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 - 나무위키

나무위키 : 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305
편집(編輯) 요청(要請)
편집(編輯) 권한(權限)이 부족(不足)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使用者)(이(李))여야 합니다. 해당(該當) 문서(文書)의 ACL 탭 을 확인(確認)하시기 바랍니다.

편집(編輯) 권한(權限)이 부족(不足)한 경우(境遇) 아래의 '편집(編輯) 요청(要請)' 버튼으로 편집(編輯) 요청(要請)을 생성(生成)할 수 있습니다. [편집(編輯) 요청(要請) 도움말]
토론(討論) 역사(歷史)
상위 문서 아이콘 ? 상위(上位) 문서(文書):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
나무위키:로고3
이 문서(文書)는 나무위키의 도움말입니다.

이 문서(文書)는 나무위키 초보자(初步者)를 위한 문서(文書)로, 규정(規定)으로서의 효력(效力)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1 . 개요(槪要) 2 . 'wiki style, dark-style' 문법(文法)을 이용(利用)하는 응용(應用) 텍스트 문법(文法)
2.1 . 텍스트 정렬(整列) 2.2 . 텍스트 자간(者間) 조절(調節) 2.3 . 줄바꿈 기준(基準) 설정(設定) 2.4 . 텍스트 및 셀 배경(背景)의 그라데이션 효과(效果) 2.5 . 글꼴 적용(適用)
3 . 하이퍼링크
3.1 . 앵커(anchor) 3.2 . 제목(題目)에 |, \, #가 쓰이거나 ]로 끝나거나 /로 시작(始作)하는 문서(文書)로 하이퍼링크 걸기
4 . 마크업 미적용(未適用) 텍스트 5 . 들여쓰기 6 . 인용문(引用文)
6.1 . 인용문(引用文)의 정렬(整列) 6.2 . 표(票) 안의 인용문(引用文)
7 . 주석(主席)
7.1 . 고정(固定) 주석(主席)
8 . 매크로
8.1 . pagecount 8.2 . 루비 문자(文字)(ruby)
9 . 테이블 응용(應用) 문법(文法)
9.1 . 테이블 캡션 9.2 . 이미지 / 동영상(動映像) 삽입(揷入) 시(時) 기본(基本) 셀 여백(餘白) 제거(除去) 9.3 . 이미지 삽입(揷入) 시(時) 최대(最大) 넓이값 설정(設定)하기 9.4 . 이미지 삽입(揷入) 시(時) 스케일링 방식(方式) 설정 9.5 . 테이블 여러 개(個) 나란히 배치(配置)하기
9.5.1 . 중앙(中央) 정렬(整列)된 테이블 나란히 배치(配置)하기
10 . 접기의 응용(應用) 11 . 수식(數式) 12 . HTML을 이용(利用)하는 응용(應用) 텍스트 문법(文法)
12.1 . 텍스트 배경(背景) 색상(色相)
12.1.1 . 텍스트 배경(背景) 색상(色相)과 다른 강조(强調) 문법(文法)의 중첩(重疊)
12.2 . 텍스트 그림자 및 네온 효과(效果) 12.3 . 텍스트 외곽선(外郭線) 효과(效果)
13 . 매크로 미지원(未支援) 플랫폼에 동영상(動映像) 삽입(揷入) 14 . 틀
14.1 . 기본(基本) 형식(形式) 14.2 . 심화(深化) 문법(文法) 14.3 . 매개변수(媒介變數)
15 . 클래스 속성(屬性) 삽입(揷入) 16 . 문법(文法) 강조(强調) (syntax highlighting)

1. 개요(槪要) [편집(編輯)]

나무위키의 문법(文法) 중(中) 응용(應用) 문법(文法), 특수한 상황(狀況)에 적용(適用)되는 문법(文法), 난도(難度)가 높은 문법(文法)들을 설명(說明)합니다. 편집(編輯)에 필수적(必須的)으로 필요(必要)한 기본(基本) 문법(文法)들은 상위(上位) 문서(文書) 에 안내(案內)되어 있으니 심화(深化) 문법(文法)을 보기 전(前)에 기초(基礎) 내용(內容)을 먼저 숙지(熟知)하시는 것을 권장(勸奬)합니다.

주의(注意)! 일부(一部) 문법(文法)의 경우(境遇) 모바일에서 복사(複寫) 붙여넣기를 할 시(市) 정상적(正常的)으로 작동(作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wiki style, dark-style' 문법(文法)을 이용(利用)하는 응용(應用) 텍스트 문법(文法) [편집(編輯)]


HTML 의 여러 태그 중(中) <div>의 경우(境遇)만 유일(唯一)하게 div 내 나무마크 내(內) 적용(適用)이 가능(可能)합니다. 기본(基本) 형식(形式)은 아래와 같으며 style="속성(屬性) 목록(目錄)" 다음에 줄바꿈을 생략(省略)하면 정상적(正常的)으로 출력되지 않습니다.
{{{#!wiki style="속성(屬性) 목록(目錄)" dark-style="다크모드 전용(專用) 속성(屬性)"
속성(屬性)이 적용(適用)된 텍스트}}}

속성(屬性) 목록(目錄) 부분(部分)은 " 속성명(聲明)1: 적용사항(適用事項)1; 속성명(聲明)2: 적용사항(適用事項)2; " 와 같은 방식(方式)으로 구성(構成)되며, 각(各) 속성(屬性)의 항목(項目)은 세미콜론 ( ; )으로 끝납니다. 즉(卽), 여러 속성(屬性)끼리는 ; 문자(文字)로 구분(區分)합니다.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에 대(對)해서는 CSS 문서(文書)의 문법(文法) 문단(文段)을 참고(參考)하시기 바랍니다.

다크모드 전용(專用) 속성(屬性)인 dark-style인 경우(境遇) 기존(旣存) 속성(屬性) 목록(目錄)도 그대로 적용(適用)되고 다크모드 모드인 경우(境遇) 추가적(追加的)으로 해당(該當) 속성(屬性)이 적용(適用)됩니다. 기존(旣存) style 속성(屬性)이랑 겹치는 경우(境遇) 다크모드 속성(屬性)이 우선시됩니다.

본 문단(文壇)의 하위(下位) 항목(項目)인 '텍스트 정렬(整列) 및 자간(者間) 조절(調節)', '줄바꿈 기준(基準) 설정(設定)', '텍스트 및 셀 배경(背景)의 그라데이션 효과(效果)' 뿐 아니라, 후술되는 '이미지/동영상(動映像) 삽입(揷入) 관련(關聯) 고급(高級) 문법(文法)', '인용문(引用文) 정렬(整列) 문법(文法)', '접기 시(時) 미관(美觀) 개선용(改善用) 문법(文法)'은 이처럼 HTML의 div 태그에 존재(存在)하는 다양한 속성(屬性)을 나무마크에 호환(互換)시킨 후(後) 나무위키의 필요성(必要性)에 맞게 활용(活用)한 예시(例示)들입니다.

주의(注意) : <div> 태그 내(內)에 나무마크를 적용(適用)하기 위해 분리(分離)하여 사용(使用)했던 이전(移轉) 방식(方式)인 " {{{#!html <div style="속성(屬性) 목록(目錄)">}}} 속성(屬性)이 적용(適用)된 텍스트 {{{#!html </div>}}} " 방식(方式)의 문법(文法)은 더 이상(以上) 사용(使用)할 수 없습니다.

주의(注意) : <div> 태그를 제외(除外)한 HTML의 다른 모든 태그, 특히(特히) <span> 태그를 사용(使用)하는 문법(文法)은 정식(正式) 문법(文法)이 아니며 가능(可能)한 한(限) 사용(使用)을 자제(自制)할 것이 요구(要求)됩니다. {{{#!wiki style= ...}}} 로 시작(始作)하지 않고, {{{#!html ...}}} 로 시작(始作)하는 모든 문법(文法)은 모두 비권장(非勸奬)이라 보시면 됩니다. 이에 관(關)해서는 별도(別途) 문단(文壇) 에서 설명(說明)합니다.

주의(注意) : 모든 CSS 속성(屬性)들이 사용(使用) 가능(可能)한 것은 아닙니다. 일부(一部) CSS 속성(屬性) 및 함수(函數)의 경우(境遇) 보안(保安) 등(等)의 문제(問題)로 인해 지원(支援)하지 않으며, 사용(使用)하려고 해도 속성(屬性)이 적용(適用)되지 않습니다. 이에 대(對)해서는 CSS 문서(文書) 내(內) 나무위키에서 사용(使用) 가능(可能)한 속성(屬性) 문단(文段)을 참고(參考)하시기 바랍니다.

2.1. 텍스트 정렬(整列) [편집(編輯)]

텍스트를 정렬(整列)할 수 있으며 형태(形態), 크기, 색상(色相)과 병용(竝用)할 수 있습니다. 기본(基本)값은 좌측(左側) 정렬(整列)입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중앙(中央)}}}
중앙(中央)

{{{#!wiki style="text-align: left;"
좌측(左側)}}}
좌측(左側)

{{{#!wiki style="text-align: right;"
우측(右側)}}}
우측(右側)

2.2. 텍스트 자간(者間) 조절(調節) [편집(編輯)]

{{{#!wiki style="letter-spacing: 값px;"
텍스트}}}

텍스트의 자간(者間) 을 조절(調節)하여 공간(空間)을 절약(節約)하거나 가독성(可讀性)을 향상(向上)시킬 수 있습니다. 기본(基本)값은 0px입니다.

템플릿 , , 테이블(표(表)) 등(等)에서 미관상(美觀上)의 목적(目的)으로만 사용(使用)하여 주십시오.
입력(入力)
출력(出力)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1.5px입니다.}}}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1.5px입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px;"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1px입니다.}}}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1px입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0.5px입니다.}}}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0.5px입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0px;"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기본(基本)값입니다.}}}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기본(基本)값입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0.5px입니다.}}}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0.5px입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px;"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1px입니다.}}}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1px입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1.5px입니다.}}}
텍스트의 자간(字間)이 -1.5px입니다.

2.3. 줄바꿈 기준(基準) 설정(設定) [편집(編輯)]

틀, 표(票), 인용문(引用文) 박스 등(等) 특정(特定) 영역(領域)의 가장자리에서 텍스트가 줄바꿈 될 때의 기준(基準)을 다음 문법(文法)을 통해 설정(設定)하여 가독성(可讀性)을 향상(向上)시킬 수 있습니다.
{{{#!wiki style="word-break: (조건(條件)값);"
(텍스트)}}}

줄바꿈 조건(條件)값으로 입력(入力)할 수 있는 값에는 다음이 있습니다.
  • normal : 띄어쓰기와 하이픈(-)을 단어(單語) 구분(區分)의 기준(基準)으로 라틴 문자(文字) (로마자(로마字))의 단어(單語) 단위(單位) 줄바꿈
  • keep-all : 띄어쓰기와 하이픈(-)을 단어(單語) 구분(區分)의 기준(基準)으로 모든 문자(文字)(한글 포함(包含))의 단어(單語) 단위(單位) 줄바꿈
  • break-all : 글자(글字) 단위(單位) 줄바꿈

참고(參考) : 이 문법(文法)을 따로 사용(使用)하지 않았을 경우(境遇)의 나무위키 기본(基本)값은 글자(글字) 단위(單位) 줄바꿈( break-all ) 입니다.

이 문법(文法)을 사용(使用)하여 해당(該當) 영역(領域)에서 전체적(全體的)으로 단어(單語) 단위(單位)로 줄바꿈을 적용(適用)할 시(時), 예외적(例外的)으로 일부(一部) 단어(單語)에 대(對)해서만 단어(單語) 내(內) 특정한 위치(位置)에서 줄바꿈을 적용(適用)하려면 그 위치(位置)에 폭(幅) 없는 공백(空白)(Zero Width Space, U+200B) 을 삽입(揷入)하면 됩니다. 폭(幅) 없는 공백(空白)은 그냥 복사(複寫)해서 붙여넣으면 나중에 RAW에서 찾기 어려워지니 {{{#!html &ZeroWidthSpace;}}} 또는 {{{#!html &#8203;}}} 과 같이 HTML을 사용(使用)한 방법(方法)이 좋습니다.

참고(參考) : 해당(該當) 문법(文法)을 둘러보기 틀에 적용(適用)할 경우(境遇) [ 펼치기 · 접기 ]의 margin 문법(文法) 옆에 위치(位置)시킵니다. [1] word-break를 틀 시작(始作) 부분(部分)에 위치(位置)시킬 경우(境遇) 틀 하단(下段)에 불필요(不必要)한 개행(個行)이 발생(發生)해 미관상(美觀上) 좋지 않습니다.


다음은 예시(例示)입니다.
word-break: break-all 사용(使用) (나무위키 기본(基本)값, 글자(글字) 단위(單位)로 줄바꿈)
||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여우를 피(避)해서 호랑이(虎狼이)를 만나다. ||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말은 쉬워도 행동(行動)은 어렵다. || The fish always stinks from the head downwards.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서당(書堂)개 삼(三) 년(年)에 풍월(風月) 읊는다. || The mouse that has but one hole is quickly taken. 구멍 하나 뿐인 쥐는 빨리 잡힌다. ||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 || What'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搖籃)에서 배워 무덤까지 간다. ||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여우를 피(避)해서 호랑이(虎狼이)를 만나다.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말은 쉬워도 행동(行動)은 어렵다.
The fish always stinks from the head downwards.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서당(書堂)개 삼(三) 년(年)에 풍월(風月) 읊는다.
The mouse that has but one hole is quickly taken. 구멍 하나 뿐인 쥐는 빨리 잡힌다.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
What'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搖籃)에서 배워 무덤까지 간다.

word-break: normal 사용(使用) (라틴 문자(文字) 단어(單語) 단위(單位)로 줄바꿈)
{ {{#!wiki style="word-break: normal"
||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여우를 피(避)해서 호랑이(虎狼이)를 만나다. ||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말은 쉬워도 행동(行動)은 어렵다. || The fish always stinks from the head downwards.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서당(書堂)개 삼(三) 년(年)에 풍월(風月) 읊는다. || The mouse that has but one hole is quickly taken. 구멍 하나 뿐인 쥐는 빨리 잡힌다. ||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 || What'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搖籃)에서 배워 무덤까지 간다. || }}}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여우를 피(避)해서 호랑이(虎狼이)를 만나다.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말은 쉬워도 행동(行動)은 어렵다.
The fish always stinks from the head downwards.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서당(書堂)개 삼(三) 년(年)에 풍월(風月) 읊는다.
The mouse that has but one hole is quickly taken. 구멍 하나 뿐인 쥐는 빨리 잡힌다.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
What'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搖籃)에서 배워 무덤까지 간다.

word-break: keep-all 사용(使用) (한글을 포함(包含)한 모든 문자(文字)의 단어(單語) 단위(單位)로 줄바꿈)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여우를 피(避)해서 호랑이(虎狼이)를 만나다. ||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말은 쉬워도 행동(行動)은 어렵다. || The fish always stinks from the head downwards.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서당(書堂)개 삼(三) 년(年)에 풍월(風月) 읊는다. || The mouse that has but one hole is quickly taken. 구멍 하나 뿐인 쥐는 빨리 잡힌다. ||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 || What'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搖籃)에서 배워 무덤까지 간다. || }}}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여우를 피(避)해서 호랑이(虎狼이)를 만나다.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말은 쉬워도 행동(行動)은 어렵다.
The fish always stinks from the head downwards.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서당(書堂)개 삼(三) 년(年)에 풍월(風月) 읊는다.
The mouse that has but one hole is quickly taken. 구멍 하나 뿐인 쥐는 빨리 잡힌다.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
What'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搖籃)에서 배워 무덤까지 간다.

2.4. 텍스트 및 셀 배경(背景)의 그라데이션 효과(效果) [편집(編輯)]

{{{#!wiki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방향(方向)>, #<헥스 코드 1>, #<헥스 코드 2>)"
}}}

이 문법(文法)은 글자(글字)의 배경(背景)에 그라데이션 을 넣는 기능(機能)입니다. (텍스트 뿐만 아니라 테이블의 셀 배경(背景)으로 적용(適用) 또한 가능(可能)함) <헥스 코드 1, 2> 자리에 자신(自身)이 넣고 싶은 여섯 자리의 헥스 코드 들을 찾아서 입력(入力)해 주세요.

그라데이션의 여백(餘白)을 조절(調節)하고 싶다면 위 문법(文法)에 margin: (세로 여백(餘白) 조절(調節) 숫자(數字))px (가로 여백(餘白) 조절(調節) 숫자(數字))px; 을 추가(追加)로 입력(入力)하여 조절(調節)해 주세요.

그라데이션의 크기를 조절(調節)하고 싶다면 위 문법(文法)에 padding: (세로 크기 조절(調節) 숫자(數字))px (가로 크기 조절(調節) 숫자(數字))px; 을 추가(追加)로 입력(入力)하여 조절(調節)해 주세요.

그라데이션의 방향(方向)을 설정(設定)하고 싶다면 <to 방향(方向)> 자리에 to left , to right , to top , to bottom 중(中)에서 하나를 입력(入力)해 주세요.
  • 왼쪽에서 오른쪽: to right
  • 오른쪽에서 왼쪽: to left
  • 위에서 아래: to bottom
  • 아래에서 위: to top
  • 북동쪽(北東쪽) 방향(方向) 대각선(對角線): to top right 또는 to right top
  • 동남쪽(東南쪽) 방향(方向) 대각선(對角線): to bottom right 또는 to right bottom
  • 남서쪽(南西쪽) 방향(方向) 대각선(對角線): to bottom left 또는 to left bottom
  • 북서쪽(北西쪽) 방향(方向) 대각선(對角線): to top left 또는 to left top

그라데이션의 각도(角度)를 세세(細細)하게 조절(調節)하고 싶다면 <to 방향(方向)> 대신(代身) 육십분법(六十分法)으로 <숫자(數字)deg> 나 호도법(弧度法)으로 <숫자(數字)rad> 문법(文法)을 사용(使用)해 보세요. 숫자(數字) 안의 각도(角度)를 소수점(小數點) 아래로 미세(微細)한 조정(調整)이 가능(可能)합니다. 아래는 예시(例示)입니다.
  • 북쪽(北쪽) 방향(方向): 0deg
  • 북동쪽(北東쪽) 방향(方向): 45deg
  • 동쪽(東쪽) 방향(方向): 90deg
  • 남동쪽(南東쪽) 방향(方向): 135deg
  • 남쪽(南쪽) 방향(方向): 180deg
  • 남서쪽(南西쪽) 방향(方向): 225deg
  • 서쪽(西쪽) 방향(方向): 270deg
  • 북서쪽(北西쪽) 방향(方向): 315deg

상기(上記)의 문법(文法)을 동시(同時)에 사용(使用)한 예시(例示)입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FFB9B9, #FFFDBB)"
그라데이션 기능(機能)입니다}}}

그라데이션 기능(機能)입니다


또다른 예시(例示)입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그라데이션 기능(機能)입니다

무지개색(色) 총공격(總攻擊)이다!}}}

그라데이션 기능(機能)입니다

무지개색(色) 총공격(總攻擊)이다!



표(票) 문법(文法) 안에 넣어서 활용(活用)하는 방법(方法)도 있습니다.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A495, #13AD65)"
{{{#FFFFFF '''나무위키'''}}}[br]{{{#FFFFFF '''고유(固有) 컬러'''}}}}}} ||
나무위키
고유(固有) 컬러

헥스 코드를 여러번(番) 입력(入力)하여 색(色)과 색(色) 사이의 경계(境界)를 좀 더 뚜렷하게 만들어 다양한 시도(試圖)를 할 수 있습니다.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AFEEEE, #AFEEEE, #AFEEEE, #AFEEEE, #4682B4, #4682B4, #4682B4, #4682B4)"
{{{#FFFFFF '''안녕(安寧)하세요'''}}}[br][br][br]{{{#FFFFFF '''여러분'''}}}}}} ||
안녕(安寧)하세요
여러분

헥스 코드 바로 오른쪽에 퍼센테이지를 붙여서 각(各) 색(色)이 차지하는 크기 및 비율(比率)을 조절(調節)하는 방법(方法)도 있습니다.
  • linear-gradient(to right, #AFEEEE 65%, #4682B4 80%)"
    #AFEEEE로 시작(始作)하고, 왼쪽에서 65% 지점(支店) 이후(以後)부터 #4682B4로 전환(轉換)되기 시작(始作)한 후(後), 왼쪽에서 80% 지점(地點)부터 순수(純粹)한 #4682B4로 완전히(完全히) 전환(轉換)되어 종료(終了)되는 그라데이션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AFEEEE 65%, #4682B4 80%)"
{{{#FFFFFF '''안녕(安寧)하세요'''}}}[br][br][br]{{{#FFFFFF '''여러분'''}}}}}} ||
안녕(安寧)하세요
여러분
  • linear-gradient(to right, #AFEEEE, #4682B4 60%, #C0D84D)"
    #AFEEEE로 시작(始作)하고, 왼쪽에서 60% 지점(地點)부터 순수(純粹)한 #4682B4로 완전히(完全히) 전환(轉換)된 후(後), #C0D84D로 종료(終了)되는 그라데이션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AFEEEE, #4682B4 60%, #C0D84D)"
{{{#FFFFFF '''안녕(安寧)하세요'''}}}[br]{{{#FFFFFF '''여러분'''}}}}}} ||
안녕(安寧)하세요
여러분

오른쪽 색상(色相)의 지정(指定) 위치(位置)가 왼쪽 색상(色相)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境遇), 그라데이션 효과(效果)가 사라지고 왼쪽 색상(色相)에 지정(指定)한 위치(位置)에서 색(色)이 나누어집니다.
  • linear-gradient(to right, #C9151E 30%, #D1EAFF 0%)
  • linear-gradient(to right, #C9151E 58%, #D1EAFF 57%)
  • linear-gradient(to right, #C9151E 70%, #D1EAFF 70%)
  • linear-gradient(45deg, #C9151E 70%, #D1EAFF 70%)
30%
58%
70%
70%

서로 다른 방향(方向)의 그라데이션을 한 표(票)안에 원(願)할시 linear-gradient(<to 방향(方向)>, #<헥스 코드 1>, #<헥스 코드 2>)를 중첩(重疊)으로 사용(使用)해 만들 수 있습니다.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355c7d, #6c5b7b, transparent 50%), linear-gradient(to top, #f8b195, #f67280, #f64d5f)"
{{{#fff '''중첩(重疊)된'''}}}[br]{{{#fff '''그라데이션'''}}}}}} ||
중첩(重疊)된
그라데이션
퍼센테이지를 적용(適用)할 수 도 있습니다.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355c7d 25%, #6c5b7b 25%, #6c5b7b 50%, transparent 50%), linear-gradient(to top, #f8b195 33%, #f67280 33%, #f67280 66%, #f64d5f 66%)"
{{{#fff '''중첩(重疊)된'''}}}[br]{{{#fff '''그라데이션'''}}}}}} ||
중첩(重疊)된
그라데이션

반복(反復)되는 그라데이션을 원(願)할시 linear-gradient앞에 repeating-을 붙여 구현(具現)할 수 있습니다.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1f719a 6%, #1f719a 12%, #2abdc3 12%, #2abdc3 18%, #fff6ee 18%, #fff6ee 24%)"
{{{#0e284c '''반복(反復) 그라데이션'''}}}}}} ||
반복(反復) 그라데이션
반복(反復) 그라데이션
반복(反復) 그라데이션

rgba(R, G, B, A) 등(等) 투명도(透明度)를 지정(指定)하면 그라데이션끼리 중첩도(重疊度) 가능(可能)합니다.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color: hsl(34, 53%, 82%); background: linear-gradient(0deg, rgba(255, 255, 255, 0.875), rgba(255, 255, 255, 0.875)),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transparent 5px, hsla(197, 62%, 11%, 0.5) 5px, hsla(197, 62%, 11%, 0.5) 10px, hsla(5, 53%, 63%, 0) 10px, hsla(5, 53%, 63%, 0) 35px, hsla(5, 53%, 63%, 0.5) 35px, hsla(5, 53%, 63%, 0.5) 40px, hsla(197, 62%, 11%, 0.5) 40px, hsla(197, 62%, 11%, 0.5) 50px, hsla(197, 62%, 11%, 0) 50px, hsla(197, 62%, 11%, 0) 60px, hsla(5, 53%, 63%, 0.5) 60px, hsla(5, 53%, 63%, 0.5) 70px, hsla(35, 91%, 65%, 0.5) 70px, hsla(35, 91%, 65%, 0.5) 80px, hsla(35, 91%, 65%, 0) 80px, hsla(35, 91%, 65%, 0) 90px, hsla(5, 53%, 63%, 0.5) 90px, hsla(5, 53%, 63%, 0.5) 110px, hsla(5, 53%, 63%, 0) 110px, hsla(5, 53%, 63%, 0) 120px, hsla(197, 62%, 11%, 0.5) 120px, hsla(197, 62%, 11%, 0.5) 140px), repeating-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5px, hsla(197, 62%, 11%, 0.5) 5px, hsla(197, 62%, 11%, 0.5) 10px, hsla(5, 53%, 63%, 0) 10px, hsla(5, 53%, 63%, 0) 35px, hsla(5, 53%, 63%, 0.5) 35px, hsla(5, 53%, 63%, 0.5) 40px, hsla(197, 62%, 11%, 0.5) 40px, hsla(197, 62%, 11%, 0.5) 50px, hsla(197, 62%, 11%, 0) 50px, hsla(197, 62%, 11%, 0) 60px, hsla(5, 53%, 63%, 0.5) 60px, hsla(5, 53%, 63%, 0.5) 70px, hsla(35, 91%, 65%, 0.5) 70px, hsla(35, 91%, 65%, 0.5) 80px, hsla(35, 91%, 65%, 0) 80px, hsla(35, 91%, 65%, 0) 90px, hsla(5, 53%, 63%, 0.5) 90px, hsla(5, 53%, 63%, 0.5) 110px, hsla(5, 53%, 63%, 0) 110px, hsla(5, 53%, 63%, 0) 140px, hsla(197, 62%, 11%, 0.5) 140px, hsla(197, 62%, 11%, 0.5) 160px );"
투명도(透明度) 그라데이션}}} ||
투명도(透明度) 그라데이션
원(圓) 모양(模樣)의 그라데이션을 원(願)할시 다음과 같이 입력(入力)해 출력(出力)할 수 있습니다.
{{{#!wiki style="background: radial-gradient(circle at (위치)% (높이)%, #<헥스 코드 1>, #<헥스 코드 2>)"}}}
  • 위치(位置): 0%일시(一時) 원(圓)의 중심(中心)이 최좌측(左側), 100%일시(一時) 원(圓)의 중심(中心)이 최우측(右側)
  • 높이: 0%일시(一時) 원(圓)의 중심(中心)이 최상단(最上端), 100%일시(一時) 원(圓)의 중심(中心)이 최하단(最下團)
예시(例示)

위치(位置) 50%
높이 50%
크기 50%



위치(位置) 0%
높이 50%
크기 50%



위치(位置) 50%
높이 0%
크기 50%


마찬가지로 위의 linear-gradient와 혼용(混用)하여 사용가능(使用可能)합니다.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radial-gradient(circle at 50% 0%, #000 30%, transparent 30%), linear-gradient(to top, #000, #808080)"
[br]'''{{{#fff 위치(位置) 50%[br]높이 0%[br]크기 30%}}}'''[br][br]}}} || 

위치(位置) 50%
높이 0%
크기 30%



코닉(극좌표(極座標)) 그라데이션을 사용(使用)하면 파이 모양(模樣) 그래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일부(一部) 브라우저는 코닉 그라데이션을 표시(表示)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 conic-gradient(gray 70%, transparent 0)
  • conic-gradient(gray 30%, transparent 0)

70%
30%

2.5. 글꼴 적용(適用) [편집(編輯)]

{{{#!wiki style="font-family: serif"
나무위키}}}
나무위키
  • font-family: 글꼴
위(位) 속성(屬性)을 사용(使用)해 텍스트에 글꼴을 적용(適用)시킬 수 있습니다.
주의(注意) : 기기(機器)에 따라 글꼴이 적용(適用)되지 않은 채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特히) 모바일에서 이런 문제(問題)가 다수(多數) 나타납니다.

위키 스타일 문법(文法)의 특성상(特性上) 개행(個行)이 필수적(必須的)이기에 개행(行)할 수 없는 문법(文法)(문단(文壇) 문법(文法) 등(等).) 내(內)에 글꼴을 적용(適用)할 때에는 불가피(不可避)하게 HTML 문법(文法)을 사용(使用)하여야만 합니다. [2]

3. 하이퍼링크 [편집(編輯)]

3.1. 앵커(anchor) [편집(編輯)]

[anchor()] 문법(文法)을 사용(使用)하면 현재(現在) 문서(文書) 또는 다른 문서(文書)의 임의(任意)의 위치(位置)로 하이퍼링크를 걸 수 있습니다.

우선(于先), 먼저 해야 할 일은 링크를 걸어 이동시키고자 하는 현재(現在) 문서(文書) 또는 다른 문서(文書)의 특정(特定) 위치(位置)(도착점(到着點))에 앵커를 삽입(揷入)하는 것입니다. 링크를 보내고자 하는 곳에 아래와 같이 앵커를 넣어줍니다.
예시(例示)) [anchor(아무개)]

그 다음 링크를 걸 곳(출발점(出發點))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方法)으로 링크를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문단(文段) 링크 문법(文法)과는 #뒤에 's-문단명(文壇名)' 대신(代身) 앵커 이름이 온다는 점(點)만 다릅니다.
사용법(使用法)
출력(出力)
설명(說明)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아무개]]
특정(特定) 문서(文書)의 해당(該當) 앵커가 있는 위치(位置)로 하이퍼링크를 겁니다.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아무개|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아무개]]
[[#아무개]]
같은 문서(文書) 내(內)의 해당(該當) 앵커가 있는 위치(位置)로 하이퍼링크를 겁니다.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아무개|물론(勿論) 링크와 출력(出力)이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습니다.]]
링크와 출력(出力)이 서로 다른 앵커 문법(文法)입니다.
[[#아무개|나아가 같은 문서(文書)로도요.]]

한편(한便), 특정한 위치(位置)에 자동(自動)으로 생성(生成)되는 앵커도 있습니다.
  • 모든 목차(目次)에는 'toc'이라는 앵커가 있습니다. [[문서명(門署名)#toc]] 을 사용(使用)하면 해당(該當) 문서(文書)의 목차(目次) 로 이동(移動)하는 링크가 생깁니다. 예시(例示))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toc
  • 모든 문단(文壇)에는 s-문단번호(文壇番號) 앵커와 문단(文壇)이름 앵커가 있습니다. [[문서명(門署名)#s-n]] 을 사용(使用)하면 해당(該當) 문서(文書)의 n번째(番째) 문단(文段) 으로 이동(移動)하는 링크가 생깁니다. 또한 [[문서명(門署名)#문단(文壇) 이름]] 을 사용(使用)하면 해당(該當) 문서(文書)의 해당(該當) 문단(文壇) 으로 이동(移動)하는 링크가 생깁니다. 문단(文段)을 추가(追加)하거나 삭제(削除)하면 문단번호(文壇番號)가 변화(變化)하니 문단번호(文壇番號) 앵커는 쉽게 변(變)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단(文壇)이름은 변(變)하는 경우(境遇)가 상대적(相對的)으로 적어 더 안정적(安定的)입니다. 물론(勿論) 문단(文壇)이름도(度) 변(變)할 수 있어서 완전(完全)한 것은 아닙니다. 예시(例示))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s-1 ,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개요(槪要)
  • 모든 각주(脚註)에는 fn-각주번호(各州番號) 또는 fn-각주(各州)이름 앵커가 있습니다. [[문서명(門署名)#fn-n]] 을 사용(使用)하면 해당(該當) 문서(文書)의 n번째(番째) 각주(各州) 로 이동(移動)하는 링크가 생기고, [[문서명(門署名)#fn-A]] 을 사용(使用)하면 해당(該當) 문서(文書)의 A라는 각주(脚註)로 이동(移動)하는 링크가 생깁니다. 예시(例示))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fn-1 ,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fn-A
  • 모든 각주(脚註)가 삽입(揷入)된 본문(本文)에는 rfn-각주번호(各州番號) 앵커가 있습니다. [[문서명(門署名)#rfn-n]] 을 사용(使用)하면 해당(該當) 문서(文書)의 n번째(番째) 각주(脚註)가 삽입(揷入)된 곳 으로 이동(移動)하는 링크가 생깁니다. 여기에는 각주번호(各州番號)가 아닌 각주(各州)이름은 사용(使用)할 수 없습니다. 예시(例示))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rfn-1 ,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rfn-2
  • 분류(分類) 문서(文書)의 속(屬)한 문서(文書) 목록(目錄)에는 category-'이름공간(空間)' 앵커가 있습니다. 하위(下位) 분류(分類)에는 category-분류(分類) 앵커가 있습니다.

단(單), 나무위키 스킨 설정 에서 '고정형(固定型) 내비게이션 바'를 사용(使用)하는 경우(境遇) 해당(該當) 기능(機能) 특성상(特性上) 앵커 이동(移動) 위치(位置)의 내용(內容)이 가려지는 현상(現象)이 발생(發生)합니다.
[A]

같은 이름을 가진 문단(文段)이 2개(個) 이상(以上) 있을시, 앵커가 적용(適用)되지 않으니 #s-문단번호(文壇番號) 방식(方式)으로 링크해야합니다.

3.2. 제목(題目)에 |, \, #가 쓰이거나 ]로 끝나거나 /로 시작(始作)하는 문서(文書)로 하이퍼링크 걸기 [편집(編輯)]

기술적(技術的)인 문제(問題)로 일반적(一般的)인 하이퍼링크 문법(文法)으로는 해당(該當) 문서(文書)로 통하는 정상적(正常的)인 하이퍼링크를 만들 수 없습니다. 이럴 때는 해당(該當) 문자(文字) 앞에 \ (백슬래시)를 넣어 줘야 합니다. 단(但), 한글 윈도우에서는 백슬래시 기호(畿湖)가 원화(원貨) 기호(記號)로 보인다는 점(點)을 기억(記憶)하세요. #나 맨 끝의 ]가 제목(題目)에 들어간 문서(文書)에 한해서 맨 끝에 #를 넣어 줘도 됩니다.

다른 편집자(編輯者)를 위(爲)해서 틀:링크시(視) 주의(注意) 를 달아 줘도 됩니다. 해당(該當) 틀을 작성(作成)할 때 위키 문법상 \를 2개(個) 더 입력(入力)해야 안내문(案內文)에 \가 정상적(正常的)으로 출력(出力)이 되니 유의(留意)하십시오.

단(單), /는 예외적(例外的)으로 \를 앞에 입력(入力)해도 정상(頂上) 출력(出力)이 안 됩니다. 이때는 [[문서(文書):(/으로 시작(始作)하는 문서명(文書名))]] 과 같이 디폴드 이름공간(空間)인 " 문서(文書): "를 붙이시면 됩니다. [4] 여러 편법(便法)들 [5] 을 이용(利用)할 수도 있지만 문서(文書) 이름공간(空間)을 붙이는 것이 정석(定石)이면서도 훨씬 더 편리(便利)합니다.
예시(例示)
입력(入力)
출력(出力)
[[\\]]
[[##]] 또는 [[\#]]
[[[12:00]#]] 또는 [[[12:00\]]]
[[[\X\]]]
[[\#1 to Infinity]]
[[#1 to Infinity#s-2]] [6]
[[S\#ARP]] 또는 [[S#ARP#]]
[[\#fanPD Studio]]
[[문서(文書):/// (너 먹구름 비)|/// (너 먹구름 비)]]

4. 마크업 미적용(未適用) 텍스트 [편집(編輯)]

일반(一般) 텍스트 사이에 코드를 넣거나, 해당(該當) 텍스트에 마크업 이 적용(適用)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7]
입력(入力)
{{{텍스트}}}
결과(結果)
텍스트

"{{{"와 "}}}"안에 들어간 텍스트는 마크업이 적용(適用)되지 않고, 이렇게 고정폭(固定幅) 글꼴 로 표시(標示)됩니다. 텍스트 사이에 코드를 넣는 경우(境遇)나 이 문법(文法) 도움말 문서(文書)처럼 특정(特定) 마크업을 설명(說明)할 때 사용(使用)됩니다.


주의(注意) : 기술적(技術的)인 문제(問題)로 인해 "{{{"와 "}}}" 사이에 "{" 또는 "}"를 3개(個) 이상(以上) 연속(連續)으로 사용(使用)할 수 없습니다. {, {{, }, }}는 정상적(正常的)으로 출력되며, 사이에 띄어쓰기가 있는 경우(境遇)에도 정상적(正常的)으로 출력됩니다. 다만 중괄호(中括弧)를 열고 닫는 것이 짝이 맞는 경우(境遇)엔 작동(作動)합니다. 시연(試演)

참고(參考) : 한 문자(文字)에만 마크업을 적용(適用)되지 않게 하려면 그 문자(文字) 바로 앞에 \(역(逆)슬래시)를 넣으면 됩니다. 문법(文法) 도움말 기본편(基本便) 참조(參照) .
텍스트를 들여쓰고자 할 경우(境遇), 줄 앞에 띄어쓰기(공백(空白))을 하나 이상(以上) 입력(入力)합니다. 들여쓴 텍스트 내(內)에서 또 들여쓰고자 할 경우(境遇), 입력(入力)했던 공백(空白)보다 더 많은 공백(空白)을 입력(入力)합니다.

주의(注意) : 들여쓴 단계(段階)에 따라 줄 앞에 입력(入力)한 공백(空白)의 개수(個數)는 일정하게 유지(維持)해주십시오.

입력(入力)
출력(出力)
들여쓰지 않은 텍스트
들여쓴 텍스트 (단계(段階) 1)
○○ 들여쓴 텍스트 (단계(段階) 2)
○○○ 들여쓴 텍스트 (단계(段階) 3)
○○○○ 들여쓴 텍스트 (단계(段階) 4)
들여쓰지 않은 텍스트
들여쓴 텍스트 (단계(段階) 1)
들여쓴 텍스트 (단계(段階) 2)
들여쓴 텍스트 (단계(段階) 3)
들여쓴 텍스트 (단계(段階) 4)
은 띄어쓰기를 나타냅니다.

다른 단계(段階)의 들여쓰기는 서로 다른 문단(文段)으로 여기게 되어 가로로 들여쓰기가 됨과 동시(同時)에 문단(文壇)끼리 세로 여백(餘白)이 생기게 됩니다.

6. 인용문(引用文) [편집(編輯)]

6.1. 인용문(引用文)의 정렬(整列) [편집(編輯)]

인용문(引用文)은 기본적(基本的)으로 왼쪽 정렬(整列)이며 오른쪽이나 가운데 정렬(整列)을 하고 싶다면 틀 안에 넣고 그 틀을 정렬(整列)하는 방식(方式)으로 가능(可能)합니다. 표(票)에 넣고 그 표(票)를 정렬(整列)하는 식(式)은 버그가 있는데, 아래 버그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세요.

입력(入力)

> 좌측(左側) 정렬(整列) 인용문(引用文)[br](기본(基本)값)

{{{#!wiki style="margin:0px auto;display:table"
> 중앙(中央) 정렬(整列) 인용문(引用文)}}}

{{{#!wiki style="float:right"
> 우측(右側) 정렬(整列) 인용문(引用文)}}}[clearfix]



출력(出力)
좌측(左側) 정렬(整列) 인용문(引用文)
(기본(基本)값)

중앙(中央) 정렬(整列) 인용문(引用文)

우측(右側) 정렬(整列) 인용문(引用文)

6.2. 표(票) 안의 인용문(引用文) [편집(編輯)]

2020년(年) 12월(月) 기준(基準), 일부(一部) 브라우저에서 표(票) 내부(內部)에서 인용문(引用文) 문법(文法)을 사용(使用)하면 폭(幅) 구현(具現)이 제대로 안되는 버그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인용문(引用文) 안에 강제(强制)로 여백(餘白)을 넣는 틀을 사용(使用)하고 내용(內容)을 입력(入力)하는 식(式)으로 임시적(臨時的)인 해결(解決)이 가능(可能)합니다.
입력(入力)
출력(出力)
표(表) 안에 그냥 인용문(引用文)을 넣을 경우(境遇)
> 인용문(引用文)
아래와 같이 점선(點線) 안이(安易) 쪼그라 듦.
인용문(引用文)
여백(餘白)을 주는 틀을 이용(利用)하는 경우(境遇).

>{{{#!wiki style="margin:1em"
인용문(引用文)}}}
  • margin은 padding과 바꾸어도 동일(同一)한 결과(結果).
  • 값(1em)은 2021년(年) 시점(時點) [8] 기준(基準) 나무위키 기본(基本) 스킨 엔진의 값.
인용문(引用文)

7. 주석(主席) [편집(編輯)]

위키 문서(文書) 내(內)에 출력되지 않는, 편집자(編輯者)만 읽을 수 있는 주석(註釋)을 달 수 있습니다. 줄 시작시(始作時) ## 를 입력(入力)하고 내용(內容)을 적습니다. 그 줄에 해당(該當)하는 내용(內容)은 출력시(出力時) 없는 줄로 처리(處理)됩니다.

※ 문단(文壇) 편집(編輯)을 눌러서 확인(確認)해 보세요.
입력(入力)
출력(出力)
## 내용(內容)
## 주석(主席)입니다.
가나다라
## 주석(主席)은 페이지에 출력되지 않습니다.
마바사(使)아
## 토론(討論)에서도 주석(註釋)이 적용(適用)됩니다.
자차카타
가나다라
마바사(使)아
자차카타

편집자(編輯者)의 실수(失手)로 인한 잘못된 수정(修正)이 잦을 경우(境遇) 대상(對象)의 근처(近處)에 넣으면 좋지만, 주석(朱錫)을 넣었음에도 길이가 긴 줄 글의 경우(境遇) 주석(主席)의 주목도(注目度)가 낮아 못보는 경우(境遇)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1. 주목도(注目度)가 높은 색(色)이 있는 이모지를 넣거나 2. 주석(主席) 위아래로 주석(朱錫)을 넣은 빈줄을 넣어, 주목도(注目度)를 더욱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 ?? Check Mark 같은 몇몇 특문(特文)은 환경(環境)에 따라 색(色)이 없기도 합니다.( https://emojipedia.org/check-mark 참조(參照)바람)
    아래 예시(例示)들은 모든 환경(環境)에서 색(色)이 넣어져 있음이 보장(保障)됩니다.
  • ?? Large Orange Diamond
  • ?? Large Blue Diamond
  • ??Red Triangle Pointed Up
  • ??Red Triangle Pointed Down
  • ? Hollow Red Circle
  • ? Cross Mark
  • ? Red Exclamation Mark
활용(活用) 예시(例示)
입력(入力)
## ?????? ㄱ 국적(國籍)은 오보임
... A는 ㄴ 국적(國籍)의 선수(選手)다. 
## ?????? 
## ㄱ 국적(國籍)은 오보임
## ?????? 
... A는 ㄴ 국적(國籍)의 선수(選手)다. 
##
## ?????? ㄱ 국적(國籍)은 오보임
##
... A는 ㄴ 국적(國籍)의 선수(選手)다. 
출력(出力)
... A는 ㄴ 국적(國籍)의 선수(選手)다.

편집기(編輯機) 버그: 편집기(編輯機)에서 ##의 앞에 한 칸 이상(以上) 띄워져 있으면 주석(主席)이 적용(適用)되지 않고 정상적(正常的)으로 출력되지만, 편집기(編輯機) 상(上)에서는 주석(朱錫)이 적용(適用)된 것처럼 초록색(草綠色)으로 표시(標示) 됩니다.
입력(入力)
편집기(編輯機)
출력(出力)
가나다라
 ## 주석(主席) 앞 띄어쓰기
마바사(使)아
가나다라
## 주석(主席) 앞 띄어쓰기
마바사(使)아
가나다라
## 주석(主席) 앞 띄어쓰기
마바사(使)아

7.1. 고정(固定) 주석(主席) [편집(編輯)]

##@ 를 입력(入力)하고 원(願)하는 내용(內容)을 작성(作成)하면 해당(該當) 내용(內容)을 편집(編輯) 페이지 최상단(最上端)에 고정(固定)할 수 있습니다.
  • 관련(關聯) 기초(基礎) 문법(文法) : 매크로 기초(基礎) 문법(文法) (date/datetime, br, include, table of contents(목차(目次)), footnote(각주(脚註)), age(나이), dday(남은 날))
[pagecount] 로 호출(呼出)할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에 존재(存在)하는 문서(文書) 개수(個數)를 출력(出力)합니다. 정수(精髓)값으로 출력됩니다.

[pagecount(이름공간(空間))] 과 같이 인수(引受)를 첨가(添加)하면 특정(特定) 이름공간(空間)의 문서(文書) 개수(個數)만을 확인(確認)할 수 있습니다. 일반(一般) 문서(文書)는 '문서(文書)'로 이름공간(空間)을 정(定)하면 됩니다.
유형(類型)
입력(入力)
출력(出力)
전체(全體)
[pagecount]
6208498
문서(文書) 이름공간(空間)(일반(一般) 문서(文書))
[pagecount(문서(文書))]
1444944
틀 이름공간(空間)
[pagecount(틀)]
68382
분류(分類) 이름공간(空間)
[pagecount(분류(分類))]
164407
파일 이름공간(空間)
[pagecount(파일)]
4068318
사용자(使用者) 이름공간(空間)
[pagecount(사용자(使用者))]
456356 [9]
특수기능(特殊機能) 이름공간(空間)
[pagecount(특수기능(特殊機能))]
0
나무위키 이름공간(空間)
[pagecount(나무위키)]
2227
토론(討論) 이름공간(空間)
[pagecount(토론(討論))]
0
휴지통(休紙桶) 이름공간(空間)
[pagecount(휴지통(休紙桶))]
1233
투표(投票) 이름공간(空間)
[pagecount(투표(投票))]
0
파일휴지통(休紙桶) 이름공간(空間)
[pagecount(파일휴지통(休紙桶))]
920
위키운영(運營) 이름공간(空間)
[pagecount(위키운영(運營))]
22
템플릿 이름공간(空間)
[pagecount(템플릿)]
1689
시스템 이름공간(空間)
[pagecount(시스템)]
0

여기서 정식(正式) 이름공간(空間)이 아닌 인수(引受)를 쓸 경우(境遇) 모든 문서(文書)의 개수(個數)가 출력됩니다.
입력(入力)
출력(出力)
[pagecount(더미)] [10]
6208498

8.2. 루비 문자(文字)(ruby) [편집(編輯)]

루비 문자(文字) ( 후리가나 )를 입력(入力)합니다. 단(單), 매크로내(內) 컬러 지정(指定)은 윗첨자에만 적용(適用)됩니다. 이 매크로는 Ruby 코딩 용도(用途)로 사용(使用)할 수 없습니다. [11]

예시(例示)
[ruby(글자(글字),ruby=루비,color=red)]
글자(글字) ( 루비 )

9. 테이블 응용(應用) 문법(文法) [편집(編輯)]

9.1. 테이블 캡션 [편집(編輯)]

테이블에 캡션을 달 수 있습니다.

|캡션| 테이블 || 내용(內容) ||

캡션
테이블
내용(內容)

테이블의 첫 셀을 구성(構成)하는 | | 사이에 캡션을 입력(入力)합니다.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동영상(動映像)을 캡션으로 넣을 수도 있습니다.

주의(注意) : 캡션 내(內)에서 [[내용(內容)|출력(出力)]] 형태(形態) 링크를 쓰면 문법(文法)이 깨질 수 있습니다. 또한 2019년(年) 2월(月) 현재(現在) 편집(編輯) 중(中) 미리보기를 할 때는 캡션이 회색(灰色)으로 보이며 표(票) 위가 아닌 밑으로 내려오는 버그가 존재(存在)합니다.
주의(注意) : 이미지와 동영상(動映像)의 경우(境遇), border를 포함(包含)한 테이블의 width이 이미지나 동영상(動映像)의 width(youtube 영상(映像)은 기본(基本) 640) 이상(以上)이여야 영상(映像)이 짤리지 않습니다.

9.2. 이미지 / 동영상(動映像) 삽입(揷入) 시(時) 기본(基本) 셀 여백(餘白) 제거(除去) [편집(編輯)]

이미지 또는 동영상(動映像)과 같은 콘텐츠를 셀 안에 삽입(揷入)할 때 생기는 상하(上下) 5px, 좌우(左右) 10px의 기본(基本) 셀 여백(餘白)을 <nopad> 가 아닌 다음 문법(文法)으로도 제거(除去)할 수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

-10px"까지 쓰고 반드시 줄을 바꿔줘야 합니다.
가끔씩 상하(上下)에 -4px의 기본(基本) 여백(餘白)을 제거(除去)해야 되는 경우(境遇)도 있습니다.

아래는 예시(例示)입니다.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red><table bgcolor=yellow> [[파일:나무위키:로고1.png|width=100%]] ||

문법(文法)을 적용(適用)하지 않은 이미지.
테두리(빨간색(빨간色)) 안에 상하(上下) 5px, 좌우(左右) 10px의 기본(基本) 여백(餘白)(노란색(노란色)) 발생(發生).
나무위키:로고1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red><table bgcolor=yellow>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무위키:로고1.png|width=100%]]}}} ||

문법(文法)을 적용(適用)한 후(後).
나무위키:로고1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red><table bgcolor=yello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NQXAC9IVRw)]}}} ||

동영상(動映像)에 적용(適用).

9.3. 이미지 삽입(揷入) 시(時) 최대(最大) 넓이값 설정(設定)하기 [편집(編輯)]

이미지를 셀 안에 삽입(揷入)할 때 기본(基本) 넓이 100%를 설정(設定)한 상태(狀態)에서 최대(最大) 넓이를 적용(適用)하시려면 다음 문법(文法)을 이용(利用)해 설정(設定)하실 수 있습니다.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x-width: 값px;"
}}}
max-width: 값px;"까지 쓰고 반드시 줄을 바꿔줘야 합니다.
그리고 display:inline-block;를 삭제(削除)하시면 이미지가 무조건(無條件) 왼쪽으로 정렬(整列)됩니다.

다만 위 문법(文法)은 가끔식(式) 원(願)하는 넓이 값이 안 나오는 경우(境遇)가 있습니다. 해당(該當) 경우(境遇) 아래의 문법(文法)을 사용(使用)해보시길 바랍니다.
{{{#!wiki style="display:block; margin:0 auto; max-width: 값px;"
}}}
다만 위 문법(文法)인 경우(境遇) 이미지를 가운데로 정렬(整列)시키며 만약(萬若)에 이미지를 오른쪽으로 정렬(整列)해야 하는 경우(境遇)에는 margin 값에 '0 0 0 auto'를 주시면 됩니다. 왼쪽으로 정렬(整列)해야 하는 경우(境遇)는 margin 값에 '0 auto 0 0'를 주시면 됩니다.

아래는 예시(例示)입니다.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red><table bgcolor=yellow> [[파일:나무위키:로고1.png|width=100%]] ||

문법(文法)을 적용(適用)하기 전(前).
나무위키:로고1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red><table bgcolor=yellow>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x-width: 400px;"
[[파일:나무위키:로고1.png|width=100%]]}}} ||

문법(文法)을 적용(適用)한 후(後).
나무위키:로고1

9.4. 이미지 삽입(揷入) 시(時) 스케일링 방식(方式) 설정 [편집(編輯)]

주의(注意) : 웹 브라우저 에 따라서 호환성(互換性) 차이(差異) 가 있을 수 있습니다.

CSS 표준(標準)에서 규정(規定)한 image-rendering 속성(屬性)을 이용(利用)하여 웹 브라우저 가 이미지를 스케일링 할 때에 쓰는 알고리즘을 지정(指定)할 수 있습니다.
{{{#!wiki style="image-rendering: [설정(設定)값];"
}}}

사용(使用) 가능(可能)한 설정(設定)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auto : 웹 브라우저의 기본(基本) 스케일링 방식(方式)을 적용(適用)합니다.
  • crisp-edges : 스케일링 과정(過程)에서 계단(階段) 현상(現象)을 제거(除去)합니다.
  • smooth : 스케일링 과정(過程)에서 계조(界調)를 매끄럽게 합니다. 일반적(一般的)인 수준(水準)의 결과물(結果物)이 나옵니다.
  • high-quality : 스케일링 과정(過程)에서 계조(界調)를 매끄럽게 합니다. smooth 값에 비해서 더욱 정밀(精密)한 스케일링 작업(作業)이 이루어집니다. 웹 브라우저의 렌더링 성능(性能)에 영향(影響)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注意)해서 사용(使用)하세요!
  • pixelated : 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통해 스케일링이 이루어집니다. 화질(畫質)에 어떠한 영향(影響)도 끼치지 않습니다.

별도(別途)로 설정(設定)하지 않을 경우(境遇)에는 기본(基本)값인(人) auto로 설정(設定)됩니다.

아래는 예시(例示)입니다.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red><table bgcolor=yellow> {{{#!wiki style="margin: -5px -10px; image-rendering: high-quality;"
[[파일:나무위키:로고1.png|width=100%]]}}} ||
image-rendering 값을 high-quality로 설정(設定)할 때
나무위키:로고1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red><table bgcolor=yellow> {{{#!wiki style="margin: -5px -10px; image-rendering: pixelated;"
[[파일:나무위키:로고1.png|width=100%]]}}} ||
image-rendering 값을 pixelated로 설정(設定)할 때
나무위키:로고1

9.5. 테이블 여러 개(個) 나란히 배치(配置)하기 [편집(編輯)]

<tablealign> 문법(文法)을 사용(使用)하여 테이블을 두 개(個) 이상(以上) 가로로 나란히 배치(配置)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 경우(境遇) wiki 문법(文法)을 사용(使用)할 수 있습니다.

예(例)를 들어, 1번(番) 테이블과 2번(番) 테이블을 동시(同時)에 배치(配置)해야 하는 경우(境遇), 표(票) 간 개행(行)을 하면 다음과 같이 2번(番) 테이블이 개행(個行)되어 출력됩니다.
문법(文法)
[ 문법(文法)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right> '''1번(番) 테이블''' ||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
||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
|| [[로렘 입숨|Lorem ipsum, dolor sit amet.]] ||

||<tablealign=right> '''2번(番) 테이블''' ||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
||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
|| [[로렘 입숨|Lorem ipsum, dolor sit amet.]] ||
결과(結果)
1번(番) 테이블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2번(番) 테이블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표(票) 간 개행(行)을 하지 않으면 두 테이블이 붙어버리므로 2번(番) 테이블의 <tablealign=right> 문법(文法)은 무효화(無效化)됩니다.
문법(文法)
[ 문법(文法)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right> '''1번(番) 테이블''' ||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
||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
|| [[로렘 입숨|Lorem ipsum, dolor sit amet.]] ||
||<tablealign=right> '''2번(番) 테이블''' ||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
||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
|| [[로렘 입숨|Lorem ipsum, dolor sit amet.]] ||
결과(結果)
1번(番) 테이블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tablealign=right> 2번(番) 테이블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첫 번째(番째) 혹은(或은) 모든 테이블에 대(對)해 wiki 문법(文法)을 사용(使用)해 감싸면 개행(個行)을 방지(防止)하면서 여러 테이블을 나란히 배치(配置)할 수 있습니다.
문법(文法)
[ 문법(文法) 펼치기 · 접기 ]
{{{#!wiki
||<tablealign=right> '''1번(番) 테이블''' ||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
||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
|| [[로렘 입숨|Lorem ipsum, dolor sit amet.]] ||}}}
||<tablealign=right> '''2번(番) 테이블''' ||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
||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
|| [[로렘 입숨|Lorem ipsum, dolor sit amet.]] ||
결과(結果)
1번(番) 테이블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2번(番) 테이블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9.5.1. 중앙(中央) 정렬(整列)된 테이블 나란히 배치(配置)하기 [편집(編輯)]

여러 테이블을 중앙(中央) 정렬(整列)시키되 나란히 배치(配置)해야 하는 경우(境遇)도 있습니다. 이 경우(境遇) 자식(子息) 요소(要素)를 텍스트로 취급(取扱)되게 하고, 부모(父母) 요소(要素)에서는 텍스트 중앙(中央) 정렬(整列)을 하여 해결(解決)할 수 있습니다.
문법(文法)
[ 문법(文法)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 '''테이블 1''' ||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
||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
|| [[로렘 입숨|Lorem ipsum, dolor sit ame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 '''테이블 2''' ||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
||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
|| [[로렘 입숨|Lorem ipsum, dolor sit amet.]] ||}}}}}}
결과(結果)
테이블 1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테이블 2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
blahblahblahblahblahblahblahblah

10. 접기의 응용(應用) [편집(編輯)]

  • 응용(應用) 1: 여백(餘白) 제거(除去)
    나무위키는 기본적(基本的)으로 표(表) 자체(自體)가 가지고 있는 상하(上下) 여백(餘白) [12] , 표(票)의 칸 내부(內部)에 상하좌우(上下左右) 여백(餘白) [13] 이 있습니다. 따라서 표(表) 내(內)에서 접기를 이용(利用)해 표(票)를 추가(追加)로 넣을 때 상당히(相當히) 넓은 여백(餘白)이 생기는데, 이 여백(餘白)을 wiki 틀 문법(文法)으로 제거(除去)할 수 있습니다. [14]
    문법(文法)
    [ 문법(文法)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 ||
    
    • min-height:calc(1.5em + 5px)
      접기가 위치(位置)한 틀의 최소(最小) 세로폭(幅)(min-height)을 나무위키 기본(基本) 한줄 높이 1.5em와 margin: ... -5px에서 지워진 5px을 더한 값으로 설정(設定)하여 일반적(一般的)인 한줄 표(票) 높이와 동일(同一)하게 맞춥니다.
    • 펼치기 접기를 넣을 셀의 너비가 펼치기 접기 문구(文句)가 원래(元來) 가져야 했을 여백(餘白) 값 포함(包含) 너비 보다 크고 가운데 정렬(整列) 이어야 합니다. 이 예시(例示)는 '여백(餘白) 제거(除去) 적용(適用)'이라는 윗셀의 텍스트가 있어서 충분히(充分히) 넓고 접기 문법(文法)이 있는 셀이 가운데 정렬(整列)이라서 티가 나지 않지만, 윗셀을 없애고 충분(充分)한 너비를 확보(確保)하지 못하면 아래처럼 보입니다.
      [ 펼치기 · 접기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
      또한, 충분(充分)한 너비가 확보(確保)되더라도 다른 가운데 정렬(整列)이 아닌 왼쪽 정렬(整列) 을 사용(使用)하면 아래와 같이 보입니다.
      여백(餘白) 제거(除去) 적용(適用)
      [ 펼치기 · 접기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
      프로필 표(票) 같은 피(避)치못할 사정(事情)으로 왼쪽 정렬(整列)을 꼭 사용(使用)해야 한다면 '[ 펼치기 · 접기 ]' 문구(文句) 앞쪽에 일반(一般) 띄어쓰기가 아닌 공백문자(空白文字)('?': 점자(點字) 패턴 공백(空白) 등(等))를 넣음으로써 접기 전(前) 여백(餘白)이 사라지는 문제(問題)를 완벽(完璧)하지는 않지만 어색(語塞)하지 않아 보이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항목(項目)
      ?[ 펼치기 · 접기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
    • 기존(旣存) 문법(文法) <^|1><height=32> {{{#!wiki style="margin:0 -10px -5px" (내부(內部) 내용(內容))}}} 의 height=32 옵션은 브라우저나 위키 스킨 설정(設定)에 따라 내부(內部) 글자(글字) 폰트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일정한 높이를 구현(具現)할수 없어 일정한 크기를 보장(保障)할 수 없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결과(結果)
    여백(餘白) 제거(除去) 미적용(未適用)
    [ 펼치기 · 접기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
    여백(餘白) 제거(除去) 적용(適用)
    [ 펼치기 · 접기 ]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
    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내용(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內容)
  • 응용(應用) 2: 여러 접기를 한 행(行)에 넣기
    표(表)의 한 칸에 여러 접기 틀을 합쳐 넣을 수 있습니다.
    문법(文法)
    주의(注意) : 틀 안의 내용(內容)이 충분히(充分히) 커야 합니다.
    [ 문법(文法) 펼치기 · 접기 ]
    ||<width=300><#090> '''{{{#fff 표(票) 제목(題目)}}}'''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틀 1 ]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틀 2 ]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틀 3 ]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
    
    결과(結果)
    표(票) 제목(題目)
    [ 틀 1 ]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 틀 2 ]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 틀 3 ]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위의 방식(方式)을 그대로 쓰면 펼치기 접기 버튼의 간격(間隔)이 좁습니다. 간격(間隔)을 확보(確保)하기 위한 방법(方法)이 있습니다.
아래 두방법(方法)을 같이 적용(適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예) 틀:대한민국(大韓民國) 관련(關聯) 문서(文書)
  • 방법(方法) 1
    버튼 대괄호(大括弧) 좌우(左右)에 띄어쓰기가 아닌 공백(空白) 문자(文字) [15] 을 넣으면 그 크기만큼 간격(間隔)이 생깁니다.
    문법(文法)
    [ 문법(文法) 펼치기 · 접기 ]
    ||<width=300><#090> '''{{{#fff 표(票) 제목(題目)}}}'''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틀 1 ]?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틀 2 ]?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틀 3 ]?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
    
    결과(結果)
    표(票) 제목(題目)
    ?[ 틀 1 ]?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 틀 2 ]?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 틀 3 ]?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 방법(方法) 2
    접기 틀 바깥의 wiki 틀에 min-width:(숫자(數字))% 옵션을 줍니다. 최소한(最小限) (숫자(數字))%의 너비를 보장(保障)하게 하는 옵션으로 숫자(數字)는 19(가로 5항목(項目))~26(가로 3항목(項目)) 정도(程度)가 적당(適當)합니다.
    표(票)가 800px이상(以上)이거나, 100% 등(等) 너비가 넓을 때 좋습니다.
    문법(文法)
    [ 문법(文法) 펼치기 · 접기 ]
    ||<width=700><#090> '''{{{#fff 표(票) 제목(題目)}}}'''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틀 1 ]?
    ||<width=1000>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틀 2 ]?
    ||<width=1000>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틀 3 ]?
    ||<width=1000>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 ||
    
    결과(結果)
    표(票) 제목(題目)
    ?[ 틀 1 ]?
    틀 1 내용(內容) 틀 1 내용(內容)
    ?[ 틀 2 ]?
    틀 2 내용(內容) 틀 2 내용(內容)
    ?[ 틀 3 ]?
    틀 3 내용(內容) 틀 3 내용(內容)
  • 내부(內部) 접기(椄機)들 안의 표(票) 바깥 여백(餘白) 삭제(削除)
    문법(文法)
    [ 문법(文法) 펼치기 · 접기 ]
    ||<table bordercolor=#090><width=400><:>{{{#!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표(票)1 ]
    {{{#!wiki style="margin:-5px 0 -5px"
    ||<table bordercolor=#fc6><width=1000> 표(票)1 표(票)1 표(票)1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표(票)2 ]
    {{{#!wiki style="margin:-5px 0 -5px"
    ||<table bordercolor=#fc6><width=1000> 표(票)2 표(票)2 표(票)2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표(票)3 ]
    {{{#!wiki style="margin:-5px 0 -10px"
    ||<table bordercolor=#fc6><width=1000> 표(票)3 표(票)3 표(票)3 ||}}}}}}}}}
    }}}||
    
    • <width=1000>
      내부(內部) 틀의 내용(內容)이 한줄을 넘어갈 크기 이상(以上) 정도(程度)로 적당히(適當히) 크지 않으면 100%보다 적절히(適切히) 큰 1000 정도(程度)로 두어야 표(票)가 어그러 들지 않습니다.
      위(位)는 한칸짜리 표(票)라서 한칸에 1000을 둔 것입니다. 칸의 크기는 각각(各各) 두칸이면 1000-1000, 세칸이면 1000-1000-1000 등(等)으로 두면 됩니다.
    • margin:-5px 0 -10px
      접기 내부(內部)의 아래부분(部分) 마진(margin-bottom, 또는 margin의 세번째(番째) 값)은 마지막 항목(項目)이 -5px 작아야 최하단(最下團) 여백(餘白)이 삭제(削除)됩니다.
      위와 같은 경우(境遇)는 위 두개(個)는 -5px 0 -5px 인데, 가장 아래 항목(項目)은 -5px 0 -10px 입니다.
    결과(結果)
    [ 표(票)1 ]
    표(票)1 표(票)1 표(票)1
    [ 표(票)2 ]
    표(票)2 표(票)2 표(票)2
    [ 표(票)3 ]
    표(票)3 표(票)3 표(票)3
하위 문서 아이콘 ? 하위(下位) 문서(文書):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심화(深化)/TeX
,
,
,
,
,
,
TeX 을 이용(利用)해서 수학식(數學式) 등(等)을 입력(入力)할 수 있습니다.

12. HTML을 이용(利用)하는 응용(應用) 텍스트 문법(文法) [편집(編輯)]

경고(警告) : 이 문법(文法)은 현재(現在) 지원(支援) 중(中)이나 적용(適用)을 권장(勸奬)하지 않으며 차후(此後)에 지원(支援)이 종료(終了)될 수 있습니다.

{{{#!html (코드)}}} 형태(形態)로 작성(作成)합니다. 코드를 열었다면 무조건(無條件) 닫아야만 적용(適用)됩니다.

HTML 의 기본(基本) 구조(構造) 및 태그의 종류(種類)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나무마크 수준(水準)을 벗어나므로, HTML/태그 문서(文書) 또는 외부(外部) 자료(資料)를 참고(參考)하시기 바랍니다.

적용(適用)되는 대상(對象)에 먼저 나무마크 적용(適用)이 되어있으면 html 태그가 적용(適用)이 안 되니 주의(注意)하십시오. 반대(反對)로 html을 적용(適用)하고 나무마크를 적용(適用)할 수는 있습니다. 단(單), 일부(一部) 사용(使用)할 수 없는 코드도 있습니다.

새 렌더러 적용(適用) 후(後)로 HTML 태그가 적용(適用)된 문자(文字)는 목차(目次)에서 표시(標示)되지 않으므로 주의(注意)하십시오. 또한 이것을 이용(利用)해 목차(目次)와 실제로(實際로) 보이는 것이 다른 문단(文段)을 만들 수 있습니다.

12.1. 텍스트 배경(背景) 색상(色相) [편집(編輯)]

주의(注意) : 정식(正式) 문법(文法)이 아니며 지원(支援) 중단(中斷) 가능성(可能性)이 있는 비권장(非勸奬) 문법(文法)입니다.

{{{#!html <span style="background-color: #배경색(背景色)">서술(敍述)할 내용(內容)</span>}}}

아래 표(表)의 예시(例示)는 비교(比較)를 위하여 원본(原本)과 3배본(配本)을 함께 서술(敍述)하였습니다.
{{{#!html <span style="background-color: #999">배경색(背景色) 적용(適用)</span>}}}
글자(글字)가 있는 부분(部分)(공백(空白) 포함(包含))에만 배경색(背景色)이 적용(適用)됩니다.
배경색(背景色) 적용(適用) 배경색(背景色) 적용(適用)

12.1.1. 텍스트 배경(背景) 색상(色相)과 다른 강조(强調) 문법(文法)의 중첩(重疊) [편집(編輯)]

서술(敍述)할 내용(內容)1
서술(敍述)할 내용(內容)2
서술(敍述)할 내용(內容)3
{{{#!html <span style="background-color: #배경색(背景色)">서술(敍述)할 내용(內容)1</span>}}}
{{{#!html <span style="color: #글자색(글字色)">서술(敍述)할 내용(內容)2</span>}}}
{{{#!html <span style="color: #글자색(글字色); background-color: #배경색(背景色)">서술(敍述)할 내용(內容)3</span>}}}

HTML 문법(文法)을 제대로 적지 않으면 평범(平凡)한 글자(글字)가 됩니다. 중첩(重疊)을 사용(使用)할 때 ;(세미콜론) 뒤에 한 칸을 띄어 쓰면 됩니다. 이를 응용(應用)하여 다른 문법(文法)에 적용(適用) 가능(可能)합니다.

주의(注意) : HTML 문법(文法) 안에 나무위키 문법(文法)을 같이 사용(使用)할 수 없습니다. ex) '''볼드체'''

같이 쓰려면 볼드체
{{{#!html <b><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 #009900">볼드체</span></b>}}}
이와 같이 <b> 태그를 사용(使用)해야 합니다. 태그는 {{{#!html <태그>}}} 와 같이 사용(使用)해야 합니다. 틀에 매개변수(媒介變數) 를 입력(入力)할 때에는 {{{#!html}}} 없이 사용(使用)할 수 있습니다.
HTML 태그
시작(始作)
종료(終了)
예시(例示)
설명(說明)
대체(代替) 가능(可能) 문법(文法)
<b>
</b>
가나 다라
볼드체: 글자(글字)를 굵게 합니다.
'''가나'''다라
<i>
</i>
가나 다라
이탤릭체: 글자(글字)를 기울게 합니다.
''가나''다라
<strong>
</strong>
가나 다라
글자(글字)를 강조(强調)합니다. [16]
'''가나'''다라
<em>
</em>
가나 다라
글자(글字)를 기울입니다. [17]
''가나''다라
<s>
</s>
가나 다라
글자(글字)에 취소선(取消線)을 추가(追加)합니다. [18]
--가나--다라
<sub>
</sub>
가나 다라
아래 첨자(添字)를 정의(定義)합니다.
,,가나,,다라
<sup>
</sup>
가나 다라
위 첨자(添字)를 정의(定義)합니다.
^^가나^^다라
<br>
가나
다라
<br>을 중심(中心)으로 개행(行)합니다.
가나[br]다라
이 외(外)에도 다양한 태그가 있습니다.

아니면 괄호(括弧) 밖에서 사용(使用)해야 합니다. 볼드체
'''{{{#!html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 #009900">볼드체</span>}}}'''

주의(注意) : 문서(文書) 목차(目次)에는 HTML 문법(文法)이 적용(適用)되지 않습니다.

12.2. 텍스트 그림자 및 네온 효과(效果) [편집(編輯)]

주의(注意) : 정식(正式) 문법(文法)이 아니며 지원(支援) 중단(中斷) 가능성(可能性)이 있는 비권장(非勸奬) 문법(文法)입니다.

일반적(一般的)인 경우(境遇) 틀:글무리(無理) 를 이용(利用)하면 됩니다. 예시(例示)는 다음과 같습니다.
입력(入力)
출력(出力)
[include(틀:글무리(無理), 둘레=3, 그림자=00f, 글자(글字)=fff, 내용(內容)=여기로, 링크=나무위키)]
여기로

단(單), 다중(多衆) 그림자 효과(效果)를 적용(適用)하는 상황(狀況)처럼 부득이(不得已)하게 필요(必要)한 경우(境遇) 아래와 같은 문법(文法)을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html <span style=
"text-shadow: 가로움직임px 세로움직임px 번(番)짐정도(程度)px #그림자색(色); color:#글자색(글字色)"
>서술(敍述)할 내용(內容)</span>}}}

나무위키에서는 px 단위(單位)의 값이 0이 아닐 때 항상(恒常) px를 써주어야 정상(正常) 표시(標示)됩니다. 표(表)나 이미지의 크기를 정(定)할 때와 같이, px를 생략(省略)하면 자동(自動)으로 픽셀 단위(單位)로 맞추어 주지는 않음에 주의(注意)해야 합니다. 글자색(글字色)을 그대로 쓸 생각이면 ; color:#글자색(글字色) 부분(部分)을 제외(除外)하면 됩니다. 아래 표(表)의 예시(例示)는 비교(比較)를 위하여 원본(原本)과 3배본(配本)을 함께 서술(敍述)하였습니다.
{{{#!html <span style="text-shadow: 3px 3px 0px #999">그림자 효과(效果)</span>}}}
번짐이 없으면 그림자 효과(效果)가 됩니다.
그림자 효과(效果) 그림자 효과(效果)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2BB; color:#066">네온 효과(效果)</span>}}}
번짐 옵션을 6px 주어서 네온 사인 같은 효과(效果)를 얻습니다.
네온 효과(效果) 네온 효과(效果)
{{{#!html <span style="text-shadow: 3px 3px 0px yellow, 6px 6px 9px #DA2; color:black">다중(多衆) 효과(效果)</span>}}}
그림자 + 번진 그림자(쉼표(쉼標)로 다중(多衆) 적용(適用))로 큰 글씨에서 진(津)한 네온 효과(效果)
다중(多重) 효과(效果) 다중(多重) 효과(效果)

12.3. 텍스트 외곽선(外郭線) 효과(效果) [편집(編輯)]

주의(注意) : 정식(正式) 문법(文法)이 아니며 지원(支援) 중단(中斷) 가능성(可能性)이 있는 비권장(非勸奬) 문법(文法)입니다.

{{{#!html <span style="text-shadow: 외곽선(外郭線)두께px 0px #외곽선색(外郭線色), 0px 외곽선(外郭線)두께px #외곽선색(外郭線色), -외곽선(外郭線)두께px 0px #외곽선색(外郭線色), 0px -외곽선(外郭線)두께px #외곽선색(外郭線色), 외곽선(外郭線)두께px 외곽선(外郭線)두께px #외곽선색(外郭線色), 외곽선(外郭線)두께px -외곽선(外郭線)두께px #외곽선색(外郭線色), -외곽선(外郭線)두께px -외곽선(外郭線)두께px #외곽선색(外郭線色), -외곽선(外郭線)두께px 외곽선(外郭線)두께px #외곽선색(外郭線色); color:#글자색(글字色)">서술(敍述)할 내용(內容)</span>}}}
나무위키에서는 px 단위(單位)의 값이 0이 아닐 때 항상(恒常) px를 써주어야 정상(正常) 표시(標示)됩니다. 표(表)나 이미지의 크기를 정(定)할 때와 같이, px를 생략(省略)하면 자동(自動)으로 픽셀 단위(單位)로 맞추어 주지는 않음에 주의(注意)해야 합니다.
글자색(글字色)을 그대로 쓸 생각이면 ; color:#글자색부분(글字色部分)을 제외(除外)하면 됩니다. 아래 표(表)의 예시(例示)는 비교(比較)를 위하여 원본(原本)과 3배본(配本)을 함께 서술(敍述)하였습니다.

위의 그림자 효과(效果)를 응용(應用)한 방식(方式)입니다.
상(上), 하, 좌(左), 우(禹), 좌상(左相), 우상(右相), 좌하(左下), 우하(右下)의 8방(房)으로 그림자를 모두 적용(適用)한 방식(方式)으로 외곽선(外郭線)처럼 표시(標示)됩니다.
이 중(中) 상(上), 하, 좌(左), 우(右)의 그림자 효과(效果)만 적용(適用)할 경우(境遇) 픽셀 폰트처럼 외곽선(外郭線)이 표시(標示)됩니다.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11A048">외곽선(外郭線) 효과(效果)1</span>}}}
외곽선(外郭線) 효과(效果)1 외곽선(外郭線) 효과(效果)1
{{{#!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color:#11A048">외곽선(外郭線) 효과(效果)2</span>}}}
외곽선(外郭線) 효과(效果)2 외곽선(外郭線) 효과(效果)2

13. 매크로 미지원(未支援) 플랫폼에 동영상(動映像) 삽입(揷入) [편집(編輯)]

상세 내용 아이콘 ?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틀:video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주의(注意) : 정식(正式) 문법(文法)이 아니며 지원(支援) 중단(中斷) 가능성(可能性)이 있는 비권장(非勸奬) 문법(文法)입니다.

매크로가 지원(支援)되지 않는 사이트의 동영상(動映像)을 나무위키 문서(文書) 내(內)에 첨부(添附)하고 싶다면, 일반적(一般的)인 경우(境遇) 틀:video 를 이용(利用)해서 매개변수(媒介變數)와 함께 include 하시면 됩니다.
입력(入力)
출력(出力)
[include(틀:video, src=https://d28xe8vt774jo5.cloudfront.net/champion-abilities/0017/ability_0017_P1.webm, width=320)]

마찬가지로 오디오도 틀:video 를 이용(利用)해 첨부(添附)할 수 있습니다.
입력(入力)
출력(出力)
[include(틀:video,src=https://www.mois.go.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10854&fileSn=0, height=50, width=100%)]

하지만 필요(必要)한 경우(境遇), 아래와 같이 HTML 구문(構文)을 직접(直接) 이용(利用)해 동영상(動映像)을 삽입(揷入)하는 것도 가능(可能)합니다. (비권장(非勸奬))

방법(方法) 1.
{{{#!html <video src="동영상(動映像) 주소(住所)"></video>}}}

방법(方法) 2.
{{{#!html 동영상(動映像) 플레이어 소스}}}

위와 같은 형식(形式)으로 문서(文書) 내(內)의 원(願)하는 위치(位置)에 쓰시면 됩니다. 문서(文書) 내(內)에 쓰고 문서(文書) 저장(貯藏)을 하면 영상(映像)이 출력됩니다.
  • 모든 페이지에서의 TLS(HTTPS) 통신(通信)을 지원(支援)하지 않는 사이트의 동영상(動映像) 플레이어는 나무위키에서 나타나지 않습니다. 참고(參考) RAW [19]
  • 주의(注意) : 소리를 포함(包含)하고 있는 멀티미디어의 자동(自動) 재생(再生)(autoplay)은 나무위키 규정(規定)으로 금지(禁止)되어 있습니다.

14.1. 기본(基本) 형식(形式) [편집(編輯)]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orange;padding:12px;"
{{{+1 여기에 제목(題目)을 넣어주세요.}}}[br][br]여기에 내용(內容)을 넣어주세요.}}}

여기에 제목(題目)을 넣어주세요.

여기에 내용(內容)을 넣어주세요.

  • style="border:1px solid (색(色) 코드);border-top:5px solid (색(色) 코드);padding:12px;"
    테두리를 지정(指定)합니다. (색(色) 코드) 부분(部分)에 원(願)하는 색깔(色깔)의 코드를 넣어 주면 됩니다. 아래는 많이 쓰이는 코드들입니다. 또한 blue, red 같이 CSS 웹 색상(色相) 이름을 사용(使用)해도 됩니다. 틀을 만들 때 글자(글字)를 1개(個)라도 틀리거나 빠트리면 틀이 정상적(正常的)으로 표시(標示)되지 않습니다.
  • 텍스트 크기 문법(文法) 을 이용(利用)하여 제목(題目) 크기 조절(調節)이 가능(可能)합니다. {{{+1 여기에 제목(題目)을 넣어 주세요.}}} 처럼 사용(使用)할 수 있습니다.
  • 제목(題目)과 내용(內容) 사이에 한 줄을 띄워 주세요. [br][br] 처럼 줄 바꿈 매크로를 두 번(番) 사용(使用)하면 됩니다.

14.2. 심화(深化) 문법(文法) [편집(編輯)]

{{{#!wiki style="원(願)하는 서식(棲息) 목록(目錄)"
서식(棲息)이 적용(適用)된 텍스트}}}

원(願)하는 서식(書式)에 입력(入力)할 수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 서식(書式)을 입력(入力)한 다음에 ; ( 세미콜론 )을 입력(入力)하여 다음 서식(書式)과 구분(區分)합니다. 또한 세미콜론 뒤에 공란(空欄)을 입력(入力)하지 않아도 정상적(正常的)인 출력(出力)이 가능(可能)합니다.

여기서 (수치(數値)) 정수(精髓)값 을 의미하며, 음수(陰數)값도(度) 적용(適用)이 됩니다. calc( 수치(數値) 단위(單位) )로 할 경우(境遇) 해당(該當) 식(式)을 계산(計算)하여 처리(處理)도 가능(可能)하나, 덧셈과 뺄셈은 기호(記號) 근처(近處)에 띄어쓰기가 추가(追加)로 필요(必要)합니다.
  • 테두리: border-(방향(方向)):(선(先) 굵기)px (선(先) 스타일) (색상(色相))
    예1: 상우하좌(下座) 각각(各各) 5, 10, 15, 20px 굵기의 테두리
    border:1px solid; border-width:5px 10px 15px 20px
    예2: 전방향(全方向) 1px이지만 윗부분(윗部分)은 5px
    border:1px solid; border-top:5px solid
    • 방향(方向): top =위, bottom =아래, right =오른쪽, left =왼쪽, 공백(空白)=전방향(全方向).
    • 선(線) 굵기: thin, medium, thick = 각각(各各) 1, 3, 5px, 또는 직접(直接) 입력(入力) XXpx [20]
    • 선 스타일
      none
      solid
      double
      dotted
      dashed
      inset
      outset
      groove
      ridge
    • 선 색상(色相): 지정(指定) 하지 않을 경우(境遇)의 색상(色相)은 글씨 색깔(色깔)을 따라 갑니다. border-(방향(方向))-color로 border의 서술(敍述)과 분리(分離)할 수 있으며, dark-style에 사용(使用) 할 수도 있습니다.
  • 배경(背景) 색(色): background-color:(색상(色相))
  • 그림자 효과(效果) : text-shadow:
  • 둥근 모서리: border-radius:(수치(數値))px
    예시(例示)
    border-radius:10px :
    모든 방향(方向) 10px
    border-radius:10px 20px :
    좌상(坐像), 우하(右下)는 10px, 우상(偶像), 좌하(左下)는 20px
    border-radius:5px 10px 20px :
    좌상(坐像)부터 시계방향(時計方向)으로 5px 10px 20px (좌하(左下)는 기본(基本) 5px)
    border-radius:5px 10px 20px 40px :
    좌상(坐像)부터 시계방향(時計方向)으로 5px 10px 20px 40px
  • 틀 안의 여백(餘白): padding-(방향(方向)):(수치(數値))px
    기본(基本)값은 padding:0px
  • 틀 밖의 여백(餘白): margin-(방향(方向)):(수치(數値))px 또는 margin:(북쪽(北쪽)&남쪽(南쪽) 공통(共通) 적용(適用) 수치(數値))px (동쪽(東쪽)&서쪽(西쪽) 공통(共通) 적용(適用) 수치(數値))px 또는 margin:(북쪽(北쪽) 수치(數値))px (동쪽(東쪽) 수치(數値))px (남쪽(南쪽) 수치(數値))px (서쪽(西쪽) 수치(數値))px }
    기본(基本)값은 margin:0px
    margin:0px auto 로 주었을 경우(境遇) 표(票) 밖의 가로 여백(餘白)을 자동(自動)으로 맞춥니다. 즉(卽), 표(票)의 화면(畵面) 가운데 정렬(整列)이 됩니다.
    이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면 표(表)의 셀 내부(內部)에 이미지를 삽입(揷入)할 때 여백(餘白)을 없애는 것이 가능(可能)하며 양수(讓受)값을 사용(使用)하면 여백(餘白)이 추가(追加)되며, 음수(陰數) 값을 사용(使用)할 경우(境遇) 여백(餘白)이 줄어듭니다.
    문법(文法)
    문법(文法) 미사용(未使用)
    ||<tan>[[파일:나무위키:로고1.png]]||
    
    문법(文法) 사용(使用)
    ||<tan>{{{#!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나무위키:로고1.png]]}}}||
    
    출력(出力)
    나무위키:로고1
    나무위키:로고1
    만약(萬若) margin이 접기나 표(票) 밖으로 나오면 잘리며 스크롤 바가 생깁니다. [21]
  • 틀 높이: height:(수치(數値))px
  • 틀 길이: width:(수치(數値))px 또는 (수치(數値))% : %의 기준(基準)은 화면(畵面)의 너비.
  • 틀 최대(最大) 길이: max-width:(수치(數値))px 또는 (수치(數値))% : %의 기준(基準)은 화면(畵面)의 너비.
  • 폰트 색(色): color:(색상(色相))
  • 폰트 효과(效果): font-style: normal 또는 italic 또는 oblique
  • 글자(글字) 크기: font-size: (수치(數値))pt나 (수치(數値))em 등(等). [22]
  • 글자(글字) 위치(位置): text-align: left 또는 center 또는 right
  • 표(表)의 좌(左), 우(右) 정렬(整列): float:left 또는 right 또는 center
    나무위키 이미지, 표(票)의 정렬(整列)과 비슷하나 center의 경우(境遇) 별도(別途)의 설정(設定) 없이는 표(票)의 폭(幅)이 100%로 고정(固定)됩니다.
    float 기능(機能)을 사용(使用)하여 표(表)의 캡션 기능(機能)과 비슷하게 이미지에도 캡션을 넣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에는 이미지 캡션 기능(機能)이 없으므로 이렇게 써야 합니다.
    예시(例示)
    문법(文法)
    {{{#!wiki style="float:left;text-align:center"
    [[파일:나무위키:로고1.png|width=200]][br]나무위키 로고}}}
    
    {{{#!wiki style="float:left;text-align:center"
    나무위키 로고[br][[파일:나무위키:로고1.png|width=200]]}}}
    
    예시(例示)
    출력(出力)
    나무위키:로고1
    나무위키 로고
    나무위키 로고
    나무위키:로고1
  • display 속성(屬性): 표(票)가 화면(畵面)에서 어떻게 표시(標示)될지를 정(定)합니다. 속성(屬性)을 주지 않을 경우(境遇) 기본(基本)값은 block 입니다. 줄글 같이 취급(取扱)하는 inline , 표(票)로 취급(取扱)하는 table , 안 보이게 하는 none 등(等)이 있습니다.
    기본(基本)값인(人) block의 경우(境遇) 강제(强制)로 표(表) 너비의 최소(最小)를 화면(畵面)의 100%로 맞춥니다. table 등(等)으로 값을 줄 경우(境遇) 이를 막을 수 있습니다.
    display 속성(屬性)을 주지 않을 경우(境遇)
    (기본(基本)인 display:block 이 됨)
    나무위키:로고1
    display 속성(屬性)을 display:table 로 준 경우(境遇)
    나무위키:로고1

14.3. 매개변수(媒介變數) [편집(編輯)]


일반(一般) 틀 , 기호(記號) 틀 , 양식상자(樣式箱子) 틀 , 기타(其他) 문법(文法) 틀 등(等)에서 매개변수(媒介變數)를 설정(設定)할 때 @매개변수(媒介變數)@ 꼴로 선언(宣言)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例示)는 틀:다른 뜻 설명(說明) 을 include하는 예시(例示)입니다.
'틀:다른 뜻 설명(說明)' 원문(原文) 일부(一部)
include 구문(構文)
출력(出力)
{{{#!html &nbsp; @설명(說明)@}}}
[include(틀:다른 뜻 설명(說明))]
다른 뜻 아이콘  
[include(틀:다른 뜻 설명(說明), 설명(說明)=이것은 설명(說明)입니다.)]
다른 뜻 아이콘 ? 이것은 설명(說明)입니다.
위와 같이 '틀:다른 뜻 설명(說明)'에 @설명(說明)@ 이 선언(宣言)되어 있으므로 '설명(說明)'은 '틀:다른 뜻 설명(說明)'의 매개변수(媒介變數)가 됩니다. 틀이 삽입(揷入)될 문서(文書) 내(內)에서 매개변수(媒介變數)를 이용(利用)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媒介變數)=값 의 형태(形態)로 값을 넘겨주면 됩니다. '값' 자리에 아무것도 입력(入力)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또한, '값'에 해당(該當)하는 문자열(文字列)에 쉼표(쉼標)( , )가 포함(包含)되어 있을 경우(境遇) 제대로 표시(標示)되지 않습니다. 쉼표(쉼標) 앞에 백슬래시 를 붙여 \, 로 쓰면 해결(解決)됩니다.

디폴트 매개(媒介) 변수(變數)는 @매개변수(媒介變數)=디폴트값@ 형태(形態)로 선언(宣言)합니다. [23] 이해(理解)를 돕기 위(爲)해 '틀:다른 뜻 설명(說明)'의 원문(原文)을 변형(變形)하여 보겠습니다.
'틀:다른 뜻 설명(說明)' 원문(原文) 일부(一部) 변형(變形)
include 구문(構文)
출력(出力)
{{{#!html &nbsp; @설명(說明)=설명(說明)을 입력(入力)하십시오@}}}
[include(틀:다른 뜻 설명(說明))]
다른 뜻 아이콘 ? 설명(說明)을 입력(入力)하십시오
[include(틀:다른 뜻 설명(說明), 설명(說明)=이것은 설명(說明)입니다.)]
다른 뜻 아이콘 ? 이것은 설명(說明)입니다.
위와 같이 매개변수(媒介變數) '설명(說明)'의 디폴트 값이 "설명(說明)을 입력(入力)하십시오"로 선언(宣言)되었으므로 아무것도 입력(入力)하지 않으면 디폴트 값인 "설명(說明)을 입력(入力)하십시오"가 출력됩니다.

이를 심화(深化) 문법(文法)에 응용(應用)하면 다음과 같이 매개변수(媒介變數) 유무(有無)에 따라 출력(出力) 글자(글字)를 바꿀 수 있습니다. 틀:토론(討論) 합의(合意) 를 예시(例示)로 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틀:토론(討論) 합의(合意)' 원문(原文) 일부(一部)
include 구문(構文)
출력(出力)
{{{#!wiki style="display: none;display: @this=inline;@"
'''이(李) 문서(文書)는'''}}}{{{#!wiki style="display: inline;display: @this=none;@"
'''이(李) 문단(文段)은'''}}}
[include(틀:토론(討論) 합의(合意))]
이 문서(文書)는
[include(틀:토론(討論) 합의(合意), this=아무 텍스트)]
이 문단(文壇)은


주의(注意) : 나무마크(나무위키 자체(自體) 문법(文法))에는 매개변수(媒介變數)를 사용(使用)할 수 없습니다. 예(例)를 들어, 셀의 배경색(背景色)에 <bgcolor=@배경색(背景色)=#00a495@> 와 같은 매개변수(媒介變數)를 지정(指定)할 수 없습니다.

15. 클래스 속성(屬性) 삽입(揷入) [편집(編輯)]

  • class 속성(屬性)을 span 태그를 통해 삽입(揷入)할 수 있습니다. div, a 등(等) 다른 태그에서는 지원(支援)하지 않습니다.
    <span class=
    "클래스명(名)"
    >...</span>
    <span class=
    "클래스명(名)1 클래스명(名)2 클래스명(名)3..."
    >...</span>
    

    class 속성(屬性)에 공백(空白)이 없을 경우(境遇) 큰따옴표(큰따옴標)를 사용(使用)하지 않아도 작동(作動)하지만 이는 비권장(非勸奬) 사항(事項)입니다.

16. 문법(文法) 강조(强調) (syntax highlighting) [편집(編輯)]

기본적(基本的)인 사용법(使用法)은 다음과 같습니다.
{{{#!syntax 언어명(言語名)
코드}}}

프로그래밍 언어(言語)를 입력(入力)할 때, 텍스트 에디터 에 입력(入力)한 것처럼 보기 좋게 해줍니다.
프로그래밍 언어(言語)의 이름과 코드 내용(內容)을 원(願)하는 것으로 변경(變更)하여 사용(使用)하실 수 있습니다.

'언어명(言語名)' 부분(部分)에 해당(該當) 언어(言語) 명칭(名稱)을 아래와 같이 알파벳 소문자(小文字) 형태(形態)로 작성(作成)하신 후(後) 코드를 입력(入力)하시면 됩니다. 아래에 언급(言及)된 언어(言語)만 사용(使用) 가능(可能)합니다.

[1]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내용(內容)||}}}}}}}}} ||
[2] {{{#!html <span style="font-family: 글꼴">텍스트</span>}}} . 당연히(當然히) 문법(文法) 내(內)에 서식(書式)을 적용(適用)하시려면 HTML 태그를 사용(使用)하여야 합니다. [A] 각주(各州)이름 앵커 [4] 매크로 문단(文壇) 에 후술(後述)된 pagecount(문서(文書)) 문법(文法)을 생각한다면, 나무위키: 등(等) 명시(明示)된 네임스페이스와 달리, 일반(一般) 문서(文書)의 네임스페이스인 문서(文書): 는 디폴트값이기 때문에 표제어(標題語)에서 볼 수 없었다는 것을 눈치챌 수 있습니다. [5] 모양(模樣)이 비슷한 전각(殿閣) 문자(文字)(#, /, \, |, ])로 리(리)다이렉트 만들거나, 상위(上位) 문서(文書)의 제목(題目)에 /가 없다는 가정(假定) 하(下)에 [[../문서명(門署名)]] 을 사용(使用)하기 등(等) [6] 문단(文段) 번호(番號) 링크 시(時) 끝 문자(文字)에 #이 붙은 효과(效果)가 나므로 백슬래시가 따로 필요(必要)하지 않습니다. [7] 마크업 언어(言語)에 관(關)한 설명(說明)은 해당(該當) 문서(文書) 참조(參照). 프로그래밍과 거리(距離)가 먼 사람이라 이해(理解)가 가지 않으신다면, 위키 한정(限定)으로는 그냥 "위키 문법(文法)이 미적용(美適用)된다"고 이해(理解)하셔도 좋습니다. [8] 정확히(正確히)는 인용문(引用文) 여백(餘白)이 기존(旣存)에 쉼표(쉼標) 있다가 사라진 흔적(痕跡) 남은것이 수정(修正)된 이후(以後) 기준(基準). [9] 나무위키의 사용자(使用者) 수(數)와 같습니다. [10] 더미 문서(文書) 는 '더미:'로 시작(始作)하지만 휴지통(休紙桶) 문서(文書) 와 달리 이름공간(空間)의 종류(種類)가 아닙니다. [11] Ruby 코드는 하(河)술한(韓) 문법(文法) 강조(强調) 를 이용(利用)해야 합니다. [12] 상하(上下) 10px, 2022.05. 기준(基準) [13] 상하(上下) 5px, 좌우(左右) 10px, 2022.05. 기준(基準) [14] 표(票) 테두리 경계선(境界線) 및 텍스트 크기의 변화(變化) 등(等)의 이유(理由)로 텍스트가 중심(中心)에서 떨어지거나 경계선(境界線)의 굵기가 굵어지는 등(等)의 문제(問題)가 발생(發生)할 시(時)에는 문제(問題)가 생긴 방향(方向)의 여백(餘白) 제거(除去)값에서 -1을 더하면 됩니다.
예시(例示)) -10px에서 -11px로, -5px에서 -6px로, 0에서 -1px로.
[15] '?': 점자(點字) 패턴 공백(空白)
' ': 전각(殿閣) 공백(空白) 등등(等等)
[16] <b> 태그랑 차이(差異) 없음. [17] <i> 태그랑 차이(差異) 없음. [18] 이상(異常)한 것을 느꼈을텐데, 나무위키에서 제공(提供)하는 문법(文法)인 취소선(取消選) 을 쓰면 마우스를 올렸을 때 취소선(取消線)이 사라지고 회색(灰色) 글자(글字)만 보이지만, 이 태그는 글자(글字) 자체(自體)에 취소선(取消線)을 입히는 것이다. 그러니 취소선(取消選) 숨기기를 사용(使用)해도 이 html 태그를 이용(利用)한 취소선(取消線)은 사라지지 않는다. [19] 2016년(年) 7월(月) 27일(日) 확인(確認) [20] 반드시 단위(單位)를 붙일 것. [21] 원래(元來)는 그냥 튀어 나왔으나, 2019년(年) 10월(月) 말(末) 경(頃)부터 변경(變更). [22] 글자(글字) 크기를 세밀(細密)하게 조정(調整). {{{+? }}}나 {{{-? }}}과는 별개(別個)의 수치(數値)로 지정(指定)되며 소숫점도(小數點度) 가능(可能)하다. 심지어(甚至於) 0까지도 조정(調整) 가능(可能)해 글자(글字)를 숨겨버릴 수도 있다. 사용(使用) 가능(可能)이 확인(確認)된 단위(單位)는 pt, em이 있는 것이 확인(確認). +-?별 텍스트 크기는 나무위키:문법(文法) 도움말 참고(參考). [23] C++, Python 등(等)에서 디폴트 매개(媒介) 변수(變數)를 선언(宣言)하는 방법(方法)과 유사(類似)합니다.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문서(文書)의 r49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以前) 역사(歷史)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다른 문서(文書)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文書)의 r49 ( 이전(以前) 역사(歷史) )
문서(文書)의 r ( 이전(以前) 역사(歷史)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