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변영태 - 나무위키

변영태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초대(招待)
제(第)2대(代)
제(第)3대(代)
제(第)4대(代)
제(第)5대(代)
제(第)6대(代)
제(第)7대(代)
제(第)8대(代)
제(第)9대(代)
제(第)10대(代)
제(第)11대(代)
제(第)12대(代)
제(第)13대(代)
제(第)14대(代)
제(第)15대(代)
제(第)16대(代)
제(第)17대(代)
제(第)18대(代)
제(第)19대(代)
제(第)20대(代)
제(第)21대(代)
제(第)22대(代)
제(第)23대(代)
제(第)24대(代)
제(第)25대(代)
제(第)26대(代)
제(第)27대(代)
제(第)28대(代)
제(第)29대(代)
제(第)30대(代)
제(第)31대(代)
제(第)32대(代)
제(第)33대(代)
제(第)34대(代)
제(第)35대(代)
제(第)36대(代)
제(第)37대(代)
제(第)38대(代)
제(第)39대(代)
제(第)40대(代)
제(第)41대(代)
제(第)42대(代)
제(第)43대(代)
제(第)44대(代)
제(第)45대(代)
제(第)46대(代)
제(第)47대(代)
제(第)48대(代)
변영태 관련(關聯) 틀
[ 펼치기 · 접기 ]
정부상징
외교부장관
[ 펼치기 · 접기 ]
외무부장관(外務部長官) (1948~1998)
초대(招待)
장택상
제(第)2대(代)
임병직
제(第)3대(代)
변영태
제(第)4대(代)
조정환
제(第)5대(代)
허정(許政)
제(第)6대(代)
정일형
제(第)7대(代)
김홍일(金弘一)
제(第)8대(代)
송요찬
제(第)9대(代)
최덕신(崔德新)
제(第)10대(代)
김용식
제(第)11대(代)
정일권
제(第)12대(代)
이동원
제(第)13대(代)
정일권
제(第)14대(代)
최규하
제(第)15대(代)
김용식
제(第)16대(代)
김동조
제(第)17대(代)
박동진
제(第)18대(代)
노신영(盧信永)
제(第)19대(代)
이범석
제(第)20대(代)
이원경
제(第)25대(代)
공로명
제(第)26대(代)
유종하
외교통상부장관(外交通商部長官) (1998~2013)
제(第)27대(代)
박정수
제(第)28대(代)
홍순영
제(第)29대(代)
이정빈
제(第)30대(代)
한승수
제(第)31대(代)
최성홍
제(第)32대(代)
윤영관
제(第)33대(代)
반기문
제(第)34대(代)
송민순
제(第)35대(代)
유명환
제(第)36대(代)
김성환

[ 펼치기 · 접기 ]
직위(職位)
명단(名單)



변영태
출생(出生)
경기도(京畿道) 부평도호부(富平都護府) 하오정면(下午正面) 고리동(桐)
(現 경기도(京畿道) 부천시(富川市) 오정구(梧亭區) 수주(受注)로 70-3)
사망(死亡)
1969년(年) 3월(月) 10일(日) (향년(享年) 76세(歲))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서대문구 북아현동 123-20 #
(現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서대문구 북아현로6길 27)
묘소(墓所)
경기도(京畿道) 부천시 수주(受注)로 64-1
본관(本館)
호(號)
일석(一夕)(逸石)
재임기간(在任期間)
제(第)5대(代) 국무총리(國務總理)
[ 펼치기 · 접기 ]
부모(父母)
아버지 변정상, 어머니 진주(晉州) 강씨(姜氏)
형제자매(兄弟姊妹)
형(兄) 변영만 , 동생 변영로 [2]
배우자(配偶者)
이영민(李榮敏)(2번째(番째) 재혼(再婚))
종교(宗敎)
학력(學歷)
경력(經歷)
제(第)3대(代) 외무부(外務部) 장관(長官)
제(第)5대(代) 국무총리(國務總理)
초대(招待) 수석국무위원(首席國務委員)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교수(敎授)
시사영어학원(學院) 강사(講師)

1 . 개요(槪要) 2 . 생애(生涯)
2.1 . 초기(初期) 활동(活動) 2.2 . 각료(閣僚) 시절(時節) 2.3 . 이후(以後)
3 . 선거(選擧) 이력(履歷)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외교관(外交官) 출신(出身) 정치인(政治人). 제(第)3대(代) 외무부장관(外務部長官), 제(第)5대(代) 국무총리(國務總理) 등(等)을 역임(歷任)했다. 정부(政府) 관료(官僚)로서의 주요(主要) 활동(活動)은 주로(主로) 1950년대(年代)에 집중(集中)되었다.
변영태 장관(長官) 인터뷰

2. 생애(生涯) [편집(編輯)]

2.1. 초기(初期) 활동(活動) [편집(編輯)]

재동소학교(小學校)를 졸업(卒業)하고 교동고등소학교(校洞高等小學校)를 거쳐 계산(計算) 보통학교(普通學校)로 전학(轉學)하였다. 그러다가 15살에 고등소학교(高等小學校) 과정(課程)을 마치고, 보성중학교(寶城中學校) 에 입학(入學)하였다. 그러나 1905년(年) 을사조약(乙巳條約) 이후(以後) 애국지사(愛國志士)이며 목사(牧師)인 전덕기 의 상동교회에 나가면서 이회영 의 지도(指導)를 받았다.

이회영(李會榮)이 독립운동(獨立運動)을 위해 만주(滿洲)로 이주(移住)해 가자 19살에 보성중학교(寶城中學校)를 졸업(卒業)하고 만주(滿洲)로 갔다. 1912년(年) 만주(滿洲) 통화현(通話縣)(通化縣)의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를 제(第)1회(回)로 졸업(卒業)하였고, 1916년(年) 북경(北京) 부근(附近)에 있는 협화대학(協和大學) 1년(年)을 수료(修了)하였다. 이후(以後)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에서 잠시(暫時) 교편(敎鞭)을 잡았다.

1920년(年) 고국(故國)에 돌아와 1943년(年)까지 24년(年) 동안 중앙고등보통학교(中央高等普通學校) 에서 영어(英語) 교사(敎師)로 근무(勤務)하였다. 1945년(年) 광복(光復)이 되자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교수(敎授)로 취임(就任)하였다.

2.2. 각료(閣僚) 시절(時節) [편집(編輯)]

1949년(年)에는 대통령(大統領) 특사(特使)로 정부(政府) 승인(承認)을 교섭(交涉)하기 위하여 필리핀 에 다녀왔다. 그 당시(當時) 달러가 정말(正말) 귀(貴)하고 나라의 재정(財政)이 어려울때였다. ?1949년(年) 대통령(大統領) 특사(特使)로 필리핀에 갔다 돌아온 그가 여비(旅費) 사용(使用) 명(名)?세서(細書)와 함께 남은 돈 10달러를 대통령(大統領)에게 반납(返納)한 일화(逸話)는 유명(有名)하다.
?
공무(公務) 여행중(旅行中) 그는 세탁비(洗濯費)를 아껴야 한다며 옷을 직접(直接) 빨아 입었다. 끼니때마다 싸구려 중국집(中國집)을 찾아 다니며 밥값을 아꼈다.
그의 신분(身分)을 알아 차린 식당(食堂) 주인(主人)이 일국(一國)의 특사(特使)가 이런 데서 식사(食事)를 하느냐고 묻는 바람에 나라의 체통(體統)을 생각해서 비싼 요리(料理)를 시켜 먹었다는 수행보좌관(遂行補佐官)이던 김용식 (金溶植)전(展) 외무장관(外務長官)의 술회(膾)도 있다.

그는 해외(海外) 출장(出張)에서 돌아오며 수백(數百) 달러에서 많게는 3천(千)달러에 이르는 여비(旅費)를 국고(國庫)에 반납(返納)했다. 출장(出張) 가방에는 옷 한 벌 외(外)에 반드시 아령(啞鈴)을 넣었던 일 등(等) 일화(逸話)도 무성(茂盛)하다.
그는 어린 시절(時節) 허약한 체질(體質)에다 불치병(不治病)으로 고생(苦生)했는데 아령(啞鈴)을 열심히(熱心히) 해 ‘아령(啞鈴) 전도사(傳道師)’를 자처(自處)했고 경보대회(警報大會)에 나가 우승(優勝)한 일도 있다. 형(兄) 변영만과 다르게 독실(篤實)한 기독교(基督敎) 신자(信者)였다는 기록(記錄)이 남아 있다.?

??퇴근후(退勤後)에도 자정(子正)까지 혹시나(或是나) 이 대통령(大統領)의 호출(呼出)이 있을까봐 정장(正裝)차림을 유지(維持)했고 이는 해외출장(海外出張)때도 마찬가지로 대통령(大統領)이 전화(電話)를 해오면 차렷자세(姿勢)로 받곤했다.?

??이(李) 대통령(大統領)에 대(對)한 충성(忠誠)은 아첨(阿諂)과 자리얻기 위함이 아니라 대통령(大統領)이 국정(國政)을 원만히(圓滿히) 운영(運營)하도록 성실(誠實)하게 보좌(補佐)해야 한다는 진정(眞情)에서 우러난 것이었다.?

6.25전쟁(戰爭) 때에는 그는 전쟁(戰爭) 당사국(當事國)임에도 전쟁지원(戰爭支援)을 나온 연합국(聯合國)을 향(向)해 할 말을 했다. ?
전쟁(戰爭) 포로(捕虜)와 관련(關聯)하여 민족적(民族的) 자존심(自尊心)과 함께 통일(統一)을 생각했다. ?

??일본(日本)의 독도(獨島) 침탈야욕(侵奪野慾)에는 의연(毅然)하게 맞섰다. 그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이 독도(獨島)에 대(對)한 영유권(領有權)을 갖고 있으며 한국(韓國)이 국제사법재판소(國際司法裁判所)(ICJ)에서 권리(權利)를 증명(證明)해야 할 하등(何等)의 이유(理由)가 없다”라고 하는 내용(內容)을 첫 공식(公式) 정리(整理)해서 일본(日本)에 전달(傳達)했다.

1951년(年)부터 1955년(年)까지 제3대 외무부장관(外務部長官) 으로 활약(活躍)하였다. 한편(한便) 1952년(年)부터 1953년(年)까지는 국제연합(國際聯合) 수석대표(首席代表), 1953년(年)에 국무총리(國務總理) 가 되어 외무부장관(外務部長官) 직(職)을 겸임(兼任)하였다.

external/www.seg...
(휴전(休戰) 직후(直後)인 1953년(年) 8월(月) 한미상호방위조약(韓美相互防衛條約) 에 가조인(假調印)한 후(後), 존 덜레스 미(美) 국무장관(國務長官)과 악수(握手)하는 변영태)

그의 외무장관(外務長官) 재직(在職) 기간(期間)인 1953년(年), 휴전(休戰) 직후(直後) 미국(美國)과의 한미상호방위조약(韓美相互防衛條約) 체결(締結)이 성사(成事)되었다. 이듬해인 1954년(年)에는 제네바 정치협상회의(政治協商會議) 에 한국(韓國) 대표(代表)로 참석(參席)하여 14개(個) 항(項)의 통일(統一) 방안(方案)을 제시(提示)하였다.

또한 1954년(年) 10월(月) 28일(日)에는 일본(日本)에 외교(外交) 서한(書翰)을 보내어 ' 독도(獨島) 문제(問題)의 국제사법재판소(國際司法裁判所) (ICJ) 회부(回附) 요구(要求)'를 반박(反駁)했다. 여기서 그는 독도(獨島)가 일본(日本)에 의(依)한 한반도(韓半島) 식민(植民) 지배(支配), 침탈(侵奪)의 첫 대상(對象)이었음을 지적(指摘)하면서, [3] "한국(韓國) 국민(國民)에게 독도(獨島)는 일본(日本)과 상대(相對)한 한국(韓國) 주권(主權)의 상징(象徵)이며, 또 한국(韓國) 주권(主權)의 보전(保全)을 시험(試驗)하는 실례(失禮)" 라고 역설(力說)했다. [4] 독도학회(獨島學會) 회장(會長)이기도 한 서울대 신용하 교수(敎授)는 당시(當時) 변영태 외무장관(外務長官)의 대일(對日) 서한(書翰)이 '독도(獨島) 문제(問題)에 대(對)한 한국(韓國) 정부(政府)의 입장(立場)을 정립(定立)한 기준(基準)'이 되었다고 평가(評價)했다.

사사오입(四捨五入) 개헌(改憲) 으로 국무총리직(國務總理職)이 폐지(廢止)되고 신설(新設)된 수석국무위원직(首席國務委員職)에도 외무부장관(外務部長官)으로서 자동(自動) 유임(留任)되었다.

2.3. 이후(以後) [편집(編輯)]

1956년(年) 이후(以後)에는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상과대학(商科大學)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교수(敎授) 등(等)을 거치면서 후진(後進) 양성(養成)에 힘을 썼다.

말년(末年)인 1963년(年)에는 정민회 (正民會)를 조직(組織)하여, 제(第)5대(代)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에 출마(出馬)하기도 하였다.
5대 대선벽보
1963년(年) 제(第)5대(代)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선거벽보(選擧壁報)
(왼쪽에서 첫번째(番째) 변영태 대통령후보(大統領候補) 벽보(壁報),사퇴(辭退)한 후보(候補) 2명(名)을 제외(除外)한 5명중(名中) 4위(位)로 낙선(落選) 하였다.)

공직(公職)에서 물러난 그는 1964년(年) 부터 종로(鍾路)3가(街) 시사영어학원(學院) 강사(講師)로 생계비(生計費)를 마련했다. 1969년(年) 3월(月) 10일(日) 손수 연탄(煉炭)을 가는 청빈(淸貧)한 삶을 누리다 연탄가스(煉炭가스) 중독(中毒)으로 77살을 일기(一期)로 세상(世上)을 떠났다.

당초(當初) 정부(政府)에서 공적(公的)을 참작(參酌)해 사회장(社會葬) 을 유족(遺族)들에게 제안(提案)했다. 하지만 유족(遺族)들이 평소(平素) 변(便) 총리(總理)가 검소(儉素)한 삶을 살았던 뜻을 받들기로 해 가족장(家族葬)으로 치뤘다. 묘소(墓所)는 경기도(京畿道) 부천시 고강동 6307번지(番地) 밀양(密陽) 변씨(卞氏) 선산(先山)에 있다.

3. 선거(選擧) 이력(履歷) [편집(編輯)]

연도(鳶島)
선거(選擧) 종류(種類)
선거구(選擧區)
소속(所屬) 정당(政黨)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당선(當選) 여부(與否)
비고(備考)
1960
3 (1.14%)
낙선(落選) (3위(位))
1963
정민회 글자
224,443 (2.22%)
낙선(落選) (4위(位))
역대(歷代) 선거(選擧) 벽보(壁報)
[ 펼치기 · 접기 ]
?
[1] 수석국무위원(首席國務委員) 겸임(兼任),( 1954년(年) 11월(月) 30일(日) ~ 1955년(年) 7월(月) 28일(日) ) 사사오입(四捨五入) 개헌(改憲) 으로 잠정(暫定) 폐지(廢止)된 국무총리직(國務總理職)을 대체(代替)한 수석국무위원(首席國務委員)에 그대로 유임(留任)되었다. [2] <논개(論介)> , <사(社)벽송> 등(等)으로 유명(有名)한 시인(詩人) ,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교수(敎授)를 지냈다. [3] 러일전쟁(戰爭) 중(中)인 1905년(年) 2월(月) 22일(日) 일본(日本)이 러시아 해군(海軍)을 감시(監視)하기 위한 측량(測量) 시설(施設)을 설치(設置)하기 위해 일방적(一方的)으로 독도(獨島)를 편입시킨 것을 가리킨다. 일본(日本) 시마네현(縣) 이 2005년(年)부터 주장(主張)하는 소위(所謂) '다케시마의 날'의 기원(起源). [4] 52년(年) 후(後)인 2006년(年) 4월(月) 일본(日本)의 독도(獨島) 인근(隣近) 해역(海域) 측량(測量) 시도(試圖)를 놓고 한일(韓日) 양국(兩國)이 물리적(物理的) 충돌(衝突) 위기(危機)를 겪은 후(後), 노무현 당시(當時) 대통령(大統領)도 대국민(對國民) 담화(談話)를 통해 동일(同一)한 논리(論理)를 근거(根據)로 일본(日本)의 독도(獨島) 영유권(領有權) 주장(主張)을 반박(反駁)했다. [5] 의원(議員) 내각제(內閣制) 의회(議會)에서의 간접(間接) 선거(選擧).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