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모(某)데스트 무소륵스키 - 나무위키

모(某)데스트 무소륵스키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고대(古代)
후르리인의 닌갈 찬가(讚歌)
노트르담 악파(樂派)
기타
부르고뉴 악파(樂派)
플랑드르 악파(樂派)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英國)
독일(獨逸)
프랑스
이탈리아
중부(中部) 유럽
영국(英國)
전고전(로코코)
초기(初期) 고전파(古典派)
후기(後期) 고전파(古典派)와 과도기(過渡期)
전기(電氣) 낭만(浪漫)?주의(注意)
초기(初期) 낭만파(浪漫派)
독일(獨逸), 오스트리아
낭만주의(浪漫主義)
미국(美國), 프랑스
낭만주의(浪漫主義)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오페라
빈 왈츠
후기(後期) 낭만(浪漫)?주의(注意)
독일(獨逸), 오스트리아
후기(後期) 낭만(浪漫)
이탈리아
낭만주의(浪漫主義) 오페라
프랑스
후기(後期) 낭만(浪漫)
러시아
후기(後期) 낭만(浪漫)
영국(英國)
낭만주의(浪漫主義)
폴란드
낭만주의(浪漫主義)
미국(美國)
후기(後期) 낭만(浪漫)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浪漫主義)
러시아
중부(中部) 유럽
북유럽(北유럽)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20
세기(世紀)
음악(音樂)
제(第)2 빈 악파(樂派)
프랑스 근현대(近現代) 음악(音樂)
영국(英國) 근현대(近現代) 음악(音樂)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近現代) 음악(音樂)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近現代) 음악(音樂)
소련(蘇聯)-러시아
근현대(近現代) 음악(音樂)
헝가리 근현대(近現代) 음악(音樂)
폴란드 현대(現代) 음악(音樂)
독일(獨逸)-오스트리아
현대(現代) 음악(音樂)
이탈리아 현대(現代) 음악(音樂)
한국(韓國) 현대(現代) 음악(音樂)
기타
[ 펼치기 · 접기 ]
MAB
NAR
MPM
APB
CAC
밀리 발라키레프
(Милий Алексеевич Бала?кирев)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Никола?й Андре?евич Ри?мский-Ко?рсаков)
모(某)데스트 무소륵스키
(Моде?ст Петро?вич Му?соргский)
알렉산드르 보로딘
(Алекса?ндр Порфи?рьевич Бороди?н)
세자르 큐이
(Це?зарь Анто?нович Кюи?)
모(某)데스트 무소륵스키
Моде?ст Му?соргский | Modest Mussorgsky
ModestMusorgskiy...
본명(本名)
모(某)데스트 페트로비치 무소륵스키
Моде?ст Петро?вич Му?соргский
Modest Petrovich Mussorgsky
출생(出生)
1839년(年) 3월(月) 21일(日)
사망(死亡)
1881년(年) 3월(月) 28일(日) (향년(享年) 42세(歲))
국적(國籍)
직업(職業)
작곡가(作曲家)
장르
오페라 , 피아노 음악(音樂)
사조(思潮)
서명(署名)
Modest Mussorgsk...

1 . 개요(槪要) 2 . 생애(生涯) 3 . 음악(音樂) 성향(性向) 4 . 주요(主要) 작품(作品)

1. 개요(槪要) [편집(編輯)]

교향시(交響詩) 민둥산(민둥山)의 하룻밤
"무소륵스키는 흉내낼 수 없다. 모든 음악(音樂) 국가(國家)들 중(中) 가장 특징(特徵) 없는 국가(國家)인 독일(獨逸)에서조차도 그의 방식(方式)으로 작곡(作曲)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알프레드 아인슈타인, 음악학자 [1]

무소륵스키 [2] 는 19세기(世紀) 러시아 제국(帝國) 의 작곡가(作曲家)로 흔히 러시아 5인조(人組) 라 불리는 러시아 의 민족주의(民族主義) 작곡가(作曲家) 중(中) 한명(名)이며 이 5인조(人組) 뿐만 아니라 19세기(世紀) 러시아 작곡가(作曲家) 가운데 가장 인상적(印象的)인 작품(作品)을 남겼다. 18세기(世紀) 후반(後半)부터 비롯된 민족주의(民族主義)의 영향(影響)을 받아 러시아 음악(音樂)에 일대(一大) 혁신(革新)을 가져온 작곡가(作曲家)로, 러시아 음악(音樂)의 고유(固有)한 색채(色彩)를 완성(完成)하기 위해 노력(努力)했으며 그의 영향력(影響力)은 러시아를 벗어나 각국(各國)의 민족주의(民族主義) 음악(音樂)과 프랑스의 인상주의(印象主義)에도 미쳤다. 그의 많은 작품(作品)이 러시아 역사(歷史)와 민담(民譚)에서 영향(影響)을 받았으며 러시아 민요(民謠)나 토속음악(土俗音樂)을 주요(主要)한 소재(素材)로 사용(使用)하였는데, 그의 대표작(代表作)인 피아노 모음곡(모음曲) 전람회(展覽會)의 그림 , 교향시(交響詩) "민둥산(민둥山)의 하룻밤",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에서 그러한 경향(傾向)을 찾아 볼 수 있다.

2. 생애(生涯) [편집(編輯)]

무소륵스키는 대대로(代代로) 부유(富裕)했던 지주(地主)의 아들로 태어나 6세(歲)라는 어린 나이부터 어머니에게서 피아노를 배웠고 배운지 3년(年)만에 가족(家族)들과 친구(親舊)들을 위해 리스트 의 소품(小品)을 연주할 수 있었다. 가문(家門)의 전통(傳統)인 군(軍) 복무(服務)를 위해서, 그는 13세(歲) 때 근위(近衛) 사관(士官) 학교(學校)에 입학(入學)하였는데, 그를 평생(平生) 괴롭혔던 알코올 중독(中毒) 증세(症勢)는 이곳 생활(生活)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라는 추측(推測)도 있다. 사관학교(士官學校) 졸업(卒業) 후(後) 그는 프레오브라젠스키 수비대(守備隊)에 입대(入隊)하여 군(軍) 복무(服務)를 시작(始作)한다. 그의 군(軍) 생활(生活)은 음악적(音樂的)으로는 여러 유력(有力) 음악가(音樂家)를 만나는 좋은 기회(機會)가 되었다. 군(軍) 복무(服務) 중(中), 상트페테르부르크 의 군(軍) 병원(病院)에서 군의관(軍醫官) 으로 복무(服務)하던 알렉산드르 보로딘 을(乙) 알게 되었고 이내 친(親)해지게 된다. 그리고 미하일 글린카 이후(以後)의 가장 유력(有力)한 작곡가(作曲家)인 알렉산드르 다르고미시(古米時)스키와 친분(親分)을 쌓게 되는데, 이것은 그에게 큰 영향(影響)을 끼친다.
external/upload....
1881년(年) 죽기 얼마 전(前)의 무소륵스키 [3]

이러한 교우관계(交友關係)는 음악적(音樂的)으로 매우 중요(重要)한 계기(契機)로서, 그의 진짜(眞짜) 음악(音樂) 인생(人生)은 이 시기(時期)로부터 시작(始作)된다는 견해(見解)도 있다. 무소륵스키는 세자르 큐이 , 밀리 발라키레프 등(等)과도 교우관계(交友關係)를 맺었는데, 후(後)에 발라키레프로부터 작곡(作曲)을 배운다. 그는 1858년(年) 군(軍)을 떠나 음악(音樂)에 전념(專念)하고, 초기(初期)에 발라키레프에게 음악(音樂)을 배운 이후(以後)로는 그는 독습(讀習)하다시피 하여 실력(實力)을 쌓는다. 이 후(後), 교향시(交響詩) "민둥산(민둥山)의 하룻밤"으로 음악인(音樂人)으로서의 기초(基礎)를 완전히(完全히) 닦았고, 1863년(年) 5인(人)의 동지(同志)들과 공동(共同) 생활(生活)을 하는 등(等), 전성기(全盛期)를 맞는다. 이 무렵부터는 더 이상(以上) 발라키레프의 인정(認定)을 받으려 애쓰지 않고, 예전의 다르고미시(古米時)스키와 더 가깝게 지낸다. 다만, 개인적(個人的)으로는 1861년(年) 농노(農奴) 해방(解放)으로 인해 토지(土地)의 반(半) 이상(以上)을 잃게 되어 점차(漸次) 생활고(生活苦)에 시달리기 시작(始作)하고, 1865년(年) 어머니의 사망(死亡)으로 큰 충격(衝擊)을 받아 알코올 의존증(依存症) 이 시작(始作)되는 시점(時點)이기도 하다.

그의 이러한 전성기(全盛期)는 안타깝게도 오래 지속(持續)되지 못했다. 이르게는 "보리스 고두노프"가 작곡(作曲)된 1868년(年)부터 1873년(年), 늦게는 전람회(展覽會)의 그림 이 작곡(作曲)된 1874년(年) 이후(以後)로 인생(人生)의 쇠퇴기(衰退期)가 시작(始作)된다. 그의 알코올 중독(中毒)은 점점(漸漸) 심(甚)해져갔고, 친(親)한 친구(親舊)들의 잇따른 죽음으로 인해 정서적(情緖的)으로도 큰 슬픔에 빠지게 된다. 날로 심해지는 알코올 중독(中毒) 때문에, 생계(生計)를 위해 택(擇)했던 공무원(公務員) 생활(生活)도 위태위태(危殆危殆)하다가, 결국(結局) 1880년(年)에 해고(解雇)되어 생계수단(生計手段)이 끊긴다. 그로부터 1년(年) 후(後)인 1881년(年)에는 구걸(求乞) 밖에 할 것이 없다고 친구(親舊)에게 말할 지경(地境)으로 궁핍(窮乏)해진다. 이 무렵 건강(健康)도 심각(深刻)하게 나빠져서, 4번(番)의 연속(連續)된 발작(發作)을 일으켰고, 그로 인해 입원(入院)을 한다. 입원(入院) 중(中)에도 건강(健康)은 계속(繼續) 악화(惡化)되어, 1881년(年), 그는 42세(歲)라는 많지 않은 나이로 사망(死亡)한다. 42번째(番째) 생일(生日) 일주일(一週日) 후(後)였다.

3. 음악(音樂) 성향(性向) [편집(編輯)]

무소륵스키는 러시아 5인조(人組) 뿐만 아니라 러시아 음악사상(音樂思想) 가장 독창성(獨創性)이 뛰어난 작곡가(作曲家)로 평가(評價)받고 있다. 괜히 전문가(專門家)들이 무소륵스키를 흉내낼 수 없는 작곡가(作曲家)라고 평가(評價)한 것이 아니다. 그런데 이렇게 독창적(獨創的)인 음악(音樂)을 작곡(作曲)할 수 있었던 것은 공교롭게도 그가 음악(音樂) 교육(敎育)을 제대로 받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피아노를 배웠고 음악(音樂)에 재능(才能)을 보였지만 체계적(體系的)인 교육(敎育)을 받은 것은 아니었다. 작곡(作曲)도 처음에는 거의 취미(趣味) 수준(水準)으로 했고 그나마 음악(音樂) 교육(敎育)은 성인(成人)이 된 후(後) 발라키레프 에게 잠시(暫時) 받은 것이 거의 전부(全部)였다. 그래서 그의 작품(作品)은 화성학(和聲學) 이나 대위법(對位法) 등(等) 초보(初步) 음악전공자(音樂專攻者)들도 다 익히는 기초적인 문법(文法)조차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기 때문에 얼핏 보면 아마추어가 만든 조잡(粗雜)한 곡(曲)으로 보인다. 하지만 오히려 이런 문제점(問題點)들이 역설적(逆說的)으로 그의 작품(作品)의 가치(價値)를 높여주는 결과(結果)를 가져왔다.

기본적(基本的)으로 무소륵스키의 음악(音樂)은 그와 같은 시기(時期) 같은 나라에서 활동(活動)한 작곡가(作曲家)였던 표트르 차이콥스키 의 음악(音樂)과 완전히(完全히) 반대(反對)의 위치(位置)에 있다. 차이콥스키의 음악(音樂)이 우아(優雅)하고 세련된 서구식(西歐式) 작법(作法)에 러시아적(的) 감성(感性)을 도입(導入)하여 귀족(貴族)과 상류층(上流層)의 정서(情緖)에 호응(呼應)하고 있다면 무소륵스키의 음악(音樂)은 다듬어지지 않고 질박(質樸)한 날것의 감성(感性)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으며 서민(庶民)과 민중(民衆)의 삶과 정서(情緖)에 좀더 주목(注目)하고 있다.

무소륵스키는 전술(傳述)한 이유(理由) 때문에 주제(主題)의 전개(展開)나 변화(變化), 성부간(聲部間)의 어울림과 같은 구조적(構造的)인 양식미(樣式美)를 추구(追求)하기 보다는 특정한 상황(狀況)이나 느낌, 인상(引上)을 음악(音樂)으로 표현(表現)하는데 탁월(卓越)했는데, 특별한 음악교육(音樂敎育)을 받지 않은 덕분(德分)에 이런 감성(感性)을 특정한 양식(樣式)이나 유형(類型)에 맞추어 변화시키지 않고 오히려 자신(自身)만의 개성(個性)이 넘치는 작품(作品)을 창작(創作)할 수 있었다. 또한 특유(特有)의 투박하고 거친 질감(質感)이 느껴지는 음향(音響)은 그의 작품세계(作品世界) 전반(全般)에 나타나는 묘사적(描寫的)/풍자적(諷刺的)인 분위기(雰圍氣)와 딱 맞아 떨어진다.

이처럼 구조(救助)보다 인상(人相)을 중요시(重要視)하는 경향(傾向)은 후대(後代)의 반낭만주의(反浪漫主義) 경향(傾向), 특히(特히) 프랑스의 인상주의(印象主義) 음악(音樂)에 제대로 영향(影響)을 주었다. 또한 무소륵스키는 20세기(世紀) 이후(以後) 러시아( 소련(蘇聯) ) 작곡가(作曲家)들에게 가장 영향(影響)을 많이 준 작곡가(作曲家)이기도 한데,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등(等)을 비롯한 많은 후배(後輩) 러시아 작곡가(作曲家)들이 그의 영향(影響)을 받았다.

한편(한便) 생애(生涯) 항목(項目)에 있듯이 무소륵스키는 일생(一生) 내내 인생사(人生事)가 순탄(順坦)치 않았던 데다가 젊은 나이에 죽었기 때문에 스스로 완성(完成)한 작품(作品)이 그리 많지 않으며 대부분(大部分)의 작품(作品)이 미완성(未完成)으로 남거나 스케치 상태(狀態)에서 중단(中斷)되었다. 현재(現在) 연주(演奏)되는 그의 작품(作品) 상당수(相當數)는 그의 재능(才能)을 아꼈던 동료(同僚) 작곡가(作曲家)나 후배(後輩) 작곡가(作曲家)들에 의(依)해 완성(完成)되었는데, 특히(特히)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와 쇼스타코비치가 그의 작품(作品)을 연주회(演奏會)로 올리는데 큰 역할(役割)을 했다.

한동안 무소륵스키가 음악(音樂)의 기초(基礎)가 부족(不足)하다는 이유(理由)로 그가 남긴 원전(原電)을 좀더 세련되게 고치려는 노력(努力)이 있었다. 그의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 가 대표적(代表的)인 예(例)인데, 림스키 코르사코프와 쇼스타코비치 등(等)의 작곡가(作曲家)들은 이 작품(作品)의 오케스트레이션 전반(全般)에 걸쳐 화성(火星)과 선율(旋律) 처리(處理) 등(等)의 문제점(問題點)을 대폭(大幅) 수정(修正) 보완(補完)한 수정판(修訂版)을 내놓았으며 한동안은 이 수정판(修訂版)만 연주(演奏)되었다. 하지만 20세기(世紀) 후반(後半) 이후(以後) 통상적(通常的)인 어법(語法)에서 많이 벗어난 무소륵스키의 화성(火星)과 관현악법(管絃樂法) 등(等)을 굳이 결함(缺陷)으로 볼 것이 아니라 무소륵스키만의 독창적(獨創的)인 음악언어(音樂言語)로 인정(認定)해야 된다는 분위기(雰圍氣)가 우세(優勢)해졌으며, 현재(現在)는 최소한(最小限)의 수정(修正)만을 가(加)한 작곡자(作曲者)의 원전(原電)판을 그대로 연주하는 것이 새로운 표준(標準)이 되었다.

4. 주요(主要) 작품(作品) [편집(編輯)]

대중(大衆)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그의 대표작(代表作)은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 전람회(展覽會)의 그림 이다. 이 보리스 고두노프는 역대(歷代) 러시아(구(舊) 소련(蘇聯) 포함(包含)) 오페라 가운데 최고(最高)의 걸작(傑作)으로 평가(評價)받고 있으며 현재(現在)까지도 러시아어(語)로 된 오페라 가운데 가장 자주 연주(演奏)된다. 한편(한便) 그의 친구(親舊)이자 화가(畫家)였던 하르트만의 죽음을 기리기 위해 쓴 피아노곡(曲) 전람회(展覽會)의 그림 역시(亦是) 굉장히(宏壯히) 독특(獨特)하고 인상적(印象的)인 작품(作品)으로 유명(有名)하다. 나중에 모리스 라벨 에 의(依)해 관현악(管絃樂)으로 편곡(編曲)되었는데, 현재(現在)는 편곡(編曲)된 관현악(管絃樂) 버전이 더 자주 연주(演奏)된다. 그런데 항목(項目)에도 있지만 이 작품(作品)은 관현악(管絃樂) 뿐만 아니라 온갖 악기(樂器)로 편곡(編曲)되어 연주(演奏)되는 것으로도 유명(有名)하다.

민둥산(민둥山)에서의 하룻밤은 1867년(年) 작곡(作曲)된 관현악곡(管絃樂曲)으로 러시아에서 1년(年) 주기(週期)로 열리는 성(聖) 요한제(制)의 전설(傳說)에 영감(靈感)을 얻어 작곡(作曲)한 작품(作品)이다. 이 작품(作品)은 작곡가(作曲家) 생전(生前)에는 출판(出版)되거나 연주(演奏)된 적이 없으며, 현재(現在) 연주(演奏)되는 교향시(交響詩) 버전은 림스키 코르사코프가 그의 악보(樂譜)를 바탕으로 재편집(再編輯)한 것이다. 한편(한便) 이 곡(曲)은 그의 미완성(未完成) 오페라 '소로친(小路親)스크의 시장(市場)' 3막(幕)의 간주곡(間奏曲)으로 활용(活用)되기도 했다.

이 외(外)에 그의 가곡(歌曲)들도(度) 상당히(相當히) 중요(重要)한 작품(作品)들인데, 음악적(音樂的)인 가치(價値)도 훌륭하지만 당시(當時)의 부조리(不條理)한 시대상(時代相)을 비판(批判)하고 풍자(諷刺)하거나 민중(民衆)의 고달픈 삶을 묘사(描寫)하고 있다는 점(點)에서 개인(個人)의 서정(抒情)에 치중(置重)하는 독일(獨逸) 및 서유럽(西유럽)의 가곡(歌曲)과 상당히(相當히) 다른 면모(面貌)를 보이고 있다. 같은 괴테의 시(詩)를 바탕으로 한 무소륵스키의 '벼룩의 노래'와 베토벤 의 '벼룩의 노래'를 들어보면 그 차이(差異)를 바로 알 수 있는데, 전자(電子)가 당시(當時) 러시아 관료(官僚)들의 부패(腐敗)와 위선(僞善)을 제대로 풍자(諷刺)하고 있다면 후자(後者)는 단지(團地) 유머러스한 시(詩)의 내용(內容)에 충실(忠實)하게 즐겁고 유쾌(愉快)한 분위기(雰圍氣)로 일관(一貫)하고 있다. [4] [5] 그가 부유(富裕)한 지주(地主)의 아들이었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좀 의외(意外)인 대목.
  • 무소륵스키의 벼룩의 노래와 베토벤의 벼룩의 노래
  •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 - 최초(最初)의 1869년(年) 판본(版本)과 러시아 황실극장(皇室劇場) 위원회(委員會)의 금지처분(禁止處分)을 피(避)하기 위해 만든 1872년(年) 판본(版本)이 있다. 무소륵스키 사후(事後) 주로(主로) 1872년(年) 판본(版本)이 연주(演奏)되었고 종종(種種) 두 판본(版本)을 절충(折衷)한 연주가(演奏家) 행(行)해졌는데, 현재(現在)는 두 판본(版本)을 독자적(獨自的)인 작품(作品)으로 보고 따로 연주하는 것이 대세(大勢)이다. [6] 한편(한便) 림스키코르사코프와 쇼스타코비치 등(等)이 작품(作品)을 대폭(大幅) 개정(改正)한 수정판(修訂版)을 내놓기도 했는데, 전술(前述)한 것처럼 원전(原電) 판본(版本)을 연주하는 것이 대세(大勢)가 되면서 최근(最近)에는 수정판(修訂版)의 연주(演奏)를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 오페라 호반시(湖畔詩)나 [7] - 이반 호반(湖畔)스키의 봉기(蜂起)를 다룬 작품(作品)으로, 제목(題目) 역시(亦是) 호반(湖畔)스키의 무리라는 뜻이다. 이 오페라는 무소륵스키가 피아노 스케치만 남겨놓고 사망(死亡)했는데 작곡자(作曲者) 사후(事後) 림스키코르사코프가 오케스트레이션을 완성(完成)해서 1886년(年)에 최초(最初)로 공연(公演)했다. 하지만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원전(原電) 악보(樂譜)에서 상당(相當) 부분(部分)을 삭제(削除)하거나 자신(自身)의 스타일에 맞게 개작(改作)했기 때문에 원작(原作)에 충실(充實)하지 않다는 비판(批判)이 있었다. 이후(以後) 쇼스타코비치가 좀더 원전(原典)에 충실(充實)하게 편곡(編曲)해서 1959년(年)에 새롭게 초연(初演)하였으며 현재(現在)는 이 쇼스타코비치 버전이 자주 연주(演奏)된다. 이 호반(湖畔)시나는 작곡가(作曲家)가 최종(最終) 완성(完成)한 작품(作品)이 아니라는 한계(限界)가 있지만 작품성(作品性) 자체(自體)는 보리스 고두노프를 능가(凌駕)하는 걸작(傑作)이라는 평가(評價)를 받고 있으며 21세기(世紀) 이후(以後) 점점(漸漸) 관심(關心)이 높아지고 있다. 심지어(甚至於) 러시아 오페라 최고(最高)의 걸작(傑作)이라는 평가(評價)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는데, 무소륵스키가 재능(才能)을 꽃피우지 못하고 일찍 사망(死亡)한 것이 정말(正말) 아쉬울 따름.
  • 오페라 소로친(小路親)치 장터(場터) - 니콜라이 고골(枯骨) 의 단편소설(短篇小說)을 바탕으로 무소르그스키가 직접(直接) 대본(臺本)을 작성(作成)한 후(後) 작곡(作曲)에 착수(着手)했는데 작곡자(作曲者)가 일찍 사망(死亡)하는 바람에 결국(結局) 미완성(未完成)으로 남았다. 그나마 호반(湖畔)시나는 피아노 스케치라도 온전(穩全)하게 남아 있는 반면(反面), 이 작품(作品)은 전체(全體) 대본(臺本)의 상당(相當) 부분(部分)이 아예 손도 대지 않은 미완성(未完成) 상태(狀態)로 남아 있었다. 이후(以後) 세자르 큐이 를 비롯, 니콜라이 골(骨)로바노프(Nikolai Golovanov) 등(等) 몇몇 작곡가(作曲家)들이 미완성(未完成) 부분(部分)을 독자적(獨自的)으로 작곡(作曲)해서 완성(完成)한 버전이 있는데, 아무래도 이들의 작곡(作曲) 실력(實力)이 무소륵스키의 독창성(獨創性)을 표현(表現)하기에는 역부족(力不足)이기 때문에 이 오페라 완성본(完成本)들은 평작(平作)의 수준(水準)을 크게 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이 소로친(小路親)치 장터(場터)는 위의 두 오페라만큼 자주 공연되지는 않는다.
  • 피아노/관현악곡(管絃樂曲) 전람회(展覽會)의 그림 - 항목(項目) 참조(參照)
  • 교향시(交響詩) 민둥산(민둥山)의 하룻밤
  • 가곡집(歌曲集) 죽음의 노래와 춤
  • 가곡집(歌曲集) 아이들의 방(房)

▲ "전람회(展覽會)의 그림"(Pictures at an Exhibition) 中 "마녀(魔女) 바바야가의 오두막(오두幕) & 키예프 의 대문(大門)"(Great Gate of Kiev). 모리스 라벨 의 관현악(管絃樂) 편곡(編曲) 버전이며, 연주(演奏)는 정명훈/프랑스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1] 1880~1952.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그 천재(天才),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의 6촌지간(寸之間)이다. 그도 독일(獨逸)에서 태어나 자랐다가 미국(美國)으로 귀화(歸化)했다. [2] 외래어(外來語) 표기법(表記法)에 따른 표기(表記). 2005년(年)에 외래어(外來語) 표기법(表記法) 러시아어(語) 한글 표기법(表記法) 이 추가(追加)되기 전(前)까지는 주로(主로) '무소르그스키'로 표기(表記)했기 때문에 지금(只今)도 검색(檢索) 등(等)에서는 이쪽으로 검색(檢索)해야 결과(結果)가 더 많이 뜬다. 표트르 차이콥스키 (차이코프스키)와 마찬가지 맥락(脈絡). 다만 러시아어(語) 발음(發音)으로는 '무사륵(無事勒)스키이'가 된다. [3] 무소륵스키가 죽기 직전(直前) 일리야 레핀 이 그린 초상화(肖像畫). 알코올 의존증(依存症) 의 영향(影響)으로 코가 빨갛다. 모친(母親)의 죽음으로 시작(始作)된 그의 술버릇 은 친구(親舊)의 죽음으로 절정(絶頂)에 달(達)했고 결국(結局)에는 빈털털이 신세(身世)로 전락(轉落)하고 말았다. 이 그림에서 입고 있는 잠옷 역시(亦是) 가난뱅이로 전락(轉落)한 그의 신세(身世)를 딱히 여긴 그의 친구(親舊) 한 명(名)이 보내 준 것이다. [4] 그래서인지 이 '벼룩의 노래'는 천하(天下)의 베토벤의 작품(作品)이 무소륵스키의 작품(作品)에 묻혀 버렸다. 다만 한국인(韓國人) 입장(立場)에서는 가사(歌詞)를 알아들을 수 없기 때문에 이런 차이(差異)를 구분(區分)하기 어렵다. [5] 가사(歌詞)는 이렇다 "옛날에 한 임금님이 벼룩을 가져다 길리면서 귀여워 했다네, 벼룩, 하하하하, 벼룩, 임금님이 제단사(第單絲)를 불러 명(命)하시길 벼룩에게 입힐 외투(外套)를 지어 바쳐라, 벼룩에 외투(外套), 하하하하, 외투(外套)를 입히고 훈장(勳章)까지 달아주니 어깨가 으쓱, 귀족(貴族) 부인(夫人), 고관대작(高官大爵) 아무에게나 달려 물어 뜯어도 임금님이 귀여워 하시니 어쩌지 못하지만 우리들이야 단번에(單番에) 찍눌러버리지." [6] 그래서 이 오페라를 감상(鑑賞)할 때에는 어떤 판본(版本)인지 반드시 확인(確認)해야 한다. [7] 흔히 제목(題目)을 '호반시치(湖畔市値)나'로 표기(表記)하고는 하는데, щ는 '시(詩)'로 표기(表記)하는 것이 옳고, 실제로(實際로)도 '시(時)' 발음(發音)이다. 자세(仔細)한 사항(事項)은 Щ 항목(項目) 참조(參照).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