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남양주시(南楊州市) 을(乙) - 나무위키

남양주시(南楊州市) 을(乙)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관련 문서 아이콘 ? 관련(關聯) 문서(文書): 남양주시(南楊州市)/정치(政治)
,
,
,
,
,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국기 대한민국(大韓民國) 국회(國會) 선거구(選擧區)
국회휘장
남양주시(南楊州市) 을(乙)
별내동(別內桐), 진접읍, 오남읍, 별내면
南楊州市 乙
Namyangju B
국회선거구 남양주시 을
선거(選擧)인 수(數)
208,484명(名) (2024)
상위(上位) 행정구역(行政區域)
관할(管轄) 구역(區域)
[ 펼치기 · 접기 ]
남양주시(南楊州市) 일부(一部)
별내동(別內桐), 진접읍, 오남읍, 별내면
신설년도(新設年度)
국회의원(國會議員)
zsdkl3gasdg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남양주시(南楊州市) 내(內)에서 북서부(北西部) 지역(地域) [1] 을 관할(管轄)하는 지역(地域)구로 현재(現在) 이곳의 국회의원(國會議員)은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김병주(金炳周) 의원(議員)이다.

1996년(年) 이래(以來)로 남양주시(南楊州市) 일원(一圓)을 담당(擔當)하던 선거구(選擧區)가 17대(代) 총선(總選) 때부터 인구(人口) 31만(萬)을 넘기게 되어 전화(電話) 국번(局番)을 기준(基準)으로 갑(甲)/을(乙)로 분리(分離)되었고, 20대(代) 총선(總選)부터는 인구(人口) 62만(萬)을 넘겨 병(病) 선거구(選擧區)가 신설(新設)되었다. 2004년(年)부터 2016년(年) 이전(以前)까지의 을 선거구(選擧區)는 진접읍, 오남읍, 별내면 [2] , 퇴계원면, 진건읍, 도농동, 지금(只今)동이 해당(該當)되었으며 2016년(年) 20대(代) 총선(總選)을 앞두고 퇴계원면, 진건읍, 도농동, 지금동 [3] 이 신설(新設) 남양주시(南楊州市) 병(病) 에 넘겨져 현재(現在)에 이른다.

2. 지역구(地域區) 특징(特徵) [편집(編輯)]

진접신도시(新都市)와 별내신도시(別內新都市)가 지역(地域) 양대(兩大) 거점(據點)으로 표심(票心)을 이끌고 있고, 때문에 남양주(南楊州) 내(內)에서 민주당(民主黨) 지지세(支持勢)가 가장 강(剛)한 곳으로 통한다. 또 대부분(大部分)의 지역(地域) 주민(住民) 생활(生活)과 4호선(號線) 전철(電鐵) 이 밀접(密接)하다는 특징(特徵)이 있다. 진접읍 주민(住民)은 진접역(驛) 오남역(誤南驛) 을, 오남읍 주민(住民)은 오남역(五男役)을, 별내신도시(別內新都市) 주민(住民)은 별내별가람역(別內別伽藍驛) 을, 청학리·별내면 주민(住民)은 당고개역(驛) 을 지역(地域) 거점(據點) 전철역(電鐵驛)으로 이용(利用)하고 있다. [4]

지금(只今)이야 남양주(南楊州) 내(內)에서도 민주당(民主黨) 지지세(支持勢)가 가장 강(剛)한 지역(地域)으로 꼽히지만, 남양주(南楊州) 선거구(選擧區)가 3개(個)로 나뉘기 전(前)만 하더라도 보수(保守) 표심(票心)이 우세(優勢)하던 지역(地域)이었으며 실제로(實際로) 2007년(年) 대선(大選)과 2012년(年) 대선(大選)에서 당시(當時)의 남양주(南楊州) 을 선거구(選擧區) 지역(地域)은 보수정당(保守政黨) 후보(候補)가 1위(位)를 차지했다. 그러다 진접신도시(新都市)와 별내신도시(別內新都市)가 본격적(本格的)으로 개발(開發)되며 민주당 성향(性向)의 유권자(有權者)가 관내(管內)에 대거(大擧) 입주(入住)하고, 설상가상(雪上加霜)으로 지금(只今)까지도 보수(保守) 우세(優勢) 성향(性向)을 보이는 퇴계원면·진건읍과 나중에 다산신도시(茶山新都市)로 개발(開發)되는 도농동·지금동(당시(當時)만 하더라도 보수(保守) 우세(優勢) 지역(地域)이었다.) 을 남양주시(南楊州市) 병(病) 에 넘기며 선거구(選擧區) 내 표심(票心) 구조(構造)가 급변(急變)했다.

하지만 이런 지역(地域) 역사(歷史)와는 다르게 남양주시(南楊州市) 을 선거구(選擧區)가 신설(新設)된 뒤로 국회의원(國會議員)은 민주당계(系) 정당(政黨)에서만 배출(排出)되는 중(中)이다. 박기춘 前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院內代表)의 영향력(影響力)이 컸던 지역구(地域區)이고, 그의 개인기(個人技)로 불리(不利)한 지역(地域) 분위기(雰圍氣)를 돌파(突破)하는 그림이었다. 이런 표심(票心)을 얻는 데에는 당시(當時)까지만 하더라도 아무런 연장(延長) 계획(計劃)이 없었던 4호선(號線) 을 진접에 차량기지(車輛基地)를 설치(設置)하는 대가(代價)로 별내(別內)·오남·진접에 끌어온 영향(影響)이 컸다. 역(驛) 하나만으로도 엄청난 표심(票心)을 이끌어내는 지하철(地下鐵)을, 그것도 아무런 계획(計劃)도 없던 상태(狀態)에서 순수(純粹) 본인(本人) 역량(力量)으로 유치(誘致)한 영향(影響)은 엄청났다. 2008년(年) 총선(總選)에서 민주당(民主黨)이 대부분(大部分)의 텃밭을 잃고 개헌저지선도(改憲沮止線度) 못 지키는 최악(最惡)의 선거(選擧)를 치렀음에도 불구(不拘)하고 박기춘 본인(本人)은 옆 선거구(選擧區)의 최재성과 더불어 넉넉한 격차(隔差)로 살아남았다. 박기춘은 이어 2012년(年) 3선(線)에 성공(成功)하였으나 2015년(年) 뇌물수수(賂物收受)로 인(因)해 실형(實刑)을 선고(宣告)받아 사실상(事實上) 정계(政界)에서 물러난 상황(狀況)이다.

2016년(年) 20대(代) 총선(總選)에서는 별내신도시(別內新都市)의 외지인(外地人)+젊은층의 투표(投票) 성향(性向) 및 당시(當時) 새누리당(새누리黨)(자유한국당(自由韓國黨)) 후보(候補)에 대(對)한 저조(低調)한 호응(呼應)에 힘입어 [5] 2014년(年) 지방선거(地方選擧)에서 남양주시장(南楊州市腸) 후보(候補)로 출마(出馬)했다 낙선(落選)했던 김한정(金漢正) 의원(議員)이 당선(當選)되었고 2020년(年)에도 역시(亦是)나 큰 득표율(得票率) 차이(差異)로 재선(再選) 의원(議員)이 되었다. 2024년(年) 총선(總選)에서는 지역(地域) 연고(緣故)가 없었던 김병주(金炳周) 의원(議員)이 남양주(南楊州) 내(內)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得票率)로 당선(當選)됨으로써 민주당(民主黨) 텃밭임을 공고히(鞏固히) 했다.

3. 역대(歷代) 국회의원(國會議員) 목록(目錄)과 역대(歷代) 선거(選擧) 결과(結果) [편집(編輯)]

총선(總選)
당선인(當選人)
당적(黨籍)
임기(任期)
제(第)17대(代)
열린우리당 로고타입
2004년(年) 5월(月) 30일(日) ~ 2008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18대(代)
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
2008년(年) 5월(月) 30일(日) ~ 2012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19대(代)
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
2012년(年) 5월(月) 30일(日) ~ 2016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20대(代)
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2016년(年) 5월(月) 30일(日) ~ 2020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21대(代)
2020년(年) 5월(月) 30일(日) ~ 2024년(年) 5월(月) 29일(日)
제(第)22대(代)
zsdkl3gasdg
2024년(年) 5월(月) 30일(日) ~
남양주시(南楊州市) 을(乙)
진접읍, 진건읍, 오남읍, 별내면, 퇴계원면, 도농동, 지금동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조정무 (曺正茂)
35,105
2위(位)
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
40.17%
낙선(落選)
2
안종목(安淙睦)
4,889
3위(位)
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5.59%
낙선(落選)
3
박기춘 (朴起春)
41,579
1위(位)
열린우리당 로고타입
47.58%
당선(當選)
4
김천수(金天受)
3,188
4위(位)
3.65%
낙선(落選)
5
정상용(鄭相龍)
2,635
5위(位)
3.02%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54,079
투표율(投票率)
57.32%
투표(投票) 수
88,313
무효표(無效票) 수
917
한나라당은 현직(現職) 의원(議員)인 진접 출신(出身)의 조정무가 출마(出馬)했으며, 새천년민주당은 남양주(南楊州) 시장(市場)으로 여러번(番) 출마(出馬)했다가 낙선(落選)한 별내면 기반(基盤)의 안종목을 내보냈다. 그리고 열린우리당은 경기도의회(京畿道議會) 민주당(民主黨) 대표의원(代表議員)을 지냈고 2002년(年)에 시장(市場)에 나왔다가 낙선(落選)한 진접출신(出身)인 박기춘을 내보냈다.

결국(結局) 탄핵(彈劾) 역풍(逆風)과 도 의원(議員) 시절(時節)의 긍정적(肯定的)인 평가(評價) 덕분(德分)에 박기춘 후보(候補)가 비교적(比較的) 여유(餘裕)있게 당선(當選)되었다.
남양주시(南楊州市) 을(乙)
진접읍, 진건읍, 오남읍, 별내면, 퇴계원면, 도농동, 지금동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박기춘 (朴起春)
34,131
1위(位)
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
46.18%
당선(當選)
2
김연수(金娟秀)
29,022
2위(位)
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
39.27%
낙선(落選)
3
조정무 (曺正茂)
3,049
4위(位)
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
4.13%
낙선(落選)
4
김창희 (金昌熙)
1,834
5위(位)
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
2.48%
낙선(落選)
5
이진호(李珍浩)
1,168
6위(位)
창조한국당 흰색 로고타입
1.58%
낙선(落選)
6
조현근(趙玹槿)
4,102
3위(位)
친박연대 흰색 로고타입
5.55%
낙선(落選)
7
양영택(楊榮澤)
607
7위(位)
평화통일가정당 흰색 로고타입
0.82%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71,320
투표율(投票率)
43.42%
투표(投票) 수
74,39
무효표(無效票) 수
478
민주당은 지역현안(地域懸案)에 밝아 유권자(有權者)들에게 평(評)이 좋았던 박기춘 의원(議員)을 그대로 공천(公薦)했고, 한나라당은 서울대(서울大) 김연수 前 교수(敎授)를 공천(公薦)했다. 자유선진당(自由先進黨)은 조정무 前 의원(議員)을 공천(公薦)했다.

결과적(結果的)으로 현직(現職) 의원(議員)인 박기춘의 지역기반(地域基盤)이 든든했고, 한나라당 후보(候補)인 김연수(金延壽)의 인지도(認知度)가 낮았던터라 다시 박기춘 의원(議員)이 승리(勝利)했다. 물론(勿論) 보수표(保守票)를 다 합치면 박기춘 의원(議員)을 상대(相對)로 이기긴 한다는 점(點)에서 보수표(保守票)의 분산도(分散度) 박기춘 의원(議員)의 승리(勝利)에 기여(寄與)했다고 볼 수 있다.

조정무 前 의원(議員)은 친박연대(親朴連帶) 후보(候補)에게도 밀렸고, 결국(結局) 정계(政界)를 은퇴(隱退)했다.

여담(餘談)으로 창조한국당(創造韓國當) 이진호 후보(候補)는 이후(以後) 민주당으로 이적(移籍)했고 본업(本業)인 변호사(辯護士) 업무(業務)에 종사(從事)하면서 동시(同時)에 다음 총선(總選)에서도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 예비후보(豫備候補)로 출사표(出師表)를 던지나 공천(公薦)에서 탈락했다. 당시(當時) 을 지역구(地域區)의 많은 후보(候補)들과 달리 도농동에 기반(基盤)이 있어서 그 이후(以後)에는 병(病) 선거구(選擧區)에서 활동(活動)을 이어간다.
남양주시(南楊州市) 을(乙)
진접읍, 진건읍, 오남읍, 별내면,
퇴계원면, 도농동, 지금동, 별내동(別內桐)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윤재수 (尹在秀)
45,065
2위(位)
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
40.98%
낙선(落選)
2
박기춘 (朴起春)
62,329
1위(位)
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
56.68%
당선(當選)
6
주덕현(朱德鉉)
2,559
3위(位)
2.32%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222,364
투표율(投票率)
49.80%
투표(投票) 수
110,728
무효표(無效票) 수
775
2002년(年)부터 2006년(年)까지 시의원(市議員)을 지냈던 윤재수 새누리당 당협위원장(黨協委員長)과 박기춘 의원(議員)의 대결(對決). 지난 18대(代) 총선(總選)과는 달리 이번(이番)에는 정권심판론(政權審判論)이 불던 시기(時期)였다는 점(點)에서 박기춘 의원(議員)이 유리했다는 분석(分析)이 많다. 게다가 시의원(市議員) 출신(出身)인 윤재수 후보(候補)는 6년간(年間) 정계(政界)를 떠난 인물(人物)인지라, 인지도(認知度)가 낮았던 점(點)이 작용(作用)했고 결국(結局) 비리의혹(非理疑惑)이 있었음에도 박기춘 의원(議員)이 3선(線)에 성공(成功)했다.
남양주시(南楊州市) 을(乙)
별내동(別內桐), 진접읍, 오남읍, 별내면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김성태(金聖泰)(金成泰)
32,529
2위(位)
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
34.16%
낙선(落選)
2
36,789
1위(位)
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38.63%
당선(當選)
3
표철수 (表哲洙)
24,243
3위(位)
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
25.46%
낙선(落選)
4
권범재(權凡載)
1,649
4위(位)
정의당 로고타입
1.73%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82,248
투표율(投票率)
52.7%
투표(投票) 수
96,125
무효표(無效票) 수
915
20대(代) 총선(總選) 경기(京畿) 남양주시(南楊州市) 을(乙) 개표(開票) 결과(結果)
정당(正當)
격차(隔差)
(1위(位)/2위(位))
투표율(投票率)
(선거인(選擧人)/표수(票數))
후보(候補)
김성태(金聖泰)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32,529
(34.16%)
36,789
(38.63%)
24,243
(25.46%)
- 4,260
(▼4.47)
96,125
(52.7%)
별내동(別內桐)
30.67%
40.67%
27.07%
▼10.00
56.08
진접읍
35.69%
37.68%
25.00%
▼1.99
48.51
오남읍
36.04%
37.19%
24.91%
▼1.15
47.24
별내면
36.14%
35.67%
26.50%
△0.47
54.87
후보(候補)
김성태(金聖泰)
격차(隔差)
거소(居所)·선상투표(線上投票)
44.59%
30.30%
22.08%
△14.29
관외사전투표(館外事前投票)
32.25%
43.22%
22.22%
▼10.97
국외부재자투표(國外不在者投票)
20.69%
61.58%
13.30%
▼40.89
박기춘 의원(議員)은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 새정치민주연합에서 사무총장(事務總長), 원내대표(院內代表)를 지내면서 중진의원(重鎭議員)으로 성장(成長)했다. 또한 47번(番) 국도(國道) 우회도로(迂廻道路)를 비롯하여 본인(本人)이 노력(努力)한 SOC 사업(事業)이 모두 착공(着工)되거나 완공(完工)되면서 지역기반(地域基盤)이 더욱 탄탄해졌다.

하지만 박(朴) 의원(議員)은 뇌물수수(賂物收受) 의혹(疑惑)에 휩싸이면서 민주당을 탈당(脫黨)했고, 결과적(結果的)으로 징역형(懲役刑)을 받으면서 정계(政界)를 은퇴(隱退)하게 된다. 그러자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은 2014년(年) 지방선거(地方選擧)에서 남양주시장(南楊州市長)에 출마(出馬)했다가 낙선(落選)한 김한정(金漢正) 후보(候補)를 공천(公薦)하게 된다.

한 편(篇) 새누리당은 지난 총선(總選)에 나왔던 윤재수 당협위원장(黨協委員長)이 물러나고, 2014년(年) 지방선거(地方選擧)에서 도의원(道議員)에 출마(出馬)했다가 낙선(落選)한 김성태(金聖泰) 당협위원장(黨協委員長)을 공천(公薦)했다. 구리시에서 1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을 지냈던 주광덕(朱光德) 전(前) 정무특보(政務特報)의 공천설(公薦說)이 돌기도 했지만 남양주시(南楊州市) 병(病) 선거구(選擧區)가 분리(分離)ㆍ신설(新設)되자 퇴계원 기반(基盤)인 주광덕(朱光德) 전(前) 의원(議員)은 병구로 가게 된다.

국민의당(國民의黨)은 YTN 보도국장(報道局長) 출신(出身)인 표철수 전(前) 경기도(京畿道) 정무부지사(政務副知事)를 공천(公薦)했다. 표(票) 후보(候補)는 김문수(金文洙) 전(前) 경기지사(京畿知事) 밑에서 부지사(副知事)를 지냈기에 보수진영(保守陣營)과도 인연(因緣)이 있었다.

결과적(結果的)으로는 2강(强) 1중(重) 1약(弱)의 구도(構圖)가 되어 김한정(金漢正) 후보(候補)의 당선(當選)으로 마무리되었다.

여담(餘談)으로 새누리당 당선자(當選者) 중(中)에는 이미 '김성태(金聖泰)'가 2명(名)이나 있었는데, 여기서도 김성태(金聖泰) 후보(候補)가 당선(當選)됐다면 김성태(金聖泰)만 3명(名)이 될 뻔했다.
남양주시(南楊州市) 을(乙)
별내동(別內桐), 진접읍, 오남읍, 별내면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68,660
1위(位)
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
59.08%
당선(當選)
2
김용식 (金勇植)
36,526
2위(位)
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
31.43%
낙선(落選)
7
하도겸(兼)(河道兼)
838
4위(位)
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
0.72%
낙선(落選)
8
이석우 (李錫雨)
10,184
3위(位)
8.76%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194,104
투표율(投票率)
60.5%
투표(投票) 수
117,404
무효표(無效票) 수
1,196
21대(代) 총선(總選) 경기(京畿) 남양주시(南楊州市) 을(乙) 개표(開票) 결과(結果)
정당(正當)
격차(隔差)
(1위(位)/2위(位))
투표율(投票率)
(선거인(選擧人)/표수(票數))
후보(候補)
김용식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68,660
(59.08%)
36,526
(31.43%)
10,184
(8.76%)
+ 32,134
(△27.65)
117,404
(60.48%)
별내동(別內桐)
59.47%
33.08%
6.90%
△26.39
61.71
진접읍
57.99%
31.06%
10.27%
△26.94
55.24
오남읍
59.69%
30.48%
9.00%
△29.21
55.57
별내면
55.02%
35.15%
9.00%
△19.87
64.88
후보(候補)
김용식
격차(隔差)
거소(居所)·선상투표(線上投票)
52.36%
26.33%
18.93%
△26.04
관외사전투표(館外事前投票)
64.39%
26.48%
8.00%
△37.92
재외투표(在外投票)
67.07%
27.43%
5.48%
△39.63
현역(現役) 김한정(金漢正) 의원(議員)은 예비후보(豫備候補)로 등록(登錄)하면서 재출마(再出馬)를 선언(宣言)했고, 김봉준 전(前) 청와대(靑瓦臺) 비서관(祕書官)과 경선(競選) 끝에 공천(公薦)을 받았다. [6]

미래통합당(未來統合黨)에서는 안만규 전(前) 여의도연구원(汝矣島硏究院) 자문위원(諮問委員), 이인근 전(前) 경기도의회(京畿道議會) 의원(議員), 이석우 전(前) 남양주시장(南楊州市腸), 이승우(李承雨) 전(前) 국책자문(國策諮問)위 부위원장(副委員長)이 예비후보(豫備候補)로 등록(登錄)했지만, 노원구(蘆原區) 병(病) 당협위원장(黨協委員長)을 지낸 김용식 전(前) 중앙(中央)위 청년분과위원장(靑年分課委員長)이 공천(公薦)을 받게 되었다. 현직(現職) 미래통합당(未來統合黨) 당협위원장(黨協委員長)이던 이석우 전(前) 남양주시장(南楊州市長)은 당(黨) 공천(公薦)에 반발(反撥)해 무소속(無所屬)으로 출마(出馬)를 선언(宣言)했다.

개표(開票) 결과(結果) 김한정(金漢正) 의원(議員)이 여유(餘裕)로운 득표(得票) 차이(差異)로 재선(再選)에 성공(成功)했다. 60%는 넘지 못했지만 이로써 을 지역구(地域區)가 남양주시(南楊州市)에서 가장 민주당(民主黨) 지지(支持) 성향(性向)이 강(强)하고, 이전(移轉) 총선(總選)에서 나타났던 국민의당(國民의黨) 표심(票心)이 호남표(湖南票) 이탈(離脫) 현상(現象)이었음이 증명(證明)되었다. [7] 이석우 전(前) 시장(市長)은 강력(强力)한 지역(地域) 경쟁력(競爭力)을 가지고 있어 보수표(保守票) 분산(分散)이 우려(憂慮)된다는 목소리가 있었으나 그와 관련(關聯) 없이 보수진영(保守陣營)이 전반적(全般的)으로 완패(完敗)했는데, 전임(前任) 시장(市場)의 시정(是正)에 대(對)해 가장 호감(好感)이 덜했던 곳이 을 지역구(地域區)에 몰려있다는 점(點), 통합당(統合黨)의 전략공천(戰略公薦) 대상(對象)이 낙하산(落下傘) 논란(論難) [8] 과 김용식 후보(候補)의 음주운전(飮酒運轉) 논란(論難), 지역구(地域區) 현안파악(懸案把握) 부족(不足) 등(等) 있었다. 게다가 이 전(前) 시장(市長)이 고령(高齡)인데다가 무소속(無所屬)으로 나와서 당선(當選) 가능성(可能性)이 떨어지는지는 것도 한 몫 했다. 그리고 노원구(蘆原區), 강북구와 가까워 이 일대(一帶)에서 이주(移住)해온 민주당(民主黨) 지지층(支持層)들이 많아 과거(過去)부터 보수(保守)의 험지(險地)였다는 점(點) 등(等)이 원인(原因)이다.
남양주시(南楊州市) 을(乙)
별내동(別內桐), 진접읍, 오남읍, 별내면
기호(記號)
이름
득표수(得票數)
순위(順位)
정당(正當)
득표율(得票率)
비고(備考)
1
75,031
1위(位)
zsdkl3gasdg
56.94%
당선(當選)
2
곽관용 (郭寬龍)
53,774
2위(位)
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
40.81%
낙선(落選)
7
안만규 (安萬奎)
2,951
3위(位)
개혁신당 로고타입
2.23%
낙선(落選)
계(界)
선거(選擧)인 수(數)
208,484
투표율(投票率)
63.78%
투표(投票) 수
132,976
무효표(無效票) 수
1,220
22대(代) 총선(總選) 경기(京畿) 남양주(南楊州) 을 개표(開票) 결과(結果)
정당(正當)
격차(隔差)
(1위(位)/2위(位))
투표율(投票率)
(선거인(選擧人)/표수(票數))
후보(候補)
곽관용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75,031
(56.94%)
53,774
(40.81%)
+21,257
(△16.13)
132,976
(63.78%)
별내동(別內桐)
54.87%
42.97%
△11.90
63.62
진접읍
56.50%
41.30%
△15.20
58.68
오남읍
57.55%
40.36%
△17.19
58.17
별내면
55.13%
42.43%
△12.70
67.28
후보(候補)
곽관용
격차(隔差)
거소(居所)·선상투표(線上投票)
54.73%
40.88%
△13.85
관외사전투표(館外事前投票)
63.56%
33.86%
△29.70
재외투표(在外投票)
70.09%
27.41%
△42.68
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
후보(候補)
곽관용
격차(隔差)
전체(全體)
60.1%
37.6%
22.5%p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에서는 현역(現役) 김한정(金漢正) 의원(議員)과 비례대표(比例代表) 김병주(金炳周) 의원(議員) [10] 이 공천장(公薦狀)을 놓고 치열(熾烈)하게 맞붙을 것으로 보인다. 김한정(金漢正) 의원(議員)의 경우(境遇) 공직선거법(公職選擧法) 위반(違反)으로 제(第)20대(代) 국회(國會) , 제(第)21대(代) 국회(國會) 에서 모두 기소(起訴)된 전적(戰績)이 있어 [11] 3선(選) 도전(挑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인지도(認知度)가 있어 경선(競選)까지 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의정활동(議政活動) 평가(評價) 하위(下位) 10% 대상(對象)에 오르며 경선(競選) 통과(通過) 가능성(可能性)은 크게 떨어졌다. 이 외(外)에도 박기춘 전(前) 의원(議員)의 보좌관(補佐官)을 지냈던 이인화 예비후보(豫備候補)가 추가(追加)로 등록(登錄)했다.

결국(結局) 2월(月) 23일(日) 김한정(金漢正) 의원(議員)과 김병주(金炳周) 의원(議員)이 경선(競選)을 치르는 것으로 결정(決定)되었다. 그런데 이인화 후보(候補)가 컷오프를 당(當)해 재심(再審)을 신청(申請)했고 그 결과(結果) 재심(再審)이 인용(引用)되며 이인화 후보(候補)도 경선(競選) 후보(候補)로 추가(追加)되었다. 3월(月) 6일(日) 김병주(金炳周) 의원(議員)이 공천(公薦)을 받게 되었다.

국민의힘(國民의힘) 곽관용 당협위원장(黨協委員長)이 나올 가능성(可能性)이 크다. 그리고 당(黨) 내(內)에 경쟁(競爭)하는 후보(候補)가 없어 2월(月) 15일(日) 단수공천(單數公薦)됐다.

개혁신당(改革新黨) 의 경우(境遇) 신생정당(新生政黨)치고는 이례적(異例的)으로 두 명(名)의 후보(候補)가 일찍이 예비후보(豫備候補) 등록(登錄)을 완료(完了)했다. 국민의힘(國民의힘)을 탈당(脫黨)한 안만규 전(前) 당협위원장(黨協委員長)과 김동문 목사(牧師)가 등록(登錄)했다. 이후(以後) 안만규 전(前) 당협위원장(黨協委員長)이 단수공천(單數公薦)됐다.

진보당(進步黨) 은 김진만 후보(候補)가 출마(出馬)를 선언(宣言)했지만 김병주(金炳周) 의원(議員)과 단일화(單一化)하였다.

개표(開票) 결과(結果) 모든 동(棟)에서 50% 이상(以上)을 득표(得票)한 김병주(金炳周) 후보(候補)가 당선(當選)되었다.
[1] 별내신도시(別內新都市) 와 추후(追後)에 올라갈 왕숙신도시(王宿新都市) 북부(北部) 지역(地域)인 동시(同時)에 4호선(號線) 진접연장선(延長線)의 인근(隣近) 지역(地域)이다. [2] 당시(當時) 별내동(別內桐) 분리(分離) 전(前)이다. [3] 행정동(行政洞) 도농동, 지금동은 2017년(年) 12월(月) 다(多)산동 으로 개칭(改稱) [4] 다만 별내신도시(別內新都市) 남부(南部)와 장현리 이남(以南) 진접읍은 4호선(號線) 이용률(利用率)이 저조(低調)하다. 별내동(別內桐) 남부(南部) 주민(住民)은 대중교통(大衆交通)으로 서울에 갈 일이 있을 땐 경춘선(京春線) 별내역(別內譯) 이나 202번(番) 버스 를 주로(主로) 타고, 내각리 주민(住民)은 경춘선(京春線) 퇴계원역(驛) 이나 707번(番) 버스 를 주로(主로) 이용(利用)한다. [5] 3명(名)의 후보(候補)가 남양주시(南楊州市) 3개(個)의 선거구(選擧區) 중(中) 비교적(比較的) 균등(均等)하게 표(票)를 배분(配分)해 갔는데 국민의당(國民의黨) 후보(候補)의 득표율(得票率)이 가장 높았다. [6] 이 과정(過程)에서 조광한(趙光漢) 남양주시장(南楊州市長)과 김한정(金漢正) 의원(議員)은 원수지간이 된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조광한(趙光漢) 항목(項目)에 서술(敍述)되었다. [7] 다만 그것과는 별개(別個)로 지역구(地域區) 내(內)에서 현직의원인(現職議員人) 김한정(金漢正)에 대(對)해 평가(評價)가 좋은 편(便)은 아니다. [8] 아예 낙하산(落下傘)은 아니다. 김용식 후보(候補)는 노원구(蘆原區) 출신(出身)인데, 남양주시(南楊州市) 을(乙)이 노원구에 인접(隣接)하여 노원구(蘆原區) 출신(出身) 인물(人物)이 꽤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김(金) 후보(候補)가 당협위원장(黨協委員長)을 맡던 곳은 노원구(蘆原區) 병(病) 인데, 자유한국당(自由韓國黨) 시절(時節)에는 노원구(蘆原區) 병(病)에서 출마(出馬) 준비(準備)를 하다가 한국당(韓國黨)과 바른미래당(바른未來黨) 등(等)이 합당(合當)하여 미래통합당(未來統合黨) 이 되면서 이 곳에 오랫동안 활동(活動)하였고 인지도(認知度)도 넘사벽(壁)인 이준석(李俊錫) 과 같은 당(黨)이 되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인접(隣接)한 남양주(南楊州) 을(乙)에 출마(出馬)한 것이다. 그래도 퓨처메이커 명목(名目)으로 연고(緣故)도 없고, 원래(元來) 출마(出馬)를 준비(準備)하던 지역(地域)과 관련(關聯)이 아예 없는 곳에 강제(强制) 배치(配置) 당(當)하거나 아예 출마(出馬) 자격(資格)이 박탈(剝奪) 당(當)한 다른 청년(靑年) 후보(候補)들 보다는 그나마 처지(處地)가 나은 편(便)이다. [9]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 진보당(進步黨) 단일(單一) 후보(候補). [10] 본인(本人)의 유튜브 채널에서 별내(別內) 별(別) 네 개(個)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사용(使用)했다. [11] 특히(特히) 21대(代) 국회(國會)에서의 기소(起訴) 건(件)은 항소심(抗訴審)에서 겨우 감형(減刑)되어 의원직(議員職) 상실(喪失)을 피(避)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