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살모넬라 - 나무위키

살모넬라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분류(分類)
[ 펼치기 · 접기 ]
실험실(實驗室) 알고리즘 기준(基準)으로 분류(分類)
말토스 발효(發效) 가능(可能)
(Maltose fermenter)
수막구균(髓膜球菌) ( Neisseria meningitidis )
말토스 발효(發效) 불가능(不可能)
(Maltose nonfermenter)
임질균 ( N. gonorrhoeae )
간균(杆菌)
(Bacillus)
젖당(젖糖) 발효(發效) 가능(可能)
(Lactose fermenter)
빠른 발효(發效)
(Fast fermenter)
클렙시엘(視)라 ( Klebsiella )
대장균(大腸菌) ( E. coli )
엔테로박(朴)터 ( Enterobacter )
느린 발효(發效)
(slow fermenter)
시트로박터 ( Citrobacter )
세라티아 ( Serratia )
젖당(젖糖) 발효(發效) 불가능(不可能)
(Lactose nonfermenter)
산화효소(酸化酵素) 양성(陽性)
Oxidase (+)
슈도모나스 ( Psuedomonas )
산화효소(酸化酵素) 음성(陰性)
Oxidase (-)
시겔라 ( Shigella )
살모넬라 ( Salmonella )
프로테우스 ( Proteus )
구간균(區間菌)
(Coccobacillus)
헤모필(毛筆)루스 인플루엔자 ( Haemophilus influenzae ) · 파스퇴렐라 ( Pasteurella ) · 브루셀라 ( Brucella ) · 백일해균(百日咳菌) ( Bordetella pertussis )
살모넬라
Salmonella
external/image.s...
Salmonella
Lignieres, 1900
분류(分類)
역(驛)
세균역(細菌驛) (Bacteria)
미분류(未分類)
그람 음성균(Firmicutes)
프로테오박테리아문(門)(Proteobacteria)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江)(Gammaproteobacteria)
장내세균(腸內細菌)목(Enterobacteriales)
장내세균(腸內細菌)과(Enterobacteriaceae)
살모넬라속( Salmonella )
살모넬라 본(本)고리( S. bongori )
살모넬라 엔테리카( S. enterica )
원인(原因)
유기체(有機體)
살모넬라
출처(出處)
동물(動物), 가금류(家禽類), 계란(鷄卵), 인간(人間)
관련(關聯) 식품(食品)
닭고기, 가금류(家禽類), 계란(鷄卵)
발병(發病) 시간(時間)
6 ~ 48시간(時間)
감염(感染) 또는 중독(中毒)
감염(感染)
증상(症狀)
복통(腹痛), 설사(泄瀉), 오한(惡寒), 40도(度) 이상(以上)의 고열(高熱), 메스꺼움, 구토(嘔吐), 권태(倦怠)(Malaise)

1 . 개요(槪要) 2 . 통제(統制) 방법(方法) 3 . 위험성(危險性) 4 . 암(癌) 치료(治療)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살모넬라증(症)(Salmonellosis)를 일으키는 세균(細菌)의 속을 말한다. 총(總) 2500가지 이상(以上)의 다른 항원형(抗原型)(종)이 발견(發見)되었지만 대부분(大部分)의 감염(感染)은 그 중(中) 약(約) 100여(餘) 종(種) 때문에 일어난다. [1]

막대 모양(模樣)의 간균(杆菌)으로 운동성(運動性)이 있고 주로(主로) 사람이나 동물(動物)의 장(腸)에 서식(棲息)한다. [2] 살모넬라는 날 닭고기와 같은 제품(製品)에서 자연적(自然的)으로 발견(發見)될 수 있으며, 또는 잘못된 식품(食品) 취급(取扱) 방법(方法)을 통해 식품(食品)에 들어가게 될 수도 있다. 살모넬라증(症)은 가장 빈번(頻繁)하게 보고(報告)되는 식품(食品)으로 인(因)한 감염(感染) 중(中) 하나다.

인간(人間)에게는 식중독(食中毒)을 유발(誘發)하지만 석형류(類) 와는 공생관계(共生關係)인데, 포유류(哺乳類) 대장균(大腸菌) 의 관계(關係)와 유사(類似)하다.

2. 통제(統制) 방법(方法) [편집(編輯)]

닭고기 , 가금류(家禽類) 및 스터핑을 조리(調理)했을 때 75°C의 온도(溫度)가 최소(最少) 15초간(秒間) 유지(維持)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이 사멸(死滅)한다. [3] 75°C면 쫄깃한 육질(肉質)을 지닌 닭다리와 허벅지나 지방(脂肪)이 많이 섞인 닭날개는 먹을 만한 식감(食感)이 유지(維持)되지만 기름기(기름氣) 없는 닭가슴살은 퍼석퍼석해지기 쉽다. 가장 추천(推薦)되는 조리법(調理法)은 63°C를 3분(分) 30초(秒) 이상(以上) 유지(維持)시켜서 제거(除去)하는 것. [4] 날 닭고기, 가금류(家禽類), 기타 육류(肉類) 및 어류(魚類)는 5°C 이하(以下)에서 냉장(冷藏) 보관(保管)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미생물(微生物)의 성장(成長) 속도(速度)가 느려지고 위험(危險)한 수준(水準)까지 증식(增殖)하지 않는다. 반대(反對)로 적절(適切)한 온도(溫度)의 물에선 더 빠르게 번식(繁殖)하는 것도 있어서, 해당(該當) 이유(理由)로 미국(美國) 농무부 에선 조리(條理) 전의(全義) 생닭(生닭)을 씻지 말 것 을 권장(勸奬)하며, 이미 90년대(年代)에도 서양(西洋) 쉐프들의 요리(料理) 프로엔 닭손질 후(後) 반드시 식중독(食中毒)을 조심(操心)하라며 조리도구(調理道具)의 세척(洗滌)을 강조(强調)했을 정도(程度)다.

계란(鷄卵) 의 취급(取扱)에 대(對)해서는 나라마다 규칙(規則)이 다른데, 가령(假令) 미국(美國)은 생산자(生産者)가 계란(鷄卵)을 세척(洗滌)한 후(後) 출품(出品)해야 하며, 유통시(流通視) 5°C 이하(以下)의 냉장고(冷藏庫)에 보관(保管)하도록 되어 있다. 한국(韓國)의 경우(境遇) 세척란(洗滌欄)은 냉장(冷藏) 유통(流通)을 해야 된다. [5] 반면(反面) 유럽의 경우(境遇)엔 계란(鷄卵)을 세척하지(洗滌夏至) 않고 유통시(流通視)에도 실온(室溫) 보관(保管)하도록 하고 있다. 유럽 당국(當局)은 계란(鷄卵) 껍질 자체(自體)가 살모넬라 균(菌)이 침투(浸透)하지 못하도록 막아주기 때문에 계란(鷄卵) 껍질을 세척(洗滌)하는 것은 계란(鷄卵) 표면(表面)의 막을 제거(除去)하여 살모넬라 균(菌)이 침투(浸透)할 수 있다고 보고 세척(洗滌)을 하지 않도록 권고(勸告)하고 있으며, 냉장(冷藏) 보관(保管)으로 차가워진 계란(鷄卵)을 상온(常溫)에 두면 계란(鷄卵) 껍질에 수분(水分)이 응결(凝結)되면서 살모넬라 균(菌)이 증식(增殖)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애초(애初)에 상온(常溫) 건조(乾燥) 보관(保管)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유럽 당국(當局)은 산란계(産卵鷄)의 살모넬라 예방접종(豫防接種)을 의무화(義務化)하여, 계란(鷄卵)을 통(通)한 살모넬라 발발(勃發)을 효과적(效果的)으로 줄였다.

식당(食堂)의 경우(境遇) 고객(顧客)이 달리 요청(要請)하지 않는 한(限) 계란(鷄卵) 은 반드시 63°C까지 조리(條理) [6] 해야 하며, 주문(注文)을 받으면 계란(鷄卵)을 깨뜨려서 조리(調理)할 것. 최저(最低) 63°C 까지 조리되지 않는 경우(境遇), 날계란(날鷄卵) 대신(代身) 저온(低溫) 살균(殺菌)한 계란(鷄卵)을 사용(使用)해야 한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익히지 않은 식품(食品)에서 발견(發見)되는 미생물(微生物)이 이미 조리(調理)된 식품(食品)으로 옮겨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가금류(家禽類)의 생고기(生고기)와 날계란(날鷄卵)에 접촉(接觸)된 것은 모두 살모넬라 균(菌)에 감염(感染)될 수 있음을 인지(認知)하여야 한다.

이것을 교차(交叉) 오염(汚染) 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方法)으로 예방(豫防)할 수 있다.
- 익히지 않은 제품(製品)을 취급(取扱)하고 나서 조리(調理)된 제품(製品)을 취급(取扱)하기 전(前)에 손을 철저(徹底)하게 씻는다.
- 조리(條理)가 완료(完了)된 식품(食品)을 맨손으로 다루지 않도록 한다.
- 조리(條理)가 완료(完了)된 식품(食品)을 취급(取扱)할 때는 장갑(掌匣), 부젓가락(Tong), 위생포장지(衛生包裝地) 및 기타(其他) 조리(調理) 기구(器具)를 사용(使用)한다.
- 익히지 않은 제품(製品)에 사용(使用)하고 나서 조리(調理)된 제품(製品)을 사용(使用)하기 전(前)에 도마, 접시, 조리(調理) 기구(器具) 등(等)을 세척(洗滌)하고 헹구고 살균(殺菌)한다.
- 냉장(冷藏) 보관(保管)할 때는, 조리(調理)된 식품(食品)을 윗 선반에, 익히지 않은 식품(食品)을 아래 선반에 보관(保管)한다.

3. 위험성(危險性) [편집(編輯)]

대표적(代表的)인 식중독(食中毒) 의 원인균(原因菌)이고 또 장티푸스 (Typhoid fever)와 파라티푸스 등(等)의 질병(疾病)을 일으키는 병원균(病原菌)이다. 살모넬라 타이피균(菌)( Salmonella enterica enterica , serovar Typhi)은 장티푸스를 일으킨다. 살모넬라라는 이름은 발견자(發見者)인 미국(美國)의 병리학자(病理學者) 다니엘 엘머 살몬(Daniel Elmer Salmon) [7] 의 이름을 딴 것.

주요(主要) 식중독(食中毒) 의 47.9%가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에 의(依)해 발병(發病)한다. [8] 파충류(爬蟲類)와 조류(鳥類)는 자연적(自然的)으로 피부(皮膚)와 배설물(排泄物)에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을 가지고 있는 경우(境遇)가 많다. 이들을 만지거나 분변(糞便)이 날리는 곳에 갔을 때엔 꼭 손을 씻어야 한다. 특히(特히) 계란(鷄卵) 껍데기에도 배설물(排泄物) 이 묻어 있기 때문에, 식중독(食中毒) 중(中)의 많은 부분(部分)이 날계란(날鷄卵)에서 온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 때문이라는 통계(統計)도 있다. 요즘 시중(市中)에서 파는 계란(鷄卵)은 대부분(大部分) 세척(洗滌)해서 나오니 위험성(危險性)이 덜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은 꼭 익혀 먹고, 맨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조심(操心)해야 한다.

살모넬라에 속(屬)하는 균(菌)들은 수많은 종류(種類)가 있는데 종류(種類)에 따라 생기는 질병(疾病)이 다르다.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이 일으키는 대표적(代表的)인 질병(疾病)이 장티푸스 다. 식중독(食中毒) 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은 균(菌)만 인체(人體)에 들어갔을 경우(境遇)는 수천(數千) 마리라도 특별한 해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인간(人間)이 식품(食品)과 함께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을 먹는다면 수백(數百) 마리라도 식중독(食中毒)을 일으킨다. 고기 와 같은 단백질(蛋白質) 이 위에 들어가면 산성(酸性) 성분(成分)이 약(弱)해져서 pH 가 6 정도(程度) 되는데, 이 속에서는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이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 이다. 세균(細菌)이 산성(酸性)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을 유지(維持)하기 위해서는 소량(少量)의 아미노산이 필요(必要)한데 단백질(蛋白質)이 아미노산을 제공(提供)해 주는 것이다.

비 티포(砲)이드성(性) 살모넬라 균(菌) 은(銀) 독성(毒性)은 비교적(比較的) 약(弱)하지만 입으로 들어가서 살모넬라 장염(腸炎) 이라는 식중독(食中毒) 을 일으킨다. 주로(主로) 계란(鷄卵) 이나 우유(牛乳), 생선회(生鮮膾), 육류(肉類), 어패류(魚貝類), 채소류(菜蔬類), 식물성(植物性) 단백질(蛋白質), 어묵류(魚묵類), 마요네즈, 면류(麵類) 등(等) 음식(飮食) 재료(材料), 도시락 등(等) 제대로 익히지 않은 음식재료(飮食材料) 등(等)에 존재(存在)하고 식품(食品)이나 조리자(調理者)의 손에 묻어있다가 입으로 들어간다. 땅콩버터나 생계란(生鷄卵)에서 살모넬라가 검출(檢出)되어 전량(全量) 회수(回收)하는 등(等) 난리(亂離)가 나기도 한다.

골때리는 점(點)은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은 호중구(好中球) 대식세포(大食細胞) 와 같은 포식세포(飽食細胞)에 탐식(貪食)되면 식균작용(食菌作用)을 방해(妨害)하는 물질(物質)을 분비(分泌)하여 리소좀 과 식포(食胞)의 결합(結合)을 방해(妨害) 한다. 이걸로만 끝나면 다행(多幸)이겠으나 살아남은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은 포식세포(飽食細胞)의 세포질(細胞質) 내(內)에서 증식(增殖)하므로 포식세포(飽食細胞)는 그대로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의 숙주세포(宿主細胞)로 전락(轉落)하고, 충분히(充分히) 증식(增殖)한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은 숙주(宿主)가 된 포식세포(飽食細胞)를 터트리고 튀어나와 다른 세포(細胞)를 감염(感染)시킨다는 사실(事實)이다. 증식(增殖)하는 동안 포식세포(飽食細胞)가 이동(移動)하면 그 이동경로(移動經路)에 따라 체내(體內) 곳곳으로 이동(移動)하게 되는 건 덤.

치사율(致死率)은 극히(極히) 낮으나 소아(小兒)에게서 발생(發生)할 경우(境遇) 탈수(脫水) 로 인해 사망(死亡)에 이를 수 있으며, 성인(成人)이어도 상태(狀態)가 중증(重症)이 되면 감염(感染)이 장(章)에서 혈류(血流)로 퍼져 나가서 심(甚)할 경우(境遇)에는 패혈증(敗血症) 과 더불어 감염성(感染性) 심장(心臟)내막염 등(等)으로 사망(死亡)할 수 있으므로 그 전(前)에 항생제(抗生劑) 처방(處方)으로 치료(治療)를 해야 한다.

정말(正말) 재수(財數)가 없는 경우(境遇)이지만 장내(腸內) 감염인(感染人) 때에는 증상(症狀)이 없다가 혈류(血流)로 퍼지고 나서 급성(急性) 대동맥박리(大動脈剝離)가 진행(進行)되고, 또 복부대동맥류(腹部大動脈類)로 급격히(急激히) 진행(進行), 그대로 복부(腹部) 대동맥류(大動脈瘤) 소규모(小規模) 파열(破裂)이 발생(發生)한 사례(事例)도 있다. 여러모로 무서운 균(菌). 사고사례(事故事例) 뉴스영상(映像)

특히(特히) 이 균(菌)에 의(依)해 오염(汚染)된 식품(食品)은 맛과 냄새는 전혀(全혀) 변(變)하지 않기 때문에 더더욱 주의(注意)해야 한다.

4. 암(癌) 치료(治療) [편집(編輯)]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은 일반세포(一般細胞)보다 암(癌) 세포(細胞)를 1,000~10,000배(倍) 더 많이 감염(感染)을 시킨다는 연구(硏究)가 보도(報道)되었다. 그 이후(以後) 암치료(癌治療) 연구(硏究)에 많이 사용(使用)이 되는 추세(趨勢)다. ref

[1] 출처(出處): https://www.cdc.gov/salmonella/reportspubs/salmonella-atlas/serotyping-importance.html [2] S. bongori 는 변온동물(變溫動物)의 장(章)에서 번식(繁殖)하고 S. enterica 의 경우(境遇)에는 사람을 포함(包含)한 항온동물(恒溫動物)의 내장(內臟) 안에서 번식(繁殖)한다. [3] 살모넬라 종(種)이나 고기의 수분(水分) 및 지방(地方) 함량(含量)에 따라 오차(誤差)는 있지만 대략(大略) 99.99999%가 죽는 수준(水準)(7D)이다. [4] Nathan Myrvold이 책(冊) The Modernist Cuisine에서 제시(提示)한 것 으로 심부온도(心府溫度)가 55°C면 90분(分) 이상(以上), 60°C라면 12분(分) 이상(以上) 유지(維持)되어야 한다. 99.99997%가 죽는 수준(水準)(6.5D) [5] 아직 모든 계란(鷄卵) 의 세척(洗滌)이 의무(義務)는 아니지만 세척(洗滌)할 경우(境遇) 반드시 콜드체인으로 유통(流通)해야 된다. 비세척란(非洗滌欄)이라도 세척란(洗滌欄)과 함께 콜드체인으로 유통(流通)해도 문제(問題)가 없지만 한번(番) 냉장(冷藏)하면 판매(販賣)될 때까지 냉장(冷藏)을 계속(繼續) 유지(維持)해야 한다. [6] 이 때문에 중앙(中央)-동부(東部) 유럽에서 감기(感氣) 에 걸렸을 때 날 계란(鷄卵) 에 꿀과 따뜻한 우유(牛乳)를 섞어 만든 고골모골(枯骨毛骨) (Gogol-Mogol, Kogel mogel)을 먹는데 달콤한 디저트이긴 하지만, 날계란(날鷄卵)에 있을 수 있는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 감염(感染) 우려(憂慮) 때문에 그렇게 추천(推薦)할 만한 음식(飮食)은 아니라고. 달걀 없이 따뜻한 우유(牛乳)에 꿀만 섞기도 한다. [7] 히브리어로 평화(平和)를 뜻하는 샬롬(???????)에서 기원(祈願)한 것으로 연어(鰱魚) 를 뜻하는 salmon과는 무관(無關)하지만 표기(表記)가 같아서 송어(松魚)라는 뜻을 지닌 트라웃, 청어(靑魚)라는 뜻을 지닌 헤링턴과 마찬가지로 '(연어(鰱魚)를 잡는) 어부(漁夫)'라는 뜻에서 지어진 성씨(姓氏)인 것으로 잘못 인식(認識)되는 경우(境遇)도 있다. 발음(發音)은 연어(鰱魚)를 가리키는 salmon과 마찬가지로 'l'이 묵음(默音)이다. [8]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에 의(依)한 식중독(食中毒) 발병(發病) 시(時) 반드시 지역(地域) 보건소(保健所) 신고(申告) 해야 한다. 살모넬라균(살모넬라菌)이 법정(法定) 전염병(傳染病)을 일으키는 균(菌)이기 때문. 따라서 신고(申告) 이후(以後) 병원(病院)에 입원(入院)하여 완치(完治)될 때까지는 퇴원(退院)할 수 없다.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문서(文書)의 r10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以前) 역사(歷史)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다른 문서(文書)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文書)의 r10 ( 이전(以前) 역사(歷史) )
문서(文書)의 r748 ( 이전(以前) 역사(歷史)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