 신시가지(新市街地) 자체(自體)가 경사(傾斜)가 진 곳이라 걸어 다니기에는 많이 불편(不便)하다. 생각보다 서귀포(西歸浦) 내(內)에선 부촌(富村).

서호동에는 제주(濟州) 혁신도시(革新都市) 가 조성중(造成中)이며 이로 인한 인구유입(人口流入)으로 2014년(年)에는 동홍동에 이어 서귀포(西歸浦)의 행정동(行政洞) 중(中) 두번째(番째)로 인구(人口) 1만(萬) 명(名)을 넘었으며, 옆에 강정택지(地), 해군기지(海軍基地)까지 완공(完工)되면 유동인구(流動人口)는 구시가지(舊市街地)를 따라잡을 것으로 예상(豫想)된다. 좀 예외적(例外的)으로 법환동은 바다와 닿은 마을이고 호근동·서호동과 다르게 신시가지(新市街地)·혁신도시(革新都市)에서 멀리 떨어지고 경관(景觀)이 수려(秀麗)하므로 관광휴양어촌(觀光休養漁村) 정도(程度)로 발전시키는게 바람직하다.

주변(周邊)에 롯데시네마, 이마트, 스타벅스, 맥도날드같은 지방(地方) 20~30만대(萬臺) 이상(以上)에서 자주보이는 상업시설(商業施設)들이 뜬금없이 서귀포(西歸浦) 도심(都心)도 아니고 신도심에 들어와있다. 거기에다 서귀포시(西歸浦市) 시외버스(市外버스)터미널과 혁신도시(革新都市) 입주기관(入住機關)사람들로 인(因)해서 예전보다는 훨씬 유동인구(流動人口)가 늘었다. 추가(追加)로 서귀포(西歸浦) 중앙도서관(中央圖書館)과 체육(體育)센터도(度) 있어서 문화시설요소(文化施設要素)는 상당히(相當히) 좋다고 볼 수 있다.

지형(地形) 자체(自體)가 엄청 심(甚)한 언덕이여서 상당히(相當히) 불편(不便)하다 볼 수 있다. 겨울철에는 육상부(陸上部)가 전지(轉地) 훈련(訓鍊)을 와서 이 동네(洞네)를 오르내리는 훈련(訓鍊)까지 한다.

1.2. 대천동 [편집(編輯)]

법정동인(法廷同人) 강정동·도순동·영남동·월평동을 관할(管轄)한다. 도순동에 주민(住民)센터가 있다. 현재(現在) 대정읍(大靜邑)부터 대천동까지가 조선시대(朝鮮時代) 대정현의 관할(管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강정동은 민군복합형(民軍複合形) 관광미항(觀光美港)의 건설(建設)과 그에 따른 크루즈터미널 등(等)의 부수적(附隨的)인 개발지원(開發支援)이나 강정택지(地) 등(等)의 개발(開發)이 진행(進行)되고 있지만 항구(港口) 건설(建設) 사업(事業)의 진행(進行) 과정(過程)에서 일어난 여러 문제(問題)와 그에 따른 지역주민(地域住民)들의 반발(反撥)로 논란(論難)이 되고 있는 지역(地域)이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제주도(濟州道) 해군(海軍) 기지(基地) 건설(建設) 논란(論難) 을 참고(參考)하자. 동쪽(東쪽)으로 대륜동과 접(接)해 있으며 그 경계(境界)에 신시가지(新市街地)가 위치(位置)해 있다. [6] 신시가지(新市街地) 바로 옆에 붙어서 강정택지지구(江汀宅地地球)가 조성(造成)되고 있다. 나머지 지역(地域)은 그냥 평범(平凡)한 농촌(農村)마을 수준(水準). 대천동 관할(管轄)의 강정택지지구(江汀宅地地球)가 개발(開發)이 거의 완료(完了)되어 대단지(大團地)아파트등(等) [7] 이 밀집(密集)될 예정(豫定)으로 대륜동과 더불어 인구증가(人口增加)가 예상(豫想)되고 있다.

1.3. 송산동 [편집(編輯)]

법정동인(法廷同人) 보목동·동홍동(동홍동 관할지역(管轄地域) 제외(除外))·서귀동(정방동,중앙동,천지동 관할지역(管轄地域) 제외(除外))·토평동(吐坪洞)(영천동 관할지역(管轄地域) 제외(除外))을 관할(管轄)한다. 중심시가지(中心市街地)의 최남단(最南端)에 위치(位置)하며, 시가지(市街地)가 있는 서귀동에 동주민(洞住民)센터가 있다. 서귀항(鉏歸港)이 이곳에 있다. 동쪽(東쪽)의 동홍동과 토평동(吐坪洞)은 칠십리(七十里)로 이남(以南) 해안지역(海岸地域)에 가느다랗게 걸쳐 있다. 동홍동에는 정방폭포(正房瀑布)와 서복전시관(筮卜展示館)이 있으며, 토평동(吐坪洞)에는 제주(濟州)올레, 소정방폭포(小正房瀑布), 파라다이스호텔제주(濟州), 서귀포(西歸浦)KAL호텔, 유로클럽리조트가 있다. 서귀포(西歸浦) 구시가지(舊市街地) 해안지역(海岸地域)에 해당(該當)한다.

1.4. 영천동 [편집(編輯)]

법정동인(法廷同人) 상효동·토평동(吐坪洞)(송산동 관할지역(管轄地域) 제외(除外))을 관할(管轄)한다. 서귀포교육지원청(西歸浦敎育支援廳)이 뜬금없이 위치(位置)해있고 [8] 위에는 서귀산업과학(西歸産業科學)고(구 서귀농고)가 있다. 토평공단(討平工團)이 있으나 화북공단(華北工團) 마이너버전. 시가지(市街地)라 보기는 애매(曖昧)하다. 참고(參考)로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실질적(實質的)으로 가장 높은 곳에 위치(位置)한 행정구역(行政區域) 이다. [9] 한라산(漢拏山) 백록담(白鹿潭)이 이 곳에 속(屬)해있기 때문.

1.5. 예래동 [편집(編輯)]

안덕면에 인접(隣接)한 동(桐). 법정동인(法廷同人) 상예동·색달동(穡達洞)·하예동을 관할(管轄)한다. 동주민(洞住民)센터가 있는 상예동……이지만 정작 하예동에 더 가깝다. 한라산(漢拏山) 기슭에 넓게 형성(形成)되어 있는 상예동은 중문(中門)에스피리조트가 있는 것을 제외(除外)하면 평범(平凡)한 농촌(農村). 마을은 하예동에 형성(形成)되어 있다. 동쪽(東쪽)에 넓게 형성(形成)된 색달동(穡達洞)은 중문관광단지(中文觀光團地) 하나로 설명(說明)이 가능(可能)한 곳. 중문해수욕장(海水浴場)을 비롯하여 중문(中門)컨트리클럽과 각종(各種) 호텔들이 죄다 이곳에 몰려있다. 거기다 한라산(漢拏山) 기슭에는 골프장(골프場)인 스카이힐제주(濟州)와 녹차(綠茶)밭인(人) 제주다원(濟州茶園)이 있다. 예래후양형주거단지(例來後量刑住居團地)(버자야(者野) 에어레스트시티)가 공사중(工事中)에있다.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행정구역(行政區域) 코드 상(賞)으로 가장 나중에 나오는 읍면동(邑面洞)이다.

1.6. 정방동 [편집(編輯)]

중정로 남단(南端)에 위치(位置)한 동(桐). 법정동인(法廷同人) 서귀동(송산동, 중앙동, 천지동 관할지역(管轄地域) 제외(除外))을 관할(管轄)한다. 이름과는 달리 정방폭포(正房瀑布)는 여기 없다(…). 하지만 천지연폭포(瀑布)와 이중섭(李仲燮)거리 등(等)의 시내관광(市內觀光)의 대표주자(代表走者)들이 있고 호텔 등(等)의 공사(工事)가 한창이다. 서귀포시에서 인구(人口)가 가장 적다(약 3천명(千名)).

1.7. 중문동 [편집(編輯)]

법정동인(法廷同人) 대포동 [10] ·중문동·하원동·회수동을 관할(管轄)한다. 과거(過去) 중문면(中門面)의 중심지(中心地)였던 만큼 법정동(法定洞) 중문동에 대규모(大規模)로 마을이 형성(形成)되어 있다. 이외(以外)에도 중문관광단지(觀光團地)의 동쪽(東쪽) 끝부분(部分)에 어항(漁港)인 중문항(重問項)과 제주국제(濟州國際)컨벤션센터가 있다. 그 옆에 있는 대포동은 대포항이 있는 어촌(漁村)이며 아프리카박물관(博物館)이 이곳에 있다. 대포동 위쪽에 있는 회수동은 그냥 산촌(山村). 관할구역(管轄區域) 가장 동쪽(東쪽)에 있는 하원동에 작은 마을이 있다. 중문단지(團地)와 동(洞) 중심지(中心地)가 좀 비교(比較)가 된다.

1.8. 중앙동 [편집(編輯)]

중심시가지(中心市街地)의 중심(中心)에 위치(位置)한 동(桐). 법정동인(法廷同人) 서귀동(송산동, 정방동, 천지동 관할지역(管轄地域) 제외(除外))을 관할(管轄)한다. 서귀포시의 상업(商業) 중심지(中心地)라서 가장 번화(繁華)하며, 서귀포매일(西歸浦每日)올레시장(市場)을 중심(中心)으로 각종(各種) 상가(商街)가 위치(位置)해 있다.

1.9. 천지동 [편집(編輯)]

중심시가지(中心市街地)의 서쪽(西쪽)에 위치(位置)한 동(桐). 법정동인(法廷同人) 서귀동(송산동,정방동,중앙동 관할지역(管轄地域) 제외(除外))·서홍동(서홍동 관할지역(管轄地域) 제외(除外))을 관할(管轄)한다. 서귀동에 동주민(洞住民)센터가 있으며, 이로써 법정동(法定洞) 서귀동에 총(總) 4개(個) 행정동(行政洞)의 동주민(洞住民)센터가 존재(存在)한다. 호근천(千) 서쪽(西쪽)에 있는 서홍동에 외돌개, 삼매봉, 서귀포해양도립공원(西歸浦海洋道立公園), 걸매생태공원(生態公園)이 있다. 삼매봉 정상(頂上) 부근(附近)에는 크고 아름다운 송신탑(送信塔)이 있어서 서귀포시를 가청권역(可聽圈域)으로 하는 TVㆍFM라디오 전파(電波)를 송신(送信)한다.

1.10. 효돈동 [편집(編輯)]

법정동인(法廷同人) 신효동과 하효동을 관할(管轄)한다. 동주민(洞住民)센터가 있는 하효동에 마을이 있으며, 남쪽(南쪽) 쇠소깍 인근(隣近)에 어항(漁港)인 하효항(下孝項)이 있다. 하효항(下孝港)에서 더 내려간 곳인 가막고지(假膜高地)에 KBS 서귀포중계소(西歸浦中繼所)가 있어서 KBS제주(祭主) 제(第)1라디오(621㎑)를 송신(送信)한다. 서쪽(西쪽)에 있는 신효동에는 동부도서관(東部圖書館)과 감귤박물관(柑橘博物館)이 있다. 인접(隣接)한 남원읍과 더불어 감귤(柑橘)의 주산지(主産地).

2. 구(區) 남제주군(南濟州郡) 지역(地域) [편집(編輯)]

앞에도 언급(言及)했듯이 서귀포시에 통합(統合)된 지역(地域)들이나, 제주시(濟州市)와는 달리 읍면지역(邑面地域)과 동지역간(洞地域間) 격차(隔差)가 크지 않다. 읍면지역(邑面地域)은 서귀포시를 사이에 두고 서부(西部), 동부(東部)로 찢어졌으나 대정읍(大靜邑)과 남원(南原)-표선 중심(中心)으로 그럭저럭 잘 이어져 왔으며, 남원읍 서부지역(西部地域)을 제외(除外)하면 나머지 주민(住民)들은 서귀포(西歸浦)보다는 제주시의 시설(施設)을 주로(主로) 이용(利用)하기 때문에 시청(視聽) 갈 일 없으면 대부분(大部分) 제주시(濟州市)로 간다. 자가용(自家用) 기준(基準)으로 모슬포(摹瑟浦)만해도 신제주가는게 훨씬 빠르다 그리고 육지(陸地)의 지명(地名)들과 겹치는 마을 이름들이 은근히(慇懃히) 많다

2.1. 남원읍 [편집(編輯)]

읍소재지(邑所在地)는 남원리이다. 한자(漢字)로는 南元이며, 전라북도(全羅北道) 남원시(南原市) (南原)와는 이름이 같은 것 빼고 무관(無關)하다. 서귀포시에서 가장 넓은 읍(邑)/면(面)으로, 면적(面積)이 무려(無慮) 188.71㎢에 달(達)한다. [11] 읍단위(邑單位) 기득권층(旣得權層)과 감귤농업(柑橘農業) 중심(中心)의 남원권(南原權)과(남원1·2리, 태흥1·2·3리(里), 신흥(新興)1리(里)), 서귀포(西歸浦) 효돈동과 접(接)하고 서귀포(西歸浦) 시내버스(市內버스)가 다니는 등(等) 옆동네(洞네) 효(孝)돈과 비슷한 동네(洞네)인 위미권(位美圈)(위미(位米)1·2·3리(里), 신례(新例)1·2리(里), 하례(下隷)1·2리(里)) 위미(位米) 말고 , 그리고 수망리, 의귀리, 한남리, 신흥(新興)2리(里) 등(等) 산간지역(山間地域)으로 나뉜다. [12]

서귀포시에서 두번째(番째)로 인구(人口)가 많은(약 18000명(名)) 것 치고는 생활환경(生活環境)이 여러모로 부족(不足)해 보이는 경우(境遇)가 있는데, 서귀포시가 바로 옆이고 남조(南朝)로 를 통해서 제주시도 빠르게 갈 수 있기 때문에 읍내(邑內)에 편의시설등(便宜施設等)의 발전(發展)이 늦었다. 같은 서귀포시(西歸浦市) 동부권인(東部圈人) 표선이나 성산에 비해 관광지(觀光地)가 부족(不足)한것도 원인중(原因中) 하나. 그리고 넓이빨도 많이 작용(作用)한다. 1118번(番) 지방도(地方道) (남조(南朝)로)를 통해 제주시(濟州市) 로 갈 수 있으며, 이외(以外)의 서귀포(西歸浦) 지역(地域)과는 제주일주도로(濟州一周道路) 로 연결(連結)된다. 한남리에 국가태풍(國家颱風)센터가 있다. 남원(南原)큰엉, 코코몽에코파크, 신영영화박물관(映畫博物館) 등(等)의 주요(主要) 관광지(觀光地)가 있으며, 남제주체육관(濟州體育館)이나 구(舊) 남제주보건소(현(現) 서귀포(西歸浦) 동부보건소(東部保健所)) 등(等) 남제주군(南濟州郡)의 중심(中心)으로 육성(育成)하려 했던 흔적(痕跡)이 보이나 시군통합(市郡統合)으로 물거품. 실제로(實際로) 시군통합(市郡統合)에 가장 많이 반대(反對)한 지역(地域)이기도 하다. 농업(農業)으로는 제주도(濟州島)에서 탑(塔)클래스이며, 그래서인지 감귤농사(柑橘農事) 리즈시절(時節)엔 부자(富者)가 많았던 지역(地域)이다. 서귀포시 지역(地域) 내(內)에서도 남원지역(南原地域), 특히(特히) 위미(位米)의 감귤(柑橘)은 맛있기로 유명(有名)하다. 또한 제주도민(濟州道民)의 특성(特性)인 무뚝뚝함, 외지인(外地人)에 대(對)한 경계(境界)가 상대적(相對的)으로 덜해 오히려 선입견(先入見)을 가졌던 관광객(觀光客)이 어색(語塞)함을 느낄 정도(程度). 예로부터 부촌(富村)이었고 다른지역(地域)에 비해 온난(溫暖)한 기후(氣候)로 주민(住民)들에게서 여유(餘裕)가 느껴진다고 한다. 감귤(柑橘)밭 돌담에 귤(橘)을 올려놓고 지나가는 사람에게 먹고 가라고 할 정도(程度). [13]

2.2. 대정읍(大靜邑) [편집(編輯)]

제주도(濟州道) 서부(西部)의 중심지(中心地)로, 읍소재지(邑所在地)는 하모리이다. 흔히 모슬포(摹瑟浦) 라 불린다. '못살포(撒布)', '몹쓸포(抛)'라고 자조(自嘲)섞인 이름으로도 불린다 [14] 옛 대정군(隊正軍)의 중심지(中心地)로, 대정읍성(大靜邑性)(대정골성(骨聲))이(李) 안성(安城) 리(리)(...) 안성탕면 만드는 곳 아니다 , 보성(寶城) 리(리)(...) 녹차(綠茶) 나는 곳 아니다 , 인성리에 걸쳐있다. [15]

우주(宇宙)센터 건설추진(建設推進) 당시(當時) 국내(國內)에서 최적(最適)의 입지(立地) 1순위(順位)로 평가(評價)받았던 곳이기도 하다. [16]

모슬포항(毛蝨浦項)은 서귀포(西歸浦) 제(第)1의 어항(漁港)이며, 마라도(馬羅島) , 가파도(加波島) 로 가는 여객선(旅客船)도 이용(利用)할 수 있다. '상모(象毛)', '하모'라는 지명(地名)은 '모슬포(摹瑟浦)'에서 따왔는데, 바다 쪽은 하모, 산(여기선 한라산(漢拏山) 이 아닌 산방산(山房山)) 쪽은 상모라 한 것이다.

옛 대정군(隊正軍)의 중심지(中心地)라 다른 읍(邑)보다도 시가지(市街地) 규모(規模)가 커서, 매일시장(每日市場), 오일장도(五日場度) 모자라 토요시장(土曜市場)까지 무려(無慮) 3개(個)의 시장(市場)이 열리며, 시계탑사거리(時計塔四거리) 등(等) 읍면지역(邑面地域)에 어울리지 않는 지명(地名)도 자주 거론(擧論)되고 읍면지역(邑面地域) 중(中)에서는 이례적(異例的)으로 남고와 여고(女高)가 나눠져있다. 하지만 대정현 시절(時節)의 문화재(文化財)는 일부분(一部分)을 제외(除外)하고는 일제(日帝) 강점기(强占期) 제주(濟州) 4.3 사건(事件) 때 많이 파괴(破壞)되었다. 태평양(太平洋) 전쟁(戰爭) 의 전황(戰況)이 악화(惡化)되면서 수립(樹立)된 결호작전(結好作戰) 에 따라 제주도(濟州島)도 본토결전(本土決戰) (...) 지역(地域)의 일부(一部)로 편입(編入)되었는데, 이 대정지역(地域)에 관동군(關東軍) 사단(師團)이 배치(配置)되었고 [17] 이에 따라 전쟁(戰爭) 막바지에 일본군(日本軍)이 최후(最後)의 발악(發惡)을 한 시설(施設)이 그대로 남아있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결7호(號) 작전(作戰) 문서(文書)를 참고(參考)할 것.

서귀포(西歸浦) 읍면지역(邑面地域) 중(中)에서는 가장 잘나가며 주공(住公)이긴 하지만 메이저아파트단지(團地)도 있다. 1955년(年)에는 비록 한국전쟁(韓國戰爭) 때부터 56년(年)까지 있던 육군훈련소(陸軍訓鍊所) 때문이긴 하지만 인구(人口) 5만(萬) 8천명(千名)을 찍기도 했다. 제주도(濟州道)(島)의 최남단(最南端)을 구성(構成)하는 송악산(松嶽山)과 알뜨르비행장(飛行場) [18] [19] 이 있고 안성리에 추사적(秋史敵)거지 [20] 가 있으며, 일과리 대정농공단지(農工團地) 내(內)에 초콜릿박물관(博物館)이 있다. 가파도와 마라도(馬羅島)도 대정읍(大靜邑) 관할(管轄). 따라서 읍면동(邑面洞) 단위(單位)로는 국내(國內) 최남단(最南端) 행정구역(行政區域) 되겠다. 그 외(外)에도 대정읍(大靜邑) 읍내(邑內)에 있는 대정중학교(中學校)와 대정여자고등학교(女子高等學校)는 각각(各各) 대한민국(大韓民國) 최남단(最南端) 중학교(中學校), 고등학교(高等學校)이다. [21] 제주시(濟州市) 한경면 <- 대정읍(大靜邑) -> 서귀포시(西歸浦市) 방향(方向)으로 제주일주도로(濟州一周道路) 로 연결(連結)되어 있고. 제주시내(濟州市內)와는 평화(平和)로(1135번 지방(地方)도)로 연결(連結)되어 있는데, 이 동네(洞네)의 시외버스(市外버스) 는 지선(智詵)이 엄청 많은 것이 특징(特徵)이다. 또 영어교육도시(英語敎育都市) [22] , 곶자왈 도립공원(道立公園), 신화역사공원(神話歷史公園) 등(等) 제주도(濟州島) 차원(次元)의 지원(支援)을 한몸에 받는 곳으로, 향후(向後) 시(時) 독립(獨立)까지는 몰라도 행정동(行政洞) 격상(格上)으로 분동(分洞)까지 가능(可能)할지도 모르겠다. 어차피(於此彼) 기초자치단체(基礎自治團體) 도 아닌데..(..)시장하나 더 맹글어도..(..)!!

2.3. 성산읍(城山邑) [편집(編輯)]

제주도(濟州道) 동부(東部) 읍소재지(邑所在地)이자. 행정중심지(行政中心地)는 고성리지만 관광지(觀光地), 교통중심지(交通中心地)는 성산리이다. 성산(城山)버스정류소(停留所)에서 남/북(北)으로 갈수있다. 이 두 동네(洞네)가 제주(濟州) 동부권(東部圈)의 중심도시(中心都市)를 형성(形成)한다. 제주일주도로(濟州一周道路) 북(北)으로 구좌읍과 향(向)하고. 남(南)으로 표선면 통(通)한다.또한 제주제(題主祭)2국제공항(國際空港) 인프라 구축(構築)으로 상당히(相當히) 발전(發展)을 할것으로 보인다. 과거(過去) 세종대왕(世宗大王) 전(前)까지 정의현의 중심(中心)이었으나(고성리), 왜적침입(倭敵侵入) 등(等)의 이유(理由)로 지금(只今)의 표선면 성읍리로 이전(移轉)한다. 남원읍과 비슷하게 권역(圈域)이 나눠져 있는데, 수산(水産),성산(城山),고성(高聲),시흥(始興),오조,온평(坪),신양(申孃) 등(等)은 구좌읍과 가까우며 성산고가(城山高架) 있음에도 대부분(大部分) 구좌읍의 세화고로 많이 진학(進學)한다는 점(點)에서 사실상(事實上) 서귀포시(西歸浦市)라고 보기가 그렇다. [23]

신산리 주변(周邊)은 또다른 권역(圈域)이 형성(形成)되어있고, 삼달(三達),신천(莘川),신풍 등(等)은 표선리와 더 가깝다. 주요(主要) 관광지(觀光地)로는 누구나 떠올리는 성산일출봉(城山日出峰)이 있으며, 거기에는 프랜차이즈 음식업체(飮食業體)들도 몇몇 들어서있다. 주요(主要) 어항(漁港)인 성산항에는 우도(右島) 방면(方面)으로 향(向)하는 여객선(旅客船)이 수시로(隨時로) 운항(運航)하고 [24] , 육지(陸地) 인(人) 장흥군(長興郡) 노력항(努力港)으로 가는 카 페리 도 매일(每日) 다니며 [25] 이 곳에 국내(國內) 두번째(番째)로 항만면세점(港灣免稅店)도 생길 예정(豫定)이다. 신양리에 섭지코지 와 아쿠아플라넷, 삼달리에 미천굴이 있지만 대부분(大部分)의 관광지(觀光地)는 성산리 주변(周邊)에 있다. 2015년(年) 11월(月) 10일(日) 신산리가 신공항(新空港) 부지(敷地)로 선정(選定)되었다. [26] 추후(追後)에 공항(空港)이 건설(建設)되고 자리잡음에 따라 앞으로의 발전(發展)이 기대(期待)되는 지역(地域)이다.

여담(餘談)으로 유명(有名) 관광지(觀光地)인 성산일출봉(城山日出峰) 주위(周圍)로는 프랜차이즈 가맹점(加盟店)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다.

2.4. 안덕면(安德面) [편집(編輯)]

면소재지(面所在地)는 화순리이다. [27] 시꺼먼 모래색(色)이 특색(特色)인 화순금모래해수욕장(和順金모래海水浴場) 옆에 어항(漁港)인 화순항(和順港) [28] 이 있으며, 용(龍)머리 옆의 사계리에 더 넓은 해수욕장(海水浴場)(금모래해수욕장(金모래海水浴場)이 좀 좁다)과 탄산온천인(炭酸溫泉人) 산방산온천(山房山溫泉), 그리고 헨드릭 하멜 이 표류(漂流)한 상선(商船)이 전시(展示)되어 있다. 감산리에 안덕계곡(溪谷)이 있고 그 남쪽(南쪽)으로 박수기정(情)이 있다. 화순리 옆의 덕수리에 제주조각공원(濟州彫刻公園)이 있으며, 넙게오름(광해악(狂害惡)) 옆에 있는 서광리에 소인국(小人國) 테마파크가 있다. 북서쪽(北西쪽)으로 좀 떨어진 곳에는 승마장(乘馬場)과 녹차(綠茶)밭이 있다. 상창리에 세계자동차박물관(世界自動車博物館)이 있다. 이외(以外)에도 이시돌목장(牧場)이 있는 동광리(東廣里) 주위(周圍)에 골프장(골프場)이 5군데 있다(…). 780번대(番帶) [29] 등(等)의 노선(路線)이 다니지만 중심지(中心地)인 화순(和順)을 경유(經由)하진 않는다. [30] 경전선(慶全線) 은 더더욱 지나가지 않고 너릿재터널 도 없다

암석(巖石)으로 이루어진 산방산(山房山)이 유명(有名)하다. 현재(現在) 풍화(風化), 침식(浸蝕) 등(等)으로 낙석(落石)이 발생(發生)하여 사망사고(死亡事故)도 가끔씩 발생(發生)하기도 한다. 화순리~산방산(山房山) 삼거리(三거리) 코스는 산방산(山房山) 근접(近接) 도로(道路)이므로 운전(運轉)할때는 주의(注意)하자. 태풍(颱風)이나 봄철에는 도로(道路)를 폐쇄(閉鎖)하기도 한다. 곶자왈 [31] 탐방로(探訪路)가 근처(近處)에 있으나 도로(道路) 개통(開通)으로 끊기고 관리(管理)도 안되어 방치(放置)되어있다. 안덕면(安德面)은 올레 9코스다.

2.5. 표선면 [편집(編輯)]

면소재지(面所在地)는 표선리인데, 행정리(行政里) 중(中) 인구(人口) 최다(最多)이다. 구(區) 정의(正義)현청 소재지(所在地)인 성읍리는 성읍민속(城邑民俗)마을과 그 안에 위치(位置)한 일관(一貫)헌, 정의현성(性) 등(等)의 4.3 이전(以前)의 공공기관(公共機關)들이 비교적(比較的) 잘 보존(保存)된 곳이며, 가시리에는 갑(甲)마장길과 정석비행장(定石飛行場) [32] 등(等) 자연관광(自然觀光) 위주(爲主)의 관광지(觀光地)가 있다. '토산관광지구(土産觀光地區)'라는 곳이 있긴 하나 샤인빌리조트를 제외(除外)하면 중문관광단지(中文觀光團地)같은 곳이 아닌 펜션촌(寸)에 가깝다. 성산(城山), 남원(南原) 등(等)의 동부지역(東部地域) 읍면(邑面)들에 비(比)해 표선리가 중심지(中心地) 역할(役割)을 잘 수행(遂行)하는 곳이며 일부(一部) 성산읍 지역(地域) 역시(亦是) 표선 생활권(生活圈) 으로 치기도 한다. 제주(濟州) 동남부(東南部) 지역(地域)의 중심지(中心地) 역할(役割)을 하며 읍면지역(邑面地域) 중(中)에선 예외적(例外的)으로 대기업(大企業) 현대차(現代車)그룹 계열사(系列社)인 특(特)1급(級) 해비치호텔 에서 매년(每年) 축제(祝祭)가 열리고 캠핑장(場) 등(等)의 시설(施設)이 잘 갖춰진 표선해수욕장(海水浴場)과 제주민속촌박물관(濟州民俗村博物館), 앞서 언급(言及)한 성읍민속(城邑民俗)마을과 정석비행장(定石飛行場) 등(等) 관광자원(觀光資源)이 풍부(豐富)하며 근래(近來)는 허브동산이 떠오르고 있다. 제주시(濟州市)와는 번영로(97번(番) 지방(地方)도), 서귀포(西歸浦) 내(內) 지역(地域)들과는 일주도로(一周道路)나 읍면순환(邑面循環) 도로(道路)로 연결(連結)된다.

[1] 이 일대(一帶)는 신시가지(新市街地)로 개발(開發)되기 이전(以前)에 김종필(金鍾泌) 소유(所有)의 과수원(果樹園)이었다. 지역(地域) 유소년(幼少年)들의 현장학습(現場學習) 장소(場所)로 애용(愛用)되기도 했다고. [2] 향후(向後) 단일청사(單一廳舍) 전환시(轉換時) 시청사(市廳舍) [3] 이 일대(一帶)를 걸어다니다 보면 빈 공터(空터)들이 굉장히(宏壯히) 많다. 하지만 혁신도시(革新都市)가 들어서면서 호텔이나 원룸 등(等)이 꽤 많이 들어서고 있다. [4] 병원(病院)이 전무(全無)하고 이마트 옆에 약국(藥局) 1곳이 있었으나 2015년(年) 하반기(下半期) 이후(以後) 병의원(病醫院) 3곳, 약국(藥局) 2곳 및 동물병원(動物病院)1곳이 개원(開院)하였다 [5] 이것도 수년전(數年前) 이야기이고 요즘은 호텔 등(等)을 지으면서 나는 공사(工事) 소음(騷音)으로 한적(閑寂)함과는 거리(距離)가 멀게 되었다. [6] 참고(參考)로 신시가지(新市街地)의 서쪽(西쪽) 반(半)은 대천동, 동쪽(東쪽) 반(半)은 대륜동 관할(管轄)이다. [7] 사실(事實) 육지(陸地)와 비교(比較)했을때 중소단지(中小團地)이다. [8] 예전에는 동홍동에 있었으나 구(舊) 토평초 건물(建物)을 증축(增築)하고 리모델링하여 서귀포교육지원청(西歸浦敎育支援廳)이 사용중(使用中). [9] 이북(以北) 5도(度) 를 포함(包含)하면 백두산(白頭山) 을 관할(管轄)하는 함경남도(咸鏡南道) 혜산(惠山) 군(軍) 보천면이 가장 높다. [10] 공교(工巧)롭게도 북한(北韓)의 미사일인 대포동 미사일과 한자(漢字)까지 이름이 같다. 이 대포동이 함경북도(咸鏡北道) 명천군(明川郡) 에 있었던 옛 지명(地名)에서 따온 이름이기 때문. [11] 읍(邑) 주제(主題)에 울릉도(鬱陵島) 가 2개(個) 반(半) 정도(程度) 들어가는 넓이에(...), 땅 넓기로 유명(有名)한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동구(東區)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강서구(江西區) 면적(面積)과도 비슷하고, 인구(人口) 120만(萬)의 수원시(水原市) 나 인구(人口) 100만(萬)의 성남시(城南市) 보다도 면적(面積)이 넓다. [12] 남원권(南原卷), 위미권(位米圈)은 남원중학교(南原中學校), 위미중학교(學校)로 학교(學校)도 다르기 때문에 서로 만날 일이 거의 없다. [13] 물론(勿論) 다른 동네(洞네)에도 먹으면서 가라는 사람도 있긴 한데....대부분 썩었거나 비상품(非常品)으로 팔 수 없는 귤(橘)이다 . 물론(勿論) "비상품(非常品) 감귤(柑橘)"이라고 해서 못먹을건 결코(決코) 아니고 대부분(大部分) 선과장(選果場)에서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아서 출하가(出荷價) 불가(不可)한 감귤(柑橘)들이다. 아주 큰 귤(橘)을 시원하게해서 먹는것을 좋아한다든지 하는사람에게는 사실상(事實上) 제주(濟州)에서만 먹을수 있는 별미(別味)다. 11월(月)~12월(月) 초(初)에 제주도(濟州島) 농촌지역(農村地域)을 차(車)타고 지나가다가 감귤(柑橘)을 따고있는 과수원(果樹園)이 보일때 다가가서 "파치(破치)(비상품(非常品) 감귤(柑橘)) 한 콘테나만 팔아줍서"하면 높은 확률(確率)로 두고두고 다 먹기 힘들만큼의 양(孃)을 만(萬)원 이만원 식(式)의 저렴(低廉)한 가격(價格)에 팔아준다. 어차피(於此彼) 그 사람들한테도 자기(自己)들이 먹든지 주스공장(工場)에 싸게팔든지 거름으로 쓸 것들이기 때문이다. [14] 한경면, 법환포(法幻泡)와 함께 제주도(濟州島) 내(內)에서 바람 이 가장 거세고 자주 부는 지역(地域)이라서 그렇다. 오죽하면 대정읍(大靜邑)이 발전(發展) 가능성(可能性)이 큰데도 여전히(如前히) 더딘 이유(理由)가 '바람 때문'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을 정도(程度)다. [15] 다만 대정 향교(鄕校) 는 안덕면 사계리에 있다. [16] 지방자치단체(地方自治團體)와 주민(住民)들의 강력(强力)한 반대(反對)로 후보지(候補地)에서 제외(除外)되었고, 결국(結局) 전남(全南) 고흥군(高興郡) 외나로도(路鼗)에 나로우주(羅老宇宙)센터 를 건설(建設)하게 되었다. [17] 사실상(事實上) 제주도(濟州道) 방어병력(防禦兵力) 중(中) 제대로된 전투력(戰鬪力)을 보유(保有)한 건 관동군(關東軍) 뿐이었다. 나머지 부대(部隊)들은 사실상(事實上) 향토예비군(鄕土豫備軍) 수준(水準)이었고.. [18] 이미 포화상태(飽和狀態)를 넘어선 제주국제공항(濟州國際空港) 의 수용량(受容量)을 분산(分散)시킬 제(第)2공항(空港)이 들어설 경우(境遇), 사실상(事實上) 유일(唯一)하게 가능성(可能性)이 있는 곳으로 지목(指目)되었..지만 이런 저런 문제(問題)로 백지화(白紙化). 현재(現在)는 공군측(空軍側)이 신공항(新空港)에 일정(日程) 부지(敷地)를 얻는 대신(代身) 알뜨르비행장(飛行場)을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에 양여(讓與)하는 안이 검토(檢討)되고 있다고. [19] 알뜨르비행장(飛行場) 부지(敷地) 내(內)에는 4.3사건(事件) 당시(當時) 예비검속자(豫備檢束者)들이 학살(虐殺)된 섯알오름 학살(虐殺)터가 남아있다. [20] 추사(秋史) 김정희 유배지(流配地) [21] 다음 지도(地圖) 에 의(依)하면, 대정여자고등학교(女子高等學校)가 대정고등학교(高等學校)보다 더 낮은 위도(緯度)에 위치(位置)해 있다. [22] 이곳에 NLCS Jeju , KIS Korea , Branksome Hall Asia 와 같은 국제(國際) 학교(學校)가 몰려있다. [23] 성산고의(城山故意) 전신(全身)이 성산(城山)수고이기에 실업계(實業界)의 이미지가 많이 남아 있다. [24] 말 그대로 수시(隨試) 이다. 공식적(公式的)으로는 30분(分)~1시간(時間) 간격(間隔)이지만, 성수기(盛需期)에는 그런 거 없고 다 타면 출발(出發)이다. [25] 다만 2015년(年) 말(末)부터 점검(點檢)을 이유(理由)로 들며 휴항(休航) 중(中)인 상태(狀態)이다. 이용객(利用客)이 적어 적자(赤字)로 인(因)한 운항중지(運航中止)가 아니냐는 걱정스런 여론(輿論)이 많다. [26] 단(單), 공항(空港) 입구(入口)는 신산리이지만 활주로(滑走路), 여객청사(旅客廳舍) 등(等) 주요(主要) 시설(施設)은 온평리에 건설(建設)될 예정(豫定)이다. 공항(空港) 예정지(豫定地)의 약(約) 70%가 온평리에 속(屬)한다. [27] 참고(參考)로 화순(和順)은 지역(地域) 내(內)에서 온천(溫泉)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공교(工巧)롭게도 안덕면에 산방산(山房山) 탄산온천(炭酸溫泉)이라는 곳이 있다. 다만 화순리가 아닌 사계리에 있다. [28] 강정동 이전(以前)에 해군기지(海軍基地) 건설(建設) 후보지역(候補地域)이었다. [29] 구(區) 중문고속화(中門高速化) [30] 화순(和順)을 가려면 702번(番) 을 타야 한다. [31] 원시림(原始林)...이라기엔 뭐하고 나무가 우거진 숲을 말하는 제주도(濟州島) 방언(方言)이다. 제주(濟州) 4.3사건(事件) 당시(當時) 학살(虐殺)을 피(避)해 도민(道民)들이 몸을 숨겼던 곳이기도 하다. [32] 대한항공(大韓航空) 이 소유(所有)하고 있는 조종사(操縱士) 훈련용(訓鍊用) 비행장(飛行場)이다. 부속(附屬) 시설(施設)로 정석항공관(公館)이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最近) 변경(變更)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