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마망 - 나무위키

마망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1 .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여성(女性) 가수(歌手) 2 . 프랑스어(프랑스語) , 포르투갈어(語) 어휘(語彙) 3 . 조각품(彫刻品) 4 . 한국(韓國)에서 쓰이는 서브컬처 관련(關聯) 용어(用語) 5 . 한컴타자연습(打字練習) 의 캐릭터

1.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여성(女性) 가수(歌手)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마망(가수(歌手))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2. 프랑스어(프랑스語) , 포르투갈어(語) 어휘(語彙) [편집(編輯)]

프랑스어(프랑스語) 로 '마망(Maman)'은 ' 엄마 '를 뜻한다. 다만 성인(聖人)이 쓰는 단어(單語)는 아니고, 영어(英語)의 '마미(馬尾)(Mommy)'처럼 아기 어린이 가 모친(母親)을 부르는 유아어(幼兒語)이다.

비슷하게 유럽 포르투갈어(語)에도 마망(mama) [1] 이라는 표현(表現)이 있고 브라질 포르투갈어(語)에선 어미에 /i/를 첨가(添加)하는 영향(影響)으로 마망이(mamae) [2] 가 더 널리 쓰인다.

3. 조각품(彫刻品) [편집(編輯)]

마망
《마망(Maman)》 , 루이즈 부르주아, 1999, 스테인리스 스틸과 청동(靑銅) .

프랑스계(系) 미국인(美國人) 조각가(彫刻家)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의 말년(末年) 작품(作品)으로, 어미(語尾) 거미 를 묘사(描寫)하고 있다. 조각에 관심(關心)이 없는 사람들도 미술(美術) 교과서(敎科書) 등지(等地)에서 한 번(番)은 스쳐지나가면서 볼 수 있을 정도(程度)로 유명(有名)하다. 연작(聯作)이므로 전(全) 세계(世界) 곳곳에 비슷한 작품(作品)이 여럿 있으며, 서울 에도 이태원(梨泰院) 삼성미술관(三星美術館) 리움(리움)에 가면 볼 수 있다.

멀리서 보면 거대(巨大)한 거미가 괴물(怪物)처럼 서 있는 것이 징그럽고 공포감(恐怖感)을 받을 수도 있는데, 가까이 가서 자세(仔細)히 보면 거미의 뱃속에 들이 들어 있다. 즉(卽), 이 조각상(彫刻像)은 무서운 거미를 나타낸 게 아니라 어미 거미가 뱃속에 있는 새끼들을 지키기 위해 다리를 넓게 뻗고 있는 모성애(母性愛) 의 한 장면(場面)을 나타낸 것이다. [3] 이러한 모성애적(母性愛的) 성향(性向)은 작가(作家)의 유년(幼年) 시절(時節) 기억(記憶)들에서 기인(起因)하는데, 작가(作家)의 아버지와 형제(兄弟)들이 문란(紊亂)한 사생활(私生活)로 어머니를 고생(苦生)시킨 기억(記憶)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4. 한국(韓國)에서 쓰이는 서브컬처 관련(關聯) 용어(用語) [편집(編輯)]

일본(日本) 용어(用語) 바부미(浮靡) 와 거의 같은 뜻을 가진 단어(單語)로 시작(始作)해 모성애(母性愛) 관련(關聯) 드립으로 크게 확장(擴張)된 단어(單語). 상술(詳述)한 프랑스어(프랑스語)에서 유래(由來)했다.

한국(韓國)에서 최초(最初)로 쓰이게 된 건 실장석(室長席) 을 통해서였다. 작중(作中) 어린 실장석(室長席) 개체(個體)인 자실장(者室長)이 모친(母親) 개체(個體)인 친실장(親室長)을 ‘마망’이라고 부르던 것 [4] 이 들어오게 된 것인데, 당시(當時)에 번역(飜譯) 과정(過程)에서 문제(問題)가 좀 있었는지 ‘마망’이 아닌 ‘마마(媽媽)’로 수입(輸入)되었다. [5] 실장석(室長席) 컨텐츠에 익숙하다면 한번(番)쯤 “테에에엥 마마~” [6] 이라는 대사(臺詞)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다만 실장석(室長席)은 학대(虐待)물 이라는 특성상(特性上) 음지(陰地)에서나 주로(主로) 알려진 작품(作品)이다보니 이 당시(當時)엔 그다지 유명(有名)하진 않았다.

마망이 퍼지게 된 것은 다른 경로(經路)를 통해서인데, 한 트위터 유저(유저)가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모성(母性)로리 캐릭터 콧코로 에 대(對)해 "마망!"을 연발(連發)하는 글이 일파만파(一波萬波) 퍼져나가면서 생긴 일종(一種)의 유행어(流行語)다. 여기에서 유래(由來)하여 로리 모성(母性) 계열(系列) 캐릭터들을 마망으로 부르는 경우(境遇)가 생겨났고, 여기에서 다시 이름 뒤에 ‘마망’을 붙이거나, 뒷부분(뒷部分)을 ‘마망’으로 대체(代替)하는 용법(用法)이 파생(派生)되었다. 상기(想起)한 프리코네의 경우(境遇)엔 주로(主로) 콧코로 마망, 사(社)렌 마망 등(等)이 대표적(代表的)이다. 해당(該當) 밈을 폭발시킨 콧코로는 그냥 별명(別名) 자체(自體)가 마망이 되어 따로 이름 뒤에 붙이지 않고 '마망'이라 부르는 경우(境遇)가 많다.

같은 회사(會社)의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 에서는 사쿠라이 모모카 사사키 치(齒)에 로리콘 들 사이에서 대표적(代表的)으로 마망이라 불리고 있으며, 아이돌인(人) 유메미(美) 리(리)아무 夢をのぞいたら 의 커뮤에서 사죠 유키미(美) , 유사(類似) 코즈에 에 뻑가서 로리는 정의(正義)임을 설파(說破)하며 이벤트 보상(補償) SR에서는 마마(媽媽)를 늘려서 무릎베개 하고 보살핌 받으면서 지내고 싶다는 발언(發言)을 하기도 한다.

사실(事實) 1980년대(年代) 캐릭터인 샤아 아즈나블 이 정확히(正確히) 마망충(衝)에 해당(該當)한다. 지온 즘 다이쿤 의 아들, 아르테시아 의 오빠, 지온군(君)의 붉은 혜성(彗星) , 아무로 의 라이벌, 네오지온 의 지도자(指導者) 등(等), 자신(自身)의 모순(矛盾)되는 정체성(正體性)들 사이에서 지쳐버린 나머지, 아무것도 바라지 않으면서 자신(自身)을 품어주고 안주(安住)할 수 있는 말 그대로 '어머니'와 같은 이상적(理想的)인 여성상(女性像)을 갈구(渴求)하게 된 것. 이를 끝내 극복(克服)하지 못하여, 역습(逆襲)의 샤아 에서는 아무로와의 최후(最後)의 일전(一戰)에서 " 라라아 슨 은 나의 어머니가 되어줬을지도 모르는 여성(女性)이었다!" # 를 부르짖으며 아무로를 당황(唐慌)시켰고, 이게 그대로 유언(遺言) 이 되는 바람에 놀림거리가 하나 늘고 말았다. 어떻게 보면 지나치게 시대(時代)를 앞선 캐릭터였던 셈. 샤아는 어렸을 때부터 험난(險難)한 인생(人生)을 겪어 타인(他人)에게서 가족애(家族愛)를 갈구(渴求)하는 인물(人物)이다 보니 마망드립의 본질적(本質的)인 의미(意味)에도 정확히(正確히) 부합(符合)한다. 때문에 수십년(數十年)이 지난 뒤 마망드립이 본격적(本格的)으로 유행(流行)하자 위에서 설명(說明)한 프리코네의 콧코로나 데레마스의 모모카와 합성(合成)이 나오기도 했다.

초기(初期)에는 모성(母性)로리 계열(系列)을 중심(中心)으로 쓰였으나 점차(漸次) MILF 등(等) 어머니, 모성(母性)과 관련(關聯)된 속성(屬性)들로 의미(意味)가 확장(擴張)되어, 현재(現在)는 어머니나 모성(母性)과 관련(關聯)된 여성(女性) 캐릭터 전반(全般)을 아우르는 단어(單語)로 쓰이고 있다. 실제(實際) 어머니 캐릭터에 대(對)해서도 쓰이지만, 모성(母性)로리를 가리키던 기존(旣存) 용법(用法)이 그랬듯 단순히(單純히) 모성적(母性的)이고 돌보기 좋아하며 부양(扶養)해줄 것 같은 인상(印象)을 주는 캐릭터가 마망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런 속성(屬性)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속어(俗語)로 마망충이라고 부른다. 여성(女性) 캐릭터의 포용력(包容力)에 초점(焦點)을 두는 특성상(特性上) 오네쇼타 계열(系列)과도 수요(需要)가 겹치는 편(便).

영미권(英美圈)에서도 엄마 같은 여친(女親) (Mommy GF) 밈에서 파생(派生)된 Mommy 표현(表現)이 한국(韓國) 서브컬처의 마망과 비슷한 용법(用法)을 보인다. 펨돔 속성(屬性)과 결합(結合)한 변형(變形)으로 Dommy Mommy라는 표현(表現)도 있다.

5. 한컴타자연습(打字練習) 의 캐릭터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한컴타자연습(打字練習)/캐릭터 문서(文書)
4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1] 실제로(實際로) '머멍'에 가깝게 들린다. [2] 실제론(實際로) '마멍이'에 가깝게 들린다. [3] 실제로(實際로) 거미는 모성애(母性愛)가 아주 강(剛)한 동물(動物)이다. [4] 이는 실장석이(室長石耳) 머리가 나쁜 주제(主題)에 쓸데없이 외국어(外國語) 단어(單語)를 많이 갖다 써서 지적(知的)인 허세(虛勢)를 부린다 는 설정(設定) 때문이다. 이 외(外)에도 실장석(室長席) 계(界)에선 이런식(式)의 영어식(英語式) 표현(表現)이 굉장히(宏壯히) 많이 나오는데, 가장 대표적(代表的)인 게 바로 '세레브'이다. [5] 이것 외(外)에도 한국(韓國) 참피체(體)는 번역(飜譯) 과정(過程)에서 잘못 번역(飜譯)된 게 전통(傳統)으로 눌러앉은 경우(境遇)가 제법 있다. 대표적(代表的)으로 '주인님(主人님)'을 '남편(男便)님'으로 오역(誤譯)한 경우(境遇)가 그 예(例)이다. 실장석(室長席) 컨텐츠에서 보통(普通) 인간(人間) 캐릭터측(側)은 남성(男性)인 경우(境遇)가 많고 실장석(室長席)은 무조건(無條件) 암컷이라는 설정(設定)이다보니 인간(人間)보다 열등(劣等)하고 하등(下等)하며 전혀(全혀) 인간(人間)과 같지도 않은 실장석이(室長石耳) 멋대로 자신(自身)을 인간(人間)의 부인(夫人)으로 여기는 모습이 학대(虐待) 욕구(欲求)를 자극(刺戟)하는데 더욱 효과적(效果的)이다보니 그냥 전통(傳統)으로 눌러앉았다. [6] 상술(詳述)한 자실장(者室長)이 친실장(親室長)을 상대(相對)로 응석을 부리는 표현(表現)이다. 물론(勿論) 이기적(利己的)인 실장석(室長席) 답게 말도 안되는 이기적(利己的)인 요구(要求)나 하려고 내뱉는 경우(境遇)가 많으며 당연히(當然히) 그 응석을 받아줘야 하는 친실장(親室長)도 똑같이 이기적(利己的)이다보니 그 끝은 대부분(大部分) 좋지 않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